KR20150025597A -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597A
KR20150025597A KR20130103338A KR20130103338A KR20150025597A KR 20150025597 A KR20150025597 A KR 20150025597A KR 20130103338 A KR20130103338 A KR 20130103338A KR 20130103338 A KR20130103338 A KR 20130103338A KR 20150025597 A KR20150025597 A KR 2015002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leaf extract
impro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777B1 (ko
Inventor
윤경섭
정택규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13010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7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안정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말채나무잎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에탄올-물 혼합 추출물이 안전하면서도 자외선차단제의 UV 노출에 의한 광안정성 저하를 개선하는 데 유용하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고, 피부자극이 없이 안전하며, 기존 자외선차단제의 UV 노출에 의한 UV 흡광도 감소 완화, 광화학적 반응에 대한 방지로 이한 광안정성 개선 및 UV에 노출되었을 때 자외선차단지수(SPF)의 감소를 완화해 주는 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Cornus walteri leaf extract for improving the photo-stability of sunscreen agent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UV screening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노출로부터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ltraviolet Ray)는 전자기파 스펙트럼에서 보라색 띠에 인접하며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200∼400 nm 파장영역을 갖는 태양광으로서 인체 피부가 UV에 노출되면 피부의 광노화, 세포손상, DNA 손상 등이 유발될 수 있다. 태양광에 포함된 UV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과도하게 조사하는 경우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색소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잡티발생의 원인이 되고, 표피에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차단제는 두 가지 종류로 분류되는데 그 중 하나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과 같은 UV를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이고 다른 하나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와 같은 UV를 산란하는 성질을 갖는 물리적 자외선차단제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안정화된 상태에서는 구조에 포함된 탄소-탄소 이중결합이 Z-form의 구조로 존재하지만, UV에 노출될 경우 일부 E-form으로 isomerization이 일어나며, 그로 인하여 UV에 대한 흡수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153~160, 23, 2001) 등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자극이나 UV 노출 시 그 역가가 감소하는 광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고 물리적 자외선차단제는 백화현상이나 광독성 등의 단점이 있어서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UV 광에 대한 광안정화제 물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1831호, 제 10-0496096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들은 광안정화제 및 자외선차단제로 동시에 사용되는 물질이면서 합성 화합물로서 안전성이나 피부자극 등의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합성 자외선차단제 및 광안정화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관련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식물의 잎은 태양광을 통해 광합성을 함으로써 식물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UV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1차 저지선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식물의 잎에는 UV를 흡수하는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천연 식물 원료인 말채나무잎을 포함하는 말채나무(Cornus walteri)는 민간에서 신선목 또는 설매목으로 불리는 산형화목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한국이나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대략 10 ~ 20 m까지 자라는 식물이다. 이러한 말채나무는 민간요법으로 그 나무껍질과 잎이 강장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체지방 분해작용과 이뇨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비만, 간기능 개선, 위장질환, 만성부종, 요로결석, 변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명 빼빼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말채나무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관하여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478136호에 개시된 바 있고, 항염증활성에 관하여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36317호에 개시된 바 있고, 비만억제활성에 관하여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92065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UV 노출로부터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저하를 개선하는 광안정화 효과에 관하여는 전혀 개시되거나 암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 말채나무잎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열수추출물과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배합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시료를 이용하여 UV 노출에 대한 UV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HPLC를 이용하여 Isomerization 감소효과를 측정하는 단계와; UV 노출에 따른 자외선차단지수(SPF)를 측정하는 단계와; 피부안정성 실험을 하고 비교 평가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말채나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의 추출에 사용된 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1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알코올, 부틸렌글라이콜, 부틸알코올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 용매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이들 중 임의로 선택된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용매이며, 상기 선택된 추출용매는 상기 생약재 혼합물 전체 중량대비 1 내지 20배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은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의 UV 노출에 의한 광안정성 저하에 대한 광안정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열수추출법으로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초음파추출법, 초고압추출법 및 초임계추출법과 같이 통상적으로 알려진 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이면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화에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화장료 유효성분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중량대비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추출된 화장료 유효성분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중량대비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장료의 외관이나 사용 시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말채나무잎추출물의 용매추출물, 특히 에탄올-물 혼합 추출물이 안전하면서도 자외선차단제의 UV 노출에 의한 광안정성 저하를 개선하는 데 유용하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말채나무잎추출물로부터 기존 자외선차단제가 UV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광안정성의 저하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고 특히 자외선차단제가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자외선차단 화장료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와 같은 다양한 상품 유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물성적인 측면에서는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또한 자명하다.
본 발명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같은 화학적 자외선차단제가 UV에 노출될 때 일어날 수 있는 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 등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말채나무잎은 야생에서 채취한 건조된 말채나무잎을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조분쇄한 건조 말채나무잎 50 g에 100%, 75%, 50%, 25% 에탄올 수용액 및 100% 정제수 500 mL를 가한 후 1차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열수추출물에서 용매를 여과한 후 다시 100, 75, 50, 25% 에탄올 수용액 및 100% 정제수 500 mL를 가하여 2차 추출하고 용매를 여과하였다. 1차 및 2차 추출물을 합하고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을 완성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말채나무잎 추출물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수득량 및 수율을 표기하였다.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말채나무잎추출물 수득량(g) 수율(%)
1 100% 에탄올 추출물 4.72 9.44
2 7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8.15 16.30
3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9.86 19.72
4 2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12.43 24.86
5 100% 정제수 추출물 11.96 23.92
실험예1 :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의 UV 흡수능 평가
상기 실시예 1∼5에 따라 수득된 말채나무잎추출물에 대하여 UV에 대한 흡수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UV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말채나무잎추출물의 UV 스펙트럼은 UV spectrophotometer (UV-1800, SHIMADZU,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각각의 말채나무잎추출물을 메탄올에 0.01%의 농도로 용해하고,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파장범위 250∼600 nm에서 UV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1).
하기 [표 2]에 상기 실시예 1∼5의 말채나무잎추출물의 UV 흡광도를 최대흡수피크 및 흡광도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의 최대파장 및 흡광도
실시예 말채나무잎추출물 최대파장(nm) 흡광도
1 100% 에탄올 추출물 266.60 0.860
2 7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67.20 1.485
3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67.80 1.978
4 2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67.00 1.840
5 100% 정제수 추출물 265.60 1.428
실험결과, 말채나무잎추출물의 UV 흡광도는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좋은 UV 흡수능을 보였으며, 특히 7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UV 흡수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평가
상기 각 실시예 1∼5에 따라 수득된 말채나무잎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광안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UV 노출 전, 후의 UV 흡광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화학적 자외선차단제 중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Uvinul MC 80TM, BASF)를 사용하였다.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UVB 영역을 주로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차단용 화장료에 가장 널리 쓰이는 자외선자단제이다.
시료로서 자외선차단제 0.0005%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0.005%의 상기 각 실시예 1∼5에 따라 수득된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비교군과 동일한 조건에서 UV를 조사 전, 후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감소된 흡광도의 감소율(%)을 구하여 S1 값으로 하였다.
비교군으로서 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0.001%의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한 용액 3 mL를 밀봉 가능한 형광 측정용 쿼츠셀에 넣은 후 초기 UV 흡광도를 측정한 후, 상기 시료 용액이 담겨있는 쿼츠셀을 UV 조사장치(BLX-312, VILBER, Germany)에 넣고 4 J/㎠의 UV를 조사한 후 UV 흡광도를 다시 측정하여 감소된 흡광도의 감소율(%)을 구하여 C1 값으로 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 1∼5에 따라 수득된 말채나무잎추출물을 0.01%의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한 용액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동일한 조건으로 UV 조사 전, 후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감소된 흡광도의 감소율(%)을 구하여 C2 값으로 하였다.
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대한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치로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
실시예 말채나무잎추출물 광안정화 효과(%)
1 100% 에탄올 추출물 28.24
2 7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5.57
3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50.88
4 2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3.75
5 100% 정제수 추출물 32.50
실험결과, 말채나무잎추출물의 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대한 광안정화 효과는 전체적으로 양호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Isomerization 감소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5에 따라 수득된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HPLC를 이용하여 isomerization 감소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HPLC 분석조건은 하기와 같다. 칼럼은 Agilent사의 eclipes C18 column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메탄올/물의 90/10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측정파장은 32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유속은 0.5 mL/min, 시료 주입양은 20 μL을 사용하였다.
시료로서 자외선차단제 0.01%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0.1%의 상기 각 실시예 1, 2, 3, 4 및 5에 따라 수득된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비교군과 동일한 조건에서 UV를 조사 후의 Z-form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피크에 대한 E-form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피크의 면적비 SA 값을 구하였다.
비교군으로서 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0.01%의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한 용액 3 mL를 밀봉 가능한 형광 측정용 쿼츠셀에 넣은 후, 상기 시료 용액이 담겨있는 쿼츠셀을 UV 조사장치에 넣고 4 J/㎠의 UV를 조사한 후, UV에 노출된 상기 용액을 취하여 상기한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Z-form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피크에 대한 E-form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피크의 면적비 CA 값을 구하였다.
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대한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의 isomerization 감소효과(%)는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수치로 계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의 Isomerization 감소효과(%)
실시예 말채나무잎추출물 Isomerization 감소효과(%)
1 100% 에탄올 추출물 12.43
2 7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19.84
3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1.32
4 2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0.18
5 100% 정제수 추출물 14.58
실험결과, 말채나무잎추출물의 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에 대한 isomerization 감소효과는 전체적으로 양호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은 UV 노출에 의한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5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한 말채나무잎추출물은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우수한 광안정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및 그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함유한 UV 흡수능을 갖는 기존 자외선차단제의 UV 노출에 의한 안정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로션 제형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5]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함유한 로션 제형의 화장료조성물
번호 성 분 제형예 1 비교예 1
1 세테아릴알코올 1.2 1.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4 0.4
3 폴리소르베이트 60 0.9 0.9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유동파라핀 5.0 5.0
6 스쿠알란 5.0 5.0
7 마카데이나넛오일 4.0 4.0
8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2.5
9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 0.5
10 글리세린 4.0 4.0
11 카보머 0.12 0.12
12 산탄검 0.03 0.03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15 아르기닌 0.12 0.12
16 추출 실시예 3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 0.50 -
상기 [표 5]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9를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10 내지 13을 성분 14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5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6을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예 1에 대한 그 비교예 2는 성분 16인 추출 실시예 2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제형예 2 및 그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함유한 UV 흡수능을 갖는 기존 자외선차단제의 UV 노출에 의한 안정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크림 제형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6]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형의 화장료조성물
번호 성 분 제형예 2 비교예 2
1 세테아릴알코올 1.5 1.5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8.0 8.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디메치콘 2.0 2.0
9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5 2.5
1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 0.5
11 글리세린 5.0 5.0
1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0.4
13 산탄검 0.03 0.03
14 방부제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량 잔량
16 추출 실시예 3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 1.0 -
상기 [표 6]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10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11 내지 14를 성분 15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6을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예 2에 대한 그 비교예 2는 성분 16인 추출 실시예 3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실험예 4 : UV 노출에 따른 자외선차단지수( SPF ) 감소개선 효과 평가
상기 제형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로션을 이용하여 UV 노출에 따른 SPF 감소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조성물에서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SPF analyzer (SPF 290, The Optometrics Group, USA)를 이용한 in vitro SPF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제형예 1과 비교예 1의 UV 노출 전, 후의 SPF를 비교평가 하였다.
먼저, 상기한 비교예 1의 화장료를 in vitro SPF 측정용 테이프에 2 mg/㎠의 양을 고르게 도포하고 SPF analyzer를 이용하여 SPF 초기값을 평가한 후, 상기 비교예가 도포된 측정용 테이프를 UV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4 J/㎠의 UV에 노출시키고 다시 SPF를 평가하여 비교예 1 화장료의 UV 조사 전, 후의 SPF 감소율 CS 값을 구하였다.
또한, 상기한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의 화장료를 비교예 1의 시험조건과 동일하게 UV 노출 전, 후의 SPF를 평가하여 비교예 1 화장료의 UV 조사 전, 후의 SPF 감소율 SS 값을 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조성물에서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는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수치로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 말채나무잎추출물 화장료조성물의 SPF 감소율(%)
구분 UV 조사 전 SPF값 UV 조사 후 SPF값 SPF 감소율(%)
제형예 1 11.84 9.54 19.43
비교예 1 11.79 8.47 28.15
광안정화 효과(%) 30.98%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조성물에서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는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의 SPF 감소율이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SPF 감소율에 비해 30.98%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말채나무잎추출물의 광안정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피부의 안전성 실험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말채나무잎추출물과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인 제형예 2의 피부 안전성, 즉 피부반응의 관찰을 통해서 자극 혹은 알레르기성 반응의 발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기준 피부안전성 검사법에 따라 인체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로 20세 이상 50세 이하의 건강한 성인 남, 여 30명을 선정하였고, 첩포시험은 대상자 상박 내측에 첩포를 부착하였으며 48시간이 지난 후 첩포를 제거하였다. 약 60분간 안정을 취하도록 한 후 첫 판독을 시행하였고, 첩포 부착 후 96시간이 경과한 후 2차 판독을 시행하였다. 판정기준은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피부 안정화 실험의 판정기준
반응 가중치 판정의 기준
- 0 무반응
0.5 희미한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수포
+++ 3 대수포
첩포 부착 후 48시간과 96시간에 판독한 결과를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시료에 대한 피부 반응도를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4
첩포시험의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계산된 양성 반응을 보인 시료의 피부 자극도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피부 안정도 실험의 결과
시료 48시간 96시간 반응도(%)
+ ++ + ++ 48시간 96시간 평균
실시예 3
(0.2% in Propandiol)
- - 1 - 0.00 0.56 0.28
제형예 2 - - 1 - 0.00 0.28 0.14
실험결과, 본 발명의 말채나무잎추출물인 실시예 3과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인 제형예 2에 대한 인체첩포시험에서 하기 [표 10]에 따른 피부 반응도 판정 기준에 의하면 무자극으로 민감한 피부에 사용해도 좋은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은 피부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성분으로 나타났다.
피부 반응도의 판정기준
피부의 평균 반응도 판정 기준
0.0 ~ 0.9 무자극
1.0 ~ 2.9 경자극
3.0 ~ 4.9 중자극
5.0 이상 강자극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같은 화학적 자외선차단제가 UV에 노출될 때 일어날 수 있는 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Cornus walteri ) 잎추출물
  2. 제 1항 기재의 말채나무(Cornus walteri ) 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UV 노출에 의한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알코올, 부틸렌글라이콜, 부틸알코올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말채나무잎추출물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안정성 개선용 또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KR1020130103338A 2013-08-29 2013-08-29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KR101601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38A KR101601777B1 (ko) 2013-08-29 2013-08-29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38A KR101601777B1 (ko) 2013-08-29 2013-08-29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97A true KR20150025597A (ko) 2015-03-11
KR101601777B1 KR101601777B1 (ko) 2016-03-09

Family

ID=5302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38A KR101601777B1 (ko) 2013-08-29 2013-08-29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7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723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723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777B1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7330B2 (en) Sunscreen compositions comprising carotenoids
CN110339076B (zh) 一种具有广谱光防护作用的防晒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60036236A (ko) 극지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148978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8815085B (zh) 一种防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28591B1 (ko)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1938A (ko) 피부 보호용 혼합물 및 이를 포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H11349435A (ja) 紫外線による色素沈着症状の防止,改善に有効な皮膚外用剤
KR100454736B1 (ko)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601777B1 (ko)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KR20130075962A (ko) 돌외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54273B1 (ko)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0162282B1 (ko)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68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0858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6767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JP4103727B2 (ja) 紫外線防御剤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105820B1 (ko) 포제 처리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90086607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969B1 (ko)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KR102572991B1 (ko)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