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423A -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423A
KR20150025423A KR20130103168A KR20130103168A KR20150025423A KR 20150025423 A KR20150025423 A KR 20150025423A KR 20130103168 A KR20130103168 A KR 20130103168A KR 20130103168 A KR20130103168 A KR 20130103168A KR 20150025423 A KR20150025423 A KR 20150025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air
drying chamber
hous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644B1 (ko
Inventor
이응인
Original Assignee
이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응인 filed Critical 이응인
Priority to KR2013010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6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건조실과 열풍 공급실 및 건조실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와, 탈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건조실에 설치되는 거치 선반과, 열풍 공급실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풍 공급실에 설치되는 히터와, 열풍 공급실의 가열 공기를 건조실로 공급하기 위해 열풍 공급실에 연결하는 열풍 공급덕트와, 열풍 공급실의 가열 공기를 열풍 공급덕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열풍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열풍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거치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건조실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열풍 분사구를 갖는 열풍 분배덕트와, 거치 선반에 놓이는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드레인 통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dehydrating member us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dry laver}
본 발명은 건조 김 생산장치에 사용되는 탈수부재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된 후 일정 크기로 세절된 원초를 적층하여 일정한 두께의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건조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해태 또는 해의라고도 불리며,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간장 보호작용을 가진 타우린과 아미노산 및 비타민 B12, 각종 미네랄,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류로서 예로부터 우리 나라와 일본에서 널리 애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김은 사각 형태로 성형된 후 건조된 건조 김 또는 조미 김 형태로 유통된다. 건조 김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성형단계는 바다에서 채취된 원초를 소정의 크기로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후 사각 형태로 김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 과정이고, 건조단계는 김 발장에 사각 형태로 성형된 김을 건조하는 과정이다. 건조 김은 대부분이 자동화된 건조 김 생산장치에 의해 대량 생산된다.
건조 김 생산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75673호(2007. 11. 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37878호(2008. 06. 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80267호(2009. 01. 1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61639호(2010. 10. 1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78632호(2010. 04. 23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 김 생산장치는 공통적으로 복수의 발장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발장에 김의 원초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성형장치와,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원초를 탈수하는 탈수장치와, 탈수된 원초를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건조 김 생산장치는 성형장치가 작은 크기로 세절된 김 원초가 섞인 원초 물을 설정된 양만큼씩 이송되는 발장 위에 부음으로써 김 발장 위에 얇은 젖은 원초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은 탈수장치를 거치면서 탈수된 후 건조장치에서 건조되어 건조 김으로 만들어진다. 탈수장치는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을 압축하여 원초층을 탈수하는데, 원초층을 누르기 위한 탈수부재를 갖는다. 탈수부재는 스폰지나 우레탄 폼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 회수 사용 후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재사용된다.
종래에는 세척된 탈수부재를 건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서 세척된 탈수부재를 실내나 실외의 적당한 장소에 널어 건조하였다. 그런데 세척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를 실내나 실외에 방치한 상태로 건조하는 경우, 탈수부재의 건조 효율이 낮고, 탈수부재가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며, 겨울철에는 동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탈수부재를 재사용할 때 탈수부재에 적정량의 수분이 있는 것이 좋은데, 실내나 실외에서는 수분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를 외부와 차단된 건조공간에서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한 오염의 위험이 없이 신속하고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건조 김 생산 과정에서 젖은 원초를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부재를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실과 열풍 공급실 및 상기 건조실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탈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는 거치 선반과, 상기 열풍 공급실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열풍 공급실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열풍 공급실의 가열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열풍 공급실에 연결하는 열풍 공급덕트와, 상기 열풍 공급실의 가열 공기를 상기 열풍 공급덕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열풍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상기 건조실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열풍 분사구를 갖는 열풍 분배덕트와,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드레인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를 멸균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는 멸균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상기 열풍 공급실로 가이드하는 회수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배기구와,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와,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상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배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상기 거치 선반에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낙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상기 드레인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갖는 드레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거치 선반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상기 거치 선반으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탈수부재를 떠받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가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탈수부재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탈수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와, 상기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수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건조실에 복수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열풍 분배덕트는 상기 복수의 거치 선반 각각의 상부에 하나씩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외부와 차단된 건조실에 설치된 거치 선반에 복수의 탈수부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히터와 송풍기를 통해 건조실에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탈수부재를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한 오염의 위험이 없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건조실 내의 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탈수부재를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는 멸균 램프를 이용함으로써 탈수부재를 건조하면서 멸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의 거치 선반 및 열풍 분배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를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건조 김 생산 과정에서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을 압축하여 원초층을 탈수하는 탈수부재(5)를 건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건조실(14)을 갖는 하우징(12)과,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5)를 거치하기 위해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과, 하우징(12) 내부의 열풍 공급실(15)에 설치되어 열풍을 만드는 히터(42) 및 송풍기(43)와, 열풍 공급실(15)의 열풍을 건조실(14)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덕트(45) 및 열풍 분배덕트(50)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세척 과정을 거친 탈수부재(5)를 동시에 여러 개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2)은 출입구(13)와, 건조실(14)과, 열풍 공급실(15)과, 기계실(16)을 갖는다. 출입구(13)는 건조실(14)과 연결되도록 하우징(12)의 전면에 마련된다. 건조실(14)은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과, 양쪽 내측벽(17)과, 건조실(14)과 기계실(16)을 구획하는 격벽(18)과,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열풍 공급실(15)은 하우징(12) 내부에 건조실(14)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기계실(16)은 하우징(12) 내부에 건조실(14)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기계실(16)에는 제어장치(60) 등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2)의 전면에는 출입구(13)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우징(12)의 전면 일측에는 사용자 조작이나, 장치의 작동 상태 표시를 위한 조작기구(23)가 설치된다. 도어(20)에는 하우징(12)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창(21)이 마련된다. 출입구(13)의 개폐를 위한 도어(20)의 구조나, 설치 개수, 하우징(12)과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건조실(14)에는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이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고, 거치 선반(30)(30')이 설치되지 않는 건조실(14)의 아래쪽 공간에 열풍 공급실(15)이 격벽(25)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열풍 공급실(15)을 포함하는 건조실(14)의 아래쪽 공간은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으로 덮인다. 건조실(14) 위쪽의 기계실(16)은 격벽(18)에 의해 건조실(14)과 분리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선반(30)(30')은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하기 위해 건조실(14)에 설치되며, 복수의 탈수부재(5)를 떠받치는 거치판(31)과, 거치판(31)에 놓이는 탈수부재(5)가 쓰러지지 않도록 탈수부재(5)의 측면에 접하여 탈수부재(5)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32)를 포함한다. 지지바(32)는 와이어 부재가 복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거치판(31)의 후단부 쪽, 즉 거치판(31)의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 쪽에 놓이는 부분에는 복수의 배수구(33)가 마련된다. 복수의 배수구(33)는 거치판(31)에 놓이는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하우징(12)의 바닥 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거치 선반(30)(30')은 그 후단부가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에 고정되거나, 그 양쪽 측단부가 하우징(12)의 내측벽(17)이나, 하우징(12)의 양쪽 내측벽(17)에 배치되는 열풍 공급덕트(45)와 회수덕트(55)에 고정됨으로써, 건조실(1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판(31)은 하우징(12)의 출입구(13)에서 내부 후벽(16)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거치판(31)에 놓이는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은 거치판(31)의 후단 쪽으로 흐르게 되며, 거치판(31) 후단 쪽에 마련된 복수의 배수구(33)를 통해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물론, 거치판(31)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거치 선반(30)(30')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건조실(14)에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 중에서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은 건조실(14) 아래쪽의 열풍 공급실(15)을 포함하는 공간을 덮는 것으로, 이 거치 선반(30')의 배수구(33) 형성 위치는 다른 거치 선반(30)과 다르다. 즉,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은 그 거치판(31)의 열풍 공급실(15) 위쪽에 배치되는 부분에 배수구(33)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수구(33)의 배치 구조는 이에 거치되는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이 열풍 공급실(15)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 아래쪽 공간에서 열풍 공급실(15)의 위치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에 마련되는 배수구(33)의 형성 위치는 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거치 선반(30)(30')에서 배수구(33)를 통과하는 물은 건조실(14) 하부의 열풍 공급실(15)과 구획된 공간으로 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는 공간에는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을 하우징(12)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통로(35)와,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을 드레인 통로(35) 쪽으로 가이드하는 낙수 가이드부재(36)가 구비된다.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은 낙수 가이드부재(36)에 의해 드레인 통로(35)로 가이드되어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하우징(12) 외부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드레인 통로(35)는 하우징(12) 외부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건조실(14)로 공급되는 열풍이 빠져나갈 수 있고, 하우징(12) 외부의 온도가 낮은 공기가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건조실(1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12)에는 드레인 통로(35)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39)를 갖는 드레인 장치(38)가 설치된다.
드레인 장치(38)는 제어장치(6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장치(60)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는 하우징(12) 하부의 공간에 설치되는 수분 감지 센서(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드레인 장치(38)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수분 감지 센서(40)는 하우징(12) 하부 공간에 일정량의 물이 차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장치(60)에 제공하고, 제어장치(60)는 감지 신호를 제공받으면 드레인 장치(38)를 작동시켜 드레인 통로(35)를 일정 시간, 또는 수분 감지 센서(40)의 감지 신호가 바뀌거나 끊길 때까지 개방한다. 물론, 드레인 장치(38)의 구체적인 구조나, 작동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는 드레인 통로(35)가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 하단에 마련되고, 낙수 가이드부재(36)가 하우징(12)의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드레인 통로(35)의 설치 위치, 낙수 가이드부재(36)의 구조나 배치 구조, 하우징(12) 내부에서 하우징(12) 외부로의 물의 배출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된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은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을 따라 하우징(12)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레인 통로(35)는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우징(12)의 적절한 위치에 마련되고, 건조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에는 물을 드레인 통로(35)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된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하우징(12) 하부의 드레인 통로(35)로 유동시키기 위한 물의 유동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 선반(30)(30')에서 배수구(33)는 생략될 수 있고, 거치 선반(30)(30')과 하우징(12)의 내면 사이나, 하우징(12)의 내면에는 거치 선반(30)(30')으로 떨어지는 물을 하우징(12) 하부의 드레인 통로(35)로 유동시키기 위한 채널이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열풍 공급실(15)에는 열풍을 만들어 건조실(14)로 공급하기 위한 히터(42) 및 송풍기(43)가 설치된다. 히터(42)로는 열풍 공급실(15)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히터(4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기(43)에 의해 열풍 공급덕트(45) 쪽으로 송풍되어 열풍 공급덕트(45)를 통해 건조실(14) 쪽으로 유동한다.
열풍 공급덕트(45)는 열풍 공급실(15)에서 건조실(14)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유로(미도시)가 구비된다. 열풍 공급덕트(45)의 열풍 공급실(15)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열풍 공급실(15)에서 만들어진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46)가 마련되고, 열풍 공급덕트(45)의 건조실(14)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연결구멍(47)이 마련된다. 유입구(46)를 통해 유입되어 열풍 공급덕트(45)의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열풍은 복수의 연결구멍(47)을 통해 복수의 열풍 분배덕트(50)로 분배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열풍 분배덕트(50)는 각각의 내부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유로(51)를 가지며, 이 내부 유로(51)가 열풍 공급덕트(45)의 연결구멍(47)과 연결되도록 그 일단이 열풍 공급덕트(45)에 결합된다. 열풍 분배덕트(50)의 타단은 열풍 공급덕트(45)와 마주하도록 하우징(12)의 내측벽(17)에 결합된 회수덕트(55)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건조실(14)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으로 열풍을 분사하기 위한 열풍 분배덕트(50)는 건조실(14)과 기계실(16)을 구획하는 격벽(18)에 고정되고, 나머지 거치 선반(30)(30')으로 열풍을 분사하기 위한 열풍 분배덕트(50)는 거치 선반(30)의 거치판(31) 하면에 결합된다. 이렇게 거치 선반(30)과 열풍 분배덕트(50)를 결합하여 하나의 조립 부품으로 만들면 거치 선반(30)과 열풍 분배덕트(50)를 하우징(12)에 설치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열풍 분배덕트(50)의 하면에는 내부 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열풍을 거치 선반(30)(30') 위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열풍 분사구(52)가 구비된다. 복수의 열풍 분사구(52)는 열풍 분배덕트(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렇게 복수의 열풍 분사구(52)를 열풍 분배덕트(5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면, 그 하부에 위치하는 거치 선반(30)(30') 전체에 열풍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고,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되는 복수의 탈수부재(5)에 열풍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어 탈수부재(5)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실(14)로 열풍이 공급되어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되는 복수의 탈수부재(5)가 건조되는 동안, 건조실(14)의 공기는 회수덕트(55)로 흡입되어 열풍 공급실(15)로 가이드된다. 회수덕트(55)는 건조실(14)에서 건조실(14) 하부의 공간까지 연장된다. 회수덕트(55)의 내부에는 내부 유로(미도시)가 구비되고, 회수덕트(55)의 건조실(14)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건조실(14)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입구(56)가 마련된다. 복수의 흡입구(56)를 통해 회수덕트(55)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회수덕트(55)의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회수덕트(55)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출구(57)를 통해 열풍 공급실(15) 쪽으로 유동한다.
통상적으로, 건조실(14)의 공기 온도는 하우징(12) 외부의 공기 온도보다 높으므로, 회수덕트(55)를 통해 열풍을 회수하여 열풍 공급실(15)로 공급하면, 열풍 공급실(15)에서 일정 온도 이상의 열풍을 만들어내기 위한 히터(42)의 에너지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탈수부재(5)는 재사용할 때 적정량의 수분이 있는 것이 좋으므로, 습도가 높은 건조실(14)의 공기를 회수하여 재가열한 후 건조실(14)로 공급하면, 탈수부재(5)를 건조실(14)에서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하는데 유리하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멸균 램프(62)와, 건조실(14)의 공기를 하우징(12)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장치(65)와, 건조실(14)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70)와, 건조실(14)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7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멸균 램프(62)는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되는 탈수부재(5)를 멸균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이 하우징(12)의 양쪽 내측벽(17)에 인접하도록 건조실(14)에 설치된다. 물론, 멸균 램프(62)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기장치(65)는 하우징(12)의 기계실(16)에 설치되어 건조실(14)의 공기를 하우징(1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하우징(12)의 상면에는 하우징(1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기구(67)가 마련되고, 건조실(14)과 기계실(16)을 구획하는 격벽(18)에는 건조실(14)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68)가 마련된다. 배기장치(65)는 이들 배기구(67)와 흡입구(68) 사이에 배치되며, 흡입구(68)를 통해 건조실(14)의 공기를 흡입시켜 배기구(67)를 통해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기장치(65)가 작동하여 건조실(14)의 공기가 배기될 때, 드레인 장치(38)가 작동하여 드레인 통로(35)를 개방함으로써,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외기가 하우징(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2) 내부로의 외기 유입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하우징(12)이나 도어(20)에 외기 유입을 위한 외기 흡입구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기장치(65)의 구체적인 구조나, 설치 위치, 건조실(14)에서 하우징(12) 외부로의 공기 배기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습도 센서(70)와 온도 센서(72)는 건조실(14)의 습도와 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60)에 제공한다. 도면에는 복수의 습도 센서(70)와 복수의 온도 센서(72)가 복수의 거치 선반(30)(30')에 의해 구획되는 건조실(14) 내의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습도 센서(70)와 온도 센서(72)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장치(60)는 습도 센서(70)와 온도 센서(72)로부터 건조실(14)의 습도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히터(42)나 송풍기(43), 배기장치(65)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장치(60)는 건조실(14)의 습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배기장치(65)를 작동시켜 건조실(14)의 습한 공기를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건조실(14) 내의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는 건조실(14)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을 때, 히터(42)나 송풍기(43)를 정지시키고, 배기장치(65)를 작동시켜 건조실(14)의 고온의 공기를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실(14)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외부와 차단된 건조실(14)에 설치된 거치 선반(30)(30')에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한 상태에서, 히터(42)와 송풍기(43)를 통해 건조실(14)에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탈수부재(5)를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한 오염의 위험이 없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건조실(14) 내의 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탈수부재(5)를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건조장치(10)는 멸균 램프(62)를 이용하여 탈수부재(5)를 멸균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12 : 하우징
13 : 출입구 14 : 건조실
15 : 열풍 공급실 18, 25 : 격벽
20 : 도어 23 : 조작기구
30, 30' : 거치 선반 31 : 거치판
32 : 지지바 33 : 배수구
35 : 드레인 통로 36 : 낙수 가이드부재
38 : 드레인 장치 39 : 개폐부재
40 : 수분 감지 센서 42 : 히터
43 : 송풍기 45 : 열풍 공급덕트
50 : 열풍 분배덕트 52 : 열풍 분사구
55 : 회수덕트 60 : 제어장치
62 : 멸균 램프 65 : 배기장치
67 : 배기구 70 : 습도 센서
72 : 온도 센서

Claims (10)

  1. 건조 김 생산 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부재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과, 열풍 공급실과, 상기 건조실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탈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는 거치 선반;
    상기 열풍 공급실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열풍 공급실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열풍 공급실의 가열 공기를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열풍 공급실에 연결하는 열풍 공급덕트;
    상기 열풍 공급실의 가열 공기를 상기 열풍 공급덕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상기 열풍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고, 열풍을 상기 건조실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열풍 분사구를 갖는 열풍 분배덕트;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드레인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를 멸균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는 멸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상기 열풍 공급실로 가이드하는 회수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배기구; 및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배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에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낙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갖는 드레인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거치 선반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상기 거치 선반으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탈수부재를 떠받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가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탈수부재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탈수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와, 상기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수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건조실에 복수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열풍 분배덕트는 상기 복수의 거치 선반 각각의 상부에 하나씩 복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KR20130103168A 2013-08-29 2013-08-29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KR101509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168A KR101509644B1 (ko) 2013-08-29 2013-08-29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168A KR101509644B1 (ko) 2013-08-29 2013-08-29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423A true KR20150025423A (ko) 2015-03-10
KR101509644B1 KR101509644B1 (ko) 2015-04-08

Family

ID=5302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168A KR101509644B1 (ko) 2013-08-29 2013-08-29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386A (ko) * 2017-11-15 2019-05-23 어업회사법인 (주)벌교꼬막 꼬막용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030B1 (ko) * 2004-04-27 2006-05-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JP4783408B2 (ja) * 2008-08-19 2011-09-28 株式会社大坪鉄工 海苔製造装置及び海苔製造装置に設置される除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386A (ko) * 2017-11-15 2019-05-23 어업회사법인 (주)벌교꼬막 꼬막용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644B1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460B1 (ko) 발아기 겸용 고추 건조기
KR20090042910A (ko) 의류 건조대
KR102206227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US5185939A (en) Apparatus for drying rubber boots and other items
EP3034680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0622676B1 (ko) 풍량제어 하향 송풍식 열풍순환 벌크 건조기
KR20130020998A (ko) 감 건조기
KR101509644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KR200414638Y1 (ko) 벌크 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639140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JP4284530B2 (ja) 除湿乾燥機
KR102240998B1 (ko) 신발 건조기
KR100815526B1 (ko) 원적외선 수산물 건조장치
KR102124262B1 (ko) 곶감 건조 시스템
JP3619203B2 (ja) 乾燥装置
CN109528041B (zh) 一种风热循环浴室柜
KR20090056573A (ko) 건조기
CN106725000A (zh) 一种多功能卫浴柜
KR101300428B1 (ko) 곶감 제조용 건조기
KR101772383B1 (ko) 4면 열풍 전기건조기
CN206792329U (zh) 一种多功能卫浴柜
KR200470488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432659B1 (ko) 농수산물 청결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