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140B1 -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140B1
KR101639140B1 KR1020140188345A KR20140188345A KR101639140B1 KR 101639140 B1 KR101639140 B1 KR 101639140B1 KR 1020140188345 A KR1020140188345 A KR 1020140188345A KR 20140188345 A KR20140188345 A KR 20140188345A KR 101639140 B1 KR101639140 B1 KR 10163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terilizing
air supply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881A (ko
Inventor
이응인
Original Assignee
이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응인 filed Critical 이응인
Priority to KR102014018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1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Abstract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는, 건조 김 생산 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부재를 살균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로서, 살균실과, 공기 공급실과,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탈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에 설치되는 거치 선반; 상기 공기 공급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공급실 내의 공기를 이온화하는 이온 발생기; 상기 공기 공급실 내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살균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기 공급실에 연결하는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 상기 공기 공급실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이온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온화 공기를 상기 살균실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사구를 갖는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드레인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moisturizing dehydrating member us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dry laver}
본 발명은,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다에서 채취된 후 일정 크기로 세절된 원초를 적층하여 일정한 두께의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건조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를 살균하고 보습 상태를 일정 이상 유지하도록 하여 탈수부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부재와 접촉되는 원초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해태 또는 해의라고도 불리며,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간장 보호작용을 가진 타우린과 아미노산 및 비타민 B12, 각종 미네랄,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류로서 예로부터 우리 나라와 일본에서 널리 애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김은 사각 형태로 성형된 후 건조된 건조 김 또는 조미 김 형태로 유통된다. 건조 김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성형단계는 바다에서 채취된 원초를 소정의 크기로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후 사각 형태로 김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 과정이고, 건조단계는 김 발장에 사각 형태로 성형된 김을 건조하는 과정이다. 건조 김은 대부분이 자동화된 건조 김 생산장치에 의해 대량 생산된다.
건조 김 생산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75673호(2007. 11. 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37878호(2008. 06. 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80267호(2009. 01. 1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61639호(2010. 10. 1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78632호(2010. 04. 23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 김 생산장치는 공통적으로 복수의 발장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발장에 김의 원초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성형장치와,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원초를 탈수하는 탈수장치와, 탈수된 원초를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건조 김 생산장치는 성형장치가 작은 크기로 세절된 김 원초가 섞인 원초 물을 설정된 양만큼씩 이송되는 발장 위에 부음으로써 김 발장 위에 얇은 젖은 원초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은 탈수장치를 거치면서 탈수된 후 건조장치에서 건조되어 건조 김으로 만들어진다. 탈수장치는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을 압축하여 원초층을 탈수하는데, 원초층을 누르기 위한 탈수부재를 갖는다. 탈수부재는 스폰지나 우레탄 폼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 회수 사용 후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재사용된다.
종래에는 세척된 탈수부재를 건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서 세척된 탈수부재를 실내나 실외의 적당한 장소에 널어 건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척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를 실내나 실외에 방치한 상태로 건조하는 경우, 탈수부재의 건조 효율이 낮고, 탈수부재가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며, 겨울철에는 동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탈수부재를 재사용할 때 탈수부재에 적정량의 수분이 있는 것이 좋은데, 실내나 실외에서는 수분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를 살균하고 보습 상태를 일정 이상 유지하도록 하여 탈수부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부재와 접촉되는 원초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를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한 오염의 위험이 없이 신속하고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도록 보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조 김 생산 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부재를 살균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로서, 살균실과, 공기 공급실과,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탈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에 설치되는 거치 선반; 상기 공기 공급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공급실 내의 공기를 이온화하는 이온 발생기; 상기 공기 공급실 내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살균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기 공급실에 연결하는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 상기 공기 공급실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이온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온화 공기를 상기 살균실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사구를 갖는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드레인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실로 가이드하는 회수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실의 이온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발생기는 오존 발생기 또는 음이온 발생기일 수 있다.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배기구; 및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되, 김 원초와 섞이는 원초 물이 별도로 저장되는 원초 물 탱크 또는 원초 물 유동관으로 공급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구와 상기 원초 물 탱크 또는 상기 원초 물 유동관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실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 상기 살균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배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선반에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낙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갖는 드레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거치 선반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상기 거치 선반으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살균실에 복수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는 상기 복수의 거치 선반 각각의 상부에 하나씩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와 차단된 살균실에 설치된 거치 선반에 복수의 탈수부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이온 발생기와 송풍기를 통해 살균실에 이온화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탈수부재를 이물질이나 세균에 의한 오염의 위험이 없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는 살균실 내의 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탈수부재를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는 살균 램프를 이용함으로써 탈수부재를 더욱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의 거치 선반 및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를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10)는, 건조 김 생산 과정에서 발장 위에 성형된 원초층을 압축하여 원초층을 탈수하는 탈수부재(5)를 살균하고 보습 상태를 일정 이상 유지하도록 하여 탈수부재(5)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부재(5)와 접촉되는 원초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10)는, 살균실(14)을 갖는 하우징(12)과,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5)를 거치하기 위해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과, 하우징(12) 내부의 공기 공급실(15)에 설치되어 공기 공급실(15) 내의 공기를 이온화하고 이온화된 공기를 살균실(14) 내부로 공급하는 이온 발생기(80) 및 송풍기(43)와, 공기 공급실(15)의 이온화 공기를 살균실(14)에 공급하기 위한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 및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 장치(10)는 세척 과정을 거친 탈수부재(5)를 동시에 여러 개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도록 한 상태에서 살균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2)은 출입구(13)와, 살균실(14)과, 공기 공급실(15)과, 기계실(16)을 갖는다. 출입구(13)는 살균실(14)과 연결되도록 하우징(12)의 전면에 마련된다. 살균실(14)은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과, 양쪽 내측벽(17)과, 살균실(14)과 기계실(16)을 구획하는 격벽(18)과,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공기 공급실(15)은 하우징(12) 내부에 살균실(14)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기계실(16)은 하우징(12) 내부에 살균실(14)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기계실(16)에는 제어장치(60) 등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2)의 전면에는 출입구(13)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우징(12)의 전면 일측에는 사용자 조작이나, 장치의 작동 상태 표시를 위한 조작기구(23)가 설치된다. 도어(20)에는 하우징(12)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창(21)이 마련된다. 출입구(13)의 개폐를 위한 도어(20)의 구조나, 설치 개수, 하우징(12)과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살균실(14)에는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이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고, 거치 선반(30)(30')이 설치되지 않는 살균실(14)의 아래쪽 공간에 공기 공급실(15)이 격벽(25)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공기 공급실(15)을 포함하는 살균실(14)의 아래쪽 공간은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으로 덮인다. 살균실(14) 위쪽의 기계실(16)은 격벽(18)에 의해 살균실(14)과 분리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선반(30)(30')은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하기 위해 살균실(14)에 설치되며, 복수의 탈수부재(5)를 떠받치는 거치판(31)과, 거치판(31)에 놓이는 탈수부재(5)가 쓰러지지 않도록 탈수부재(5)의 측면에 접하여 탈수부재(5)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32)를 포함한다. 지지바(32)는 와이어 부재가 복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거치판(31)의 후단부 쪽, 즉 거치판(31)의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 쪽에 놓이는 부분에는 복수의 배수구(33)가 마련된다. 복수의 배수구(33)는 거치판(31)에 놓이는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하우징(12)의 바닥 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거치 선반(30)(30')은 그 후단부가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에 고정되거나, 그 양쪽 측단부가 하우징(12)의 내측벽(17)이나, 하우징(12)의 양쪽 내측벽(17)에 배치되는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와 회수덕트(55)에 고정됨으로써, 살균실(1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판(31)은 하우징(12)의 출입구(13)에서 내부 후벽(16)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거치판(31)에 놓이는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은 거치판(31)의 후단 쪽으로 흐르게 되며, 거치판(31) 후단 쪽에 마련된 복수의 배수구(33)를 통해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물론, 거치판(31)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거치 선반(30)(30')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살균실(14)에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 중에서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은 살균실(14) 아래쪽의 공기 공급실(15)을 포함하는 공간을 덮는 것으로, 이 거치 선반(30')의 배수구(33) 형성 위치는 다른 거치 선반(30)과 다르다. 즉,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은 그 거치판(31)의 공기 공급실(15) 위쪽에 배치되는 부분에 배수구(33)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수구(33)의 배치 구조는 이에 거치되는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이 공기 공급실(15)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 아래쪽 공간에서 공기 공급실(15)의 위치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에 마련되는 배수구(33)의 형성 위치는 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거치 선반(30)(30')에서 배수구(33)를 통과하는 물은 살균실(14) 하부의 공기 공급실(15)과 구획된 공간으로 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는 공간에는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을 하우징(12)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통로(35)와,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을 드레인 통로(35) 쪽으로 가이드하는 낙수 가이드부재(36)가 구비된다.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은 낙수 가이드부재(36)에 의해 드레인 통로(35)로 가이드되어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하우징(12) 외부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드레인 통로(35)는 하우징(12) 외부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살균실(14)로 공급되는 이온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고, 하우징(12) 외부의 이온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가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살균실(1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12)에는 드레인 통로(35)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39)를 갖는 드레인 장치(38)가 설치된다.
드레인 장치(38)는 제어장치(6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장치(60)는 복수의 거치 선반(30)(30')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는 하우징(12) 하부의 공간에 설치되는 수분 감지 센서(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드레인 장치(38)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수분 감지 센서(40)는 하우징(12) 하부 공간에 일정량의 물이 차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장치(60)에 제공하고, 제어장치(60)는 감지 신호를 제공받으면 드레인 장치(38)를 작동시켜 드레인 통로(35)를 일정 시간, 또는 수분 감지 센서(40)의 감지 신호가 바뀌거나 끊길 때까지 개방한다. 물론, 드레인 장치(38)의 구체적인 구조나, 작동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는 드레인 통로(35)가 하우징(12)의 내부 후벽(16) 하단에 마련되고, 낙수 가이드부재(36)가 하우징(12)의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드레인 통로(35)의 설치 위치, 낙수 가이드부재(36)의 구조나 배치 구조, 하우징(12) 내부에서 하우징(12) 외부로의 물의 배출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된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은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을 따라 하우징(12)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레인 통로(35)는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을 따라 유동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우징(12)의 적절한 위치에 마련되고, 살균실(14)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에는 물을 드레인 통로(35)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된 탈수부재(5)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하우징(12) 하부의 드레인 통로(35)로 유동시키기 위한 물의 유동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 선반(30)(30')에서 배수구(33)는 생략될 수 있고, 거치 선반(30)(30')과 하우징(12)의 내면 사이나, 하우징(12)의 내면에는 거치 선반(30)(30')으로 떨어지는 물을 하우징(12) 하부의 드레인 통로(35)로 유동시키기 위한 채널이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공급실(15)에는 이온화 공기를 만들어 살균실(14)로 공급하기 위한 이온 발생기(80) 및 송풍기(43)가 설치된다.
이온 발생기(80)는 살균력이 있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공지된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존 발생기 또는 음이온(양이온) 발생기로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온 발생기(80)는 살균력이 있는 이온을 발생시켜 기존 탈수부재(5)에 스며있는 물 분자와 결합하여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게 한다. 또한, 이온 발생기(80)는 살균실(14) 내부의 공기까지 살균하여 살균실(14) 내부가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80)에 의해 이온화된 공기는 송풍기(43)에 의해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 쪽으로 송풍되어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를 통해 살균실(14) 쪽으로 유동한다.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는 공기 공급실(15)에서 살균실(14)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이온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유로(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의 공기 공급실(15)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공기 공급실(15)에서 만들어진 이온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6)가 마련되고,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의 살균실(14)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연결구멍(47)이 마련된다. 유입구(46)를 통해 유입되어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의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이온화 공기는 복수의 연결구멍(47)을 통해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로 분배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는 각각의 내부에 이온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유로(51)를 가지며, 이 내부 유로(51)가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의 연결구멍(47)과 연결되도록 그 일단이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에 결합된다.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의 타단은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45)와 마주하도록 하우징(12)의 내측벽(17)에 결합된 회수덕트(55)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살균실(14)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거치 선반(30)으로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는 살균실(14)과 기계실(16)을 구획하는 격벽(18)에 고정되고, 나머지 거치 선반(30)(30')으로 이온화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는 거치 선반(30)의 거치판(31) 하면에 결합된다. 이렇게 거치 선반(30)과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를 결합하여 하나의 조립 부품으로 만들면 거치 선반(30)과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를 하우징(12)에 설치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의 하면에는 내부 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이온화 공기를 거치 선반(30)(30') 위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사구(52)가 구비된다.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사구(52)는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렇게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사구(52)를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5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면, 그 하부에 위치하는 거치 선반(30)(30') 전체에 이온화된 공기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고,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되는 복수의 탈수부재(5)에 이온화 공기를 고르게 전달할 수 있어 탈수부재(5)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살균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탈수부재(5)는 일정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로 외부와 밀폐된 살균실(14) 내에서 보습도 이루어진다.
살균실(14)로 이온화 공기가 공급되어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되는 복수의 탈수부재(5)가 살균되는 동안, 살균실(14)의 공기는 회수덕트(55)로 흡입되어 공기 공급실(15)로 가이드된다. 회수덕트(55)는 살균실(14)에서 살균실(14) 하부의 공간까지 연장된다. 회수덕트(55)의 내부에는 내부 유로(미도시)가 구비되고, 회수덕트(55)의 살균실(14)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살균실(14)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입구(56)가 마련된다. 복수의 흡입구(56)를 통해 회수덕트(55) 내부로 흡입되는 이온화 공기는 회수덕트(55)의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회수덕트(55)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출구(57)를 통해 공기 공급실(15) 쪽으로 유동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공급실(15)의 이온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42)는 공기 공급실(15) 내부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되어 이온 발생기(80)에 의해 이온화된 공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이온화 공기는 송풍기(43)를 통해 살균실(14) 내부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일 예로 겨울철에 살균실(14)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탈수부재(5)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동결 방지를 유도하여 탈수부재(5)가 일정 이상의 수분을 가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42)의 발열량은 탈수부재(5)가 함유하는 수분을 증발시킬 정도의 열량이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탈수부재(5)의 표면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면 충분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42)에 의해 가열된 살균실(14) 내의 이온화 공기는 회수덕트(55)를 통해 공기 공급실(15)로 회수가 되는데, 이와 같이 일정 온도 이상의 이온화 공기를 다시 회수함으로써 히터(42)의 에너지 소모량을 한층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탈수부재(5)는 재사용할 때 적정량의 수분이 있는 것이 좋으므로, 습도가 높은 살균실(14)의 공기를 회수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살균실(14)로 재공급하면, 탈수부재(5)를 살균실(14)에서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하면서 충분하게 살균하는데 유리하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10)는 살균 램프(62)와, 살균실(14)의 이온화 공기를 하우징(12)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65)와, 살균실(14)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70)와, 살균실(14)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7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살균 램프(62)는 거치 선반(30)(30')에 거치되는 탈수부재(5)를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이 하우징(12)의 양쪽 내측벽(17)에 인접하도록 살균실(14)에 설치된다. 물론, 살균 램프(62)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램프(62)는 일 예로 UV 램프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살균 램프(62)는 살균실(14) 내부의 공기 흐름으로 인해 탈수부재(5)가 재오염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기부(65)는 하우징(12)의 기계실(16)에 설치되어 살균실(14)의 공기를 하우징(1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하우징(12)의 측면에는 하우징(12) 내부의 이온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기구(67)가 마련되고, 살균실(14)과 기계실(16)을 구획하는 격벽(18)에는 살균실(14)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68)가 마련된다. 배기부(65)는 흡입구(68)를 통해 살균실(14)의 이온화 공기를 흡입시켜 배기구(67)를 통해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부(6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균실(14)의 이온화 공기를 배기구(67)를 통해 하우징(12)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되, 김 원초와 섞이는 원초 물이 별도로 저장되는 원초 물 탱크(81) 또는 원초 물이 유동하는 원초 물 유동관(8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원초 물 탱크(81) 또는 원초 물이 유동하는 원초 물 유동관(82)으로 이온화 공기를 공급하는 이유는, 살균실(14) 내부의 잉여 살균력으로 물김(해태) 이동라인을 살균하여 물꼽, 각종 세균 등의 성장억제 및 살균처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배기부(65)는, 살균실(14)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84)과, 배기구(67)와 원초 물 탱크(81) 또는 원초 물 유동관(82)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덕트(8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팬(84)은 일종의 송풍팬이며, 배기팬(84)을 통해 흡입된 살균실(14) 내부의 이온화 공기는 배기덕트(85)를 따라 유동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초 물 탱크(81) 또는 원초 물 유동관(82)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온화 공기의 공급을 통해 유발 가능한 이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기팬(84)은 흡기구(68)와 배기구(67)의 배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팬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배치 관계가 이루어질 경우 배기팬(84)은 시로코 팬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배기부(65)가 작동하여 살균실(14)의 공기가 배기될 때, 드레인 장치(38)가 작동하여 드레인 통로(35)를 개방함으로써, 드레인 통로(35)를 통해 외기가 하우징(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2) 내부로의 외기 유입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하우징(12)이나 도어(20)에 외기 유입을 위한 외기 흡입구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기부(65)의 구체적인 구조나, 설치 위치, 살균실(14)에서 하우징(12) 외부로의 공기 배기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습도 센서(70)와 온도 센서(72)는 살균실(14)의 습도와 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60)에 제공한다. 도면에는 복수의 습도 센서(70)와 복수의 온도 센서(72)가 복수의 거치 선반(30)(30')에 의해 구획되는 살균실(14) 내의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습도 센서(70)와 온도 센서(72)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장치(60)는 습도 센서(70)와 온도 센서(72)로부터 살균실(14)의 습도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온 발생기(80), 히터(42), 송풍기(43), 배기부(65)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장치(60)는 살균실(14)의 습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배기부(65)를 작동시켜 살균실(14)의 습한 공기를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살균실(14) 내의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추어 탈수부재(5)가 적정한 습기를 갖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60)는 겨울철 동결 방지를 위해 히터가 작동된 상태에서 살균실(14)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을 때, 히터(42)나 송풍기(43)를 정지시키고, 배기부(65)를 작동시켜 살균실(14)의 고온의 공기를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켜 살균실(14)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출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10)는 외부와 차단된 살균실(14)에 설치된 거치 선반(30)(30')에 복수의 탈수부재(5)를 거치한 상태에서, 이온 발생기(80)와 송풍기(43)를 통해 살균실(14)에 이온화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탈수부재(5)를 충분히 살균하고 보습 상태를 일정 이상 유지하도록 하여 탈수부재(5)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42) 구동을 통해 특히 겨울철 탈수부재(5)가 동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10)는 살균실(14) 내의 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탈수부재(5)를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10)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10)는 살균 램프(62)를 이용하여 탈수부재(5)를 살균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12 : 하우징
13 : 출입구 14 : 살균실
15 : 공기 공급실 18, 25 : 격벽
20 : 도어 23 : 조작기구
30, 30' : 거치 선반 31 : 거치판
32 : 지지바 33 : 배수구
35 : 드레인 통로 36 : 낙수 가이드부재
38 : 드레인 장치 39 : 개폐부재
40 : 수분 감지 센서 45 :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
50 :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 52 : 이온화 공기 분사구
55 : 회수덕트 60 : 제어장치
62 : 살균 램프 65 : 배기부
67 : 배기구 70 : 습도 센서
72 : 온도 센서

Claims (12)

  1. 건조 김 생산 과정에서 젖은 원초층을 가압하여 탈수하는 탈수부재를 살균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로서,
    살균실과, 공기 공급실과,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탈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에 설치되는 거치 선반;
    상기 공기 공급실 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 공급실 내의 공기를 이온화하는 이온 발생기;
    상기 공기 공급실 내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살균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기 공급실에 연결하는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
    상기 공기 공급실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 쪽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이온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온화 공기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온화 공기를 상기 살균실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이온화 공기 분사구를 갖는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드레인 통로;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배기구; 및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되, 김 원초와 섞이는 원초 물이 별도로 저장되는 원초 물 탱크 또는 원초 물 유동관으로 공급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에 놓이는 상기 탈수부재를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살균실의 이온화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실로 가이드하는 회수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실의 이온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기는 오존 발생기 또는 음이온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구와 상기 원초 물 탱크 또는 상기 원초 물 유동관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실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
    상기 살균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배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에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낙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갖는 드레인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거치 선반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탈수부재에서 상기 거치 선반으로 떨어지는 물을 상기 드레인 통로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선반은 상기 살균실에 복수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온화 공기 분배덕트는 상기 복수의 거치 선반 각각의 상부에 하나씩 복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KR1020140188345A 2014-12-24 2014-12-24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KR10163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45A KR101639140B1 (ko) 2014-12-24 2014-12-24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45A KR101639140B1 (ko) 2014-12-24 2014-12-24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81A KR20160077881A (ko) 2016-07-04
KR101639140B1 true KR101639140B1 (ko) 2016-07-12

Family

ID=5650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345A KR101639140B1 (ko) 2014-12-24 2014-12-24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72B1 (ko) 2019-04-10 2021-11-15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김의 생산공정 내 오존 지수의 관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897A (ja) 2002-03-18 2003-09-24 Kaisanbutsuno Kimuraya:Kk 乾燥装置
KR100578030B1 (ko) 2004-04-27 2006-05-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JP2010045981A (ja) 2008-08-19 2010-03-04 Otsubo Tekko:Kk 海苔製造装置及び海苔製造装置に設置される除湿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340A (ko) * 2008-11-12 2010-05-20 박종수 히트파이프와 송풍기와 냉각장치를 이용한 연속 다용도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897A (ja) 2002-03-18 2003-09-24 Kaisanbutsuno Kimuraya:Kk 乾燥装置
KR100578030B1 (ko) 2004-04-27 2006-05-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JP2010045981A (ja) 2008-08-19 2010-03-04 Otsubo Tekko:Kk 海苔製造装置及び海苔製造装置に設置される除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81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5939A (en) Apparatus for drying rubber boots and other items
KR101261405B1 (ko) 육류의 건조숙성장치
KR20090042910A (ko) 의류 건조대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KR100762370B1 (ko) 건조기
KR100622676B1 (ko) 풍량제어 하향 송풍식 열풍순환 벌크 건조기
KR101467494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장치용 건조유닛
KR101639140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살균 및 보습장치
KR200414638Y1 (ko) 벌크 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KR20130020998A (ko) 감 건조기
KR101509644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JP5635952B2 (ja) 乾燥装置
KR20120060502A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건조장치
KR101891944B1 (ko) 원심제습구를 갖는 신발장
KR102240998B1 (ko) 신발 건조기
KR20010085054A (ko) 신발 건조기
CN107303170A (zh) 一种高效防臭干鞋器
KR100815526B1 (ko) 원적외선 수산물 건조장치
KR102283982B1 (ko) 수납장
KR100703952B1 (ko) 감압식열풍건조기
KR100603183B1 (ko) 고추건조기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0418256Y1 (ko) 차량용 매트 건조 및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