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200A -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200A
KR20150025200A KR20130102534A KR20130102534A KR20150025200A KR 20150025200 A KR20150025200 A KR 20150025200A KR 20130102534 A KR20130102534 A KR 20130102534A KR 20130102534 A KR20130102534 A KR 20130102534A KR 20150025200 A KR20150025200 A KR 2015002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subject
mobile terminal
c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400B1 (ko
Inventor
김성무
전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무 filed Critical 김성무
Priority to KR102013010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400B1/ko
Priority to PCT/KR2014/001206 priority patent/WO2015030326A1/ko
Publication of KR2015002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0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 G02B15/1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adding a part, e.g. close-up attach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피사체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및 광원을 갖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탈착되는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의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사렌즈 및 상기 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피사체에 대한 접사촬영에서 피사체 본연의 색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CLOSE-UP UNIT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 탈착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사진 촬영을 비롯하여 화상통화 등과 같은 이미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및 이를 위한 광원의 장착이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에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사진 촬영을 위한 중렌즈가 장착된다. 이에, 피사체에 대한 근접 촬영이나 확대 촬영이 필요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어 피사체에 대한 근접촬영이나 확대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접사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접사유닛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9869호(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접사 조절장치, 2006.08.28)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장착된다. 그리고 프레임을 통해 접사렌즈가 카메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발명은 피사체에 대한 근접 촬영이나 확대 촬영에서 조명이 필요할 경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피사체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된다. 이에,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접사촬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광원으로부터 피사체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피사체 본연의 색상의 촬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9869호(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접사 조절장치, 2006.08.28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피사체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카메라 및 광원을 갖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탈착되는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의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사렌즈 및 상기 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 확산부는 프리즘으로 구비되며, 상기 프리즘은 하측면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접사렌즈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하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접사렌즈가 배치되는 뷰포트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광 확산부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광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상기 광 확산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광 확산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 확산부로부터 광이 전달되는 광 전달부 및 상기 광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사체를 향해 직접광과 간접광을 조사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는 상기 광 확산부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피사체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피사체 본연의 색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피사체와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유지하여 별 다른 제어없이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고리부가 피사체에 안착된 상태로 피사체에 대한 접사촬영이 가능하여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지 않고도 피사체에 대한 접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도 2에 표지된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100, 이하, 접사유닛이라 칭한다.)은 이동 단말기(10)에 탈착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는 카메라(11), 광원(13) 및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는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타면에 카메라(11) 및 광원(13)이 인접 배치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의 타면은 커버(50)에 의해 감싸일 수 있다. 여기서, 커버(50)는 카메라(11) 및 광원(13)을 커버(50)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노출부(51)를 갖는다.
한편, 접사유닛(100)은 노출부(51)에 대응되도록 커버(50)에 슬라이딩되며 탈착된다. 접사유닛(100)은 이동 단말기(10)에 장착되어 피사체에 대한 접사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접사유닛(1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도 2에 표지된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사유닛(100)은 탈착부(110), 광 확산부(130) 및 광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탈착부(110)는 접사유닛(100)이 이동 단말기(10)에 탈착되도록 한다. 탈착부(100)는 노출부(51, 도 1참조)에 인접하는 커버(50, 도 1참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탈착부(110)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커버(50)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부(110)에는 뷰포트(111) 및 광포트(113)가 배치된다.
탈착부(110)가 이동 단말기(10)에 부착됨에 따라 뷰포트(111)는 카메라(11, 도 1참조)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뷰포트(111)는 탈착부(110)를 관통하는 뷰포트 홀(111a) 및 뷰포트 홀(111a)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사렌즈(111c)를 포함한다. 이에, 뷰포트(111)는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11)의 촬영 경로를 형성하여 피사체에 대한 접사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탈착부(110)가 이동 단말기(10)에 부착됨에 따라 광포트(113)는 광원(13, 도 1참조)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광포트(113)는 탈착부(110)를 관통하는 광포트 홀(113a)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광포트 홀(113a) 내측에는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포트(113)는 광원(13)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광 확산부(130)의 상부면으로 안내한다.
한편, 광 확산부(130)는 탈착부(110)에 연결된다. 여기서, 광 확산부(130)는 탈착부(1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탈착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광 확산부(130)는 뷰포트(111)와 연통되는 뷰포트 지지홀(131)을 포함한다. 그리고 광 확산부(130)는 광포트(113)로부터 광 확산부(130)의 상부면으로 제공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광 확산부(130)의 재질은 석영 및 수정 등을 포함하는 프리즘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부(130)는 하측면의 테두리 영역으로부터 광 확산부(130)의 중심영역, 즉 접사렌즈(111c)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하부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광원(13)으로부터 광 확산부(130)의 상부면으로 제공되는 광은 광 확산부(130)의 상부면에서 굴절되며 확산되고, 경사진 하부면에서 재차 굴절되며 확산될 수 있다.
한편, 광 가이드부(150)는 광 확산부(130)에 연결된다. 여기서, 광 가이드부(150)는 광 확산부(13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광 확산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150)는 광 확산부(130)와 동일하게 석영 및 수정 등을 포함하는 프리즘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광 가이드부(150)의 재질은 프리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광 가이드부(150)는 광 전달부(151) 및 고리부(153)를 포함한다.
광 전달부(151)는 광 확산부(130)에 연결된다. 이때, 광 전달부(151)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광 확산부(130)에 의해 확산된 광은 광 전달부(151)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광 전달부(151)는 광 확산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광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그리고 광 확산부(130)로부터 광 전달부(151) 외측을 향해 조사된 광은 복수 개의 광 전달부(151) 사이에 형성된 개방영역(151a)을 통해 피사체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153)는 광 전달부(151)에 연결된다. 고리부(151)는 카메라(11)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11)의 촬영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153)는 광 확산부(13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개구(153a)를 포함한다. 이에, 고리부(153)는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11)의 대면적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고리부(153)에는 광 전달부로(151)부터 전달되는 광이 투광될 수 있다. 이에, 고리부(153)는 발광하며 피사체를 향해 간접광을 조사할 수 있다. 더불어, 광 확산부(130)에서 분산된 광 중 일부는 고리부(153)의 개구(153a)를 통해 조사되어 피사체에 직접광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광 확산부(130)에서 확산된 광은 광 가이드부(150)를 통해 피사체에 대한 간접광과 직접광으로 조사된다.
이와 같이, 광원(13)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광 확산부(130)에 의해 굴절되어 확산되고, 광 가이드부(150)에 의해 간접광과 직접광으로 분산되어 피사체로 조사된다. 이에, 광 가이드부(150)는 광원(13)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피사체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150)는 카메라(11)와 피사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고리부(153)가 피사체에 안착된 상태로 피사체에 대한 접사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11)의 초점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바, 이동 단말기(10)를 파지하지 않고도 피사체에 대한 접사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 접사유닛(100)은 돋보기로도 활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부(150)는 카메라(11)와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확보하여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11)의 포커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사유닛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생략된 구성요소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사유닛(200)은 광 전달부(151, 도 1 내지 도 3참조)가 아닌 광 전달막(251)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광 전달막(251)은 광 확산부(230)와 고리부(253)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광 전달막(251)은 광 확산부(230)와 고리부(253)를 연결한다. 이때 광 전달막(251)은 도 1 내지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광 가이드부(150)의 개방영역(151a)을 차폐시킬 수 있다.
한편, 광 전달막(251)은 광 확산부(230)의 하측에서 확산되는 광 중 일부가 투광된다. 이에 광 전달막(251)은 발광하며 투영된 광이 고리부(253)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253)에는 광 전달막(251)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이 투광될 수 있다. 이에, 고리부(253)는 발광하며 피사체를 향해 간접광을 조사할 수 있다. 더불어, 광 확산부(230)에서 분산된 광 중 일부는 고리부(253)의 개구(미도시)를 통해 조사되어 피사체에 직접광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13, 도 1참조)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광 확산부(230)에 의해 굴절되어 확산되며 광 가이드부(250)에 의해 간접광과 직접광으로 분산되어 피사체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피사체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피사체 본연의 색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은 피사체와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유지하여 별 다른 제어없이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고리부가 피사체에 안착된 상태로 피사체에 대한 접사촬영이 가능하여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지 않고도 피사체에 대한 접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접사유닛 110 : 탈착부
111 : 뷰포트 113 : 광포트
130 : 광 확산부 150 : 광 가이드부
151 : 광 전달부 153 : 고리부

Claims (6)

  1. 카메라 및 광원을 갖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탈착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사렌즈; 및
    상기 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프리즘으로 구비되며,
    상기 프리즘은 하측면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접사렌즈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하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접사렌즈가 배치되는 뷰포트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광 확산부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광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광 확산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 확산부로부터 광이 전달되는 광 전달부 및
    상기 광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피사체를 향해 직접광과 간접광을 조사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광 확산부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KR1020130102534A 2013-08-28 2013-08-28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KR10156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534A KR101563400B1 (ko) 2013-08-28 2013-08-28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PCT/KR2014/001206 WO2015030326A1 (ko) 2013-08-28 2014-02-14 이동 단말기용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534A KR101563400B1 (ko) 2013-08-28 2013-08-28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200A true KR20150025200A (ko) 2015-03-10
KR101563400B1 KR101563400B1 (ko) 2015-10-26

Family

ID=5302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534A KR101563400B1 (ko) 2013-08-28 2013-08-28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540A (ko) * 2017-01-26 2018-08-0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동물 코 이미지 캡쳐를 위한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2093A (ja) * 2005-03-03 2008-08-14 ロニー ケー. リーム, 拡大撮影のためのカメラのフラッシュディフューザ
US8279544B1 (en) * 2011-03-18 2012-10-02 Premier Systems USA, Inc Selectively attachable and removable lenses for communication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540A (ko) * 2017-01-26 2018-08-0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동물 코 이미지 캡쳐를 위한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400B1 (ko)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861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접촬영장치 및 그 근접촬영용 외장 광학모듈
US8749700B2 (en) Combined camera and flash lens
KR101089908B1 (ko) 전자 디바이스용 장치, 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전자 디바이스용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JP2004279733A (ja) 拡大撮像用ユニット
CN105791651A (zh) 具有闪光灯的摄像头模组及摄像设备
US20170192225A1 (en) Barrier for a lens
KR101563400B1 (ko) 이동 단말기용 접사유닛
US8836852B2 (en) Lens for a camera
EP2667585A1 (en) Combined camera and flash lens
US20170242320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816324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用レンズユニット
WO2016092880A1 (ja) 撮影用ユニットおよび撮影システム
JP6674277B2 (ja) 照明用アダプタ
WO2015030326A1 (ko) 이동 단말기용 렌즈 어셈블리
JP2019008154A (ja) 微弱光観察用レンズユニット及び複式顕微鏡装置
JP6674276B2 (ja) 照明用アダプタ
KR100958822B1 (ko)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JP2010161591A (ja) 携帯電話用拡張機器
JP2023090433A (ja) フォーカス調整装置
JP2011039373A (ja) ファインダ内表示装置
KR200367866Y1 (ko)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 화면내의 사용자 정위치 확인장치
JP2006084807A (ja) 撮像装置
JP3064031U (ja) カメラ用デバイスおよびカメラ
JP2006084737A (ja) カメラの表示光投射光学系
JP2004301924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