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822B1 -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 Google Patents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822B1
KR100958822B1 KR1020100017683A KR20100017683A KR100958822B1 KR 100958822 B1 KR100958822 B1 KR 100958822B1 KR 1020100017683 A KR1020100017683 A KR 1020100017683A KR 20100017683 A KR20100017683 A KR 20100017683A KR 100958822 B1 KR100958822 B1 KR 10095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plate
image
panel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수
최광수
Original Assignee
탐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818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88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탐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탐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22B1/ko
Priority to US13/386,791 priority patent/US9041802B2/en
Priority to PCT/KR2011/001279 priority patent/WO201110581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의 양면을 실시간으로 캡쳐(촬영)하고, 캡쳐한 책의 이미지를 출력유닛으로 전송하여 학습자가 출력유닛을 통하여 캡쳐한 책의 이미지(문자, 그림 등)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보거나, 캡쳐한 책의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한 후에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의 이미지를 왜곡 없이 보다 정확하게 캡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캡쳐 장치는 펼쳐진 책의 내측 양면이 접촉되도록 '∧'형태로 된 투명판; 상기 투명판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중앙에 설치되어 렌즈가 상기 투명판을 향하는 디지털 카메라; 상기 플레이트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상기 투명판의 우측과 좌측의 상이 맺히는 고정미러;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로 회전하여 좌우측의 상기 고정미러에 맺힌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결상되도록 하는 회전미러; PCB와, 상기 PCB에 실장된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판 내측을 조명하는 LED모듈; 상기 투명판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Digital capturing device for sturdy}
본 발명은 책의 양면을 실시간으로 캡쳐(촬영)하고, 캡쳐한 책의 이미지를 출력유닛으로 전송하여 학습자가 출력유닛을 통하여 캡쳐한 책의 이미지(문자, 그림 등)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보거나, 캡쳐한 책의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한 후에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의 이미지를 왜곡 없이 보다 정확하게 캡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교실이나 강의실 등에서 학습시에 교재를 카메라로 캡쳐하고 캡쳐된 교재의 이미지를 스크린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강사나 교수가 학습자료를 설명하거나, 캡쳐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학습자에게 보여주거나 캡쳐된 이미지의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학습자에게 들려주는 학습 보조용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처럼 교재(책)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학습 보조용 장비에서는 교재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캡쳐하는 캡쳐 장치가 교재의 이미지를 왜곡 없이 얼마나 정확하게 캡쳐 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캡쳐장치는 바닥에 펼쳐진 책을 상부에서 카메라가 촬영하여 캡쳐하거나, 한국 등록특허 제0765371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편한 유리판 위에 책을 펼쳐 놓고 유리판 아래에서 카메라가 촬영하여 캡쳐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책을 바닥에 펼쳐놓고 촬영하는 방식은 책이 다시 덮히는 문제가 있고, 책과 카메라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어야(자동 촛점조절이 되는 경우에는 초절이 조절될 때까지 시간이 소요) 하는 문제가 있고, 바닥에서 책의 위치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책을 바닥에 펼쳐 놓고 촬영을 하는 방식이나 평편한 유리에 책을 펼쳐 놓고 아래에서 촬영하는 방식의 경우 책 중심의 절첩 부분이 볼록하게 라운드지기 때문에 그 곡선 부분의 이미지가 촬영이 안되거나 촬영이 되더라도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카메라가 촬영하여 캡쳐한 책의 이미지에 왜곡이 발생된 경우 출력유닛에 디스플레이 책의 이미지 영상 품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출력유닛의 OCR엔진에서 캡쳐한 책의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는데 많은 오류가 발생되고, OCR엔진에서 인식한 문자를 TTS엔진에서 음성합성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더 많은 오류가 발생된다. 이에 사용자가 왜곡되어 캡쳐된 이미지를 편집하여 양호한 음성이 출력되도록 문자를 편집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책을 촬영하여 캡쳐한 이미지에 왜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책의 안쪽 양면이 접촉되도록 '∧' 형상으로 된 테이블과 테이블 하부에서 테이블 내면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캡쳐 장치를 등록특허 제0769107호 "디지털 카메라로 스캔하는 책 스캐너가 구비된 전자교탁"에서 제시하였다.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는 '∧' 형상으로 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캡쳐한 이미지에 왜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의 내면을 조명하는 조명램프가 테이블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어 테이블 내면을 균일하게 조명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쳐한 이미지 영상에 왜곡은 없지만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발생되고 희뿌옇게 번진 부분 등이 발생될 수 있고, 그럴 경우 출력유닛에서 이미지의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데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조명램프의 LED는 카메라 보다 위에 배치되므로 LED에서 발산되는 빛 중 일부는 카메라의 렌즈로 입사될 소지가 있다. 카메라의 렌즈로 빛이 입사되면 촬영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촬영한 캡쳐한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음성으로 출력하는데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의 조명램프가 발산하는 빛 외에 외부에서 케이스 내측으로 역광이 유입되는 때에도 촬영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외부에서 케이스 내측으로 역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등록특허는 투명한 테이블을 통해 역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 책은 그 크기가 다양하므로 테이블에 얹혀지는 책이 테이블 전체를 덮지 못하므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는 책이 덮지 아니한 부분의 테이블을 통해 역광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LED, 카메라, 전원공급유닛 등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수명의 단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외부로 방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케이스 내측으로 외부 역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를 구성하는 바닥과 전후좌우 패널들을 모두 막아 버려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캡쳐 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캡쳐한 이미지에 왜곡이 발생되지 않고, 이미지에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 희뿌옇게 번진 부분 등이 없이 균일한 밝기로 촬영되어 캡쳐된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캡쳐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 내측에서 전원공급장치 등이 수용 장착되 수용공간을 별도록 구획하여 마련하고 내측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시켜 오동작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 디지털 캡쳐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교재의 책장을 넘겨 투명판 위에 올려놓는 작업이 보다 편리한 디지털 캡쳐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캡쳐 장치는
펼쳐진 책의 내측 양면이 접촉되도록 '∧'형태로 된 투명판;
상기 투명판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중앙에 설치되어 렌즈가 상기 투명판을 향하는 디지털 카메라;
상기 플레이트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상기 투명판의 우측과 좌측의 상이 맺히는 고정미러;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로 회전하여 좌우측의 상기 고정미러에 맺힌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결상되도록 하는 회전미러;
PCB와, 상기 PCB에 실장된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판 내측을 조명하는 LED모듈;
상기 투명판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상기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투명판이 결합되는 중간패널과,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방열패널과,
상기 중간패널과 방열패널의 양측 개구부를 덮는 측면패널과,
상기 중간패널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투명판을 개폐하는 커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미러 및 회전미러는 돌출되어 노출시키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및 LED모듈은 내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LED모듈은 상기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켜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원호형상의 확산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투명판은 일면과 타면이 만나는 점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일면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외측에 배치되는 타면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캡쳐 장치는 '∧' 형상의 투명판과 고정미러 및 회전미러를 이용하여 왜곡이 없는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고, LED모듈의 배치위치와 확산필터와 커버패널을 이용하여 깨끗하고 밝기가 균일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고,
케이스를 중간패널과 방열패널 그리고 측면패널로 구성하여 카메라와 LED모듈의 설치공간과 전원공급유닛의 설치공간을 분리시켜 카메라와 LED모듈이 있는 케이스로는 외부 역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전원공급유닛이 있는 케이스로는 공기의 유출입이 자유롭도록 하여 방열 효율을 높임으로써 오동작과 수명단축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교재의 책장을 넘기는 작업이 간편한 등의 효과를 갖는 발명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캡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1의 단면도로서 교재의 촬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는 디지털 캡쳐장치에서 캡쳐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이미지의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캡쳐 장치(100)는 투명판(110), 플레이트(120), 디지털 카메라(140), 고정미러(150), 회전미러(160), LED모듈(170), 케이스(1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판(110)은 책(1)의 내용이 투시될 수 있도록 유리나 아크릴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펼쳐진 책(1)의 안쪽 양면이 모두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투명판(110)의 모서리에 펼쳐진 책(1)의 중앙 접철부가 위치하고 모서리 양측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책(1)의 양면이 접촉되어 올려진다. 그리하여 펼쳐진 책(1)의 안쪽면에 문자나 그림 등의 이미지가 있는 부분은 모두 투명판(110)에 평편하게 펼쳐져 밀착되므로 카메라(140)가 촬영하여 캡쳐한 책(1)의 이미지에는 왜곡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투명판(110)은 일면(110a)과 타면(110b)이 만나는 점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일면(110a)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외측에 배치되는 타면(110b)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보다 크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은 투명판(110)의 배열구조는 펼쳐진 책(1)이 투명판(110) 위에 안정적으로 놓여 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책장을 넘기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펼쳐진 책(1)의 양측 무게 차이가 어느 정도 있어도 책(1)이 무거운 쪽으로 미끌어지지 않도록 즉, 펼쳐진 책(1)이 투명판(110) 위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면서, 책장을 넘길 때에는 사용자가 펼쳐진 책(1)의 일측만 잡고 살짝 들어 타측은 투명판(1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의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하여 책장을 넘기는 작업이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투명판(110)의 배열구조는 일면(110a)이 수직선에 대하여 약 55도에서 75도 사이의 각도를 갖고 타면(110b)은 수직선에 대하여 약 15도에서 35도 사이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기 투명판(110)을 정면으로 바라보도록 케이스(180) 내측에 배치되며, 디지털 카메라(140), 회전미러(160), 고정미러(150), LED모듈(170) 등이 장착된다.
플레이트(120) 없이 이들 디지털 카메라(140), 회전미러(160), 고정미러(150), LED모듈(170) 등을 직접 케이스(180)의 바닥면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케이스(180) 바닥면에 이들을 고정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고 설치 후 이들의 배열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도 쉽지 않다.
따라서 외부에서 플레이트(120)에 이들을 고정설치하고 배열 위치도 정밀하게 조절한 후에 플레이트(120)를 케이스(180) 바닥면에 고정설치하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고정미러(150)와 회전미러(160)는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40)와 LED모듈(170)은 내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덮개(130)가 결합된다. 상기 덮개(130)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40), 회전미러(160), 고정미러(150), LED모듈(170) 등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13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130)는 고가의 디지털 카메라(140)와 LED모듈(170)을 내장하여 이들을 우발적인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LED(173)에서 발산되는 빛 중 디지털 카메라(140)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여 LED(173)의 빛이 렌즈(141)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LED모듈(170)과 디지털 카메라(140) 사이의 덮개(130)에 격벽을 구비하여 LED(173)의 빛이 렌즈(141)로 유입될 위험을 보다 확실히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고정미러(150)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투명판(110)의 일면과 타면의 상이 맺힌다. 즉, 좌측의 고정미러(150)에는 투명판(110)의 우측 타면의 상이 맺히고, 우측의 고정미러(150)에는 투명판(110)의 좌측 일면의 상이 맺힌다.
상기 회전미러(16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40)의 렌즈 직상부에 배치되고, 모터(161)에 의해 좌우로 회전이 되어, 좌우측의 고정미러(150)에 맺힌 상을 렌즈(141)로 반사시켜 렌즈(141)에 책(1)의 이미지가 결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미러(16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모터(161)는 케이스(180)의 외면에 구비되는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펼쳐진 책(1)의 일면만 촬영되도록 모터(16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펼펴진 책(1)의 일면과 타면이 순차적으로 촬영되도록 모터를 좌우측으로 순차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조작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책(1)이 투명판(110) 위에 올려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예;3초 후)에 책(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또는 순차적으로 좌우측면을 자동 촬영하도록 할 수 있고, 케이스(180) 내측의 조도를 감지하여 일정 밝기 이상이 되지 않으면 촬영을 하지 않고 이를 사용자에게 점멸램프나 비프음 등을 통해 알릴 수 있고, 전원공급유닛(19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디지털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을 출력유닛으로 전송하는 등 디지털 캡쳐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컨트롤 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40)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장착되어 렌즈(141)가 상기 투명판(110)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렌즈(141)의 직상부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미러(160)가 배치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40)는 공지의 기술과 다를 바 없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LED모듈(170)은 디지털 카메라(140)와 고정미러(150) 사이의 플레이트(120)에 장착되고, PCB(171)와 상기 PCB(171)에 실장된 다수의 LED(173)와, 상기 엘이디(173)를 감싸 LED(173)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켜 균일한 조도로 투명판(110)을 조명하도록 하는 확산필터(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산필터(175)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LED(173)의 표면을 덮어 직진성이 강한 LED(173)의 빛을 조도가 균일하도록 확산시켜 발산한다.
상기 케이스(18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간패널(181), 방열패널(183), 측면패널(187), 커버패널(18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패널(181)은 도면을 기준으로 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바닥면(181a)과, 바닥면(181a)에 연결되어 지면과 평행한 하부면(181b)과, 바닥면과 하부면에 연결되어 지면에 수직한 양측의 전후면(181c,181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181a)에는 상기 플레이트(120)가 고정설치되고, 바닥면(181a)에 대향되는 쪽의 상부에는 상기 투명판(110)이 엊혀져 지지결합되는 지지부(181e)가 구비되고, 투명판(110)이 배치되는 부위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패널(187)이 결합되는 양측면 또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방열패널(183)은 지면에 수평한 수평면(183a)과, 수직한 수직면(183b)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패널(181)의 바닥면(181a)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방열패널(183)이 형성하는 수용공간에는 전원공급유닛(190)을 포함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여 캡쳐하는데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구성요소들이 수용된다.
그리고 방열패널(183)에는 외부 공기의 순환을 위한 다수의 방열공(183c)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공(183c)을 통해 방열패널(183)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전원공급유닛(19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에서 발생되는 열과 중간패널(181)의 바닥면(181a)을 통해 전달되는 디지털 카메라(140)와 LED(173)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하여 열에 의해 전원공급유닛(190), 디지털 카메라(140), LED모듈(170)이 오동작하거나 소손 등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측면패널(187)은 상기 중간패널(181)과 방열패널(183) 양측의 개방된 개구부를 덮고, 케이스(180)를 들고 옮길 수 있도록 하는 파지홈(18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패널(185)은 상기 중간패널(18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투명판(110)을 개폐한다.
상기 커버패널(185)은 캡쳐 장치(100)의 미사용시 투명판(110)을 덮어 보호하고, 캡쳐 장치(100)의 사용시에 책(1)이 투명판(110)을 모두 덮지 못하여 투명판(110)을 통해 외부의 역광이 케이스(180) 내측으로 유입될 소지가 있는 때에 책(1)이 펼쳐져 있는 투명판(110)을 덮어 외부의 역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캡쳐 장치(100)에서 촬영하여 캡쳐된 책의 이미지 영상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출력유닛(200)으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음성으로 출력된다.
출력유닛(200)으로는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출력유닛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출력유닛(200)은 디지털 캡쳐 장치(100)가 촬영하여 캡쳐한 이미지 영상을 수신받는 수신부(201)와,
상기 수신부(201)가 수신받은 이미지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202)와,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된 이미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에게 보여주는 화면표시부(204)와,
상기 화면표시부(204)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영상을 가공(예; 이미지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밝기 조절, 색상 조정, 시야각 조정 등)하여 학습자가 보기 편하도록 하는 이미지 가공부(203)와,
상기 메모(202)리에 저장된 이미지 영상에서 문자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하는 OCR(Optical Caracter Rsader)엔진(205)과,
상기 OCR엔진(205)에서 인식한 문자 데이터들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 합성하는 TTS(Text-To-Speech)엔진(206)과,
상기 TTS엔진(206)에서 변환 합성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오디오신호로 가공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207)와,
상기 오디오처리부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08)와,
상기 증폭부의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209)와,
사용자의 각종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11)와,
출력유닛(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디지털 캡쳐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디지털 캡쳐 장치 110 : 투명판
120 : 플레이트 130 : 덮개
140 : 디지털 카메라 150 : 고정미러
160 : 회전미러 170 : LED모듈
180 : 케이스 190 : 전원공급유닛
200 ; 출력유닛 204 : 화면표시부
205 : OCR엔진 206 : TTS엔진
209 : 스피커 210 : 제어부

Claims (4)

  1. 펼쳐진 책의 내측 양면이 접촉되도록 '∧'형태로 된 투명판;
    상기 투명판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중앙에 설치되어 렌즈가 상기 투명판을 향하는 디지털 카메라;
    상기 플레이트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상기 투명판의 우측과 좌측의 상이 맺히는 고정미러;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로 회전하여 좌우측의 상기 고정미러에 맺힌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결상되도록 하는 회전미러;
    PCB와, 상기 PCB에 실장된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판 내측을 조명하는 LED모듈;
    상기 투명판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상기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투명판이 결합되는 중간패널과,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패널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방열패널과,
    상기 중간패널과 방열패널의 양측 개구부를 덮는 측면패널과,
    상기 중간패널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투명판을 개폐하는 커버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미러 및 회전미러는 돌출되어 노출시키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및 LED모듈은 내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LED모듈은 상기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켜 조도를 균일하게 하는 원호형상의 확산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일면과 타면이 만나는 점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일면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외측에 배치되는 타면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KR1020100017683A 2010-02-26 2010-02-26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KR10095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83A KR100958822B1 (ko) 2010-02-26 2010-02-26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US13/386,791 US9041802B2 (en) 2010-02-26 2011-02-24 Digital capture device for learning
PCT/KR2011/001279 WO2011105819A2 (ko) 2010-02-26 2011-02-24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83A KR100958822B1 (ko) 2010-02-26 2010-02-26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822B1 true KR100958822B1 (ko) 2010-05-24

Family

ID=4228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683A KR100958822B1 (ko) 2010-02-26 2010-02-26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972A (zh) * 2021-05-08 2021-08-10 上海磐蓝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儿童培训用多功能教学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620A (ja) * 1995-01-05 1996-07-23 Oki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画像読取装置
JPH1051593A (ja) 1996-04-17 1998-02-20 Xerox Corp 文書走査装置
JP2002242137A (ja) 2001-02-15 2002-08-28 Nec Tokin Corp 発光式道路鋲および発光式道路標識
JP2006180296A (ja) 2004-12-22 2006-07-06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620A (ja) * 1995-01-05 1996-07-23 Oki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画像読取装置
JPH1051593A (ja) 1996-04-17 1998-02-20 Xerox Corp 文書走査装置
JP2002242137A (ja) 2001-02-15 2002-08-28 Nec Tokin Corp 発光式道路鋲および発光式道路標識
JP2006180296A (ja) 2004-12-22 2006-07-06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972A (zh) * 2021-05-08 2021-08-10 上海磐蓝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儿童培训用多功能教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785B1 (en) Interchangeable media prompt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mpting
US8820944B2 (en) Selectable throw ratio image projection device
US20110149254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camera
WO2011105819A2 (ko)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JP5930194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0147623B1 (ko) 실물화상기기
KR100958822B1 (ko) 학습용 디지털 캡쳐 장치
US741466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a laser-framing viewfinder
KR100964173B1 (ko) 시각 장애우를 위한 디지털 캡쳐 학습 시스템
KR101111081B1 (ko) 역 브이자형 테이블을 갖는 스캐너로부터의 신호를 음성출력하는 학습장치
JP6315026B2 (ja)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49953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3181070U (ja) 紙書籍をページ撮影するための書籍載置台およびこれ用いた紙書籍撮影装置
KR101164218B1 (ko) 독서장애인을 위한 국민편익증진 독서도우미 시스템을 위한 조도필터패널을 구비한 북 스캐너
JP2009009069A (ja) 顔撮影装置
KR101359421B1 (ko) 디지털 캡쳐 장치
JP3139289U (ja) 撮影照明用機材
JP2010161591A (ja) 携帯電話用拡張機器
JP2004086111A5 (ko)
JP2007208715A (ja) 撮像装置
JP2003207718A (ja) 顕微鏡装置
JP2003087634A (ja) フィルム読取装置
KR101164217B1 (ko) 외국어 학습 기능을 겸비한 u-러닝 실물화상기 시스템을 위한 조도필터패널을 구비한 북 스캐너
JPH08227053A (ja) 書画カメラ装置
JP2003015216A (ja) カメラ付き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