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112A -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112A
KR20150025112A KR20130102320A KR20130102320A KR20150025112A KR 20150025112 A KR20150025112 A KR 20150025112A KR 20130102320 A KR20130102320 A KR 20130102320A KR 20130102320 A KR20130102320 A KR 20130102320A KR 20150025112 A KR20150025112 A KR 20150025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test paper
interfac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택
최영호
최원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듀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듀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에듀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112A/ko
Publication of KR2015002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문제정보의 등록이나 생성 및 관리가 용이하여 다양한 유형과 난이도의 문제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성취 현황이나 학습 이해도에 맞는 문제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THE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사용자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일선 교육 현장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한 새로운 학습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상에 학습 관련 사이트들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구현되고 있는 대부분의 학습시스템은 여전히 학습자들이 온라인상에 구현된 학습 자료를 단순히 다운로드받아 학습하는 방법을 채택하도록 하고 있어, 오프라인상 교육과 비교하여 학습 효과가 뛰어나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으며, 또한 학습자의 학습결과에 대한 아무런 후속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각 학습자에 맞는 학습 진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학습 자료의 경우, 워드나 한글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단순히 수집해놓은 정도에 불과하므로, 파일에 포함된 자료 중 일부에 대해서만 수정, 삭제, 변경 등의 편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제 제공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문제정보가 생성되고, 편집/삭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 현황에 맞는 학습 자료와 문제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확인하는 접속 관리부; 다수의 문제정보와 각 문제정보에 대응하는 등급정보가 저장되는 문제정보 DB; 및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관리자 등급인 경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등급의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중간관리자 등급인 경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관리자 등급의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단계; 상기 단말에 대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권한정보를 확인하는 권한정보 확인단계; 및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관리자 등급인 경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등급의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이 중간관리자 등급인 경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관리자 등급의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정보의 등록이나 생성 및 관리가 용이하여 다양한 유형과 난이도의 문제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의 학습 성취 현황이나 학습 이해도에 맞는 문제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복수의 화면표시영역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따라 직관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구성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문제등록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학부모 등급의 단말에 제공되는 학업현황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간략하게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문제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이 간략하게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버(10)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말(20, 30, 40)을 포함하며, 각 단말(20, 30, 40)은 해당 단말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인증된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권한에 따라 관리자 단말(20), 중간 관리자 단말(30) 및 이용자 단말(40)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40)은, 상기 권한에 따라 학습자 단말과 학부모 단말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10)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20, 30, 40)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20, 30, 4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관리자 단말(20)에 제공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 중간 관리자 단말(30)에 제공되는 중간 관리자 인터페이스, 학습자 단말에 제공되는 학습자 인터페이스 및 학부모 단말에 제공되는 학부모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관리자 등급으로 설정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버(10)에 접속된 단말이며, 상기 중간 관리자 단말(30)은, 학교나 학원 등 학습자에게 직접적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그룹의 관리자 등급로서 중간 관리자 등급으로 설정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버(10)에 접속된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40)은, 상기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등급으로 설정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버(10)에 접속된 단말을 의미하며, 상기 이용자 단말(40)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 등급으로 설정된 학습자 단말과, 상기 학습자의 학업 성취 현황을 확인하는 학부모 등급으로 설정된 학부모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중간 관리자 등급 또는 이용자 등급의 사용자 계정이나 권한정보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문제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중간관리자 단말(30)은, 문제정보 DB에 저장된 문제정보를 토대로 학습자 단말에 제공될 시험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서버(10)와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1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단말(20)를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버(1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N)는 서버(10)와 단말(20)를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20, 30, 40)이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N)는 이동 통신망이나 와이파이(WiFi) 망 등의 무선 액세스 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는, 접속 관리부(140)와, 인터페이스 제어부(110)와, 문제정보 관리부(120)와,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와, 서버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오답노트 관리부(150)와 동영상 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로는 사용자 DB(180)와, 문제정보 DB(185)와, 동영상 DB(190)와, 시험지 DB(195)를 포함한다.
사용자 DB(180)는, 서버(10)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로서 등록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각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권한 정보, 각 사용자 계정의 서비스 이용 이력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문제정보 DB(185)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시 기저장되었거나, 관리자 단말(20)에 제공된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한 다수의 문제정보와 각 문제정보에 대응하는 등급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동영상 DB(190)는, 학습자 단말에 제공 가능한 강의 자료 등의 학습 동영상 정보 또는 상기 문제정보 DB(185)에 저장된 각 문제정보에 대응하는 문제풀이 동영상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시험지 DB(195)는,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에서 생성된 시험지 정보와, 각 시험지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정보와, 학습자 단말에 제공된 시험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답안에 따른 시험결과 이력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접속 관리부(140)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에 대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확인한다.
인증정보는, 상기 서버(10)에 접속한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 및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고유정보는 기본적으로 상기 서버(10)에 가입한 가입자의 ID와 비밀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관리부(140)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ID와 비밀번호가 사용자 DB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1 인증과, 단말로부터 수신된 해당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가 사용자 DB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2 인증으로 나누어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접속자 등급, 즉 관리자 등급, 중간관리자 등급 또는 이용자 등급에 따라 제1 인증과 제2 인증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속 관리부(140)는, 제1 인증에서 ID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계정이 관리자 등급인 경우, 제2 인증이 성공해야 정상적인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인증 및 제2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해당 단말이 관리자 단말(20)로서 서버(1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관리부(140)는, 제1 인증에서 ID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계정이 이용자 등급인 경우, 제2 인증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이 이용자 등급의 학습자 단말 또는 학부모 단말로서 서버(1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권한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접속 관리부(140)에 의해 권한이 확인된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상기 접속된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의 해상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 설정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인터페이스 설정정보를 기준 인터페이스 설정정보라 하면, 수신된 해상도 정보가 상기 기준 해상도 정보에 비해 낮은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낮은 정도에 따라 대응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 설정정보를 토대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관리자 단말(20)인 경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20)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중간관리자 단말(30)인 경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관리자 단말(30)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이 학습자 단말인 경우,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이 학부모 단말인 경우, 학부모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학부모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시험지 생성 요청에 따라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고,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의 갱신 또는 삭제를 관리한다.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제등급정보와 각 등급별 문제 개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문제정보 DB(185)로부터 상기 문제등급정보와 연계된 문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제정보 중 상기 문제 개수정보에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문제정보를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지 정보를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제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문제정보 요청에 포함된 조건정보를 토대로 상기 문제정보 DB(185)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된 문제정보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선택정보를 토대로 표시된 문제정보 중 일부를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험지 정보가 제공되는 것으로 지정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가 상기 시험지 생성 요청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시험지 DB(195)로부터 수신된 계정정보에 연계된 시험결과 이력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시험결과 이력정보를 토대로 문제정보를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기 전, 상기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기 위해 선별 또는 선택된 각 문제정보에 대해,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에 포함된 문제정보와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중복여부 판단을 위해 활용되는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는, 시험지 DB(195)에 저장된 모든 시험지 정보가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시험지 정보가 제공될 학습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을 기준으로 하여 시험지 DB(195)에 저장된 시험지 정보 중 해당 학습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연계된 시험지 정보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확인결과,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된 문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중복된 것으로 확인된 문제정보를 대체할 문제정보를 다시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거나 다시 선별된 문제정보를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간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복된 문제정보에 대한 선택의 취소명령과 함께, 다른 문제정보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토대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여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문제정보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도,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130)는,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가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에 포함된 문제정보와 중복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오답노트 관리부(150)는, 상기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시험지 정보에 대응하는 시험결과 정보를 토대로 오답노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오답노트 정보는 학습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연계시켜 상기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영상 관리부(160)는, 단말로부터 동영상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동영상 제공 요청에 해당하는 학습 동영상 정보 또는 문제풀이 동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단말은 학습자 단말로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인 경우에는 학습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QR코드를 인식하여 동영상 제공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문제정보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된 문제정보 및 상기 문제정보에 연계된 등급정보가 상기 문제정보 DB(185)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정보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포맷의 파일 데이터가 표시되고, 표시된 파일 데이터 중 선택된 영역에 대해 문제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속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문제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제정보가 상기 문제정보 DB(185)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관리자 인터페이스, 중간관리자 인터페이스,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유사한 화면 구성 방식으로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학습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구성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1 영역 내지 제6 영역의 6개 영역을 갖는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인터페이스는 학습과정 단계, 예를 들어 교과 단원이 트리 형식으로 표시되는 교과 단원표시 영역과, 상기 교과 단원표시 영역에서 선택된 단원의 세부정보, 예를 들어 소단원의 정보가 표시되는 세부정보 표시영역과, 상기 세부정보 표시영역에서 선택된 학습 내용과 관련된 학습자료가 표시되는 학습자료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교과 단원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탭이 구현되어 교육과정(예를 들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등)이나 과목별(예를 들어, 국어, 영어, 과학, 수학 등)로 교과 단원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소단원과 관련하여 연계된 시험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시험지 정보가 표시되는 시험지 정보 표시영역과, 표시된 시험지 정보에 대해 학습자 단말로부터 답안이 입력되도록 데이터 입력필드가 구현되는 답안 입력영역과, 답안을 모두 입력한 후 그 결과가 표시되는 시험결과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험지 정보 표시 영역 및 답안 입력영역에도 복수의 탭이 구현되어 각 탭별로 입력가능한 또는 표시가능한 정보가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문제등록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는, 교과 단원표시 영역과, 문제목록 표시영역 및 문제등록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교과 단원표시 영역에는, 등록하기 위한 문제정보가 해당되는 교과과정의 교과 단원이 트리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문제목록 표시영역에는 선택된 교과 단원에 해당하여 문제정보 DB(185)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정보가 표시되거나, 문제 등록 영역을 통해 등록된 문제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문제 등록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입력 필드가 구현되어, 문제정보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문제 데이터가 선택되거나 한글파일이나 워드 파일과 같은 미리 설정된 형식의 문서 파일의 내용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문제 등록 영역에는 등록하고자 하는 문제의 난이도(등급) 정보가 함께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등급정보는 문제정보와 함께 문제정보 DB(185)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학부모 단말이 서버(10)에 접속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해당 사용자 계정에 연계하여 등록된 학습자 계정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토대로 학업현황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학부모 인터페이스로서 학부모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학부모 단말에 제공되는 학업현황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학업현황 인터페이스는 "성적표시영역"과, "성적이력 표시영역"과, "출결현황 표시영역"과, "학습진도 현황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 영역에서의 정보들은 모두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되어 학부모가 직관적으로 해당 학습자의 학업 성취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학업현황 인터페이스는 서버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도출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서버 제어부(170)는, 시험지 DB에 저장된 해당 학습자 계정의 시험결과 이력정보를 토대로 가장 최근에 수행한 시험결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추출된 시험결과 정보가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170)는, 해당 학습자 계정의 접속정보를 토대로 출결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출결정보를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로 전달하여 출결현황 표시영역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결정보는 하루에 한번 이상 접속한 경우 출석한 것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매일 0시를 기준으로 출결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간략하게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단계(S10)와, 상기 단말에 대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권한정보를 확인하는 권한정보 확인단계(S20)와,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관리자 단말인 경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중간관리자 단말인 경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단계(S30)를 포함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문제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이 간략하게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단계에서 문제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은, 우선,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한다.(S110)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성된 포맷의 파일 데이터가 표시되고, 표시된 파일 데이터 중 선택된 영역에 대해 문제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속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문제정보로 변환한다.(S120)
다음, 변환된 문제정보가 상기 문제정보 DB(185)에 등록(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
이때,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형식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토대로 문제정보를 생성하여 문제정보 DB(185)에 등록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있어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가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8(a)는,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며, 도8(b)는,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우선, 중간관리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중간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다음,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에 따라 문제정보 DB(185)로부터 문제정보를 추출한다.(S210, S220)
다음, 추출된 문제정보에 대해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에 포함된 문제정보와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추출된 문제정보를 토대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한다.(S230, S240)
판단결과 존재하는 경우, 종복되는 문제정보를 대체할 새로운 문제정보를 다시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생성된 시험지 정보가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S250)
도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우선, 중간관리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중간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에 따라 문제정보 DB(185)로부터 문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한다.(S310, S230)
제공된 문제정보에 대하여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문제정보를 선별한다.(S2330)
다음, 선별된 문제정보에 대해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에 포함된 문제정보와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추출된 문제정보를 토대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지 정보가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S340, S35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6 내지 도8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버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과, 상기 단말에 대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권한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관리자 단말인 경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중간관리자 단말인 경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확인하는 접속 관리부;
    다수의 문제정보와 각 문제정보에 대응하는 등급정보가 저장되는 문제정보 DB; 및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관리자 단말인 경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중간관리자 단말인 경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시험지 생성 요청에 따라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고,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의 갱신 또는 삭제를 관리하는 시험지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는,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제등급정보와 각 등급별 문제 개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문제정보 DB로부터 상기 문제등급정보와 연계된 문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제정보 중 상기 문제 개수정보에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문제정보를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지 정보를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는,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제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문제정보 요청에 포함된 조건정보를 토대로 상기 문제정보 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된 문제정보에 대한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선택정보를 토대로 표시된 문제정보 중 일부를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는,
    시험지 정보가 제공되는 것으로 지정된 사용자 계정의 계정정보가 상기 시험지 생성 요청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계정정보에 연계된 시험결과 이력정보를 시험지 DB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시험결과 이력정보를 토대로 문제정보를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는,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기 전, 상기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기 위해 선별 또는 선택된 각 문제정보에 대해,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에 포함된 문제정보와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는,
    확인결과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된 문제정보가 존재하면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지 정보 관리부는,
    확인결과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된 문제정보가 존재하면 중복되는 문제정보의 개수만큼 문제정보를 다시 선별하여 시험지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지 정보가 시험지 생성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학습자 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계된 학습정보 또는 시험지 정보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시험지 정보에 대응하는 시험결과 정보를 토대로 오답노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연계시키는 오답노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1. 제2항에 있어서,
    학습 동영상 정보 또는 상기 문제정보 DB에 저장된 각 문제정보에 대응하는 문제풀이 동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동영상 DB; 및
    단말로부터 동영상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동영상 제공 요청에 해당하는 학습 동영상 정보 또는 문제풀이 동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된 문제정보 및 상기 문제정보에 연계된 등급정보가 상기 문제정보 DB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문제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정보 관리부는,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성된 포맷의 파일 데이터가 표시되고, 표시된 파일 데이터 중 선택된 영역에 대해 문제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속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문제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제정보가 상기 문제정보 DB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서버에 접속한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 및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고유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접속된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상기 접속된 단말의 해상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 설정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6.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인증단계;
    상기 단말에 대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 계정에 부여된 권한정보를 확인하는 권한정보 확인단계; 및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관리자 단말인 경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중간관리자 단말인 경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단계는,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에 따라 문제정보 DB로부터 문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문제정보에 대해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에 포함된 문제정보와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추출된 문제정보를 토대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시험지 정보가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단계는,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시험지정보 생성요청에 따라 문제정보 DB로부터 문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문제정보에 대하여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문제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문제정보에 대해 기생성된 시험지 정보에 포함된 문제정보와 중복되는 문제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추출된 문제정보를 토대로 시험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시험지 정보가 상기 시험지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30102320A 2013-08-28 2013-08-28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50025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320A KR20150025112A (ko) 2013-08-28 2013-08-28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320A KR20150025112A (ko) 2013-08-28 2013-08-28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112A true KR20150025112A (ko) 2015-03-10

Family

ID=5302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320A KR20150025112A (ko) 2013-08-28 2013-08-28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1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2135A (zh) * 2021-06-04 2021-09-14 南京海容互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在线教育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64163B1 (ko) * 2022-06-29 2022-11-10 주식회사 씨앤케이에어로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2135A (zh) * 2021-06-04 2021-09-14 南京海容互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在线教育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64163B1 (ko) * 2022-06-29 2022-11-10 주식회사 씨앤케이에어로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477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ext specific annotation of electronic files
US11588855B2 (en) Policy approval layer
JP7140909B2 (ja) カリキュラムパッケージの開発方法及び装置、システム、デバイス並びに記憶媒体
WO20100780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educational software systems
US20190318644A1 (en) End to end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KR101829814B1 (ko) 교육기관과 연계하는 원격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1228B1 (ko) 코딩 테스트 및 채점 알고리즘 제공 방법
KR20150025112A (ko)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20190079992A1 (en) Data redundancy maximization tool
Chai et al. Bright Kids Tuition Centr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urad et al. An automated system to maintain the departmental activities over cloud: An android application approach
CN110648119A (zh) 培训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308258B1 (en) Textbook content reorganization based on classroom analytics
KR10082187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학생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학생관리장치
JP201801036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arodia Annotating the veracity of tweets through mobile crowdsourcing
Zainal et al. AA Secure Quiz Management System with Dual Authentication for Pusat Tahfiz As Solihin
Massa Adding Interoperability to ASSISTments: Learning Tools Interoperability (LTI) Support and Partial Credit
WO2021134624A1 (zh) 飞行员考试控制方法及系统
CN116455682A (zh) 班级通信群组的创建方法、加入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Hope Understand the basics of digital accessibility
Sequeira AWS Certified SysOps Administrator-Associate (SOA-C01) Cert Guide
WO2015042575A1 (en) Tracking student performance to an educational standard
KR101122729B1 (ko) 웹-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사용자 능력 평가 방법,웹-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사용자 능력 관리 방법 및웹-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사용자 능력 평가 시스템
O’Driscoll Smart Classroom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