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163B1 -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163B1
KR102464163B1 KR1020220079433A KR20220079433A KR102464163B1 KR 102464163 B1 KR102464163 B1 KR 102464163B1 KR 1020220079433 A KR1020220079433 A KR 1020220079433A KR 20220079433 A KR20220079433 A KR 20220079433A KR 102464163 B1 KR102464163 B1 KR 102464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lock
student
disposed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케이에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케이에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케이에어로
Priority to KR102022007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B64C2201/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학생 단말로부터, 블록 코딩 교육에 대한 학습 시작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학생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 단말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학생 계정을 통해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제1 등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가 상기 제1 등급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성된 학습 페이지를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이 선택되어 배치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블록들을 통해 동작이 제어되는 드론이 표시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CONTENT FOR DRONE CONTROL}
아래 실시예들은 블록 코딩을 통해 드론을 제어하는 코딩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초, 중, 고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의 코딩 교육이 의무화되면서, 코딩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교육 대상 연령이 유아까지 확대되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코딩 교구 및 완구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함에 있어서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 보다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어떠한 논리적 흐름으로 전개되는지를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다양한 카드들을 배치하고 이를 검출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논리 이해를 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단순한 카드의 배치만으로는 어린 아이가 쉽게 흥미를 잃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깊은 이해가 어렵다. 또한, 대부분 특정 기능을 순서대로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만 학습이 가능하므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그러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코딩 교육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원리를 가르치고자 하는 교육으로, 드론을 제어하고자 하는 코딩 교육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드론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코딩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98037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14597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1258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7965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학생 단말로부터, 블록 코딩 교육에 대한 학습 시작 요청이 수신되면, 제1 학생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학생 단말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판단되면, 제1 학생 계정을 통해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하고,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에 기초하여,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제1 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가 제1 등급으로 설정되면,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고,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성된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학생 단말로부터, 블록 코딩 교육에 대한 학습 시작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학생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 단말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학생 계정을 통해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제1 등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가 상기 제1 등급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성된 학습 페이지를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이 선택되어 배치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블록들을 통해 동작이 제어되는 드론이 표시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블록은 상기 드론이 이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이륙 블록,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착륙 블록,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로틀(Throttle) 블록,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우(Yaw) 블록,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치(Pitch) 블록 및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좌우로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롤(Roll)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1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1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2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2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2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3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3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3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4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4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4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 내에 표시된 코딩 완료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명령, 상기 제2 명령, 상기 제3 명령 및 상기 제4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3 영역 내에서 상기 드론의 동작 수행을 통해 배경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학생 단말로부터, 블록 코딩 교육에 대한 학습 시작 요청이 수신되면, 제1 학생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학생 단말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판단되면, 제1 학생 계정을 통해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하고,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에 기초하여,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제1 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가 제1 등급으로 설정되면,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고,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성된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드론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블록 코딩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코딩을 통해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점수에 따라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맞게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학생 단말(1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학생 단말(100) 각각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학생 단말(110), 제2 학생 단말(120), 제3 학생 단말(130) 등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학생 단말(100) 각각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학생 단말(100)은 장치(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학생 단말(100) 각각은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학생 단말(100) 각각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복수의 학생 단말(100) 각각은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학생 단말(1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학생 단말(120) 등의 다른 학생 단말에서 제1 학생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을 구비할 수 있다.
장치(200)는 복수의 학생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학생 단말(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복수의 학생 단말(100) 각각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복수의 학생 단말(100) 중 제1 학생 단말(110), 제2 학생 단말(120) 및 제3 학생 단말(13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학습 관리 시스템(LMS : Learning Management System)에 포함되거나 학습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200)는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복수의 학생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콘텐츠는 드론 제어를 위한 블록 코딩 교육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로부터 학습 시작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학생 단말(110)은 제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이고, 학습 시작 요청은 블록 코딩 교육에 대한 학습의 시작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학생 단말(110)은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블록 코딩 교육 전용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제1 학생 계정을 통해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홈페이지 내에 표시된 학습 시작 메뉴가 선택되면,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로부터 블록 코딩 교육에 대한 학습 시작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블록 코딩 교육은 블록 코딩을 통해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육을 의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학생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제1 학생 단말(110)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로, 단말의 식별 번호, 접속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1 학생 단말(110)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로부터 획득된 제1 학생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들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제1 학생 단말(110)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학교에 배치된 학생 단말들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제1 학생 단말(110)이 학교에 배치된 학생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제1 학생 단말(110)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제1 학생 단말(110)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판단되면, S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 계정을 통해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은 제1 학생이 학습을 완료한 훈련 코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에 로그인된 제1 학생 계정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들의 정보 중에서 제1 학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학생 정보를 통해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에 기초하여,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제1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한 결과, 학습을 완료한 훈련 코스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초급으로 설정할 수 있고, 초급 훈련 코스에 대한 학습을 완료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중급으로 설정할 수 있고, 중급 훈련 코스에 대한 학습까지 완료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상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난이도 별로 구분된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이 저장되어 있으며,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 중에서,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획득한 후, 획득된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은 드론이 이륙하고 어떻게 이동한 후에 착륙하는지를 안내하기 위한 영상으로, 난이도에 따라 이동 상황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등급이 초급인 경우, 단순한 형태로 이동하는 상황으로 설정된 초급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하고, 제1 등급이 상급인 경우, 복잡한 형태로 이동하는 상황으로 설정된 상급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할 때,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이 제1 학생 단말(110)의 화면에서 재생되도록, 제1 학생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 단말(110)에서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블록 코딩을 통해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페이지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장치(200)는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할 때, 학습 페이지가 제1 학생 단말(110)의 화면에서 표시되도록, 제1 학생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03 단계에서 제1 학생 단말(110)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한 단말로 판단되면, S208 단계에서, 장치(200)는 다른 단말의 사용을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학생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페이지는 제1 영역(310), 제2 영역(320) 및 제3 영역(330)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영역(310)은 블록 코딩 시 사용될 복수의 블록들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제1 영역(310) 내에는 이륙 블록(311), 착륙 블록(312), 스로틀 블록(313), 요우 블록(314), 피치 블록(315), 롤 블록(316) 등 복수의 블록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륙 블록(311)은 드론(331)이 이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이고, 착륙 블록(312)은 드론(331)이 착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이고, 스로틀(Throttle) 블록(313)은 드론(331)의 이륙 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이고, 요우(Yaw) 블록(314)은 드론(331)의 이륙 후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이고, 피치(Pitch) 블록(315)은 드론(331)의 이륙 후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이고, 롤(Roll) 블록(316)은 드론(331)의 이륙 후 좌우로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로틀 블록(313), 요우 블록(314), 피치 블록(315) 및 롤 블록(316)은 동작 제어를 위해 제어값이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이 선택되어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320) 내에는 제1 구역(321), 제2 구역(322), 제3 구역(323), 제4 구역(324) 등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이 선택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구역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320) 내에는 복수의 구역들에 블록들이 나열되어 블록 코딩의 수행이 완료되면 이를 통보하기 위한 코딩 완료 버튼(325)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320) 내에는 배치된 블록에 이상이 없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점멸되는 제1 객체(326)와 배치된 블록에 이상이 있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점멸되는 제2 객체(327)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3 영역(330)은 제2 영역(320)에 배치되어 있는 블록들을 통해 동작이 제어되는 드론(331)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제3 영역(330) 내에는 블록 코딩을 통해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드론(33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 요우, 피치 및 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후, 제어값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 스로틀이 선택되면, 스로틀 블록(313)으로 변경되고, 스로틀 블록(313)에 드론(331)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에서 요우가 선택되면, 요우 블록(314)으로 변경되고, 요우 블록(314)에 드론(331)이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에서 피치가 선택되면, 피치 블록(315)으로 변경되고, 피치 블록(315)에 드론(331)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에서 롤이 선택되면, 롤 블록(316)으로 변경되고, 롤 블록(316)에 드론(331)이 좌우로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 입력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 요우, 피치 및 롤 각각에 대한 제어값이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스로틀 블록(313)에 드론(331)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 입력될 때, 제어값으로 양수가 입력되면 제어값에 대응하는 속도로 드론(331)이 상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값으로 음수가 입력되면 제어값에 대응하는 속도로 드론(331)이 하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요우 블록(314)에 드론(331)이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 입력될 때, 제어값으로 양수가 입력되면 제어값에 대응하는 속도로 드론(331)이 우측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값으로 음수가 입력되면 제어값에 대응하는 속도로 드론(331)이 좌측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피치 블록(315)에 드론(331)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 입력될 때, 제어값으로 양수가 입력되면 제어값에 대응하는 속도로 드론(331)이 전진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값으로 음수가 입력되면 제어값에 대응하는 속도로 드론(331)이 후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코딩을 통해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한 이후,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n 구역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1 구역(321)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n 구역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n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n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1 구역(321)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321)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1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2 영역(320) 내에서 제2 구역(322)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2 구역(322)에 추가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2 구역(322)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구역(322)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2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2 영역(320) 내에서 제3 구역(323)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3 구역(323)에 추가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3 구역(323)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3 구역(323)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3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2 영역(320) 내에서 제4 구역(324)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4 구역(324)에 추가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4 구역(324)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4 구역(324)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4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일정 기간 동안 제2 영역(320) 내에서 블록이 추가로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코딩 완료 버튼(325)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일정 기간 동안 코딩 완료 버튼(325)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3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코딩 완료 버튼(325)이 선택된 것으로 확인되면,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S502 단계에서 확인된 명령들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502 단계에서 제1 명령, 제2 명령, 제3 명령 및 제4 명령 순으로 확인된 경우, 장치(200)는 제1 명령, 제2 명령, 제3 명령 및 제4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배치된 블록들을 확인하여, 배치된 블록들에 대응하는 제1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스크립트의 생성은 블록 코딩을 통해 코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제3 영역(330) 내에서 드론(331)의 동작 수행을 통해 배경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명령, 제2 명령, 제3 명령 및 제4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가 생성된 경우, 드론(331)은 제1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어서 제2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어서 제3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어서 제4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드론(331)의 동작 수행으로 배경이 변경되기 때문에, 제3 영역(330) 내에는 드론(331)의 동작 수행으로 인해 변경되는 배경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200)는 블록 코딩을 통해 생성된 코드를 기반으로, 드론(331)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C 언어, JAVA(자바), Python(파이썬) 등과 같이, 여러가지 문자와 기호를 사용한 코딩을 통해 생성된 코드를 기반으로, 드론(331)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방식의 코딩을 통해, 드론(331)을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드는 코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코드를 이용하여 드론(331)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점수에 따라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시청한 이후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블록 코딩이 완료되면, 제1 등급의 훈련 코스가 제1 동작, 제2 동작, 제3 동작 및 제4 동작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의 수는 훈련 코스의 난이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블록이 제1 구역(321)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동작은 이륙 동작으로, 제1 블록은 이륙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블록이 제1 구역(321)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점수를 10점으로 산출하고, 제1 블록이 제1 구역(321)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점수를 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블록이 제2 구역(322)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2 블록이 제2 구역(322)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점수를 10점으로 산출하고, 제2 블록이 제2 구역(322)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점수를 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3 블록이 제3 구역(323)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3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3 블록이 제3 구역(323)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3 점수를 10점으로 산출하고, 제3 블록이 제3 구역(323)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3 점수를 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4 블록이 제4 구역(324)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4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4 동작은 착륙 동작으로, 제4 블록은 착륙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4 블록이 제4 구역(324)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4 점수를 10점으로 산출하고, 제4 블록이 제4 구역(324)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4 점수를 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등급의 훈련 코스가 제1 동작, 제2 동작, 제3 동작 및 제4 동작 순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1 점수, 제2 점수, 제3 점수 및 제4 점수가 각각 산출된 경우, 제1 점수, 제2 점수, 제3 점수 및 제4 점수를 합산하여, 제1 학생의 코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점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9 단계에서, 장치(200)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제2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등급은 제1 등급 보다 높은 등급이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가 초급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초급에서 중급으로 변경하여,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중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점수는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6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블록 코딩의 재학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11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61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의 시청부터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제1 학생 단말(11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S611 단계 이후, S610 단계에서, 장치(200)는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11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제1 학생의 요청에 의해,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정답 보기가 선택되면,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정답 정보를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맞게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동작, 제2 동작, 제3 동작 및 제4 동작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블록 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페이지를 제1 학생 단말(110)로 제공한 이후,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n 구역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1 구역(321)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n 구역에 배치되면, 제n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제n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1 구역(321)에 배치되면, 제1 구역(321)에 배치된 블록이 제1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n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제n 블록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1 객체(326)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n 구역에는 동작 순서에 따라 제n 블록이 배치되어야 하는데, 장치(200)는 제n 구역에 제n 블록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객체(326)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구역(321)에 배치된 블록이 제1 블록으로 확인되면,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1 객체(326)가 제1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n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제n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2 객체(327)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n 구역에는 동작 순서에 따라 제n 블록이 배치되어야 하는데, 장치(200)는 제n 구역에 제n 블록이 아닌 다른 블록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객체(327)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구역(321)에 배치된 블록이 제1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2 객체(327)가 제1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3 단계 이후,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제2 영역(320) 내에서 제2 구역(322)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2 구역(322)에 추가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구역(322)에 배치되면, 제2 구역(322)에 배치된 블록이 제2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2 구역(322)에 배치된 블록이 제2 블록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1 객체(326)가 제2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2 구역(322)에 배치된 블록이 제2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2 객체(327)가 제2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제2 영역(320) 내에서 제3 구역(323)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3 구역(323)에 추가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3 구역(323)에 배치되면, 제3 구역(323)에 배치된 블록이 제3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3 구역(323)에 배치된 블록이 제3 블록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1 객체(326)가 제3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3 구역(323)에 배치된 블록이 제3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2 객체(327)가 제3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제2 영역(320) 내에서 제4 구역(324)에 블록이 추가로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2 영역(320) 내에서 제4 구역(324)에 추가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제4 구역(324)에 배치되면, 제4 구역(324)에 배치된 블록이 제4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4 구역(324)에 배치된 블록이 제4 블록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1 객체(326)가 제4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4 구역(324)에 배치된 블록이 제4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영역(320) 내에 표시된 제2 객체(327)가 제4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705 단계 이후, S7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n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2 객체(327)가 제1 색의 빛으로 점멸되고 있는 경우, 제1 구역(321)에 배치된 블록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객체(327)가 제2 색의 빛으로 점멸되고 있는 경우, 제2 구역(322)에 배치된 블록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객체(327)가 제3 색의 빛으로 점멸되고 있는 경우, 제3 구역(323)에 배치된 블록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객체(327)가 제4 색의 빛으로 점멸되고 있는 경우, 제4 구역(324)에 배치된 블록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706 단계 이후, S7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n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변경되면, 제n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제n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학생 단말로부터, 블록 코딩 교육에 대한 학습 시작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학생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 단말이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판단되면, 상기 제1 학생 계정을 통해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 학생의 학습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제1 등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가 상기 제1 등급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1 영역-상기 제1 영역은 복수의 블록들이 표시되는 영역-, 제2 영역-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이 선택되어 배치되는 영역- 및 제3 영역-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블록들을 통해 동작이 제어되는 드론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성된 학습 페이지를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1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1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2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2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2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3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3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3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제4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4 구역에 배치된 블록에 설정되어 있는 제4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 내에 표시된 코딩 완료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명령, 상기 제2 명령, 상기 제3 명령 및 상기 제4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상기 제3 영역 내에서 상기 드론의 동작 수행을 통해 배경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가 제1 동작, 제2 동작, 제3 동작 및 제4 동작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블록이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블록이 상기 제2 구역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2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3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3 블록이 상기 제3 구역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3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4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4 블록이 상기 제4 구역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4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상기 제3 점수 및 상기 제4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제1 학생의 코딩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학생의 교육 난이도를 상기 제1 등급 보다 높은 등급인 제2 등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상기 제1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학습 페이지를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다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생의 코딩 점수가 상기 제2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등급의 훈련 코스에 대한 안내 영상을 상기 제1 학생 단말로 다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1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1 블록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 내에 표시된 제1 객체가 제1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1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영역 내에 표시된 제2 객체가 상기 제1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2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2 블록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2 블록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객체가 제2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2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객체가 상기 제2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3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3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3 블록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3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3 블록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객체가 제3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3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객체가 상기 제3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명령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4 구역에 배치되면, 상기 제4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4 블록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4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4 블록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객체가 제4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구역에 배치된 블록이 상기 제4 블록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객체가 상기 제4 색의 빛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은
    상기 드론이 이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이륙 블록,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착륙 블록,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로틀(Throttle) 블록,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우(Yaw) 블록,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치(Pitch) 블록 및
    상기 드론의 이륙 후 좌우로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롤(Roll)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3. 삭제
KR1020220079433A 2022-06-29 2022-06-29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4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33A KR102464163B1 (ko) 2022-06-29 2022-06-29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33A KR102464163B1 (ko) 2022-06-29 2022-06-29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163B1 true KR102464163B1 (ko) 2022-11-10

Family

ID=8404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433A KR102464163B1 (ko) 2022-06-29 2022-06-29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1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112A (ko) * 2013-08-28 2015-03-10 에스엠에듀그룹 주식회사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90107965A (ko) 2018-03-13 2019-09-23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 시스템
KR20200033637A (ko) * 2018-09-20 2020-03-30 이진식 주행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 제공 시스템
KR102185618B1 (ko) * 2018-09-19 2020-12-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청소년 프로그래밍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KR102284862B1 (ko) * 2020-09-29 2021-08-02 주식회사 로보그램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화상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312587B1 (ko) 2019-11-20 2021-10-15 (주)디큐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용 스마트 토이 시스템
KR102314597B1 (ko) 2019-12-03 2021-10-20 (주)디큐 기동경계 내에서 움직이는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용 스마트 토이 시스템
KR102398037B1 (ko) 2020-07-08 2022-05-16 주식회사 허니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112A (ko) * 2013-08-28 2015-03-10 에스엠에듀그룹 주식회사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90107965A (ko) 2018-03-13 2019-09-23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 시스템
KR102185618B1 (ko) * 2018-09-19 2020-12-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청소년 프로그래밍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KR20200033637A (ko) * 2018-09-20 2020-03-30 이진식 주행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 제공 시스템
KR102312587B1 (ko) 2019-11-20 2021-10-15 (주)디큐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용 스마트 토이 시스템
KR102314597B1 (ko) 2019-12-03 2021-10-20 (주)디큐 기동경계 내에서 움직이는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용 스마트 토이 시스템
KR102398037B1 (ko) 2020-07-08 2022-05-16 주식회사 허니 드론을 이용한 코딩 교육 시스템
KR102284862B1 (ko) * 2020-09-29 2021-08-02 주식회사 로보그램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화상 콘텐츠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ttilare et al. The generalized intelligent framework for tutoring (GIFT)
KR102069096B1 (ko) 피지컬 디바이스의 직접적 원격 제어 장치
US10617961B2 (en) Online learning simulator using machine learning
KR102013955B1 (ko) 소프트웨어 전문가 실무교육과 평가를 위한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8832117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dissemination of knowledge
Narahara et al. Personalizing homemade bots with plug & play AI for STEAM education
Palanisamy Hands-On Intelligent Agents with OpenAI Gym: Your guide to developing AI agents using deep reinforcement learning
Cetto et al. Friend inspector: A serious game to enhance privacy awareness in social networks
Rao et al. Development of an embedded system course to teach the internet-of-things
García-Zubía et al. Learning to program in K12 using a remote controlled robot: RoboBlock
KR102021700B1 (ko) 사물인터넷 기반 환자 맞춤형 의사소통장애 재활 방법
KR102464163B1 (ko) 드론 제어를 위한 코딩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bonyi-Tóth et al. Wandering micro: bits in the public education of hungary
Casañ et al. The experience of the robot programming network initiative
Guzsvinecz et al. Designing gamified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with sensors—A gamification study
KR102443672B1 (ko)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mons et al. Teaching computing
Lao et al. A deep learning practicum: Concepts and practices for teaching actionable machine learning at the tertiary education level
CN110930824B (zh) 一种人工智能大数据九宫算术系统
KR20220052031A (ko) 온라인 학습능력 분석을 위한 시선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2553818B1 (ko) 교육 학습도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자녀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8740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블록 코딩 교육의 인터벤션 방법 및 그 시스템
Mishra et al. Exploring Active and Critical Engagement in Human-Robot Interaction to Develop Programming Skills: A Pilot Study
KR102522577B1 (ko) 스토리텔링 기반 블록 구현 학습 방법
US202301626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ble computer-user inter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