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800A - 절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절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800A
KR20150024800A KR1020140112132A KR20140112132A KR20150024800A KR 20150024800 A KR20150024800 A KR 20150024800A KR 1020140112132 A KR1020140112132 A KR 1020140112132A KR 20140112132 A KR20140112132 A KR 20140112132A KR 20150024800 A KR20150024800 A KR 2015002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storage device
auxiliary stora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노리 히가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04Error avo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1Resetting or repow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3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electronic or magnetic storage medium I/O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15Assigning priority to,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 H04N1/00917Resuming after an intentional interruption, e.g. resett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wer Sour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갖고, 절전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의 리텐션 기간의 경과에 의해 생긴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소실을 막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취득한 종별 정보에 근거해 보조 기억장치가 SSD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예측 리텐션 기간을 산출하고,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장치의 일부에서 설정한다.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장치의 일부는, 그 설정된 예측 리텐션 기간에 의거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절전상태로부터 통상상태에 이행시킨다.

Description

절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OWER SAVE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구비하고, 절전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의 계속에 의해 생긴 SSD내의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SSD(Solid State Drive)를 화상형성장치의 보조 기억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HDD(Hard Disc Drive)와 비교하면, 상기 SSD는, 액세스 타임, 발열, 동작음, 내충격 성능, 소비 전력 및 사이즈의 관점에서 뛰어나다.
SSD는, 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가 여러개 탑재되어 있고,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보존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는, 절연체로 피복된 부유 게이트에 전자를 주입 또는 부유 게이트로부터 전자를 배출하여서 데이터를 보존하거나 소거하고, 이 때에 절연체에 고전압이 걸려서 절연체가 열화하고, 이에 따라 자연방전으로 인해 소정 기간, 즉 리텐션(retention) 기간(데이터 보유 기간)의 경과 후에 데이터가 소실해버린다.
예를 들면, JEDEC(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로 규정된 기간에 걸쳐 사용한 SSD를 통전하지 않은 경우에, 3개월내에 SSD내의 데이터가 불리하게 소실된다고 하는 보고가 있다. 또한, SSD에 사용된 집적회로의 세밀화로 인해, 보다 단기간의 전원차단으로 SSD내의 데이터가 소실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의 절전 지향에 따라, 일부의 화상형성장치는, 통상상태로부터 절전상태에 이행할 때에 보조 기억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사용하는 경우, 절전상태가 계속해서 SSD의 리텐션 기간이 경과해버리면, SSD내의 데이터가 소실해버린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오프될 때, 보조 기억장치는 통전되지 않으므로, 전원 오프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면, 데이터 소실을 초래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47913호에는, 불휘발성 기억장치의 수명이 만료에 근접할 때 불휘발성 기억장치에 기록을 행하지 않고서 불휘발성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소실을 방지하는 정보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그 제안된 기술에 의해, SSD의 리텐션 기간의 경과로 인해 데이터 소실을 막을 수는 없다.
또한, 최근의 화상형성장치의 향상된 다기능성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대규모화되어 복잡해진다. 더욱이, 과거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자산을 유용하기 위해서,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이식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을, 화상형성장치에 탑재된 범용OS상에서 동작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범용OS를 탑재하고, 하드웨어를 의식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이 그 범용OS상에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불휘발성 기억장치의 데이터 소실을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3-47913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불휘발성 기억장치에의 기록을 억제하여서, 불휘발성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렇지만, 복잡하고 대규모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범용OS를 탑재하는 화상형성장치로는, 불휘발성 기억장치(보조 기억장치, 이를테면 SSD)의 데이터 보유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즉, 데이터 보유 신뢰성의 유지는, 복잡한 대규모의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거동을 파악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보조 기억장치에의 액세스를 완전하게 제어하여, 예를 들면, 보조 기억장치에의 기록량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복잡한 대규모의 애플리케이션이 범용OS상에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보조 기억장치에의 액세스를 완전하게 제어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즉 그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보조 기억장치, 이를테면 SSD의 데이터 보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구비하고, 절전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의 계속으로 인해 SSD의 리텐션 기간의 경과에 의해 생긴 SSD내의 데이터가 소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구비하고, SSD의 데이터 보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통상의 동작을 행하는 통상상태와 상기 통상상태보다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절전상태와의 사이에서 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 이 화상형성장치는,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통상상태로부터 상기 절전상태에의 이행시에, 상기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서, 상기 산출한 데이터 보유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일부에 의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보유 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상기 통상상태에 이행시키는 이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 이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마운트 또는 언마운트 하는 마운트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보유 기간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재마운트(re-mount)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절전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리텐션 기간의 경과에 의한 보조 기억장치에서의 데이터 소실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에 보조 기억장치로서 탑재된 SSD의 데이터 보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전력상태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장치 각부의 통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화상형성장치가 절전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장치 각부의 통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S.M.A.R.T.코맨드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SSD파라미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SSD의 잔수명에 따른 예측 리텐션 기간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스탠바이 복귀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스탠바이 복귀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보조 기억장치의 마운트(mount)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보조 기억장치의 마운트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 장치(2)를 구비한다. 스캐너 장치(2)는, 원고로부터 종이를 급지하는 원고급지 유닛(21)과, 그 종이를 광학적으로 스캔해서 디지털 화상을 얻는 스캐너 유닛(22)을 구비한다.
프린터 장치(4)는, 디지털 화상을 종이매체에 인쇄한다. 프린터 장치(4)는, 종이다발로부터 종이를 한 장씩 급지하기 위한 급지 유닛(42)과, 급지된 종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마킹 유닛(41)과, 화상이 인쇄된 종이를 배출하기 위한 배지 유닛(43)을 구비한다.
조작부(5)는, 화상형성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나 버튼(미도시됨)과, 화상형성장치(1)의 설정 정보나 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미도시됨)를 구비한다. 외부기억장치(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등으로 구성되어, 디지털 화상이나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전원부(7)는, 전원 스위치(8)가 온(on) 되면 스캐너 장치(2), 프린터 장치(4) 및 콘트롤러(3)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원 스위치(8)가 오프(off)되면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시계부(9)에는 전지(미도시됨)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콘트롤러(3)는, 전술한 상기 장치 각부와 접속되어, 장치 각부에 지시를 내려서 잡(job)을 실행할 수 있다. 콘트롤러(3)는, LAN(10)에 접속된 LAN I/F(208)를 갖고, LAN(10) 상에서 외부 컴퓨터(100)에/로부터 디지털 화상을 입/출력할 수 있고, 잡의 발행이나 기기의 지시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콘트롤러(3)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콘트롤러(3)는, 메인 보드(200)와 서브 보드(220)로 구성된다.
메인 보드(200)는, 소위 범용적인 CPU시스템이며,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조작부(5), 외부기억장치(6), 전원부(7) 및 시계부(9)에 접속되어, 이하의 디바이스들을 구비한다.
CPU(201)는, 메인 보드 전체를 제어한다. 부트ROM(202)은, 부트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메모리(203)는, CPU(20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콘트롤러(204)는, 외부 버스와의 브리지(bridge) 기능을 가진다. 불휘발성 메모리(205)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데이터를 보유가능하다. 디스크 콘트롤러(206)는, 외부기억장치(6) 및 플래시 디스크(207)를 제어한다. 플래시 디스크(207)는, SSD(Solid State Drive)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갖는 비교적 소용량의 보조 기억장치다. 이때, 그 화상형성장치(1)의 보조 기억장치는, SSD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HDD등이나 다른 기억장치이어도 된다.
LAN I/F(208)은, 네트워크상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며, 상술한 것처럼 LAN(10)에 접속된다.
서브 보드(220)는, 비교적 작은 범용CPU시스템과 화상처리 하드웨어를 구비하고, 이하의 디바이스들로 구성된다.
CPU(221)는, 서브 보드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223)는, CPU(22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콘트롤러(224)는, 외부 버스와의 브리지 기능을 가진다. 불휘발성 메모리(225)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데이터를 보유가능하다. 화상 프로세서(227)는, 실시간으로 디지털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디바이스 콘트롤러(226)는, 프린터 장치(4)와 스캐너 장치(2)에 접속되어, 이것들을 제어한다.
이때, 각 CPU 201, 221에는 칩세트, 버스 브리지, 클록 발생기 등이 내장 또는 접속되어 있지만, 그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메인 보드(200) 및 서브 보드(220)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낸 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종이매체에 화상복사(카피)하는 경우를 드는 콘트롤러(3)의 동작을 설명한다.
유저가 조작부(5)로 화상복사에 관해 지시를 내리면, 메인 보드(200)의 CPU(201)가, 서브 보드(220)의 CPU(221)등을 거쳐서 스캐너 장치(2)에 화상 판독 명령을 송신한다. 스캐너 장치(2)는, 종이원고를 광학적으로 스캔해서 얻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 콘트롤러(226)를 통해 화상 프로세서(227)에 송신한다. 화상 프로세서(227)는, 스캐너 장치(2)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CPU(221)를 통해 메모리(223)에 전송하거나, 혹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23)에 DMA전송하고, 메모리(223)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일시 보존시킨다.
CPU(201)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모두 또는 소정량이 메모리(223)에 일시 기억되어 있다면, CPU(221)등을 거쳐서 프린터 장치(4)에 화상출력 지시를 내린다. CPU(221)는, 화상 프로세서(227)에 메모리(223)내의 화상 데이터의 기억 위치를 통지한다. 메모리(223)에 일시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 장치(4)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화상 프로세서(227)와 디바이스 콘트롤러(226)를 거쳐서 프린터 장치(4)에 송신되어, 프린터 장치(4)에서 종이매체에 인쇄된다.
여러 부를 인쇄하는 경우, CPU(201)는, 메모리(223)에 일시 기억 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기억장치(6)에 기억시키고, 2부째이후의 인쇄시에는, 외부기억장치(6)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나서 프린터 장치(4)에 송신할 수도 있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1)에 있어서의 전력상태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가 통상상태(310)에 있을 때에 절전상태(330)에의 이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화살표 301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상태(310)로부터 절전상태(330)에 이행한다. 절전상태(330)에의 이행 이벤트에는, 유저에 의해 실행된 절전상태에의 이행 조작이나 타이머 인터럽트등이 있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통상상태(310)와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절전상태(330)에 있을 때에 통상상태(310)에의 이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화살표 30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절전상태(330)로부터 통상상태(310)에 이행한다. 통상상태(310)에의 이행 이벤트에는, 네트워크 패킷 수신, 유저에 의한 통상상태 이행 조작, 그리고 타이머 인터럽트등이 있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절전상태(330)에 있을 때에 전원 오프 상태(320)에의 이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화살표 30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절전상태(330)로부터 전원 오프 상태(320)에 이행한다. 전원 오프 상태(320)에의 이행 이벤트에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전원 오프 조작이나 리모트 콘트롤에 의한 전원 오프 등이 있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전원 오프 상태(320)에 있을 때에 통상상태(310)에의 이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화살표 30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오프 상태(320)로부터 통상상태(310)에 이행한다. 통상상태(310)에의 이행 이벤트에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전원 온 조작이나 타이머 인터럽트 등이 있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전원 오프 상태(320)에 있을 때에 절전상태(330)에의 이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화살표 30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오프 상태(320)로부터 절전상태(330)에 이행한다. 절전상태(330)에의 이행 이벤트에는, 예를 들면 전원투입 이벤트가 있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통상상태(310)에 있을 때에 전원 오프 상태(320)에의 이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화살표 304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상태(310)로부터 전원 오프 상태(320)에 이행한다. 전원 오프 상태(320)에의 이행 이벤트에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전원 오프 조작이나 타이머 인터럽트 등이 있어도 된다.
다음에, 화상형성장치(1)가 통상상태(310), 전원 오프 상태(320) 및 절전상태(330)에 있을 때의, 화상형성장치(1)의 각부(도 2에 나타낸 각 블록)의 통전 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1)가 전원 오프 상태(320)에 있을 때의 상기 장치 각부의 통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화상형성장치(1)가 절전상태(330)에 있을 때의 상기 장치 각부의 통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상태(310)에서는, 상기 장치 각부(블록)에 전력이 공급되므로, 비통전이 되어 있는 블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오프 상태(320)에서는, 전지(미도시됨)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시계부(9)이외의 블록들이, 도 4에 해칭되어 있고 비통전이 된다. 또한,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부(7)로부터 콘트롤러(3)에의 전력공급은 차단된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전상태(330)에서는, 전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시계부(9)와 전원부(7)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메모리(203) 및 LAN I/F(208)이외의 블록들이, 도 5에 해칭되어 있고 비통전이 된다. 메모리(203)가 통전되는 이유는, 절전상태(330)에 이행시의 메모리 내용을 보존해서 유지하고, 절전상태(330)로부터 통상상태(310)에 복귀시에 메모리 내용을 참조 가능하기 위해서다. 이때, 도 5의 절전상태(330)와 아울러, LAN I/F(208)의 통전을 행하지 않는 절전상태이어도 된다.
다음에, 제1실시예에 따른 SSD의 리텐션 기간(데이터의 보유 기간)의 예측 값을 취득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SSD를 구성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부유 게이트에 전자를 주입 또는 부유 게이트로부터 전자를 배출함으로써 데이터의 보존이나 소거를 반복하면, 부유 게이트를 피복하는 절연체가 열화된다. 호스트 콘트롤러(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의 콘트롤러(3))는, SSD의 블록마다의 소거 횟수나 평균 소거 횟수를 의미하는 정보를, ATA코맨드 등에 의해 SSD로부터 취득하고, SSD의 블록마다의 최대 소거 횟수 혹은 평균 소거 횟수가 역치에 도달하는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SSD의 리텐션 기간을 예측해서 SSD의 수명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SSD에서는, S.M.A.R.T.코맨드의 실행에 의해, SSD파라미터를 취득할 수도 있다.
도 6a는, S.M.A.R.T.코맨드의 실행에 의해 취득된 SSD파라미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SSD의 잔수명에 대응하는 리텐션 기간의 예측 값(이하, "예측 리텐션 기간"이라고 한다)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낸 사용 시간, 온도, 전원투입 횟수, 최대 소거 횟수, 평균 소거 횟수등의 SSD파라미터에 근거하여, SSD의 잔수명(%)을 아래에 언급된 식 (1)로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잔수명(%)으로부터 예측 리텐션 기간(월)을 아래에 언급된 식(2)에 의해 산출할 수도 있다. 그 산출 결과의 예들을, 도 6b의 테이블에 나타낸다.
잔수명={1-(최대 소거 횟수÷기록 가능 횟수)}×100 ...(1)
또한, 기록 가능 횟수는 SSD의 종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SLC(Single Level Cell)에서 10만회이며, MLC(Multi Level Cell)에서 1만회다. 기록 가능 횟수를 판단할 때, S.M.A.R.T.코맨드를 실행해서 얻은 SSD의 형식번호 또는 모델 정보에 의거하여 SSD의 종별이 SLC인지 MLC인지를 판단한다.
예측 리텐션 기간=3÷5×잔수명 ...(2)
이때, 예측 리텐션 기간의 산출에서는 식(2)에서의 파라미터이외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식(2)로서 간단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1)로 실행되는 스탠바이 복귀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처리는, 달리 명시된 바가 없으면, CPU(201)가 제어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CPU(201)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501).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되면(단계 S501에서 YES), 화상형성장치(1)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각종 기동 처리가 이루어진다(단계 S502). 각종 기동 처리의 종료 후, CPU(201)는,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503).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3)내의 플래시 디스크(207)의 종별 정보가 취득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CPU(201)는, 절전상태에의 이행 이벤트가 생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해(단계 S504), 단계 S504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이면, 전원 오프 상태에의 이행 이벤트가 생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505). 절전상태에의 이행 이벤트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의 이행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생겼을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은 단계 S506에 진행된다.
단계 S506에서는, CPU(201)는, 단계 S503에서 취득한 종별 정보에 의거하여, 보조 기억장치가 SSD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 ATA(AT Attachment)규격에 따른 IDENTIFY DEVICE data에 근거하여, 접속처 디바이스가 SSD인지의 여부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단계 S506에서는, 단계 S503에서 취득한 종별 정보의 IDENTIFY DEVICE data에 근거해 보조 기억장치가 SSD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조 기억장치가 SSD가 아니면(단계 S506에서 NO),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506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 즉, 보조 기억장치가 SSD라고 판정했을 경우, CPU(201)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을 산출한다(단계 S507).
다음에, CPU(201)는, 단계 S507에서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을, 전지에 의해 구동된 RTC(Real Time Clock), 이를테면 시계부(9)에 설정해(단계 S508), 절전상태 혹은 전원 오프 상태에의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509).
다음에, CPU(201)는, 도 5에 나타낸 절전상태에의 이행 완료후에 절전상태 해제 이벤트(스탠바이 복귀 이벤트)가 생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또는, 도 4에 나타낸 전원 오프 상태에의 이행 완료후에 전원투입 이벤트가 생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510). 단계 S510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 즉, 스탠바이 복귀 이벤트 혹은 전원투입 이벤트가 생겼을 경우, 단계 S51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510에서의 판정 결과가 NO, 즉, 스탠바이 복귀 이벤트도 전원투입 이벤트도 생기지 않았을 경우, 단계 S508에서 설정된 예측 리텐션 기간(예측 기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RTC가 판정한다(단계 S511). 예측 리텐션 기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511에서 NO), 프로그램이 단계 S510에 되돌아간다. 한편, 예측 리텐션 기간이 경과하였으면(단계 S511에서 YES), 프로그램이 단계 S512에 진행된다.
단계 S512에서는, RTC로부터의 스탠바이 복귀 지시에 따라 스탠바이 복귀 처리가 실행된다. 스탠바이 복귀 처리에서는, SSD에 유지된 데이터의 소실을 막기 위해서 SSD가 통전된다. 즉, SSD의 리텐션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절전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통전되는 RTC로부터의 스탠바이 복귀 지시에 따라 SSD가 통전되어, SSD내의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이, 산출되어, 절전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통전되는 RTC에서 설정된다. 그리고, 예측 리텐션 기간에 의거하여 RTC로부터 복귀 지시를 내려서, SSD를 통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절전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의 계속에 의해 SSD의 리텐션 기간이 경과되지 않고 SSD내의 데이터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므로, 양쪽 실시예의 공통점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로 실행된 스탠바이 복귀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처리는, 달리 명시된 바가 없으면, CPU(201)가 제어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서 실시된다.
도 8의 단계 S601∼S604에서 실행된 처리는, 도 7의 단계 S501∼S504에서의 처리와 같다. 즉,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 되면(단계 S601에서 YES), 각종 기동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602). 각종 기동 처리의 종료 후, CPU(201)는,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 정보를 취득해(단계 S603), 절전상태에의 이행 이벤트가 생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604).
절전상태에의 이행 이벤트가 생겼을 경우에는(단계 S604에서 YES), CPU(201)는, 단계 S603에서 취득한 종별 정보의 IDENTIFY DEVICE data에 근거해, 보조 기억장치가 SSD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5). 단계 S605에서의 판정 결과가 NO이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05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 즉, 보조 기억장치가 SSD이면, CPU(201)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을 산출한다(단계 S606).
다음에, CPU(201)는, 단계 S606에서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을, 절전상태에 있어서 소량의 전력이 공급된 통신부(예를 들면, LAN I/F(208))에 통지해(단계 S607), 절전상태에의 이행 처리를 행한다(단계 S608).
도 5에 나타낸 절전상태에의 이행 완료 후, 통신부는, 절전상태 해제 이벤트(스탠바이 복귀 이벤트)가 생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609). 절전상태 해제 이벤트가 생긴 경우(단계 S609에서 YES), 통신부는 스탠바이 복귀 지시를 송신하고, 단계 S611에 진행된다.
한편, 스탠바이 복귀 이벤트가 생기지 않았을 경우(단계 S609에서 NO), 통신부는, 단계 S607에서 통지된 예측 리텐션 기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610). 예측 리텐션 기간이 경과하지 않고 있으면(단계 S610에서 NO), 본 프로그램은 단계 S609에 되돌아간다. 한편, 예측 리텐션 기간이 경과하였으면(단계 S610에서 YES), 통신부는 스탠바이 복귀 지시를 송신하고 나서, 본 프로그램은 단계 S611에 진행된다.
단계 S611에서는, 통신부로부터의 스탠바이 복귀 지시에 따라 스탠바이 복귀 처리가 실행된다. 스탠바이 복귀 처리에서는, SSD에 유지된 데이터의 소실을 막기 위해서 SSD가 통전된다. 즉, SSD의 리텐션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절전상태에서도 통전되는 통신부로부터의 스탠바이 복귀 지시에 따라 SSD가 통전되어서, SSD의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이 산출되어, 절전상태에서도 통전되는 통신부에서 설정된다. 그리고, 예측 리텐션 기간에 의거하여 통신부에서 복귀 지시를 내림으로써, SSD가 통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절전상태의 계속에 의해 SSD의 리텐션 기간이 경과되지 않고 SSD내의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므로, 양쪽 실시예의 공통점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로 실행되는 보조 기억장치의 마운트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처리는, 달리 명시된 바가 없으면, CPU(201)가 제어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서 실시된다.
도 9의 단계 S701∼S703에서 실행된 처리는 도 7의 단계 S501∼S503에서의 처리와 같다. 즉,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 되면(단계 S701에서 YES), 각종 기동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702). 각종 기동 처리의 종료 후, CPU(201)는,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703).
다음에, CPU(201)는, 단계 S703에서 취득한 종별 정보의 IDENTIFY DEVICE data에 근거해 보조 기억장치가 SSD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04). 보조 기억장치가 SSD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 S704에서 NO),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보조 기억장치가 SSD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04에서 YES), CPU(201)는, 불휘발성 메모리(205)에 보존된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를 체크해(단계 S705), 그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706).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06에서 YES), CPU(201)는, 판독/기록 가능 방식으로 마운트된 보조 기억장치를 언마운트(unmount) 하고 나서, 보조 기억장치를 판독전용 방식으로 마운트 한 후(단계 S707),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06에서 NO), CPU(201)는, 보조 기억장치를 판독/기록 가능 방식으로 마운트 해(단계 S708),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709).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단계 S709에서 NO), 소정시간의 경과를 대기한다. 한편, 소정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709에서 YES), CPU(201)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을 산출해(단계 S710), 단계 S710에서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이, 설계자등에 의해 설정된 SSD수명의 기준값인 역치보다 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711).
단계 S710에서 산출한 상기 리텐션 기간이 역치보다 길지 않을 경우(단계 S711에서 NO), 그 프로그램은 단계 S709에 되돌아간다. 한편,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보다 긴 경우에는(단계 S711에서 YES), CPU(201)는, 다음번 기동을 위한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를 설정하고 불휘발성 메모리(205)에 기억시키고(단계 S712),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 하고 나서(단계 S713), 프로그램이 단계 S702에 되돌아간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보조 기억장치가 SSD라고 특정되는 경우,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그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SSD에의 기록(기록 액세스)을 금지하기 위해 SSD를 판독전용 방식으로 재마운트 한다. 이것은, 화상형성장치에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가 탑재된 경우에도, SSD의 데이터 보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가 설정되고, 화상형성장치의 재기동후에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 SSD를 판독전용 방식으로 다시 마운트하므로, 확실하게 SSD에의 기록을 금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므로, 양쪽 실시예의 공통점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로 실행되는 보조 기억장치의 마운트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처리는, 달리 명시된 바가 없으면, CPU(201)가 제어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여서 실시된다.
도 10의 단계 S801∼S811에서 실행된 처리는 도 9의 단계 S701∼S711에서의 처리와 같다. 즉,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 되면(단계 S801에서 YES), 각종 기동 처리가 실시된다(단계 S802). 각종 기동 처리의 종료 후, CPU(201)는,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803).
다음에, CPU(201)는, 단계 S803에서 취득한 종별 정보의 IDENTIFY DEVICE data에 근거해 보조 기억장치가 SSD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04). 보조 기억장치가 SSD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 S804에서 NO),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보조 기억장치가 SSD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04에서 YES), CPU(201)는,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를 체크한다(단계 S805). 그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06에서 YES), CPU(201)는, 보조 기억장치를 언마운트 하고 나서, 보조 기억장치를 판독전용 방식으로 마운트 한 후(단계 S807),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806에서 NO), CPU(201)는, 보조 기억장치를 판독/기록 가능 방식으로 마운트 해(단계 S808),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809).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단계 S809에서 NO), 소정시간의 경과를 대기한다. 한편,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단계 S809에서 YES),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을 산출해(단계 S810), 단계 S810에서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보다 긴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811).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보다 길지 않을 경우(단계 S811에서 NO), 본 프로그램이 단계 S809에 되돌아간다. 한편,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보다 긴 경우에는(단계 S811에서 YES), CPU(201)는, SSD를 언마운트하고(단계 S812), SSD를 판독전용 방식으로 마운트 해(단계 S813), 다음번 기동을 위해 판독전용 마운트 플래그를 설정하고 나서(단계 S814),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상기 제4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기억장치가 SSD라고 특정되었을 경우, SSD의 예측 리텐션 기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SSD에의 기록(기록 액세스)을 금지하기 위해 SSD를 판독전용 방식으로 재마운트 한다. 이것은, 화상형성장치에 보조 기억장치로서 SSD가 탑재된 경우에도, SSD의 데이터 보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산출한 예측 리텐션 기간이 역치를 초과하면, SSD를 언마운트한 후, SSD를 판독전용 방식으로 다시 마운트하므로, 유저가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중에 SSD의 데이터 보유 기간이 역치를 초과해도, 화상형성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0의 단계 S812에 있어서 SSD가 언마운트시에, SSD가 판독전용 방식으로 재마운트 하는 것을 UI를 이용해서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소자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3년 8월 27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3-175573과 2014년 5월 14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4-100380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1)

  1. 통상의 동작을 행하는 통상상태와 상기 통상상태보다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절전상태와의 사이에서 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로서,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identification)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통상상태로부터 상기 절전상태에의 이행시에, 상기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서, 상기 산출한 데이터 보유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일부에 의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보유 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상기 통상상태에 이행시키는 이행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일부는, 전지로 구동하는 RTC(Real Time Clock)와, 상기 절전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통신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통상상태로부터 전원 오프 상태에의 이행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서, 상기 산출한 데이터 보유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보유 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상기 통상상태에 이행시키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가 SSD(Solid State Drive)일 경우에는, S.M.A.R.T.코맨드의 실행에 의해 얻은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는, 화상형성장치.
  5.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를 갖고, 통상의 동작을 행하는 통상상태와 상기 통상상태보다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절전상태와의 사이에서 이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통상상태로부터 상기 절전상태에의 이행시에, 상기 특정단계에서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서, 상기 산출한 데이터 보유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일부에 의해,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데이터 보유 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상기 통상상태에 이행시키는 이행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6.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를 갖고, 통상의 동작을 행하는 통상상태와 상기 통상상태보다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절전상태와의 사이에서 이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통상상태로부터 상기 절전상태에의 이행시에, 상기 특정단계에서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서, 상기 산출한 데이터 보유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절전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일부에 의해,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데이터 보유 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절전상태로부터 상기 통상상태에 이행시키는 이행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7.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마운트 또는 언마운트 하는 마운트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보유 기간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재마운트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가 SSD(Solid State Drive)일 경우에는, S.M.A.R.T.코맨드의 실행에 의해 얻은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유 기간은, 상기 S.M.A.R.T.코맨드의 실행에 의해 얻은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산출된 예측 리텐션 기간으로 나타내어지는, 화상형성장치.
  10.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마운트 또는 언마운트 하는 마운트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단계는, 상기 특정단계에서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보유 기간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재마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1. 불휘발성의 보조 기억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마운트 또는 언마운트 하는 마운트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동시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종별을 의미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단계는, 상기 특정단계에서 특정된 상기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 보유 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보유 기간이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재마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40112132A 2013-08-27 2014-08-27 절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20150024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5573 2013-08-27
JP2013175573 2013-08-27
JP2014100380A JP2015064860A (ja) 2013-08-27 2014-05-14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14-100380 2014-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800A true KR20150024800A (ko) 2015-03-09

Family

ID=5142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132A KR20150024800A (ko) 2013-08-27 2014-08-27 절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77077B2 (ko)
EP (1) EP2843505A1 (ko)
JP (1) JP2015064860A (ko)
KR (1) KR20150024800A (ko)
CN (1) CN1044271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379A (ko) * 2016-09-08 2018-03-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8453A (ja) * 2015-04-28 2016-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59979B1 (ko) 2015-11-16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KR102413755B1 (ko) 2015-11-20 202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텐션 특성에 의한 성능 저하를 복구하는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1403198B2 (en) * 2017-07-27 2022-08-02 EMC IP Holding Company LLC Managing data within solid state drive storage based on recurring write quotas
US11037056B2 (en) 2017-11-21 2021-06-15 Distech Controls Inc.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inferring a predicted number of data chunks writable on a flash memory before wear out
US10798283B2 (en) * 2017-11-21 2020-10-06 Olympus Corporation Inform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etermi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apparatus across a power switch and transmitting such state information to an exter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10956048B2 (en) * 2017-11-21 2021-03-23 Distech Controls Inc.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inferring a predicted number of physical blocks erased from a flash memory
KR102546255B1 (ko) 2018-08-03 202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의 지시 없이 능동적으로 유지보수 동작을 개시하는 스토리지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DE102019118631A1 (de) 2018-08-03 2020-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ichervorrichtung, welche eine Wartungsarbeit unabhängig ohne Befehl des Host initiiert, und elektronisches System mit derselben
US11169726B2 (en) * 2018-09-13 2021-11-09 Toshiba Memory Corporation Pool-level storage management
JP2021047602A (ja) * 2019-09-18 2021-03-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2012874A (ja) 2020-07-02 2022-01-17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受信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72698A (ja) * 2021-05-06 2022-11-1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4564151A (zh) * 2022-02-28 2022-05-31 深圳忆联信息系统有限公司 提升ssd数据保持性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6515B2 (en) * 2007-11-30 2013-03-12 Symbol Technologies, Inc. Dynamic battery capacity allocation for data retention among mobile computers and electronic devices
US9123422B2 (en) * 2012-07-02 2015-09-01 Super Talent Technology, Corp. Endurance and retention flash controller with programmable binary-levels-per-cell bits identifying pages or blocks as having triple, multi, or single-level flash-memory cells
US8327066B2 (en) * 2008-09-30 2012-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a solid state drive, associated systems and implementations
KR20120091906A (ko)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리텐션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저장 장치, 그리고 그것의 데이터 리텐션 방법
JP2013047913A (ja) 2011-08-29 2013-03-0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ツール、及びホスト装置
EP2745203B1 (en) * 2011-08-19 2016-09-21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2866962B (zh) 2012-08-23 2016-04-27 记忆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数据丢失的方法及其固态硬盘
US9543025B2 (en) * 2013-04-11 2017-01-10 Sandisk Technologies Llc Storage control system with power-off time estim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379A (ko) * 2016-09-08 2018-03-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7177A (zh) 2015-03-18
US20150062607A1 (en) 2015-03-05
JP2015064860A (ja) 2015-04-09
EP2843505A1 (en) 2015-03-04
US9277077B2 (en)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800A (ko) 절전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JP532844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06380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1095916A (ja) 電子機器
KR20160011603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85955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00492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3182313A (ja)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757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29361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20140019237A (ko)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JP740119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22624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動作制御方法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
JP666573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59007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9301124A (ja) メモリデバイスを備えた機器、メモリデバイスの保護方法
JP2014116905A (ja) 画像処理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JP5759774B2 (ja) 電子機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211808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096047A (ja) 複合機
JP6849513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43720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04240A (ja) ドライブ制御装置、ドライブ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3667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2102631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