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343A -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343A
KR20150023343A KR1020147034072A KR20147034072A KR20150023343A KR 20150023343 A KR20150023343 A KR 20150023343A KR 1020147034072 A KR1020147034072 A KR 1020147034072A KR 20147034072 A KR20147034072 A KR 20147034072A KR 20150023343 A KR20150023343 A KR 20150023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configuration
circuit
voltag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350B1 (ko
Inventor
팔코 지베어스
하르트무트 슈마허
카르스텐 리스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2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5/00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detecting deviations in the electric input to the system and thereby controlling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obtain a regulated 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Vin)를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Vout)로 변환하는 조정 요소(T)와,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Vout)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조정 요소(T)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2)를 구비한,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용 집적 조정기(10), 특히 전압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를 수신하고 평가하며, 이 평가를 토대로 조정 요소(T)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 회로(14)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 및 제어 장치{INTEGRATED REGULATOR, IN PARTICULAR VOLTAGE REGULATOR, AND CONTROLLER FOR PASSENGER PROTECTION MEANS}
본 발명은 독립 특허 청구항 1의 카테고리에 따른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용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와, 독립 특허 청구항 10의 카테고리에 따른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서 출발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다른 무엇보다도, 승객 보호 시스템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모든 공급 전압이 승객 보호 시스템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차량 내 배터리 전압의 변동과 무관하게 올바른 기능이 제공되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사용되는 전압 조정기는 예를 들어 선형 조정기 및/또는 DC/DC 스위칭 컨버터로서 구현될 수 있고, 예컨대 6.7V, 5.0V, 3.3V와 같은 영구 설정된 출력 전압을 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센서, 통신 인터페이스, 램프 구동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시스템 모듈에 직접 공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소형 전압 조정기(5.0V 및 3.3V)의 출력 전압은 시스템-ASIC(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자체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 전압의 모니터링을 토대로 리셋 신호의 릴리스 혹은 트리거링이 유도될 수 있다. 리셋 신호는, 승객 보호 시스템을 릴리스하거나 작동시키기 위해, 또는 리셋하기 위해, 다시 말해 승객 보호 시스템이 기능을 하지 않는 안전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승객 보호 시스템의 완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된 전압이 이용되어야 하고 허용 범위 내에 놓여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승객 보호 시스템은 전압 조정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전압 조정기의 출력 신호의 모니터링을 중단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항상 모든 전압 조정기를 적절한 외부 부품에 접속시킴으로써, 조정 전압이 안정화되고 이 조정 전압의 모니터링이 제대로 기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조치는, 고객의 요구에 맞춘 전용 승객 보호 시스템에서 조정기의 출력 전압(예: 5.0V)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필요하다. 복수의 시스템-ASIC가 조합되어 있는 승객 보호 시스템의 경우에도 모든 전압 조정기가 필요하지 않을 수는 있으나, 승객 보호 시스템이 리셋 상태에 계속 체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존재하는 모든 전압 조정기가 적절하게 결선되어야 한다. 이에 필적하는,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승객 보호 시스템용 시스템-ASIC도 마찬가지로, 이들 시스템-ASIC가 모니터링 기능을 하고 리셋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한, 개별 집적 조정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09 047 480 A1호에는 예를 들어 차량용 승객 보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출원서에 기술된 제어 장치는,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 전압을 변환하는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 공급 전압과 공급 모듈의 입력 전압 사이에는, 입력 전압을 사전 설정된 제1 값으로 제한하는 전압 조정기가 접속된다. 전압 조정기 상류에는, 차량 공급 전압에 기초하여 전압 조정기를 차단하는 차단 회로가 접속되며, 이때 차단 전압은 차량 공급 전압의 제2 값을 체크하여, 상기 제2 값의 초과 시 전압 조정기를 차단한다.
선행 기술에 비해, 독립 특허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와, 이러한 집적 조정기를 구비한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독립 특허 청구항 10의 특징들을 갖는 대응 제어 장치는 승객 보호 시스템의 개별 집적 조정기, 바람직하게는 전압 조정기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대응 출력 신호의 상응하는 모니터링 및 출력 신호 모니터링이 승객 보호 시스템을 위한 리셋 신호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차단되었거나 작동 정지된 집적 조정기가 외부 부품과 결선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부품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차단 혹은 작동 정지는 예를 들어 상응하게 구동되는 별도의 구성 핀(configuration pin)을 통해 수행된다. 추가로, 구성 핀에서 검출된 구성이 저장될 수 있고, 판독 출력 명령을 통해 소프트웨어별로 판독 출력되고 검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개별 집적 조정기의 조정 신호가 전체 시스템 내에서 전혀 불필요하거나 다른 집적 조정기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승객 보호 시스템의 시스템-ASIC 내 개별 집적 조정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작동 정지되었거나 차단된 조정기는 예컨대 조정 커패시턴스, 인덕턴스, 옴 저항 또는 다이오드와 같은 외부 부품과 더 이상 결선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비용이 회피된다. 또한, 차단된 집적 조정기는 과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승객 보호 시스템의 내구성도 증대된다. 이는, 집적 조정기는 작동 상태로 그대로 두고 조정기 커패시턴스 또는 다른 외부 부품만 줄이거나 제거하려는 경우일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승객 보호 시스템의 다른 회로 부품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극변하는 출력 전압(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시스템-ASIC 내부에서의 과결합(overcoupling) 및 리셋 신호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때 집적 조정기는 리셋 신호의 발생을 위해 모니터링된다. 또 다른 한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현재 구성이 소프트웨어 질의를 통해 검증될 수 있고, 이로써 잘못 작동된 또는 잘못 작동 정지된 집적 조정기가 인지될 수 있으므로 명확한 오류 할당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력 신호를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조정 요소와,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조정 요소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용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를 수신하고 평가하며, 이 평가를 토대로 조정 요소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 회로가 제공된다.
또한,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조정기 어셈블리를 구비한 제어 장치가 제안되며, 상기 조정기 어셈블리는 제어 장치 내에서 하나 이상의 전압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조정기 어셈블리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집적 조정기를 포함한다.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된 조치들 및 개선예들에 의해, 독립 특허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용 집적 조정기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해진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가 핀 구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를 위한 제1 논리 신호 레벨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접속 핀이 접지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를 위한 제2 논리 신호 레벨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접속 핀을 개방된 채로 둔다. 또한, 집적 조정기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풀업 회로(pullup circuit)가, 개방된 채로 있는 접속 핀을 제2 논리 신호 레벨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은 풀업 회로는 바람직하게 옴 저항을 포함하고, 이 옴 저항은 바람직하게 제2 논리 신호 레벨을 나타내는 사전 설정된 전압 전위에 연결되어 있다. 핀 구성을 통한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의 발생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간단하고도 경제적인 구현을 가능케 한다. 복수의 조정기가 제어 장치 내에 집적되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집적 조정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각각의 조정기를 위해 별도의 구성 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성 회로는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를 평가하기 위해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비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한다. 이 비교를 토대로 비교기는 조정 요소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해 스위칭 요소,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성 회로는 시스템 초기화 중에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시보다 훨씬 더 앞서서 적절한 출력 신호가 제공된다. 오류 진단의 개선을 위해, 구성 회로는 검출된 구성(조정 요소를 작동 정지시키거나 차단하는 상태, 또는 조정 요소가 작동하거나 기능하도록 두는 상태)을 로킹(locking) 하고 상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검출된 구성의 로킹에 의해 바람직하게, 작동 중에 발생하는 오류에 의해 예를 들어 EMC 영향에 의해 구성의 변동이 야기될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회로는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피드백 신호를 토대로 조정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집적 전압 분배기에 의해 사전 설정된 분배 비율로 출력 신호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포넌트 혹은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승객 보호 수단용 제어 장치의 일 섹션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이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집적 전압 조정기는 사전에 확정된 다양한 출력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수많은 전압 조정기에 의해 구별되는, 단지 조정할 출력 전압에서만 상이한 변형 실시예들이 존재하지만, 이 경우 각각의 전압 값을 위해 별도의 조정기가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 전압 분배기의 적응에 의해 출력 전압이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전압 조정기도 존재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1.2V의 사전 확정된 궤환 전압("피드백" 전압)으로 조정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은 2개 이상의 저항을 갖는 외부 전압 분배기를 통해 조정기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분배된다. 상기 전압 분배기의 변동에 의해, 피드백 전압보다 항상 더 큰 조정기의 출력 전압이 조정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가변 회로들은 대부분 오류에 대단히 민감하다. 외부 전압 분배기 저항들 중 하나에서의 단일 오류는 곧바로 잘못된, 경우에 따라서는 유해한 출력 전압을 야기할 수 있다. 오류 검출은 대개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조정기 자체가 오류에 의해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저항값과, 의도적으로 선택된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저항값을 서로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일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전압 조정기로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10)의 실시예는, 입력 신호(Vin)를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Vout)로 변환하는 조정 요소(T)와,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Vout)를 발생시키기 위해 피드백 신호(VFB)를 토대로 상기 조정 요소(T)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를 수신하고 평가하며 이 평가를 토대로 조정 요소(T)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차단하는 구성 회로(14)가 제공되었다.
단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전 설정된 분배 비율(R1/R2)을 갖는 2개의 저항(R1, R2, R21)을 구비하는 집적 전압 분배기(18)는 출력 신호(Vout)로부터 피드백 신호(VFB)를 발생시킨다.
단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적 조정기(1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ASIC 모듈(ASCI: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되며, 승객 보호 수단용 제어 장치(1) 내에 있는 조정기 어셈블리(3)의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집적 조정기(10)는 구성 핀(K1), 즉 입력 신호(Vin)가 인가되는 입력 핀 및 출력 신호(Vout)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핀을 포함하며, 이 경우 출력 핀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패시턴스(C)를 포함하는 외부 회로(5)가 제공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회로(5)는 예컨대 인덕턴스, 옴 저항 또는 다이오드와 같은 다른 혹은 추가의 외부 부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정기(10)가 승객 보호 시스템의 제어 장치(1)의 시스템-ASIC 모듈(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전압 조정기로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조정기(10)는 조정 요소(T)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가능성 혹은 조정 요소(T)가 작동하거나 기능하도록 둘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원하는 구성의 선택은 구성 핀(K1)을 통해 이루어진다. 구성 핀(K1)의 상태는 구성 핀(K1)의 접지로의 외부 단락에 의해 실현되는 논리적 로우 레벨(L)이거나, 개방된 구성 핀(K1)에 의해 실현되는 논리적 하이 레벨(H)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집적 조정기(10) 내부에 배치된 풀업 회로(11)는 개방된 상태로 있는 구성 핀(K1)을 논리적 하이 레벨(H)로 끌어올린다. 풀업 회로(11)는, 일측 단자에 의해 상응하는 구성 핀(K1)과 연결되고 타측 단자에 의해 대략 논리적 하이 레벨(H)에 상응하는 레벨의 풀업 전압(Vpu)과 연결된 풀업 저항(Rpu)을 포함한다. 구성 핀(K1)의 레벨은 구성 회로(14)의 구성 신호(CF)로서 역판독되고 평가된다. 이때, 상기 상태의 검출은 예를 들어 구성 신호(CF)를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는 전압 비교기(14.1)에 의해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논리적 로우 레벨(L)은 조정 요소(T)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차단하는 데 사용되며, 논리적 하이 레벨(H)은 조정 요소(T)가 작동하거나 기능하도록 두기 위해 사용된다.
검출된 논리적 로우 레벨(L)은 작동 정지의 경우에 조정기 트랜지스터(T)를 영구적으로 차단하거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성 회로(14) 내에 배치된 스위칭 요소(Toff)에 의해 달성되며, 이 스위칭 요소는 바람직하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현되고, 비교기(14.1)에 의해 인버터(14.2)를 통해 구동된다. 스위칭 요소(Toff)가 바람직하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현된 조정 요소(T)의 제어 입력을 접지로 단락시킴으로써, 조정 요소(T)는 계속해서 작동이 중지된다. 그로 인해, 작동 시 집적 조정기(10)의 안정화 및 기능을 위해 필요한 외부 회로(5)가 생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선형 조정기(10)에서는 단 하나의 커패시턴스(C)가 외부 회로(5)로서 필요하다. DC/DC 스위칭 컨버터와 같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덕턴스, 옴 저항 및 다이오드도 필요할 수 있다. 집적 조정기(10)의 검출된 현재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정기(10) 내에 집적된 적합한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모리 수단(16)은 제어 장치(1) 내에서 조정기(1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 내에서 작동 정지된 조정기(10)의 출력 신호(Vout)의 모니터링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작동 정지 조정기(10)의 출력 신호(Vout)는 더 이상 리셋 신호의 발생 시 고려되지 않는다. 이어서, 저장된 구성이 소프트웨어 질의에 의해 판독 출력될 수 있으며, 이때 검출된 오류가 표시될 수 있다. 구성 핀(K1)에서의 구성 신호(CF)의 평가 및 이와 연관된 조정 요소(T)의 작동 혹은 작동 정지는 견고성의 이유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10)의 내부 논리 회로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는 즉시, 그리고 전체 시스템이 리셋 신호에 의해 릴리스되기 전에, 시스템의 초기화 단계가 시작될 때 수행된다. 구성 핀(K1)에서 구성 신호(CF)의 초기 판독 입력이 실시된 후에는 검출된 구성이 로킹됨에 따라, 핀 상태의 추가 변동이 조정기(10)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장치(1)의 정상 작동 중에는 예컨대 EMC 작용 하에서의 조정 요소(T)의 의도치 않은 작동 혹은 작동 정지가 발생할 수 없다. 또한, 구성 핀의 검출된 상태는 바람직하게 레지스터로서 구현된 메모리 수단(16)에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 수단(16)은 작동 중에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질의에 의해 판독 출력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잘못 검출된 상태가 검출되어 오류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구성 핀들에서의 검출 임계값 및 전압 공급 방식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도시된 실시예는 내부 풀업 전압을 갖는 집적 풀업 회로를 이용한다. 대안적으로, 외부 풀업 회로, 즉 집적 조정기 외부에 배치된 풀업 회로와, 개방된 구성 핀에서 하이 레벨(H)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응하는 외부 풀업 전압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논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이한 전압 레벨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접지(GND) 또는 다양한 전압 전위(예: 5.0V, 3.3V 등)로의 연결도 가능하다. 이는, 논리적 하이 레벨 및 논리적 로우 레벨에 추가로 중간 레벨이 추가의 전압 비교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경우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조정기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선형 조정기 또는 DC/DC 스위칭 컨버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승객 보호 시스템의 시스템-ASIC 혹은 제어 장치 내에는 임의 개수의 조정기가 차단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0)

  1. 입력 신호(Vin)를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Vout)로 변환하는 조정 요소(T)와,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Vout)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조정 요소(T)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2)를 구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용 전압 조정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를 수신하고 평가하며, 이 평가를 토대로 조정 요소(T)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 회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는 핀 구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를 위한 제1 논리 신호 레벨(L)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접속 핀(K1)이 접지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를 위한 제2 논리 신호 레벨(H)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접속 핀(K1)을 개방된 채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집적 조정기(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풀업 회로(11)가, 개방된 채로 있는 접속 핀(K1)을 제2 논리 신호 레벨(H)로 끌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 회로(14)는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를 평가하기 위해 비교기(14.1)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기는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를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를 토대로 비교기(14.1)는 조정 요소(T)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스위칭 요소,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off)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 회로(14)는 시스템 초기화 중에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의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 회로(14)는 하나 이상의 구성 신호(CF)의 검출된 논리 상태를 로킹(locking)하고, 상태 메모리(16)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회로(12)는 사전 설정된 값을 갖는 출력 신호(Vout)를 발생시키기 위해 피드백 신호(VFB)를 토대로 조정 요소(T)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집적 전압 분배기(18)가 사전 설정된 분배 비율(R1/R2)로 출력 신호(Vout)로부터 피드백 신호(VFB)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조정기.
  10. 제어 장치(1) 내에서 하나 이상의 전압을 조정하는 조정기 어셈블리(3)를 구비한,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조정기 어셈블리(3)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집적 조정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승객 보호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
KR1020147034072A 2012-06-06 2013-05-14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 및 제어 장치 KR102046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9582.9 2012-06-06
DE102012209582A DE102012209582A1 (de) 2012-06-06 2012-06-06 Integrierter Regler, insbesondere Spannungsregler, und Steuergerät für Personenschutzmittel
PCT/EP2013/059874 WO2013182386A1 (de) 2012-06-06 2013-05-14 Integrierter regler, insbesondere spannungsregler, und steuergerät für personenschutzmitt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343A true KR20150023343A (ko) 2015-03-05
KR102046350B1 KR102046350B1 (ko) 2019-11-19

Family

ID=4844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072A KR102046350B1 (ko) 2012-06-06 2013-05-14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51963B2 (ko)
EP (1) EP2858857B1 (ko)
JP (1) JP6022046B2 (ko)
KR (1) KR102046350B1 (ko)
CN (1) CN104334417B (ko)
DE (1) DE102012209582A1 (ko)
ES (1) ES2611361T3 (ko)
RU (1) RU2619504C2 (ko)
WO (1) WO2013182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1641A1 (de) * 2013-01-31 2014-07-31 Robert Bosch Gmbh Energieversorgungs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nergieversorgungseinheit zur autarken Versorgung eines Verbrauchers
DE102017201303A1 (de) * 2017-01-27 2018-08-02 Robert Bosch Gmbh Schal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Versorgungsspannung
DE102019204176B4 (de) * 2019-03-26 2021-05-27 Vitesco Technologies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Verhindern der fehlerhaften Datenübertragung über eine Busschnittstel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588A1 (en) * 2009-08-14 2011-02-17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dynamic topology
DE102009047480A1 (de) * 2009-12-04 2011-06-09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für ein Fahrzeug
EP2394865A1 (de) * 2010-06-10 2011-12-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einer Funktionsfähigkeit einer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3176A (en) * 1990-10-17 1993-03-09 Powercard Supply C.A. Computer work saving during power interruption
US5642035A (en) * 1994-06-16 1997-06-24 Bio-Rad Laboratories Transfection high-voltage controller
US5615004A (en) * 1994-12-27 1997-03-25 Hughes Electronics Laser range finder power management system
US5712547A (en) * 1995-05-31 1998-01-27 Itt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Inc. Software controlled latched voltage regulator having wiper switch decoding
US7893665B2 (en) * 2005-09-07 2011-02-22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Peak charging current modulation for burst mode conversion
DE102005045233A1 (de) * 2005-09-22 2007-03-29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für den Personenschutz
DE602005005060T2 (de) 2005-09-30 2009-06-04 Infineon Technologies Ag Leistungsschaltkreis für eine Airbagzündpille
US20070290657A1 (en) * 2006-06-14 2007-12-20 David John Cretella Circuit and method for regulating voltage
WO2010091218A1 (en) * 2009-02-06 2010-08-12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Four-terminal soi mesfet based low dropout regulator
US8319560B2 (en) * 2009-10-05 2012-11-27 Hittite Microwave Corporation Switched active bias control and power-on sequencing circuit for an ampl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588A1 (en) * 2009-08-14 2011-02-17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dynamic topology
DE102009047480A1 (de) * 2009-12-04 2011-06-09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für ein Fahrzeug
EP2394865A1 (de) * 2010-06-10 2011-12-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einer Funktionsfähigkeit einer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illiam Lepkowski. Using the Enable Pin in a Linear Regulator as a Voltage Supervisor. AND8239/D Applicaion Note. 2005년 9월. 인터넷: <URL: http://www.onsemi.com/pub_link/Collateral/AND8239-D.PD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51963B2 (en) 2017-05-16
ES2611361T3 (es) 2017-05-08
RU2014154150A (ru) 2016-07-27
WO2013182386A1 (de) 2013-12-12
JP6022046B2 (ja) 2016-11-09
CN104334417B (zh) 2017-05-17
US20150153752A1 (en) 2015-06-04
RU2619504C2 (ru) 2017-05-16
EP2858857A1 (de) 2015-04-15
KR102046350B1 (ko) 2019-11-19
EP2858857B1 (de) 2016-10-12
CN104334417A (zh) 2015-02-04
DE102012209582A1 (de) 2013-12-12
JP2015518793A (ja)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7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voltage supply of a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10340908B2 (en) Half-bridge driver fault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WO2015118772A1 (ja) 負荷駆動回路
JP6377067B2 (ja) 電子制御装置
US201403753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voltage supply for a vehicle system
CN103492235B (zh) 诊断交通工具乘客保护系统的储存电容器的方法及设备、和包含该设备的交通工具安全系统
US20080169629A1 (en) Integrated Circuit
KR20180067132A (ko) 모터 구동 ic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US11177655B2 (en) Multi-line supply unit for a vehicle control unit
KR20140055986A (ko) 스위치 릴레이 장치
CN109477862B (zh) 车载控制装置
US9482201B2 (en) Method for testing a supply circuit, and a corresponding supply circuit for at least one ignition circuit
KR20210142649A (ko) 차량용 센서 어셈블리
KR20150023343A (ko) 승객 보호 수단을 위한 집적 조정기, 특히 전압 조정기 및 제어 장치
JP6002838B2 (ja) 集積型レギュレータ、特に電圧レギュレータ、および構成可能な出力電圧を有する乗員保護手段のための制御装置
US10128738B2 (en) Determination of entering and exiting safe mode
JP4340966B2 (ja) マイコン電源電圧監視システム
US20170310259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regulator of a motor vehicle alternator, and alternator comprising the corresponding regulator
KR102598961B1 (ko) 차량 버클 감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한 차량 시스템
KR102356501B1 (ko) 점화 전류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에어백 시스템
JP7206384B2 (ja) 車両用の制御機器の過電圧保護回路、車両用の制御機器および車両用の制御機器の過電圧保護回路のテスト方法
JP2019205231A (ja) 電源供給装置
JP2020190828A (ja) 周波数異常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