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775A -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775A
KR20150022775A KR20147032586A KR20147032586A KR20150022775A KR 20150022775 A KR20150022775 A KR 20150022775A KR 20147032586 A KR20147032586 A KR 20147032586A KR 20147032586 A KR20147032586 A KR 20147032586A KR 20150022775 A KR20150022775 A KR 2015002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igital memory
spring
memory car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787B1 (ko
Inventor
쉐롱 리우
휘밍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 G06K7/004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the plurality of cards be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SD card and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트레이 및 카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공동부(hollowed portions)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카드 홀더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카드 홀더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공동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1 홈에 수납되면,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의 금속 접촉부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의 금속 접촉부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IM 카드 및 SD 카드와 호환 가능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가 실현되며, 이에 의해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설계 공간을 증가하지 않고서도 상이한 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 요건을 융통성 있게 충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DIGITAL MEMORY CARD}
본 출원은 2012년 6월 28일에 중국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 FOR FASTENING DIGITAL MEMORY CARD"인 중국특허출원 No. 201310268826.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병합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SIM 카드 및 SD 카드와 호환 가능하다.
유럽전기통신표준연구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는 애플사에서 제시한 나노 SIM 카드에 대한 설계는 선택하였으나, 노키아, RIM 및 모토로라가 공동으로 제시한 제안은 선택하지 않았다. ETSI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스마트 카드 플랫폼 기술 위원회에서 범용 집적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에 대하여 동의하였음을 발표하였다. 연구소는 애플사의 나노 SIM 카드의 사양(폭 12.3 밀리미터, 높이 8.8 밀리미터, 그리고 두께 0.67 밀리미터)이 기존의 마이크로 SIM 카드의 사양보다 40% 작다고 하였다. 최종 설계 솔루션은 기존의 SIM 카드와 하위호환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공식화할 것이고, 현재 사용 중인 SIM 카드와 동일한 기능을 계속 제안할 것이다. 산업계에서는 애플사의 나노 SIM 카드의 사양을 채택하여 왔으며, 다양한 이동 네트워크 사업자, 스마트 카드 제공업자, 및 이동 장치 제조업자가 모두 참여하였다. 나노 SIM 카드 표준의 확인 후에는, 나노 SIM 카드의 카드 홀더에 적응된 디자인 역시 출현할 것이다. 기존의 마이크로 SIM 카드의 폭넓은 응용과 관련해서, 2 가입자 식별 모듈을 위한 더 많은 디자인이 이동 단말의 설계 레이아웃과 관련해서 출현하여, 마이크로 SIM 카드와 나노 SIM 카드가 호환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공통의 사용자는 하나의 SIM 카드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마이크로 SIM 카드만을 사용할 때는, 나노 SIM 카드의 카드 홀더의 공간이 낭비가 되고, 나노 SIM 카드 홀더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확장될 수 없다. 그러므로 단말의 응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 SIM 카드의 카드 홀더의 호환성, 예를 들어, SD 카드와의 호환성을 확장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솔루션에서는, SIM 카드 및 SD 카드를 위한 투인원 카드 홀더(two-in-one card holder)는 일반적으로 적층 구조를 사용하고 있고, 2개의 카드가 상이한 카드 슬롯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 결과, 적층 구조로 인해 카드 홀더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아지고 보드 점유 면적이 크게 되어 버릴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이한 상황에서 나노 SIM 카드 또는 SD 카드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나노 SIM 카드 및 SD 카드와 호환 가능한 카드 홀더의 디자인 솔루션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SIM 카드 및 SD 카드와 호환 가능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여, 설계 공간을 증가하지 않고서도 상이한 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건을 충족한다.
제1 관점에 따르면,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트레이 및 카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공동부(hollowed portions)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카드 홀더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카드 홀더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공동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1 홈에 수납되면,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의 금속 접촉부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2 홈에 수납되면,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의 금속 접촉부와 접촉하게 된다.
제1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상기 트레이는 삽입 단부 및 외부 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 홀더는 삽입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삽입 단부를 상기 삽입 면으로부터 상기 카드 홀더로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카드 홀더에 수납될 때, 상기 외부 단부는 상기 삽입 면과 중첩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행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삽입 단부 사이의 트레이 측 상에 배치되어 있는 계단 구조체(step structure)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행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복수의 제2 스프링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스프링은 상기 트레이의 삽입 단부의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삽입 면의 피어 단부(peer end) 상에 단면 방식(single-sided manner)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행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상기 제2 스프링은 제2 고정 스프링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핀은 상기 제2 스프링을 상기 카드 홀더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회로 보드에 용접되어 있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행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복수의 제1 스프링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스프링은 상기 제2 스프링과 상기 삽입 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이며, 상기 카드 홀더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행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고정 스프링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스프링 핀은 상기 카드 홀더에 상기 제1 스프링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회로 보드에 용접되어 있다.
제7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상기 카드 홀더는 한계 스프링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한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카드 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한계 스프링 핀은 상기 트레이 한정부와 협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카드 홀더에 고정한다.
제1 관점 또는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행 방식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상기 카드 홀더는 검출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핀은 상기 제2 스프링의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구조물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가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9 가능한 실행 방식에서,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는 나노 SIM 카드이고,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는 마이크로 SD 카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따르면, 나노 SIM 카드와 마이크로 SD 카드의 위치를 수직으로 설정함으로써 유효한 접촉을 실현할 수 있는 상황에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보드 점유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설계 공간을 증가하지 않고서도 상이한 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나노 SIM 카드를 수납할 때 트레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 SD 카드를 수납할 때 트레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홀더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개폐할 때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는 트레이(1) 및 카드 홀더(2)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는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 또는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는 SIM 카드이고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는 SD 카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트레이(1) 및 카드 홀더(2)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 또는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는 SIM 카드이고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는 SD 카드이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는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홈(11), 및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홈(11)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2 홈(12) 및 제1 홈(11)은 수직 방식으로 배치되며, 제1 홈(11)의 홈 깊이는 제2 홈(12)의 깊이와 같고, 제1 홈(11) 및 제2 홈(12)은 동일한 면 내에 있다. 그러므로 트레이(1) 내의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의 위치는 트레이(1) 내의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의 위치에 수직이다. 제1 홈(11) 및 제2 홈(12)은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공동 부분(hollowed portions)(13)을 가진다.
또한, 트레이(1)는 삽입 단부(14) 및 외부 단부(15)를 더 포함하며, 카드 홀더(2)는 삽입 면(23)을 더 포함한다.
또한, 외부 단부(15)는 제1 홈(11) 및 제2 홈(12)이 위치하는 면에 수직인 배플(baffle)이며, 외측 단부(15)의 크기 및 형상 모두는 삽입 면(23)의 크기 및 형상과 같다.
트레이(1) 및 카드 홀더(2)가 조립될 때, 삽입 단부(14)는 먼저 카드 홀더(23)의 삽입 면(23)으로부터 카드 홀더로 삽입된다. 트레이(1)가 카드 홀더(2)에 완전히 삽입되면, 트레이(1) 및 카드 홀더(2)의 조립이 완료된 후 외부 단부(15)가 삽입 면(23)과 중첩되어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의 외부 표면을 직육면체로 형성한다.
또한, 트레이(1)는 계단 구조체(step structure)(16)를 더 포함하며, 이 계단 구조체는 제1 홈(11)과 삽입 단부(14) 사이의 트레이(1)의 한 측면 상에 위치하며, 여기서 계단 구조체(16)에서의 트레이의 폭은 비계단 구조체에서의 트레이의 폭보다 좁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홀더(2)는 제1 스프링(21) 및 제2 스프링(22)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레이(1)가 카드 홀더(2)에 삽입될 때, 제1 스프링(21) 및 제2 스프링(22)이 공동 부분(13)으로부터 돌출하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가 제1 홈(11)에 수납될 때, 제1 스프링(21)이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게 되고,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가 제2 홈(12)에 수납될 때, 제2 스프링(22)이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스프링(21)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스프링은 제2 스프링(22)과 삽입 면(23)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트레이(1)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하며, 카드 홀더(1)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스프링(21)은 중간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는 탄성 아크 구조체이고,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의 금속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프링(21)은 제1 고정 스프링 핀(21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스프링 핀은 카드 홀더(2)에 제1 스프링(21)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회로 보드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스프링(22)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스프링은 트레이의 삽입 단부의 방향에 수직이고 삽입 면(23)의 피어 단부(peer end)(24) 상에 단면 방식(single-sided manner)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스프링(22)은 중간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는 탄성 아크 구조체이고,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의 금속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스프링(22)은 제2 고정 스프링 핀(22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스프링 핀은 제2 스프링(22)을 카드 홀더(2)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회로 보드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카드 홀더(2)는 한계 스프링 핀(25)을 더 포함하며, 트레이(1)는 트레이 한정부(17)를 더 포함하며, 트레이(1)가 카드 홀더에 삽입될 때, 한계 스프링 핀(25)은 트레이 한정부(17)와 협동하여 트레이(1)를 카드 홀더(2)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카드 홀더(2)는 검출 핀(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핀은 제2 스프링(22)의 한 쪽에 배치되고,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 또는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가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 핀(26)은, 카드 홀더(2)의 내측에서, 제1 스프링(21) 중 하나의 스프링 및 제2 스프링(22) 중 하나의 스프링과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가 카드 홀더(2)에 삽입될 때,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제1 스프링 핀(21)을 사용하여 검출 핀(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제2 스프링 핀(22)을 사용하여 검출 핀(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가 존재하는지 또는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가 존재하는지는 검출 핀(26)에 의해 수신되는 금속 접촉부의 전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검출된다. 카드 홀더(2) 내의 검출 핀(26)의 위치는 트레이(1)의 계단 구조체(16)의 위치에 대응하고, 이에 따라 검출 핀(26)은 트레이(1)가 카드 홀더(2) 내에 위치할 때 카드 홀더(2)에 의해 차단됨이 없이 계단 구조체(16)로부터 돌출한다. 카드를 검출하는 기능은 계단 구조체(16)의 위치에 검출 핀(26)을 위치시킴으로써 보드 점유 면적을 추가로 증가하지 않고서도 실현될 수 있다.
트레이(1)가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를 유지하면서 카드 홀더(2)에 삽입되면,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의 복수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카드 홀더(2)의 복수의 제1 스프링(21)과 개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제1 스프링(21)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가 탄성 접촉부에 의해 카드 홀더의 내벽에 밀접하게 되도록 누르며, 이에 따라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고정되고, 제1 스프링(21)의 제1 고정 스프링 핀(211)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회로 보드에 접속되어,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3)의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트레이(1)가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4)를 유지하면서 카드 홀더(2)에 삽입되면,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의 복수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카드 홀더(2)의 복수의 제2 스프링(22)과 개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제2 스프링(22)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제2 스프링을 통해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가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고정된다.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4)는 제2 스프링(22)의 제2 고정 스프링 핀(221)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회로 보드에 접속되어,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2)의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서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트레이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에 대응해서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이 카드 슬롯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는 최소의 점유 면적 및 최소의 높이의 경우로 2개의 디지털 메모리 카드, 즉 SIM 카드 및 SD 카드에 효과적으로 호환 가능하게 되어, 상이한 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건을 융통성 있게 충적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는 특히 2개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가지는 단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동 전화의 신형 SIM 카드, 즉 나노 SIM 카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는 특히 기존의 SD 카드의 크기에 기초해서 마이크로 SD 카드 및 나노 SIM 카드와의 호환성을 달성하도록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는 또한 마이크로 SIM 카드 및 마이크로 SD 카드와의 호환성을 달성하도록 적용 가능하거나, 두께 및 크기가 비슷한 다른 디지털 메모리 카드와의 호환성을 달성하도록 적용 가능하다.
마이크로 SD 카드, 나노 SIM 카드 및 마이크로 SIM의 크기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디지털 메모리 카드 길이 (mm) 높이 (mm) 두께 (mm)
마이크로 SD 15 11 0.7
나노 SIM 12.3 8.8 0.67
마이크로 SIM 15 12 0.76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SD 카드의 높이는 나노 SIM 카드의 길이와 매우 유사하며, 마이크로 SD 카드의 두께 역시 나노 SIM 카드의 두께와 매우 유사하다. 그러므로 크기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직 방식으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배치하는 솔루션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2개의 가입자 식별 모듈과의 호환성은 2개의 카드의 크기 특성을 완전하게 활용함으로써 최소 보드 점유 면적의 경우에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기초하고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특정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SD 카드 및 나노 SIM 카드와 호환 가능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관련된 개략적인 도면에서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의 금속 접촉부와 함께 면을 놓는 방향이 밑면의 역할을 한다는 것과 외부 단부가 전면 측의 역할을 하는 것을 기준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상부, 중간부, 하부, 좌 및 우 도면은 각각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 밑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나노 SIM 카드가 수납될 때의 트레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SIM 카드(3)는 트레이(1)의 제1 홈(11)에 수납되고, 여기서 제1 홈(11)의 형상 및 크기는 나노 SIM 카드(3)의 형상 및 크기와 일치한다. 나노 SIM 카드(3)의 6개의 금속 접촉부(31)는 제1 홈(11)과 제2 홈(12) 사이의 공동부(hollowed portion)(13)로부터 돌출한다.
도 4는 마이크로 SD 카드가 수납될 때의 트레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SD 카드(4)는 트레이(1)의 제2 홈(12)에 수납되고, 여기서 제2 홈(12)의 형상 및 크기는 마이크로 SD 카드(4)의 형상 및 크기와 일치한다. 마이크로 SD 카드(4)의 8개의 금속 접촉부(41)는 제1 홈(11)과 제2 홈(12) 사이의 공동부(13)로부터 돌출한다.
트레이(1)는 또한 제2 홈(12) 내에서 좌측 상에는 트레이 한정부(17)를 가지고 트레이(1)의 우측 상에는 계단 구조체(16)를 가진다. 또한, 트레이(1)는 또한 삽입 단부(14) 및 외부 단부(15)를 포함한다. 전술한 부분 모두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5는 카드 홀더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홀더(2)는 제1 스프링(21), 제2 스프링(22), 삽입 면(23), 피어 단부(24), 한정 스프링 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검출 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전술한 부분은 모두 실시예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제1 스프링(21)의 수는 6이며, 제2 스프링(22)의 수는 9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개폐할 때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나노 SIM 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마이크로 SD 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는 트레이(1)를 카드 홀더(2)에 삽입하는 동안, 트레이(1)는 삽입 면(23)으로부터 도면에 도시된 방향 A로 카드 홀더(2)에 삽입된다. 트레이(1)가 카드 홀더(2)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즉,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가 닫히면, 나노 SIM 카드의 6개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카드 홀더(2)의 6개의 제1 스프링(21)과 개별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제1 스프링(21)은 탄성력을 가지며, 제1 스프링을 통해 나노 SIM 카드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고정되며; 나노 SIM 카드는 제1 스프링(21)의 제1 고정 스프링 핀(211)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회로 보드에 접속되며; 이 방법에서, 나노 SIM 카드가 설치되어 있는 단말 장치는 나노 SIM 카드를 사용하여 통신과 같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마이크로 SD 카드의 8개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카드 홀더(2)의 9개의 제2 스프링(22)과 개별적으로 접촉하고, 마이크로 SD 카드의 금속 접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우측 상의 4개의 금속 스프링은 제2 스프링(22)의 우측 상의 제4 스프링 및 제5 스프링과 접촉하며; 제2 스프링(22)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제2 스프링을 통해 마이크로 SD 카드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에 고정되며; 마이크로 SD 카드는 제2 스프링(22)의 제2 고정 스프링 핀(221)을 사용하여 외부 회로 보드에 접속되고; 이 방법에서, 마이크로 SD 카드가 설치되어 있는 단말 장치는 마이크로 SD 카드를 사용하여 저장 장치를 확장할 수 있다.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가 열리면, 나노 SIM 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또는 마이크로 SD 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는 트레이(1)는 카드 홀더(2)로부터 도면에 도시된 방향 B로 제거 또는 배출된다. 제1 스프링(21) 및 제2 스프링(22)은 탄성의 아크 구조체이며; 그러므로 트레이(1)를 제거 또는 배출하는 프로세스에서, 트레이(1)가 나노 SIM 카드 또는 마이크로 SD 카드의 금속 접촉부에 걸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트레이를 제거하는 특정한 방식은 푸시-풀(Push-Pull) 방식 또는 푸시-푸시(Push-Push)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SD 카드의 폭이 나노 SIM 카드의 길이와 거의 같고 마이크로 SD 카드의 두께가 나노 SIM 카드의 두께와 매우 같다는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그리고 나노 SIM 카드의 위치를 마이크로 SD 카드의 위치에 수직으로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마이크로 SD 카드 및 나노 SIM 카드와 호환 가능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것은 유효한 접촉부가 실현될 수 있는 조건에서 고정하는 장치의 보드 점유 면적을 최소화한다. 이 방법에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설계 공간을 증가하지 않고서도 상이한 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전술한 특정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로운 효과를 더 설명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행 방식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 등가의 대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트레이 및 카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공동부(hollowed portions)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카드 홀더는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카드 홀더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공동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1 홈에 수납되면,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의 금속 접촉부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2 홈에 수납되면,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의 금속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삽입 단부 및 외부 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 홀더는 삽입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삽입 단부를 상기 삽입 면으로부터 상기 카드 홀더로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카드 홀더에 수납될 때, 상기 외부 단부는 상기 삽입 면과 중첩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삽입 단부 사이의 트레이 측 상에 배치되어 있는 계단 구조체(step structure)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스프링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스프링은 상기 트레이의 삽입 단부의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삽입 면의 피어 단부(peer end) 상에 단면 방식(single-sided manner)으로 배치되어 있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은 제2 고정 스프링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스프링 핀은 상기 제2 스프링을 상기 카드 홀더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회로 보드에 용접되어 있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스프링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스프링은 상기 제2 스프링과 상기 삽입 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카드 홀더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고정 스프링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스프링 핀은 상기 카드 홀더에 상기 제1 스프링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회로 보드에 용접되어 있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홀더는 한계 스프링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한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카드 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한계 스프링 핀은 상기 트레이 한정부와 협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카드 홀더에 고정하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홀더는 검출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핀은 상기 제2 스프링의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구조체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가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메모리 카드는 나노 SIM 카드이고, 상기 제2 디지털 메모리 카드는 마이크로 SD 카드인,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147032586A 2013-06-28 2014-06-27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1568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68826.1 2013-06-28
CN201310268826.1A CN103367951B (zh) 2013-06-28 2013-06-28 数码卡固定装置
PCT/CN2014/080929 WO2014206332A1 (zh) 2013-06-28 2014-06-27 数码卡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75A true KR20150022775A (ko) 2015-03-04
KR101568787B1 KR101568787B1 (ko) 2015-11-12

Family

ID=4936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586A KR101568787B1 (ko) 2013-06-28 2014-06-27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14772B2 (ko)
EP (2) EP2858182B1 (ko)
JP (1) JP5867656B2 (ko)
KR (1) KR101568787B1 (ko)
CN (1) CN103367951B (ko)
ES (1) ES2712449T3 (ko)
WO (1) WO20142063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861B1 (ko) * 2015-09-02 2016-11-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콘텍트의 절연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190083569A (ko) * 2018-01-04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24994B2 (en) 2016-03-03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device having multi-receiving p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7951B (zh) * 2013-06-28 2016-03-02 华为终端有限公司 数码卡固定装置
CN104425920B (zh) * 2013-08-21 2017-05-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抽屉座及具有该抽屉座的电子卡连接器
CN104682094B (zh) * 2013-11-27 2018-01-19 铜陵铜峰精密科技有限公司 防溃pin托架
CN103715554A (zh) * 2014-01-14 2014-04-09 东莞市星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并排式卡座
CN104795651B (zh) * 2014-01-22 2017-10-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3928806A (zh) * 2014-04-04 2014-07-16 昆山杰顺通精密组件有限公司 紧凑式连接器
US9183420B1 (en) * 2014-06-20 2015-11-10 Nokia Technologies Oy Reader for electronic cards
CN104124587B (zh) * 2014-07-24 2017-10-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可安装Nano‑SIM卡的TF卡连接器及手机
WO2016015305A1 (zh) * 2014-07-31 2016-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卡座和移动终端
WO2016015309A1 (zh) * 2014-07-31 2016-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三合二卡座及包含该卡座的移动终端
US9658641B2 (en) * 2014-09-29 2017-05-23 Apple Inc. Cosmetically self-centering removable module tray
CN104394245A (zh) * 2014-10-24 2015-03-04 昆山捷皇电子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两用型手机卡槽
CN106207578B (zh) * 2015-05-07 2020-09-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卡托和电子设备
KR102283147B1 (ko) * 2015-05-07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전자 장치
US10283915B2 (en) * 2015-05-07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4906372U (zh) * 2015-05-28 2015-12-23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卡托、兼容卡的装置和移动终端
CN106329176A (zh) * 2015-06-29 2017-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5245642B (zh) * 2015-08-31 2018-03-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卡托及终端
CN105245641B (zh) * 2015-08-31 2018-06-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卡托及终端
CN205004549U (zh) * 2015-09-30 2016-01-27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CN107611682B (zh) * 2015-12-24 2019-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卡座、插卡装置及移动终端
CN108199739B (zh) * 2016-02-01 2019-07-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合一卡座
KR102460453B1 (ko) * 2016-02-19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저장매체를 장착 가능한 전자 장치
CN105812010B (zh) * 2016-05-18 2018-09-2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卡托及移动终端
KR102601969B1 (ko) * 2016-08-12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6821B1 (ko) * 2016-09-27 2023-0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드 홀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9886654B1 (en) * 2017-08-20 2018-02-06 Almora, LLC Rotary tray holder
US10078797B1 (en) 2017-08-20 2018-09-18 Almora, LLC Stem ejectable component assembly
CN112001471A (zh) * 2017-12-22 2020-11-2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存储卡及移动终端
CN109948767A (zh) * 2018-02-01 2019-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卡和终端
WO2019157676A1 (zh) 2018-02-13 2019-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卡座及移动终端
WO2019169543A1 (en) * 2018-03-06 2019-09-12 Intel Corporation Memory device with embedded sim card
KR20190131713A (ko) * 2018-05-17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플래시 메모리,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장치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63105B2 (en) 2018-10-16 2023-09-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mory card, memory card adapter, and terminal device
CN111428839A (zh) * 2018-12-20 2020-07-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存储卡、连接器以及功能卡的识别方法
CN209562543U (zh) * 2019-01-02 2019-10-29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Sim卡座
CN110600914A (zh) * 2019-09-25 2019-12-20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卡座连接器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8780B1 (fr) * 2000-12-27 2003-03-28 Siemens Vdo Automotive Sas Dispositif de maintien d'une carte electronique dans un dispositif de lecture correspondant
JP3803098B2 (ja) * 2002-11-28 2006-08-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686119Y (zh) * 2004-03-09 2005-03-16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多卡共用连接器
JP2008053124A (ja) * 2006-08-25 2008-03-06 Jst Mfg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4385047B2 (ja) * 2006-12-06 2009-12-16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KR101132416B1 (ko) * 2007-06-04 2012-04-03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폰용 메모리카드 및 sim카드 장착소켓
DE102007036120B4 (de) * 2007-08-01 2010-05-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Modulare SIM-Kartenlesevorrichtung mit federbelasteter Schublade
JP5083690B2 (ja) * 2008-05-29 2012-11-28 Smk株式会社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CN201436711U (zh) * 2009-06-12 2010-04-07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卡连接器
CN201638988U (zh) * 2010-02-04 2010-1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SG186516A1 (en) * 2011-06-30 2013-01-30 Molex Singapore Pte Ltd Card connector
CN102510416A (zh) * 2011-11-30 2012-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字卡承托盘及具有该数字卡承托盘的移动通讯装置
JP5424003B2 (ja) * 2012-02-28 2014-02-26 Smk株式会社 トレイ式カードコネクタ
JP5541470B2 (ja) * 2012-06-01 2014-07-09 Smk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トレイ式引出し部構造
CN102946026A (zh) * 2012-11-16 2013-02-27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及其托盘
CN203071270U (zh) * 2013-01-18 2013-07-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卡连接器和移动通信装置
CN103367951B (zh) * 2013-06-28 2016-03-02 华为终端有限公司 数码卡固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861B1 (ko) * 2015-09-02 2016-11-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콘텍트의 절연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11024994B2 (en) 2016-03-03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device having multi-receiving part
KR20190083569A (ko) * 2018-01-04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8182A4 (en) 2015-07-15
JP2015522894A (ja) 2015-08-06
EP3220485A1 (en) 2017-09-20
CN103367951A (zh) 2013-10-23
EP2858182A1 (en) 2015-04-08
CN103367951B (zh) 2016-03-02
EP3220485B1 (en) 2018-12-05
JP5867656B2 (ja) 2016-02-24
WO2014206332A1 (zh) 2014-12-31
US20150079847A1 (en) 2015-03-19
EP2858182B1 (en) 2017-03-01
US9214772B2 (en) 2015-12-15
ES2712449T3 (es) 2019-05-13
KR101568787B1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787B1 (ko)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20070259567A1 (en) Multiple mode micro memory card connector
US9904648B2 (en) Card connector suitable for insertion of card, base suitable for insertion of device, and terminal
KR102079614B1 (ko) 쓰리인투 카드 홀더 및 카드 홀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20090303689A1 (en) Chip card hold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03312488U (zh) 卡连接器以及卡连接器组件
CN203071270U (zh) 卡连接器和移动通信装置
CN104485548A (zh) 存储卡及卡槽装置
CN203967442U (zh) 卡用连接器
US9208406B2 (en) Dual card connector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WO2018053681A1 (zh) Sim卡座及用户终端
CN105790014B (zh) 数码卡固定装置
KR101424229B1 (ko) 슬림형 마이크로심 커넥터
CN202487837U (zh) 卡连接器
CN101778533A (zh) 电路板组件及具有该电路板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CN203481575U (zh) 电子卡连接器
CN202333320U (zh) 卡连接器
KR101595235B1 (ko) 테스트용 도피공간을 구비한 심 카드 소켓
CN104701697A (zh) 一种手机卡座
CN112531377A (zh) 一种支持差分信号通信的多功能卡卡连接器、卡座和终端
WO2016011605A1 (zh) 数码卡连接器
TWM464849U (zh) 卡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