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949A - 정제 취출 관리 용기 - Google Patents

정제 취출 관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949A
KR20150021949A KR1020147035896A KR20147035896A KR20150021949A KR 20150021949 A KR20150021949 A KR 20150021949A KR 1020147035896 A KR1020147035896 A KR 1020147035896A KR 20147035896 A KR20147035896 A KR 20147035896A KR 20150021949 A KR20150021949 A KR 2015002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tablet
upper case
lower case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도도
기요시 구보타
겐지 이케모토
도루 미와타
Original Assignee
쥬오쇼코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노 세이사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이와타 라벨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오쇼코 가부시키가이샤, 기타노 세이사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이와타 라벨,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오쇼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61J7/04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automatically changing in response to a schedule deviation by the pat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45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65D2583/0454Flat container with slide cover, i.e.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is slightly more than the thickness of on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65D2583/0477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dispensing of several successive articles or doses
    • B65D2583/0481One reciprocating action, e.g. to or from
    • B65D2583/0486Linear action transformed in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dispens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상부 케이스에,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 취출구와 취출 대기부의 사이에 아래로 늘어지는 걸어멈춤 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에,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취출 대기부의 걸어멈춤 돌기에 대해서 반대의 측에,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를 향하여 가압하기 위한 푸셔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걸어멈춤 돌기는,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시에,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는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감과 함께,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 측의 면을 걸어 멈추도록 되어 있다. 센서부가, 취출 대기부에서 취출구로 이동하는 1개의 정제의 통과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정제의 취출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는 데이터 기록부에 기록된다.

Description

정제 취출 관리 용기{CONTROLLED PILL DISPENSING CONTAINER}
본 발명은, 복수의 정제(Pill)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정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으로서 각종 정제(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캡슐제도 포함하는 표현이다)가 이용되고 있다. 정제에는, 약국 등에서 시판되고 있는 것도 있으며, 병원 등에서 처방되는 것도 있다.
병원 등에서 처방되는 정제는, 지시된 복용(약제에 따라서는 복용 시간까지)을 준수하는 것에 의해서, 약효가 기대되는 것이다. 그러나, 정제의 복용 준수율(Compliance)은, 약제 영역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낮다는 것이, 최근의 구미에서의 조사에 의해 명백해졌다. 평균적인 컴플라이언스는, 구미 등의 선진국에서도 50% 정도, 개발도상국에서는 30%대였다. 일본 국내에 있어서는, 과학적 근거를 가진 데이터가 없지만, 40~50%라고 알려져 있다.
환자에게 복용 시간을 준수시키는 것은, 의료의 현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또한 중대한 문제로 인식되고는 있다. 그렇지만, 종래에 있어서는 효과적인 방책이 없고, 사전동의(Informed consent)에 의해서 환자 의식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 유효한 대응책이 정리되어 있지 않았다.
최근이 되어서야 겨우, 「PTP(Press-Through Package) 포장: 정제 개별 포장」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환자 컴플라이언스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구미에서는 그 성과가 확인되었고, 그 상품의 일본 내로의 전개도 시작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MWV사(USA)의 PTP 카드 포장(어드헤런스 포장(adherence ≒ compliance)로 명명되어 있다)이며, 미국 시장에서 수억 케이스의 판매 실적이 있다.
또한, PTP 포장에 전자 디바이스를 탑재하여, 복약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실현한 포장(모니터링 포장으로 칭해지고 있다)도 있다. Cypak사(Swed.), Stra Enso사(Swed.), Confrerie사(Switz.) 등이 실제로 상품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모니터링 포장은, 약제의 취출(取出) 시간을 자동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환자에게의 복약 시간의 알림 기능이나, 환자에게의 질문 기능(pain control 등에 효과적) 등을 더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는,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2064호
그렇지만, MWV사의 어드헤런스 포장이나 Confrerie사의 모니터링 포장 등, 「PTP(Press-Through Package) 포장」을 개선한 포장은, 비용이 비싸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에 비추어서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정제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정제 용기로서,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고, 또한, 정제 취출에 관한 정보를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정제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용기 본체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동시에는 1개씩만 정제를 취출 가능한 크기로 취출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취출구에 연통하는 취출 대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 상기 취출구와 상기 취출 대기부의 사이에 걸어멈춤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상기 취출 대기부의 상기 걸어멈춤 돌기에 대해서 반대의 측에,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를 향하여 가압하기 위한 푸셔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돌기는,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걸어멈춤 돌기의 변형 내지 변위에 의해서,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는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는 동시에,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측의 면을 걸어멈춤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취출 대기부로부터 상기 취출구로 이동하는 1개의 정제의 통과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정제의 취출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데이터 기록부를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제의 취출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를 구비한 것에 의해, 정제의 취출에 관한 정보를 자동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제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를 구비한 것에 의해,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고, 반복 사용하는 것도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상기 걸어멈춤 돌기의 휨 변형에 의해서, 상기 걸어멈춤 돌기가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는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는 동시에,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측의 면을 걸어멈추지만, 상기 푸셔 부재가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를 취출구를 향하여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가 1개만 취출구로부터 취출되게 된다.
이러한 정제 취출 원리 때문에, 1회의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으로 취출되는 정제의 수를, 보다 확실히 항상 1개로 할 수 있고, 정제 취출에 관한 정보를 정제 복용에 관한 정보로 보다 확실히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제 취출 원리에 의하면, 케이스의 측면에 취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즉, 케이스의 측면에서 정제를 꺼낼 수 있고, 이용자의 편리성이라는 점에서도 현저하게 우수하다.
상기 걸어멈춤 돌기는, 예를 들면, 상부 케이스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도록 형성된다. 혹은, 상기 걸어멈춤 돌기는, 상부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휨 변형부와, 상기 휨 변형부를 누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이동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휨 변형부와 슬라이드 이동부는, 서로 접촉 가능한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서로의 단부(端部) 등에서 결합된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센서부는, 예를 들면, 정제의 통과를, 상기 정제의 통과에 의해 변형 또는 변위하는 도전체와 전기 단자와의 도통에 의해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저비용 그리고 컴팩트하게 센서부를 실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염가이지만 고성능인 시판의 스위치 소자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통시에만 전력이 소비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는 타임 로거이다. 이 경우, 정제 취출의 시간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있고, 상기 취출구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정제 취출 용기로서 일반적이고, 이용자의 편리성이라는 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기 푸셔 부재를 우회하여 상기 취출 대기부까지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정제 안내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가 채용되는 경우, 정제의 용기 본체 내에서의 원활한 안내가 원활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를 흔드는 등 하여 정제의 이동을 조정하는 작업(수고)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부 케이스 측으로 상승하는 리브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하부 케이스 측에 아래로 늘어지는 리브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케이스가 과잉으로 휘어져 변형되어 버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때문에, 용기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리브 대신에, 리브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복수의 불연속의 돌기부(보스(boss))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CR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CR 기구란, Child Resistance(소아 오복용) 기능을 담당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구미 선진국에서는, 법규제에 수반된 사용 의무 대상의 기구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예를 들면, CR 기구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다른 쪽을 향해 돌출하는 갈고리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다른 쪽에 마련되어서 상기 갈고리부와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는 갈고리 받이부와, 상기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 받이부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 받이부의 한쪽을 상기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 받이부의 다른 쪽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양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가 채용되는 경우, 탄성부가 변형하지 않고 있는 통상 상태에서는 충분한 CR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탄성부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CR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정제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하여,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고, 또한, 정제 취출에 관한 정보를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제 취출 용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정제 취출 동작(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는 정제의 이동과 스위치부 상태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타임 로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타임 로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정제 취출 용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정제 취출 동작(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는 정제의 이동과 도전 와이어의 도통 상태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는, 서로 슬라이드하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복수의 정제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가 하부 케이스(12)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용기 본체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가 하부 케이스(12)에 대해서 약간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 정제 취출을 위한 취출구(13)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취출구(13)는, 동시에는 1개씩만 정제를 취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형상에 대해 언급하자면,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부 케이스(11)는, 하부 케이스(12)에 대해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있고, 취출구(13)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구(13)에 연통하는 부위가 취출 대기부(15)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하부 케이스(12)에는, 취출구(13)에 연통하는 취출 대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에,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취출구(13)와 취출 대기부(15)의 사이에 아래로 늘어지는 걸어멈춤 돌기(2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걸어멈춤 돌기(23)는, 상부 케이스(11)로부터 늘어지는 단면 타원 형상의 통부(23c)와, 상기 통부에서 취출구(13)와 취출 대기부(15)의 사이까지 연장되는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가동 걸어멈춤부(23m)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가동 걸어멈춤부(23m)의 휨 변형에 의해서,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는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는 동시에,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측의 면을 걸어멈춤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걸어멈춤 돌기(23)의 가동 걸어멈춤부(23m)는 이러한 변형 성능(탄성)을 가지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 1 및 도 2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의 걸어멈춤 돌기(23)가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는 모습을 평면에서 보는 것으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1)의 상면측에, 전자 디바이스판(2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11r)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1r)는, 바닥면과 전자 디바이스판(21)의 측방을 둘러싸는 4개의 측벽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오목부(11r)에, 전자 디바이스판(21)이 끼워 맞춰져 있다.
전자 디바이스판(21)은, 그 측면에 있어서, 가압력을 받으면 후퇴 함몰되는 스위치부(21s)가 노출되어 있고, 해당 스위치부(21s)는, 상부 케이스(11)의 수용 오목부(11r)의 대응하는 측벽에 마련된 개구창(11w)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걸어멈춤 돌기(23)는, 가동 걸어멈춤부(23m)의 휨 변형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부(21s)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작동부(23p)를 가지고 있다. 한편,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가압 작동부(23p)의 진동 등에 의한 오동작을 억제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의 걸어멈춤 돌기(23)에는,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2)에 마련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정제 안내 레일(12r)의 단부와 걸어맞추는 오목부(23r)가 마련되어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하부 케이스(12)에는,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취출 대기부(15)의 걸어멈춤 돌기(23)에 대해서 반대의 측에, 상부 케이스(11)의 개방 동작시에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13)를 향해서 가압하기 위한 푸셔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설명을 보충하자면, 상부 케이스(11)의 개방 동작시,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는 정제는, 최초에 걸어멈춤 돌기(23)에 의해서 취출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누르지만, 그 가압력에 대항하도록, 즉,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13)를 향해서 반대로 누르기 위해서, 푸셔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푸셔 부재(25)는, 직선 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은 하부 케이스(12)의 측벽에 고정되고, 그 타단측이 정제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케이스(12)에, 푸셔 부재(25)를 우회하여 취출 대기부(15)까지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정제 안내 레일(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안내 레일(24)은, 푸셔 부재(25)로부터 멀어진 측(푸셔 부재(25)를 우회시키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측)에서 굴곡하여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케이스(11)의 수용 오목부(11r)에 대한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푸셔 부재(25) 자체도, 취출 대기부(15)까지 정제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 하부 케이스(12)에는, 상부 케이스(11) 측으로 상승하는 리브(27)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기 디바이스판(21)에는, 또한, 스위치부(21s)의 후퇴 함몰 동작(피가압 동작)의 유무에 근거하여 정제의 취출(통과) 유무를 검출(판단)하는 회로와, 상기 검출 결과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부가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제의 취출 유무의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는 타임 로거(30)가 탑재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타임 로거(3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5는 그 개략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타임 로거(30)는, 타이머 부가 IC 칩인 본체부(31)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32)와,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33)와, 입력 단자 접속부(34)와, 배터리 기동을 위한 기동 버튼(35)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타임 로거(30)는, 또한, 본체부(31)와 안테나(33)를 보호함과 함께, 기동 버튼(35)의 조작을 위한 여유(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보호 기재(36)를 가지고 있다. 기동 버튼(35) 대신에, 절연 테이프를 회로 내에 개재시켜 두고, 유저가 그것을 발취하는 형태도 채용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병원 등에서, 환자에게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가 건네지기 직전에, 상기 용기(10)의 사용 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 환자에게 설명이 행해진다. 환자의 이해가 확인된 후, 기동 버튼(35)이 가압 조작되거나, 또는, 절연 테이프가 발취되거나 하여, 타임 로거(30)가 ON 상태로 된다. 환자는, 이러한 상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를 지참하여 귀가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하고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휴대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환자는, 미리 정해져서 통지된 복용 시간마다,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에서 1개씩 정제를 취출하여 복용한다.
여기서, 환자가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에서 1개씩 정제를 취출하기 위해서, 우선, 하부 케이스(12)의 취출구(13)가 하측이 되는 자세로 정제 취출 용기(10)가 파지된다. 이때, 정제 안내 레일(24)과 푸셔 부재(25)에 의한 정제 안내 기능에 의해, 1개의 정제가 취출 대기부(15)에 도달하고, 후속의 1개의 정제가 이것을 뒤따른다(도 3(a) 참조). 도 3(a) 내지 도 3(c)에 있어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이들 2개의 정제만이 도시되어 있다. 취출 대기부(15)에 도달한 정제는, 걸어멈춤 돌기(23)에 의해서 걸어 멈춰진다(도 3(a) 참조).
다음에, 상부 케이스(11)의 개방 동작이 실시된다. 즉, 상부 케이스(11)가 하부 케이스(12)에 대해서 약간 슬라이드 이동된다(도 3(b) 참조). 이때,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가, 걸어멈춤 돌기(23)에 의해서 취출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러진다. 그러나, 그 가압력에 대항하도록, 즉,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13)를 향해서 반대로 누르기 위해서, 푸셔 부재(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는, 당분간은 움직이지 않는다.
대신에, 걸어멈춤 돌기(23)의 가동 걸어멈춤부(23m) 쪽이 그 변형 성능에 의해서 휘어져서,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려고 한다. 그리고, 걸어멈춤 돌기(23)의 가동 걸어멈춤부(23m)가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의 취출구(13)측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떨어진 순간, 즉, 상기 정제의 걸어멈춤 기능을 해제한 순간, 푸셔 부재(25)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정제는 취출구(13)를 향해서 튀어나오도록 이동된다. 한편, 걸어멈춤 돌기(23)의 가동 걸어멈춤부(23m)는, 취출 대기부(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 측의 면을 걸어멈춘다. 이 상태가 도 3(c)의 상태이다.
그 후, 이용자는, 상부 케이스(11)의 하부 케이스(12)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원위치로 되돌린다.
이들 일련의 정제 취출 조작 중에서, 스위치부(21s) 상태(도통 상태)가 변화한다. 즉, 도 3(a)의 상태에서는 후퇴 함몰되어 있지 않았던 스위치부(21s)가, 도 3(b)의 상태에서는 누름 작동부(23p)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서 후퇴 함몰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b)의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 돌기(23)의 가동 걸어멈춤부(23m)의 탄성 변형에 연동하여, 걸어멈춤 돌기(23)의 누름 작동부(23p)가 스위치부(21s)를 누르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부(21s)가 후퇴 함몰된다. 이 후퇴 함몰 동작(피가압 동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정제의 취출(통과)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디바이스판(21)에 마련된 타임 로거(30)가, 정제의 취출 유무의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한다. 타임 로거(30)의 전기적 동작은, 배터리(3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처리된다. 이 때문에, 배터리(32)는, 충전 가능 내지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용자는, (1) 취출구(13)가 하측이 되는 자세로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를 파지하여, (2) 상부 케이스(11)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는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정제를 바르게 1개만 취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12)의 측면에 취출구(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의 측면에서 정제를 취출할 수 있고, 이용자의 편리성이라는 점에서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부 케이스(11)는 하부 케이스(12)에 대해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있고, 취출구(13)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취출 용기로서 일반적인 형상으로서, 이용자의 편리성이라는 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12)에 푸셔 부재(25)를 우회하여 취출 대기부(15)까지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정제 안내 레일(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의 용기 본체 내에서의 원활한 안내가 원활하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를 흔드는 등 하여 정제의 이동을 조정하는 작업(수고)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푸셔 부재(25) 자체가 정제를 안내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정제의 용기 본체 내에서의 원활한 안내가 더 원활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11)에 상부 케이스(12) 측에 상승하는 리브(27)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11)가 과잉으로 휘어져 변형되어 버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때문에, 용기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부 케이스(11)로부터 하부 케이스(12) 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된 수용 오목부(11r)가 하부 케이스(12)의 정제 안내 레일(24)에 대해서 스토퍼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11)가 하부 케이스(12)로부터 과도하게 슬라이드 되어 버려서 내부의 정제가 산란되어 버린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일련의 정제 취출 조작에 있어서, 환자의 아무런 조작도 의도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정제의 취출 유무의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정제의 취출 시간, 즉 복용 시간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환자의 다음의 내원시에, 병원이 환자로부터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를 회수한다. 그리고, 전용의 리더에 의해 타임 로거(30)의 기록을 PC 상에서 읽어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타임 로거(30)의 기록을, 그 후의 복약 지도나 효과적인 치료법의 결정 등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의 이용 형태는, 의약 제품으로서 병원에 제공되는 경우와, 이체 용기로서 제공되는 경우의 2 타입을 생각할 수 있다. 전자는 1회용 사용이 되지만, 후자는 병원에서 약제를 장전하고 환자에게 전달되고, 배터리의 수명의 범위에서 반복 사용된다. 후자의 이체 용기인 경우, 타임 로거(30)의 기록이 리셋되고, 기동 버튼(35)이 다시 눌러져서, 타임 로거(30)가 OFF 상태로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의 본체 용기 내부가 세정된다. 그 후, 상기 정제 취출 관리 용기(10)는, 동일 혹은 다른 정제 처방을 위해서, 반복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210)도, 서로 슬라이드하는 상부 케이스(211)와 하부 케이스(2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211)와 하부 케이스(212)가, 복수의 정제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211)가 하부 케이스(212)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용기 본체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상부 케이스(211)가 하부 케이스(212)에 대해서 약간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 정제 취출을 위한 취출구(213)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취출구(213)는, 동시에는 1개씩만 정제를 취출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형상에 대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부 케이스(211)는 하부 케이스(212)에 대해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있고, 취출구(213)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취출구(213)에 연통하는 부위가 취출 대기부(215)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하부 케이스(212)에는, 취출구(213)에 연통하는 취출 대기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211)에,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 있어서의 취출구(213)와 취출 대기부(215)의 사이에 돌출하는 걸어멈춤 돌기(22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걸어멈춤 돌기(22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1)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부(223f)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223f)로부터 연장되는 휨 변형 와이어(223m)와, 상기 휨 변형 와이어(223m)를 누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이동부(223s)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이동부(223s)의 일단측이,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취출구(213)와 취출 대기부(215)의 사이에 돌출하고 있다.
슬라이드 이동부(223s)는, 상부 케이스(211)에 형성된 안내 레일(211g)과, 하부 케이스(212)에 마련된 저벽부(224e)에 의해서,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이 규제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211)의 개방 동작시에,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는 정제로부터의 힘을 받아서 휨 변형 와이어(223m)를 휨 변형시키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부(223s)는,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는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감과 함께,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 측의 면을 걸어 멈추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걸어멈춤 돌기(223)의 휨 변형 와이어(223m)는 이러한 변형 성능(탄성)을 가지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 6 및 도 7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210)의 걸어멈춤 돌기(223)가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는 모습을 평면에서 보는 것으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211)의 상면측에, 전자 디바이스판(22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211r)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11r)는, 바닥면과 전자 디바이스판(221)의 측방을 둘러싸는 4개의 측벽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오목부(211r)에, 전자 디바이스판(221)이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211r)의 대응하는 측벽에 인접하여, 걸어멈춤 돌기(223)의 와이어 고정부(223f)가 상부 케이스(211)에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고정부(223f)로부터 전자 디바이스판(221)으로는, 수용 오목부(211r)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창(211w)를 개재하여, 2개의 도전 와이어(AW, BW)가 연장되어 있다. 도전 와이어(AW)는, 휨 변형 와이어(223m)에 도통하고 있고, 도전 와이어(BW)는, 휨 변형 와이어(223m)의 휨 변형시에 상기 휨 변형 와이어(223m)와 접촉하여 도통하는 스위치 와이어(221s)에 도통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212)에는,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취출 대기부(215)의 걸어멈춤 돌기(223)에 대해서 반대의 측에, 상부 케이스(211)의 개방 동작시에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213)를 향해서 누르기 위한 푸셔 부재(225)가 마련되어 있다. 설명을 보충하자면, 상부 케이스(211)의 개방 동작시,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는 정제는, 최초에 걸어멈춤 돌기(223)에 의해서 취출구(2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지만, 그 가압력에 대항하도록, 즉,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213)를 향해서 반대로 누르기 위해서, 푸셔 부재(22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푸셔 부재(225)는, 직선 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은 하부 케이스(212)의 측벽에 고정되고, 그 타단측이 정제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케이스(212)에, 푸셔 부재(225)를 우회하여 취출 대기부(215)까지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정제 안내 레일(2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안내 레일(224)은, 푸셔 부재(225)로부터 멀어진 측(푸셔 부재(225)를 우회시키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측)에 있어서 굴곡하여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케이스(211)의 수용 오목부(211r)에 대한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안내 레일(224)은, 푸셔 부재(225)의 측에 있어서, 높이가 낮아진 저벽부(224e)에 연속하고 있고, 또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정제 안내 레일(212r)에 연속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푸셔 부재(225) 자체도, 취출 대기부(215)까지 정제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 하부 케이스(212)에는, 상부 케이스(211) 측에 상승하는 리브(227)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기 디바이스판(221)에는, 휨 변형 와이어(223m)와 스위치 와이어(221s)와의 도통 유무에 근거하여 정제의 취출(통과) 유무를 검출(판단)하는 회로와, 상기 검출 결과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부가 더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정제의 취출 유무의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는 타임 로거(30)가 탑재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2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환자가 정제 취출 관리 용기(210)에서 1개씩 정제를 취출하기 위해서, 우선, 하부 케이스(212)의 취출구(213)가 하측이 되는 자세로 정제 취출 관리 용기(210)가 파지된다. 이때, 정제 안내 레일(224)과 푸셔 부재(225)에 의한 정제 안내 기능에 의해, 1개의 정제가 취출 대기부(215)에 도달하고, 후속의 1개의 정제가 이것을 뒤따른다(도 8(a) 참조). 도 8(a) 내지 도 8(c)에 있어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이들 2개의 정제만이 도시되어 있다. 취출 대기부(215)에 도달한 정제는, 걸어멈춤 돌기(223)에 의해서 걸어 멈춰진다(도 8(a) 참조).
다음에, 상부 케이스(211)의 개방 동작이 실시된다. 즉, 상부 케이스(211)가 하부 케이스(212)에 대해서 약간 슬라이드 이동된다(도 8(b) 참조). 이때,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가, 걸어멈춤 돌기(223)의 슬라이드 이동부(223s)에 의해서 취출구(2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그 가압력에 대항하도록, 즉,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213)를 향해서 반대로 누르기 위해서, 푸셔 부재(2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는, 당분간은 움직이지 않는다.
대신에, 걸어멈춤 돌기(223)의 슬라이드 이동부(223s)에 접촉하고 있는 휨 변형 와이어(223m) 쪽이 그 변형 성능에 의해서 휘어져서,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부(223s)가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려고 한다. 그리고, 걸어멈춤 돌기(223)의 슬라이드 이동부(223s)가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의 취출구(213) 측의 단면으로부터 떨어진 순간, 즉, 상기 정제의 걸어멈춤 기능을 해제한 순간, 푸셔 부재(225)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정제는 취출구(213)를 향해서 튀어나오도록 이동된다. 한편, 걸어멈춤 돌기(223)의 슬라이드 이동부(223s)는, 휨 변형 와이어(223m)의 변형이 원래대로 되돌아가는 것에 의해서, 취출 대기부(215)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 측의 면을 걸어 멈춘다. 이 상태가 도 8(c) 상태이다.
그 후, 이용자는, 상부 케이스(211)의 하부 케이스(212)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원위치로 되돌린다.
이들 일련의 정제 취출 조작 중에서, 휨 변형 와이어(223m)와 스위치 와이어(221s)와의 도통 상태가 변화한다. 즉, 도 8(a) 상태에서는 도통하지 않았던 휨 변형 와이어(223m)와 스위치 와이어(221s)가, 도 8(b) 상태에서는 서로 도통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전기 디바이스판(221)에 마련된 타임 로거(30)가, 정제의 취출 유무의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한다. 타임 로거(30)의 전기적 동작은, 배터리(3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처리된다. 이 때문에, 배터리(32)는, 충전 가능 내지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용자는, (1) 취출구(213)가 하측이 되는 자세로 정제 취출 관리 용기(210)를 파지하여, (2) 상부 케이스(211)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는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정제를 바르게 1개만 취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하부 케이스(212)의 측면에 취출구(2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취출 관리 용기(210)의 측면에서 정제를 취출할 수 있고, 이용자의 편리성이라는 점에서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부 케이스(211)는 하부 케이스(212)에 대해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있고, 취출구(213)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취출 용기로서 일반적인 형상으로서, 이용자의 편리성이라는 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하부 케이스(212)에 푸셔 부재(225)를 우회하여 취출 대기부(215)까지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정제 안내 레일(2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의 용기 본체 내에서의 원활한 안내가 원활하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를 흔드는 등 하여 정제의 이동을 조정하는 작업(수고)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푸셔 부재(225) 자체가 정제를 안내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정제의 용기 본체 내에서의 원활한 안내가 더 원활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하부 케이스(212)에 상부 케이스(211) 측에 상승하는 리브(227)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11)가 과잉으로 휘어져서 변형되어 버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때문에, 용기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부 케이스(211)로부터 하부 케이스(212) 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된 수용 오목부(211r)가 하부 케이스(212)의 정제 안내 레일(224)에 대해서 스토퍼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11)가 하부 케이스(212)로부터 과도하게 슬라이드 되어 버려서 내부의 정제가 산란되어 버린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일련의 정제 취출 조작에 있어서, 환자의 아무런 조작도 의도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정제의 취출 유무의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정제의 취출 시간, 즉 복용 시간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제 취출 관리 용기(310)에서는, 리브(27) 대신에, 리브(27)와는 배치 형상이 다른 대략 링 형상의 리브(327)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대략 링 형상의 리브(327)의 근방에 CR 기구(33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CR 기구(330)는, 상부 케이스(11)에 마련되어 하부 케이스(12)를 향해서 돌출하는 갈고리부(331)와, 하부 케이스(12)에 마련되어 갈고리부(331)와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는 갈고리 받이부(332)와, 갈고리부(331)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갈고리부(331)를 갈고리 받이부(332)로부터 멀어져서 양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변형 가능한 탄성부(333a, 333b)와, 상기 탄성부(333a, 333b)를 그와 같이 변형시키기 위한 가압부(334)를 가지고 있다. 가압부(334)는, 갈고리부(331)와 탄성부(333a, 333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갈고리부(331)는, 가압부(334) 및 탄성부(333a, 333b)를 개재하여 상부 케이스(11)에 지지되어 있다.
가압부(334)가 하부 케이스(12) 측에 눌려지는 것에 의해서, 탄성부(333a, 333b)가 변형하여 갈고리부(331)와 갈고리 받이부(332)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한편, 가압부(334)에의 가압력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서, 탄성부(333a, 333b)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갈고리부(331)와 갈고리 받이부(332)가 다시 걸어맞춤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의해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에 더하여, CR 기구(330)에 의해 가져오게 되는 CR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즉, 탄성부(333a, 333b)가 변형하지 않고 있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충분한 CR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가압부(334)의 가압에 의해 탄성부(333a, 333b)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CR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1)에 갈고리부(331)가 마련되고, 하부 케이스(12)에 갈고리 받이부(332)가 마련되어 있지만, 반대라도 좋다. 즉, 하부 케이스(12)에 갈고리부가 마련되고, 상부 케이스(11)에 갈고리 받이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부(333a, 333b)가 갈고리부(331)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갈고리부(331)를 갈고리 받이부(332)로부터 멀어지게 해서 양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탄성부가 갈고리 받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 받이부를 갈고리부로부터 멀어지게 해서 양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탄성부(333a, 333b)를 변형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도, 가압부(33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인상력(引上力)이나 회전력을 부여하는 「손잡이 형상」의 돌기부를 이용해도 좋다.
10: 정제 취출 용기
11: 상부 케이스
11r: 수용 오목부
11w: 개구창
12: 하부 케이스
12r: 정제 안내 레일
13: 취출구
15: 취출 대기부
21: 전자 디바이스판
23: 걸어멈춤 돌기
23c: 통부
23m: 가동 걸어멈춤부
23p: 누름 작동부
23r: 오목부
24: 정제 안내 레일
25: 푸셔 부재
27: 리브
210: 정제 취출 용기
211: 상부 케이스
211g: 안내 레일
211r: 수용 오목부
211w: 개구창
212: 하부 케이스
212r: 정제 안내 레일
213: 취출구
215: 취출 대기부
221: 전자 디바이스판
221s: 스위치 와이어
223: 걸어멈춤 돌기
223f: 와이어 고정부
223s: 슬라이드 이동부
223m: 휨 변형 와이어
224: 정제 안내 레일
224e: 저벽부
225: 푸셔 부재
227: 리브
310: 정제 취출 용기
327: 리브
330: CR 기구
331: 갈고리부
332: 갈고리 받이부
333a, 333b: 탄성부
334: 가압부

Claims (9)

  1. 복수의 정제를 일괄적으로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 용기 본체가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동시에 1개씩만 정제를 취출 가능한 크기로 취출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취출구에 연통하는 취출 대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 상기 취출구와 상기 취출 대기부의 사이에 돌출하는 걸어멈춤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용기 본체 폐쇄시 상태에서의 상기 취출 대기부의 상기 걸어멈춤 돌기에 대해 반대 측에,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구를 향하여 누르기 위한 푸셔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돌기는, 상부 케이스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걸어멈춤 돌기의 변형 내지 변위에 의해서, 상기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는 정제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는 동시에, 취출 대기부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에 후속하는 정제의 취출구 측의 면을 걸어 멈추도록 되어 있고,
    상기 취출 대기부로부터 상기 취출구로 이동하는 1개의 정제의 통과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정제의 취출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데이터 기록부를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돌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돌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휨 변형부와, 상기 휨 변형부를 누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이동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정제의 통과를, 상기 정제의 통과에 의해 변형 또는 변위하는 도전체와 전기 단자와의 도통에 의해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기록하는 타임 로거(time logg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취출구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푸셔 부재를 우회하여 상기 취출 대기부까지 정제를 안내하기 위한 정제 안내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CRSF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RSF 기구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다른 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갈고리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다른 쪽에 마련되어 상기 갈고리부와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는 갈고리 받이부와,
    상기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 받이부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 받이부의 한쪽을 상기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 받이부의 다른 쪽으로부터 멀어지게 해서 양자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관리 용기.
KR1020147035896A 2012-05-22 2013-05-22 정제 취출 관리 용기 KR20150021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6790 2012-05-22
JPJP-P-2012-116790 2012-05-22
PCT/JP2013/064290 WO2013176196A1 (ja) 2012-05-22 2013-05-22 錠剤取出管理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949A true KR20150021949A (ko) 2015-03-03

Family

ID=4962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896A KR20150021949A (ko) 2012-05-22 2013-05-22 정제 취출 관리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36800A1 (ko)
EP (1) EP2853505B1 (ko)
JP (1) JP6162111B2 (ko)
KR (1) KR20150021949A (ko)
CN (1) CN104520208B (ko)
ES (1) ES2625136T3 (ko)
WO (1) WO2013176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33576A1 (en) * 2013-12-13 2015-06-18 Glaxosmithkline Llc Metered dose container
US10532878B2 (en) * 2014-09-17 2020-01-14 Nec Corporation Pill case
ITUB20155753A1 (it) * 2015-11-19 2017-05-19 Origicare S R L Dispositivo di supporto per blister con circuito rivelatore di espulsione
SE1630152A1 (en) * 2016-06-14 2017-12-15 Pilloxa Ab Tablet Container
WO2018164099A1 (ja) * 2017-03-10 2018-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錠剤取出装置、錠剤取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0912716B2 (en) * 2017-12-20 2021-02-09 Koninklijke Philips N.V.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delivery and taking of medication pills and a monitoring method
JP6738846B2 (ja) * 2018-03-13 2020-08-12 株式会社カナエ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8040B1 (fr) * 1998-12-31 2001-03-23 Airsec Sa Distributeur d'objets
CN2386003Y (zh) * 1999-09-29 2000-07-05 杭州胡庆余堂药业有限公司 定量出片药盒
JP2003221067A (ja) * 2002-01-25 2003-08-05 Toppan Printing Co Ltd 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のシート収納ケース
JP4522080B2 (ja) * 2002-11-25 2010-08-11 株式会社 服薬コンプライアンス研究所 Ptpシート収納ケース及び服薬記録器並びに服薬記録システム
GB0316348D0 (en) * 2003-07-11 2003-08-13 Glaxo Group Ltd A dispenser
US7581642B2 (en) * 2006-01-09 2009-09-01 Anderson Packaging, Inc. Child-resistant, senior-friendly unit dose container
DE202007013517U1 (de) * 2007-09-27 2007-12-20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Spender o.dgl. Ausgabebehälter
JP4247293B1 (ja) 2007-10-02 2009-04-02 キタノ製作株式会社 計量容器
CN101214868A (zh) * 2007-12-29 2008-07-09 黄正武 一种颗粒容器
US7617935B2 (en) * 2008-01-10 2009-11-17 Anderson Packaging, Inc. Reusable child-resistant, senior friendly unit dose container
JP2010143610A (ja) * 2008-12-18 2010-07-01 Nanshin Kagaku Kogyo Kk タブレット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76196A1 (ja) 2016-01-14
JP6162111B2 (ja) 2017-07-12
EP2853505B1 (en) 2017-05-03
US20150136800A1 (en) 2015-05-21
CN104520208A (zh) 2015-04-15
ES2625136T3 (es) 2017-07-18
CN104520208B (zh) 2016-11-16
WO2013176196A1 (ja) 2013-11-28
EP2853505A4 (en) 2016-01-06
EP2853505A1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1949A (ko) 정제 취출 관리 용기
EP2906176B1 (en) Electronic monitoring device for use with blister packs
KR101556809B1 (ko) 어린이 안전용 약제 컨테이너
US7353969B2 (en) Tamper and child proof tablet dispenser with ejection means
US7946449B2 (en) Blister pack device and a method of ejecting a unit dosage from a blister pack using the device
US7906336B2 (en) Sensor dispensing instrument
US20180243171A1 (en) Packages with monitoring devices
CN110996880B (zh) 药片分配器
US20110068041A1 (en) Packaged-product System with Multi-operational Access Control
EA020809B1 (ru) Дозатор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US20030102324A1 (en) Apparatus for dosage of medicaments
EP3408187A1 (en) Child resistant and senior friendly dispensing system
JP5950559B2 (ja) 錠剤取出容器
CN107949363B (zh) 与药物容器一起使用的智能弹射托盘
CN212854050U (zh) 药盒
CN112716788A (zh) 一种按压式药盒
EP2297002B1 (en) A packaged-product system with multi-operational access control
TWM325500U (en) Dropout structure for the biochemical s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