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368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368A
KR20150021368A KR20130098635A KR20130098635A KR20150021368A KR 20150021368 A KR20150021368 A KR 20150021368A KR 20130098635 A KR20130098635 A KR 20130098635A KR 20130098635 A KR20130098635 A KR 20130098635A KR 20150021368 A KR20150021368 A KR 20150021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member
display panel
panel fix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상헌
채재현
김원진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368A/ko
Priority to US14/154,983 priority patent/US20150055316A1/en
Priority to EP14159040.6A priority patent/EP2840435A3/en
Priority to CN201410105825.XA priority patent/CN104424854A/zh
Publication of KR2015002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측부를 고정하는 패널 고정 부재, 및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되, 패널 고정 부재는, 표시 패널의 측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l),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 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및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Display) 등이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표시 장치의 화질, 응답 속도, 및 명암비 등의 내부적인 요소들뿐만 아니라, 외형적인 요소들도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표시 장치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베젤(Bezel)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제품의 가치 상승을 위하여 요구되고 있다.
이에, 탑 샤시와 표시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베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탑 샤시와 표시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을 감소시킨다면, 표시 장치 조립 공정의 오차 및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탑 샤시가 쉽게 젖혀져서, 표시 패널이 탑 샤시의 외부로 이탈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탑 샤시가 표시 패널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기 때문에, 탑 샤시와 표시 패널의 틈 사이로 빛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이탈 및 표시 패널의 에지부에서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고, 얇은 베젤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 패널의 이탈 및 표시 패널의 에지부에서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고, 얇은 베젤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측부를 고정하는 패널 고정 부재, 및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되, 패널 고정 부재는, 표시 패널의 측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광 차단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표시 패널의 측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측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로 필름을 포함하고, 패널 고정 부재는, 표시 패널의 하면 및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하면 지지부 및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하면 지지부는, 복수의 회로 필름의 하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복수의 회로 필름 상부에 형성된 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고정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단차부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패널 고정 부재는, 하면 지지부의 하부로 돌출되고, 단차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측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로 필름을 포함하고, 패널 고정 부재는, 복수의 회로 필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회로 필름은 개방부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 고정 부재와 연결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몰드 프레임은 개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회로 필름은 함몰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 프레임과 연결되는 바텀 샤시를 더 포함하되, 바텀 샤시는 함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회로 필름은 요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제1 측을 고정하는 제1 패널 고정 부재, 및 제1 측과 인접한 표시 패널의 제2 측을 고정하는 제2 패널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제1 측 및 제2 측은 제1 패널 고정 부재 및 제2 패널 고정 부재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 및 제2 측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제1 패널 고정 부재 및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단차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널 돌출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이고, 적어도 두 개의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표시 패널을 중심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과 대향하는 표시 패널의 제3 측을 고정하는 제3 패널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3 측은 제3 패널 고정 부재 상에 배치되거나, 제3 패널 고정 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패널 고정 부재, 제2 패널 고정 부재, 및 제3 패널 고정 부재는 광 차단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은 접착제에 의하여 제1 패널 고정 부재, 제2 패널 고정 부재, 및 제3 패널 고정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측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데이터 회로 필름, 및 제2 측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게이트 회로 필름을 포함하고, 제1 패널 고정 부재는, 복수의 데이터 회로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복수의 게이트 회로 필름이 삽입되는 복수의 필름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 측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패널 고정 부재, 및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패널 어셈블리를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시 패널의 측부에 위치하는 회로 필름과 패널 고정 부재에 형성된 개방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회로 필름이 개방부를 통과하여 패널 고정 부재의 하부로 절곡되어 나오도록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단계는, 패널 어셈블리 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동시켜, 패널 어셈블리의 패널 고정 부재와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몰드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표시 패널의 이탈 및 표시 패널의 에지부에서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얇은 베젤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패널 고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G-G'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2 패널 고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H-H'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3 패널 고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J-J'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몰드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바텀 샤시의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1의 E-E'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K-K'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L-L'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M-M'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패널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N-N'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O-O'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l),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 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Display) 등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고정 부재(3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고정 부재(3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고정 부재(3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데이터 회로 필름(130), 인쇄 회로 필름,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고, 제2 기판(120)은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에는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크기는 제2 기판(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판(110)의 측부에는 제2 기판(12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측부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기판(120)에 비하여 돌출된 제1 기판(110)의 일부를 패널 돌출부(110a)라고 지칭한다.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패널 돌출부(11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에 위치한 패널 돌출부(11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에 영상 신호 등의 데이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TCP(Tape Carrier Package) 필름 또는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 등 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데이터 구동 칩(130a)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칩(130a)은 집적 회로로 형성되어 데이터 신호의 생성 및 연산 등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 칩(130a)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복수의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단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회로 기판(140)은 S-PBA(Source-Printed Board Assembly)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40)은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14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표시 패널(100)은 인쇄 회로 기판(140)과 연결된 타이밍 컨트롤러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패널 돌출부(11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측과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제2 측에 위치한 패널 돌출부(11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TCP(Tape Carrier Package) 필름 또는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 등 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게이트 구동 칩(150a)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칩(150a)은 집적 회로로 형성되어 게이트 신호의 생성 등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칩(150a)은 게이트 회로 필름(150) 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에 대향하는 표시 패널(100)의 제3측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 측에서 제1 기판(110)의 측면 및 제2 기판(120)의 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측에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 인쇄 회로 기판(140),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측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측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표시 패널(100)을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에 고정할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측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의 측부에 단차가 형성된 경우, 패널 고정 부재(300)는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상기 단차를 완전히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의 측부에 요철이 형성된 경우, 패널 고정 부재(300)는 상기 요철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상기 요철과 맞물리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는 광 차단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널 고정 부재(300)는 블랙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이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널 고정 부재(300)는 광 차단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에지부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패널 고정 부재(300)가 표시 패널(100)을 고정함과 동시에, 표시 패널(100)의 에지부에서 빛이 표시 장치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측부를 감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 및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고정 부재(300)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까지 감쌀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의 측부는 패널 고정 부재(3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고정 부재(300)는 C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가 C자 형상을 가질 경우, 패널 고정 부재(300)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패널 고정 부재(300)는 클립(Clip)과 같이 탄력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널 고정 부재(300)는 네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에서, 네 개의 패널 고정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두 개의 장변 및 두 개의 단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과 패널 고정 부재(300)를 결합하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패널 고정 부재(300)를 표시 패널(100)에 먼저 결합한 뒤, 다른 하나의 패널 고정 부재(300)를 이에 맞물리도록 결합할 수 있어, 표시 패널(10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패널 고정 부재(300)는 제1 패널 고정 부재(310) 및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고정 부재(300)는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제1 패널 고정 부재(3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패널 고정 부재(31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G-G'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빗금쳐진 부분이 절단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패널 고정 부재(310)는 제1 하면 지지부(310a), 제1 측면 지지부(310b), 제1 상면 지지부(310c), 제1 하부 돌출부(310d), 제1 패널 안착부(310e), 제1 절곡면(310g), 및 제1 개방부(310h)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면 지지부(310a)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 하면 지지부(310a)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과 접촉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하면 지지부(310a)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패널(10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하면 지지부(310a)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이 형성된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하면 지지부(310a)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하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1 측면 지지부(310b)는 표시 패널(1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 측면 지지부(310b)는 표시 패널(100)의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측면 지지부(310b)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패널(100)의 일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지지부(310b)는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상면에서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측면 지지부(310b)는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외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면 지지부(310c)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 상면 지지부(310c)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상면 지지부(310c)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패널(10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면 지지부(310c)는 제1 하면 지지부(310a)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면 지지부(310c)는 제1 측면 지지부(310b)의 단부에서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면 지지부(310a) 및 제1 상면 지지부(310c)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제1 기판(11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제1 하면 지지부(310a) 및 제1 상면 지지부(310c)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패널 돌출부(110a)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이 제1 하면 지지부(310a) 및 제1 상면 지지부(310c)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너비는 제1 상면 지지부(310c)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일부만 제1 상면 지지부(310c)와 중첩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평면도 상에서, 제1 하면 지지부(310a)는 제1 상면 지지부(310c)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하부 돌출부(310d)는 제1 하면 지지부(310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돌출부(310d)는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돌출부(310d)는 제1 측면 지지부(310b)와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돌출부(310d)는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면 돌출부가 존재함으로써, 제1 패널 고정 부재(310)를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하부 돌출부(310d)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이 형성된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하부 돌출부(310d)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하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40)은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회로 필름(130)은 후술하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처럼 패널 고정 부재(300)에 삽입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데이터 회로 필름(130) 하부의 제1 하면 지지부(310a)뿐만 아니라 제1 하부 돌출부(310d)까지 제거될 필요가 있다.
제1 하면 지지부(310a), 제1 측면 지지부(310b), 제1 상면 지지부(310c), 및 제1 하부 돌출부(310d) 중에서 제1 하면 지지부(310a)의 두께가 가장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널 고정 부재(310)는 표시 패널(10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제1 패널 안착부(310e)는 제1 하면 지지부(310a), 제1 측면 지지부(310b), 및 제1 상면 지지부(310c)로 둘러싸인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 안착부(310e)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을 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은 제1 패널 안착부(310e)에 삽입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패널 돌출부(110a)는 제1 패널 안착부(310e)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절곡면(310g)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곡면(310g)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측면 지지부(310b)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곡면(310g)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과 접촉하여 데이터 회로 필름(130)이 절곡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절곡면(310g)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절곡면(310g)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에 가해지는 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시물레이션된 곡률값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절곡면(310g)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이 급격하게 꺾여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리드 크랙(Lead Crack)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개방부(310h)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방부(310h)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면 지지부(310a) 및 제1 하부 돌출부(310d)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개방부(310h)로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통과함으로써, 제1 패널 고정 부재(310)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키실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베젤의 두께도 감소시킬 수 있어, 네로우 베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2 패널 고정 부재(320)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H-H'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빗금쳐진 부분이 절단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패널 고정 부재(320)의 단부는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평면도 상에서,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는 개략적인 C자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패널 고정 부재(320)가 표시 패널(100)과 맞물림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는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는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는 두 개일 수 있고, 두 개의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는 표시 패널(100)의 단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는 제2 하면 지지부(320a), 제2 측면 지지부(320b), 제2 상면 지지부(320c), 제2 하부 돌출부(320d), 제2 패널 안착부(320e), 제2 절곡면(320g), 및 제2 개방부(320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각 상술한 제1 하면 지지부(310a), 제1 측면 지지부(310b), 제1 상면 지지부(310c), 제1 하부 돌출부(310d), 제1 패널 안착부(310e), 제1 절곡면(310g), 및 제1 개방부(310h)에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하면 지지부(320a)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형성된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하면 지지부(320a)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의 하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2 하부 돌출부(320d)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형성된 부분에도 존재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제2 하부 돌출부(320d)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의 하부에 존재할 수 있다. 즉, 게이트 회로 필름(150)의 단부에는 인쇄 회로 기판(140)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제2 패널 고정 부재(32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하부 돌출부(320d)가 게이트 회로 필름(150)의 하부에 존재함으로써, 제2 패널 고정 부재(320)의 기계적인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2 절곡면(320g)은 게이트 회로 필름(15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절곡면(320g)은 게이트 회로 필름(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측면 지지부(320b)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절곡면(320g)은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급격하게 꺾여 게이트 회로 필름(150)의 리드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개방부(320h)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방부(320h)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면 지지부(320a)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일 수 있다. 즉, 제2 개방부(320h)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개방부(320h)로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통과함으로써, 제2 패널 고정 부재(320)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키실 수 있다.
이하,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3 패널 고정 부재(330)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J-J'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빗금쳐진 부분이 절단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는 제3 하면 지지부(330a), 제3 측면 지지부(330b), 제3 하부 돌출부(330d), 및 제3 패널 안착부(33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각 상술한 제1 하면 지지부(310a), 제1 측면 지지부(310b), 제1 하부 돌출부(310d), 및 제1 패널 안착부(310e)에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 및 측면과 접촉하여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시 패널(100)의 제3 측은 제3 패널 고정 부재(330) 상에 얹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는 상술한 제1 상면 지지부(310c)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는 상술한 제1 절곡면(310g) 및 제1 개방부(310h)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 역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편광판(2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2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통과하는 빛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편광판(2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210) 및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표시 패널(100)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패널 고정 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광학 시트(810), 몰드 프레임(820), 광원부(830), 도광판(840), 반사판(850), 바텀 몰드(860), 및 바텀 샤시(87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810)는 제2 편광판(22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810)는 광원부(830)에서 방출된 빛은 확산하거나 응집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8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820)은 광학 시트(8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820)은 표시 패널(100) 및 광학 시트(8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몰드 프레임(82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2를 참조한다. 도 1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몰드 프레임(820)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820)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몰드 프레임(820)은 LSP(Light Screen Plate)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830)에서 방출되는 광이 표시 패널(100)로 전달되는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820)은 패널 지지부(821), 시트 지지부(822), 및 연결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821)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패널 지지부(821)는 패널 고정 부재(30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821)는 단차부(821a) 및 함몰부(821b)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821a)는 패널 지지부(82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차부(821a)는 제1 하부 돌출부(310d), 제2 하부 돌출부(320d), 및 제3 하부 돌출부(330d)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821a)는 제1 하부 돌출부(310d), 제2 하부 돌출부(320d), 및 제3 하부 돌출부(330d)와 맞물려 표시 패널(100)을 고정하는 패널 고정 부재(300)를 몰드 프레임(8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함몰부(821b)는 패널 지지부(821)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821b)는 패널 지지부(821)의 외측에서 일정하게 함몰되어 곡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821b)는 제1 개방부(310h) 및 제2 개방부(320h)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방부(310h) 및 제2 개방부(320h)를 각각 통과한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함몰부(821b)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완곡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함몰부(821b) 상에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위치함으로써,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0)에 가해지는 응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시트 지지부(822)는 패널 지지부(821)의 내측에서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822)는 광학 시트(810)를 지지함과 동시에, 도광판(840) 및 반사판(8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823)는 패널 지지부(821) 및 시트 지지부(822)의 사이에서 패널 지지부(821) 및 시트 지지부(822)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23)는 몰드 프레임(820)을 몰드 프레임(820) 하부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바텀 몰드(860) 및 바텀 샤시(870) 등과 연결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광원부(830)는 몰드 프레임(8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830)는 표시 패널(100)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830)는 회로 기판(830a) 및 회로 기판(830a)에 실장된 광원(830b)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830a)은 표시 패널(100)의 단변에 대응하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광원(830b)은 회로 기판(830a)의 내측면 상에 실장되어 광을 도광판(840)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원(830b)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광판(840)은 광원부(83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840)은 몰드 프레임(820)의 시트 지지부(822) 및 반사판(8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840)은 광원부(830)에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여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반사판(850)은 도광판(84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850)은 도광판(840)의 하부로 전달되는 빛을 도광판(840)의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반사판(850) 역시 도광판(840)과 같이 광원부(830)에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텀 몰드(860)는 반사판(85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몰드(860)는 광원부(830), 도광판(840), 및 반사판(850)의 위치를 얼라인시킬 수 있다. 또한, 바텀 몰드(86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광원부(830) 및 반사판(850) 등에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바텀 몰드(860)는 반사판(850)과 인접한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필요한 영역은 단열시킬 수 있다.
바텀 샤시(870)는 바텀 몰드(86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샤시(870)는 바텀 샤시(870) 상부에 있는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이하, 바텀 샤시(87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3을 참조한다. 도 13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바텀 샤시(870)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텀 샤시(870)는 요홈부(87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홈부(870a)는 바텀 샤시(870)의 상부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홈부(870a)는 몰드 프레임(820)의 함몰부(821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고정 부재(300)의 제1 개방부(310h) 및 제2 개방부(320h)와 몰드 프레임(820)의 함몰부(821b)를 차례로 거쳐 내려온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0)은 요홈부(870a)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부피가 큰 데이터 구동 칩(130a) 및 게이트 구동 칩(150a)이 요홈부(870a)에 삽입됨으로써,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 전체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는 도 14 내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1의 E-E'선을 따라 절단한 사시 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즉, 도 14 내지 도 17은 제1 패널 고정 부재(310)와 표시 패널(1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 중, 도 14 및 도 15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데이터 회로 필름(130)이 위치한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표시 패널(100)의 제2 측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즉, 도 18 내지 도 21은 제2 패널 고정 부재(320)와 표시 패널(1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 중, 도 18 및 도 19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위치한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표시 패널(100)의 제3 측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즉, 도 22 및 도 23은 제3 패널 고정 부재(330)와 표시 패널(1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접착제(500) 및 테이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500)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고정 부재(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접착제(500)는 표시 패널(100)과 패널 고정 부재(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제(500)는 표시 패널(100)의 측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접착제(500)는 제1 패널 안착부(310e), 제2 패널 안착부(320e), 및 제3 패널 안착부(330e)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제(500)는 경화성 접착제(50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500)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50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 경화성 접착제(500)일 수 있다.
접착제(500)는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500)는 블랙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500)는 표시 패널(100)이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500)는 패널 고정 부재(300)가 포함하는 광 차단 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100)과 패널 고정 부재(300) 사이에 접착제(500)가 개재됨으로써, 패널 고정 부재(300)에 표시 패널(100)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패널 고정 부재(300)의 형상에 의한 고정력뿐만 아니라, 접착제(500)의 접착력에 의한 고정력이 가해짐으로써, 표시 패널(100)과 패널 고정 부재(300)가 더욱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500)가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 에지부에서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프(600)는 패널 고정 부재(300) 및 몰드 프레임(8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테이프(600)는 패널 고정 부재(300)와 몰드 프레임(82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테이프(600)는 몰드 프레임(820)의 패널 지지부(821)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테이프(600)는 패널 고정 부재(30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프(600)는 패널 고정 부재(300)의 외측면 및 몰드 프레임(820)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테이프(600)는 양면 테이프(600)일 수 있다. 또한, 테이프(600)는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600)에 사용되는 광 차단 물질은 접착제(500)에 사용되는 광 차단 물질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몰드 프레임(820)과 패널 고정 부재(300) 사이에 테이프(600)가 개재됨으로써, 몰드 프레임(820)에 패널 고정 부재(3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패널 고정 부재(300)의 하부 돌출부 및 몰드 프레임(820)의 단차부(821a)의 물리적 걸림에 의한 고정력뿐만 아니라, 테이프(600)의 접착력에 의한 고정력이 가해짐으로써, 몰드 프레임(820)과 패널 고정 부재(300)가 더욱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600)가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 에지부에서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한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 상, 도 1에 도시된 도면에 나타낸 각 엘리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엘리먼트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과 편광판(200)을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 편광판(210)을 표시 패널(100)의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고, 제2 편광판(220)을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에 패널 고정 부재(30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 고정 부재(3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에 결합하고, 제2 패널 고정 부재(320)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측에 결합하며, 제3 패널 고정 부재(330)는 표시 패널(100)의 제3 측에 결합할 수 있다. 도 2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널 고정 부재(30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접착제(500)를 개재하여, 패널 고정 부재(300)와 표시 패널(1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 편광판(200), 및 패널 고정 부재(300)를 결합하여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400)를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패널 어셈블리(400)의 하면, 즉, 제2 편광판(220)이 위치한 부분과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의 상면, 즉, 광학 시트(810)가 위치한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패널 어셈블리(4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를 얼라인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제1 측에 위치하는 데이터 회로 필름(130)과 제1 패널 고정 부재(310)의 제1 개방부(310h)가 서로 대응되고, 표시 패널(100)의 제2 측에 위치하는 게이트 회로 필름(150)과 제2 패널 고정 부재(320)의 제2 개방부(320h)가 서로 대응되며, 표시 패널(100)의 제3 측과 제3 패널 고정 부재(330)가 서로 대응되도록,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고정 부재(3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패널 어셈블리(400) 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를 이동시켜 패널 어셈블리(40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회로 필름(130)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0)이 각각 제1 개방부(310h) 및 제2 개방부(320h)를 통과하여 패널 고정 부재(300)의 하부로 절곡되어 나오도록 패널 어셈블리(40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의 결합에 패널 고정 부재(300)를 이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이탈 및 표시 패널(100)의 에지부에서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고, 얇은 베젤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1) 및 패널 고정 부재(301)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K-K'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 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에 나타낸 각 엘리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엘리먼트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1)의 제1 기판(111)이 제2 기판(120)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표시 패널(101)의 제1 측 및 제2 측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01)의 제3 측에도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패널 돌출부(111a)가 제1 측 및 제2 측뿐만 아니라, 제3 측에도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3 패널 고정 부재(331)가 표시 패널(101)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3 패널 고정 부재(331)는 제3 하면 지지부(331a), 제3 측면 지지부(331b), 제3 하부 돌출부(331d), 제3 패널 안착부(331e)뿐만 아니라, 제3 상면 지지부(331c)까지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패널 고정 부재(331)는 표시 패널(101)의 하면 및 측면뿐만 아니라 상면까지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패널 고정 부재(331)는 표시 패널(101)의 제3 측에 형성된 패널 돌출부(111a)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1)과 제3 패널 고정 부재(331)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501)의 형상이 표시 패널(101)과 제3 패널 고정 부재(331)의 계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101) 및 제3 패널 고정 부재(331)의 설계 수정안을 도입하여, 표시 패널(101) 및 패널 고정 부재(301)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2) 및 패널 고정 부재(302)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L-L'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M-M'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 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에 나타낸 각 엘리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엘리먼트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2)은 플립(Flip) 패널일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2)의 제1 기판(112)이 제2 기판(12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시 패널(102)의 제2 기판(122)이 제1 기판(11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패널 돌출부(112a)가 표시 패널(102)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회로 필름(132), 인쇄 회로 기판(142), 및 게이트 회로 필름(152)은 제1 기판(112)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2)을 고정하는 패널 고정 부재(302)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0을 참조하면, 제1 패널 고정 부재(312)의 제1 하면 지지부(312a)의 상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제1 하면 지지부(312a)가 제1 기판(112)의 하면뿐만 아니라 제2 기판(122)의 하면까지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지지부(312b) 및 제1 상면 지지부(312c)는 각각 제1 기판(112)의 측면 및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상면 지지부(312c)는 제1 하면 지지부(312a)와 서로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돌출부(312d)는 제1 상면 지지부(312c)의 단부와 중첩될 수 있다.
제1 패널 안착부(312e)는 제1 기판(112)뿐만 아니라 제2 기판(122)까지 감쌀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면(312g) 및 제1 개방부(312h) 역시 플립 패널에 포함된 데이터 회로 필름(132) 및 인쇄 회로 기판(142)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널 고정 부재(322)의 제2 하면 지지부(322a), 제2 측면 지지부(322b), 제2 상면 지지부(322c), 제2 하부 돌출부(322d), 제2 패널 안착부(322e), 제2 절곡면(322g), 및 제2 개방부(322h)도 상술한 제1 패널 안착부(312e)의 제1 하면 지지부(312a), 제1 측면 지지부(312b), 제1 상면 지지부(312c), 제1 하부 돌출부(312d), 제1 패널 안착부(312e), 제1 절곡면(312g), 및 제1 개방부(312h)와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3 패널 고정 부재(332)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표시 패널(102)의 제3 측을 감쌀 수 있다. 즉, 제3 패널 고정 부재(332)는 C자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패널 고정 부재(332)의 제3 하면 지지부(332a), 제3 측면 지지부(332b), 및 제3 상면 지지부(332c)는 제3 패널 안착부(332e)를 형성하여 표시 패널(102)의 제3 측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제3 하부 돌출부(332d)는 제3 상면 지지부(332c)의 단부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2)과 패널 고정 부재(302)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502)의 형상이 표시 패널(102)과 패널 고정 부재(302)의 계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패널 고정 부재(302)가 표시 패널(102)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게 되므로, 패널 고정 부재(302)는 표시 패널(102)의 상면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2) 및 패널 고정 부재(303)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N-N'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O-O'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 상,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도면에 나타낸 각 엘리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엘리먼트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패널 고정 부재(303)는 이러한 플립 패널을 다른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패널 고정 부재(303)는 표시 패널(102)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2)은 도 2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플립 패널일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패널 고정 부재(313)는 제1 하면 지지부(313a), 제1 측면 지지부(313b), 제1 하부 돌출부(313d), 제1 패널 안착부(313e), 제1 절곡면(313g), 및 제1 개방부(313h)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패널 고정 부재(313)는 제1 상면 지지부(312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패널 고정 부재(323) 역시 제2 하면 지지부(323a), 제2 측면 지지부(323b), 제2 하부 돌출부(323d), 제2 패널 안착부(323e), 제2 절곡면(323g), 및 제2 개방부(323h)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패널 고정 부재(323)는 제2 상면 지지부(322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3 패널 고정 부재(333)는 제3 하면 지지부(333a), 제3 측면 지지부(333b), 제3 하부 돌출부(333d), 및 제3 패널 안착부(333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패널 고정 부재(333)는 제3 상면 지지부(332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33 및 도 34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2)과 패널 고정 부재(303)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503)의 형상이 표시 패널(102)과 패널 고정 부재(303)의 계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패널 고정 부재(303)가 표시 패널(102)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더욱 슬림한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1, 102: 표시 패널 110, 111, 112: 제1 기판
110a, 111a, 112a: 패널 돌출부 120, 122: 제2 기판
130, 132: 데이터 회로 필름 130a: 데이터 구동 칩
140, 142: 인쇄 회로 기판 150, 152: 게이트 회로 필름
150a: 게이트 구동 칩 200: 편광판
210: 제1 편광판 220: 제2 편광판
300, 301, 302, 303: 패널 고정 부재
310, 312, 313: 제1 패널 고정 부재
310a, 312a, 313a: 제1 하면 지지부
310b, 312b, 313b: 제1 측면 지지부
310c, 312c: 제1 상면 지지부
310d, 312d, 313d: 제1 하부 돌출부
310e, 312e, 313e: 제1 패널 안착부
310g, 312g, 313g: 제1 절곡면
310h, 312h, 313h: 제1 개방부
320, 322, 323: 제2 패널 고정 부재
320a, 322a, 323a: 제2 하면 지지부
320b, 322b, 323b: 제2 측면 지지부
320c, 322c: 제2 상면 지지부
320d, 322d, 323d: 제2 하부 돌출부
320e, 322e, 323e: 제2 패널 안착부
320g, 322g, 323g: 제2 절곡면
320h, 322h, 323h: 제2 개방부
330, 331, 332, 333: 제3 패널 고정 부재
330a, 331a, 332a, 333a: 제3 하면 지지부
330b, 331b, 332b, 333b: 제3 측면 지지부
331c, 332c: 제3 상면 지지부
330d, 331d, 332d, 333d: 제3 하부 돌출부
330e, 331e, 332e, 333e: 제3 패널 안착부
400: 패널 어셈블리 500, 501, 502, 503: 접착제
600: 테이프 800: 백라이트 어셈블리
810: 광학 시트 820: 몰드 프레임
821: 패널 지지부 821a: 단차부
821b: 함몰부 822: 시트 지지부
823: 연결부 830: 광원부
830a: 회로 기판 830b: 광원
840: 도광판 850: 반사판
860: 바텀 몰드 870: 바텀 샤시
870a: 요홈부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측부를 고정하는 패널 고정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패널 고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광 차단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부를 감싸는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측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및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하면 지지부 및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면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의 하부에는 형성되지 않는 표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 상부에 형성된 절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단차부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하면 지지부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단차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측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은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는 표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 부재와 연결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은 상기 함몰부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과 연결되는 바텀 샤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1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을 고정하는 제1 패널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측과 인접한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을 고정하는 제2 패널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은 상기 제1 패널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패널 고정 부재에 각각 삽입되는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단차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널 돌출부를 감싸는 표시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을 중심으로 대칭인 표시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과 대향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을 고정하는 제3 패널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측은 상기 제3 패널 고정 부재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3 패널 고정 부재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고정 부재, 상기 제2 패널 고정 부재, 및 상기 제3 패널 고정 부재는 광 차단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고정 부재, 상기 제2 패널 고정 부재, 및 상기 제3 패널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표시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측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데이터 회로 필름; 및
    상기 제2 측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게이트 회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회로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 고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회로 필름이 삽입되는 복수의 필름 삽입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 측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패널 고정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패널 고정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부에 위치하는 회로 필름과 상기 패널 고정 부재에 형성된 개방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패널 고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회로 필름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패널 고정 부재의 하부로 절곡되어 나오도록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패널 고정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 또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동시켜,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기 패널 고정 부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몰드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30098635A 2013-08-20 2013-08-2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1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635A KR20150021368A (ko) 2013-08-20 2013-08-2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154,983 US20150055316A1 (en) 2013-08-20 2014-01-14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14159040.6A EP2840435A3 (en) 2013-08-20 2014-03-1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1410105825.XA CN104424854A (zh) 2013-08-20 2014-03-20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635A KR20150021368A (ko) 2013-08-20 2013-08-2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68A true KR20150021368A (ko) 2015-03-02

Family

ID=5047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635A KR20150021368A (ko) 2013-08-20 2013-08-2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55316A1 (ko)
EP (1) EP2840435A3 (ko)
KR (1) KR20150021368A (ko)
CN (1) CN1044248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544A1 (ko) * 2021-10-14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99299B2 (en) 2021-10-14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5226B (zh) * 2014-01-27 2017-01-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固定显示器的量子条的装置
KR20150105707A (ko) * 2014-03-10 2015-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US10302988B2 (en) * 2014-05-20 2019-05-28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CN104167153B (zh) * 2014-06-27 2017-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定位件及显示装置
KR20160008675A (ko) * 2014-07-14 2016-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30296B1 (ko) * 2014-08-20 2021-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647490B1 (ko) * 2014-12-30 2016-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액정표시장치
TWI567459B (zh) * 2015-10-21 2017-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WO2018037514A1 (ja) * 2016-08-24 2018-03-01 日立化成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132344B1 (ko) * 2016-12-28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널 모듈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254953B (zh) * 2016-12-29 2021-02-02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11058B1 (ko) * 2017-06-13 2021-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49987A (ko) * 2017-11-01 2019-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542868B (zh) 2017-12-26 2023-09-12 索尼公司 显示设备
CN108279467A (zh) * 2017-12-26 2018-07-13 重庆市中光电显示技术有限公司 偏光片的对齐装置
CN109413241B (zh) * 2018-11-23 2020-08-1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0737124B (zh) * 2019-10-24 2021-1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框架和显示装置
KR20220096623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376897A (zh) * 2021-06-07 2021-09-10 惠州华星光电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5331587B (zh) * 2022-10-14 2022-12-20 南京达斯琪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减少重叠阴影的旋转显示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31873T2 (de) * 1992-12-26 2002-11-14 Canon Kk Flüssigkristallapparat
TW505801B (en) * 1995-10-12 2002-10-11 Hitachi Ltd In-plan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ructure prevented from charging with electricity
JPH10123964A (ja) * 1996-08-30 1998-05-15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280882B1 (ko) * 1998-04-22 2001-03-02 구본준 슬림형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US6292239B1 (en) * 1998-05-28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frame to hold the panel and the back light unit using notch and tabs
JP2002311418A (ja) * 2001-04-17 2002-10-23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413486B1 (ko) * 2001-07-10 2003-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lcd)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JP3891843B2 (ja) * 2002-01-08 2007-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840715B1 (ko) * 2002-05-2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TWI320503B (en) * 2002-06-03 201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for providing a light in a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50259191A1 (en) * 2004-05-20 2005-11-24 Jong-Dae Park Supporting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I254173B (en) * 2003-05-06 2006-05-0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2005077590A (ja) * 2003-08-29 2005-03-24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100971953B1 (ko) * 2003-10-07 2010-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면 주름현상의 개선을 위한 액정표시모듈
JP2005242248A (ja) * 2004-02-27 2005-09-08 Optrex Corp 光学表示装置
US20060098134A1 (en) * 2004-11-10 2006-05-11 Park Young W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display device
KR20060083627A (ko) * 2005-01-18 200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납 용기,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20060129787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7034890A (ja) * 2005-07-29 2007-02-08 Toshiba Corp 電子機器
FR2889580B1 (fr) * 2005-08-02 2013-11-22 Eurokera Plaque de cuisson, appareil de cuiss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 plaque
JP4727383B2 (ja) * 2005-10-27 2011-07-2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5061277B2 (ja) * 2005-11-21 2012-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EP1987709B1 (en) * 2006-02-10 2014-08-13 Nokia Corporation A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fixing
JP4432937B2 (ja) * 2006-06-06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80022721A (ko) * 2006-09-07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TWI340851B (en) * 2006-10-27 2011-04-21 Chimei Innolux Corp Display device
KR20080086636A (ko) * 2007-03-23 2008-09-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엘씨디 모듈
JP4353266B2 (ja) * 2007-04-05 2009-10-2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547495B2 (en) * 2007-06-15 2013-10-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5011469B2 (ja) * 2007-07-31 2012-08-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0893619B1 (ko) * 2008-02-18 2009-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071138B1 (ko) * 2008-06-13 2011-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386941B2 (ja) * 2008-11-14 2014-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TWI391752B (zh) * 2009-03-24 2013-04-01 Au Optronics Corp 具熱隔離層之背光模組及顯示裝置
KR101255833B1 (ko) * 2009-07-09 2013-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10012780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813656B1 (ko) * 2011-03-15 2018-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783671B1 (ko) * 2011-04-21 2017-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EP2551717B1 (en) * 2011-07-27 2016-09-1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853873B1 (ko) * 2011-07-28 2018-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5961942B2 (ja) * 2011-08-04 2016-08-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30021490A (ko) * 2011-08-23 201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587745B2 (en) * 2011-10-24 2013-11-1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ixing device thereof
CN102929011A (zh) * 2012-10-29 2013-02-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f型框架的液晶模块及其组装方法
US9128317B2 (en) * 2012-10-29 2015-09-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module having F-type frame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119532B1 (ko) * 2012-12-18 2020-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544A1 (ko) * 2021-10-14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99299B2 (en) 2021-10-14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5316A1 (en) 2015-02-26
CN104424854A (zh) 2015-03-18
EP2840435A2 (en) 2015-02-25
EP2840435A3 (en)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136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7909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모듈
EP280404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195087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209003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1545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1546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550689B2 (en) Backlight assembly
US9436027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device
US8633405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7053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3713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2052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67534A (ko) 광학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073596A1 (en) backlight assembly having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optical member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048524B2 (en) Top case having outsert mo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314141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11262496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panel
US20110216556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049987A (ko) 표시 장치
US20150077643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9049781B2 (en) Display apparatus
KR1018343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1614A (ko) 액정표시장치
US20150109762A1 (en) Member for cotrolling luminous flux, display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