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231A -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 Google Patents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231A
KR20150019231A KR20130095825A KR20130095825A KR20150019231A KR 20150019231 A KR20150019231 A KR 20150019231A KR 20130095825 A KR20130095825 A KR 20130095825A KR 20130095825 A KR20130095825 A KR 20130095825A KR 20150019231 A KR20150019231 A KR 2015001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ortion
hook
shape
bulkhead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051B1 (ko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한국특수섬유기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특수섬유기술 (주) filed Critical 한국특수섬유기술 (주)
Priority to KR102013009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0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부 횡격벽을 구비하는 격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단에서 상기 기둥의 외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후크로 이루어지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격벽부 및 후크부는 함께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INJECTION MUSHROOM HOOK TAPE}
본 발명은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의자, 가정용 소파 등의 외피를 구비한 의자는 외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조 공정에서 의자 본체에 외피를 씌운 후 고정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현재 외피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그 중 의자 본체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외피에 파스너를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후크부는 금형 제작의 한계로 견고한 후크를 생산하지 못하고, 우레탄 발포 공정시에 우레탄이 후크에 침입함으로써 후크의 접착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후크부 주위에 격벽부를 세워서 후크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테이프의 강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부를 사출 방식에 의하여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후크부와 바닥부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부 횡격벽을 구비하는 격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단에서 상기 기둥의 외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후크로 이루어지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격벽부 및 후크부는 함께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부는 복수 개가 상기 외부 횡격벽 사이에서 상기 외부 횡격벽과 평행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내부 횡격벽 및 복수 개가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외부 횡격벽 및 내부 횡격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종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횡격벽 및 종격벽은 상기 외부 횡격벽과 함께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격벽은 상기 외부 횡격벽 및 내부 횡격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횡격벽과 내부 횡격벽 및 종격벽은 상기 후크부가 위치하는 단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는 적어도 2개가 상기 단위 영역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영역에 형성되는 2개의 후크는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영역에서는 동일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영역에서는 반대인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들은 가로지르는 상기 종격벽 또는 내부 횡격벽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동일한 단위 영역에 위치하는 후크 또는 인접한 단위 영역에 위치하는 후크들과 육각 형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벌집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은 수평 단면의 형상이 'Y'자 형상, '+'자 형상 또는 각 단부가 평면인 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기둥이 열성형되어 'Y'자 형상, '+'자 형상 또는 별 형상의 갈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은 상기 격벽부보다 1.0 ~ 1.5mm의 높이로 높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격벽부의 상단부터 상기 머리부의 외측 하단까지의 이격 거리가 0.2 ~ 0.5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접촉되며, 금속 분말과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자성층 및 상기 자성층의 하부에 스폰지 또는 에어 메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층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금속 분말과 수지의 혼합 용액이 상기 머리부의 상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자성층 및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접촉되며, 스폰지 또는 에어 메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층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평면 형상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후크 주위에 격벽이 형성됨으로써 우레탄 발포시 후크부로의 우레탄 침투가 방지되어 후크의 결합력이 증가되고 테이프의 강연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사출 방식에 의하여 바닥부에 후크 기둥이 형성되고 후공정에서 머쉬룸 형태의 후크로 형성되므로 후크가 어느 방향에서나 예리하고 강력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후크부가 사출 방식에 의하여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후크부와 바닥부의 결합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후크부와 바닥부 및 격벽부가 사출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므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십자 형상의 기둥을 먼저 형성하고 후의 열성형 공정에서 십자형 갈고리 형상의 머리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후크부와 루프 테이프의 결합력이 방향에 관계없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크부를 구성하는 후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바닥부와 격벽부 및 후크부의 기둥이 일체로 사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후크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크부를 구성하는 후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바닥부와 격벽부 및 후크부의 기둥이 일체로 사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닥부(110), 격벽부(120), 후크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는 자성층(140) 및 결합층(15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는 바닥부(110)와 격벽부(120) 및 후크부(130)가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130)는 격벽부(120) 내측에 사출 과정에서 기둥으로 형성된 후에 열성형 공정에서 머쉬룸 형태의 머리부를 포함하는 후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는 루프 테이프(미도시)와의 결합력이 증가되며, 강연도도 증가된다.
상기 바닥부(1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은 사출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10)는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폭 방향(Y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10))는 평면 형상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설치되거나 곡선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는 자동차 시트의 중앙 부분에서 직선 형상으로 설치되며, 가장자리 부분에서 곡선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110)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의 평면 형상을 결정하게 되므로,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120)는 외부 횡격벽(1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격벽부(120)는 내부 횡격벽(122), 종격벽(123)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횡격벽(121, 122)은 바닥부(11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을 의미하며, 종격벽(123)은 바닥부(110)의 폭 방향(Y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바닥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바닥부(110)의 길이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바닥부(110)와 동시에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소정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바람직하게는 0.1 ~ 0.3mm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폭이 너무 작으면 우레탄 수지의 발포시 변형되면서 우레탄 수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후크부(13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의 높이가 높게 되면 후크부(130)가 격벽부(12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어 후크부(130)와 루프 테이프의 결합력이 약해진다. 또한, 상기 외부 횡격벽(121)의 높이가 너무 낮게 되면 우레탄 수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바람직하게는 0.3 ~ 0.7mm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우레탄 수지의 발포시 우레탄 수지가 후크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외부 횡격벽(121)은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바닥부(110)의 강도를 보강하여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의 강연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내부 횡격벽(122)은 복수 개가 외부 횡격벽(121) 사이에서 바닥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부 횡격벽(122)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횡격벽(12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횡격벽(122)는 외부 횡격벽(121)과 평행하도록 바닥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부 횡격벽(122)은 바닥부(1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 횡격벽(122)은 바닥부(110)의 폭과 후크부(130)의 수에 따라 적절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횡격벽(121)과 내부 횡격벽(122) 사이에 후크부(130)가 위치한다. 상기 내부 횡격벽(122)은 우레탄 수지의 발포시 외부 횡격벽(121)의 내부로 유입된 우레탄 수지가 추가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내부 횡격벽(122)은 외부 횡격벽(121)과 함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의 강연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종격벽(123)은 복수 개가 바닥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종격벽(123)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횡격벽(12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종격벽(123)은 바닥부(1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부 횡격벽(121) 및 내부 횡격벽(122)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종격벽(123)은 외부 횡격벽(121) 및 내부 횡격벽(122)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격벽(123)은 외부 횡격벽(121) 및 내부 횡격벽(122)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바닥부(110)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상기 종격벽(123)은 바닥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부 횡격벽(12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격벽(123)은 외부 횡격벽(121)의 외측에 위치하는 바닥부(110)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종격벽(123)은 복수 개가 바닥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종격벽(123)은 외부 횡격벽(121) 및 내부 횡격벽(122)과 함께 후크부(130)가 위치하는 단위 영역(110a)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종격벽(123)은 우레탄 수지의 발포시 외부 횡격벽(121) 및 내부 횡격벽(122)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우레탄 수지가 바닥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후크부(130)는 복수 개의 후크(130a)로 이루어지며, 각 후크(130a)는 기둥(131) 및 머리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130)는 외부 횡격벽(121) 사이의 영역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후크(130a)가 위치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130a)는 외부 횡격벽(121)과 내부 횡격벽(122) 및 종격벽(123)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위 영역(110a)에 적어도 1개가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2개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30a)는 단위 영역(110a)에 2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단위 영역(110a)의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130a)는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영역(110a)에서는 동일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후크(130a)는 종방향을 기준으로 사선을 이루면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130a)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영역(110a)에서는 반대인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후크(130a)는 종격벽(123)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크(130a)는 가로지르는 종격벽(123) 또는 내부 횡격벽(122)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30a)는 인접한 후크(130a)들과 종격벽 또는 내부 횡격벽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동일하여 루프 테이프의 루프와 결합되는 정도가 동일하게 되며, 균일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130a)는 둘러싸는 인접한 3개의 후크(130a)들이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130a)는 단위 영역(110a)에 위치하는 후크(130a) 또는 인접한 단위 영역(110a)에 위치하는 후크(130a)들과 육각 형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벌집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30a)는 안정적인 구조로 알려진 벌집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루프 테이프와 결합될 때 균일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130a)는 루프 테이프의 루프들이 후크(130a)들 사이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기둥(131)은 바닥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기둥(131)은 바닥부(110)와 함께 사출되어 바닥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131)은 바람직하게는 격벽부(1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0 ~ 1.5mm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131)은 높이가 너무 낮게 되면 격벽부(120)로 돌출되는 높이가 작게 되어 결합력이 약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131)은 높이가 너무 높게 되면 휘게 되어 결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둥(131)은 수평 단면의 형상이 'Y'자 형상, '+'자 형상 또는 각 단부가 평면인 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단부가 평면인 별 형상은 4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자 형상보다 돌기가 하나 더 많은 상태이며, 돌기의 단부가 뽀족하게 표시되는 일반적인 별 형상과 달리 '+'자 형상과 같이 단부가 직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기둥(131)은 바람직하게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 형상의 기둥(131)은 사출이 용이하며, 머리부가 4개로 이루어지게 되어 루프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머리부(132)는 기둥(131)의 상단에서 기둥(131)의 외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32)는 기둥(131)의 상부에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열성형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131)은 먼저 바닥부(110) 및 격벽부(120)와 함께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되며, 머리부(132)는 그 후에 별도의 열성형 공정에 의하여 기둥(131)의 상부가 변형되어 형성된다. 이때는 상기 머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하는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여 열성형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132)는 기둥(13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기둥(131)과 함께 머쉬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32)는 후크부(130)가 루프 테이프와 결합될 때 갈고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머리부(132)는 기둥(131)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기둥(131)과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상기 머리부(132)는 서로 인접하는 다른 머리부(132)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132)는 격벽부(120)의 상단부터 머리부(132)의 외측 하단까지의 이격 거리(SL)가 0.2 ~ 0.5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32)의 이격 거리(SL)가 너무 작게 되면 격벽부(1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작게 되어 루프 테이프와의 결합력이 약하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132)의 이격 거리(SL)가 너무 크게 되면 기둥이 휘게 되어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132)는 기둥(13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머리부(132)는 ‘Y’자 형상, ‘+’자 형상 또는 별 형상의 갈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머리부(132)는 기둥(131)의 돌기에 대응되는 부분이 열성형되면서 갈고리 형상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둥(131)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머리부(132)는 십자형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방향에 관계없이 루프 테이프와 강력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자성층(140)은 자성을 띠는 철분과 같은 금속 분말이 수지와 혼합된 혼합액으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 분말은 철 분말과 같이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스틸렌 또는 아크릴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과 수지의 혼합비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에게 요구되는 자기적 특성에 따라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가 주형에 고정되어야 하는 힘이 커야 하는 경우에, 자성층(140)은 금속 분말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층(140)은 필름으로 형성되어 바닥부(110)의 하면에 별도의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층(140)은 금속 분말과 수지의 혼합용액이 바닥부(110)의 하면에 소정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층(140)은 0.01mm 내지 0.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자성층(140)은 두께가 너무 얇으면 금속의 함량이 적게 되어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를 주형에 고정하는 힘이 약하게 된다. 상기 자성층(140)은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며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상기 자성층(140)은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가 우레탄 수지의 발포시 금형(미도시)에 고정되도록 하며, 바닥부(110)와 금형의 간극을 좁혀 우레탄 수지가 후크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결합층(150)은 발포성 스폰지가 별도의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자성층(140)의 하면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층(150)은 에어 메쉬가 별도의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자성층(140)의 하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층(150)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바닥부(110)에 대응되는 평면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층(150)은 우레탄 수지의 발포시 압축되어 측부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우레탄 수지가 후크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층(150)은 우레탄 수지의 발포시 우레탄 수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가 의자의 본체(미도시)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층(150)은 2mm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층(15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우레탄 수지가 후크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작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층(15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후크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20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바닥부(110), 격벽부(120), 후크부(130)와 자성층(240) 및 스폰지층(2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200)는 도 1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와 자성층(240) 및 결합층(25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200)는 자성층(240) 및 결합층(25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200)는 도 1에 따른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자성층(240)은 후크부(130)의 머리부(132) 상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성층(240)은 머리부(132)의 상면 외에도 측면 및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층(240)은 금속 분말과 수지의 혼합용액이 머리부(132)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층(240)은 금속 분말과 수지의 혼합용액에 머리부(132)가 딥핑되는 방식으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200)는 자성층(240)이 최상부에 형성되어 우레탄 수지를 성형하는 금형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성층(240)은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200)를 보다 효율적으로 금형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층(250)은 바닥부(11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100)의 결합층(15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200: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110: 바닥부 120: 격벽부
130: 후크부 140, 240: 자성층
150, 250: 결합층

Claims (11)

  1.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부 횡격벽을 구비하는 격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단에서 상기 기둥의 외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후크로 이루어지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격벽부 및 후크부는 함께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복수 개가 상기 외부 횡격벽 사이에서 상기 외부 횡격벽과 평행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내부 횡격벽 및
    복수 개가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외부 횡격벽 및 내부 횡격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종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횡격벽 및 종격벽은 상기 외부 횡격벽과 함께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격벽은 상기 외부 횡격벽 및 내부 횡격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횡격벽과 내부 횡격벽 및 종격벽은 상기 후크부가 위치하는 단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는 적어도 2개가 상기 단위 영역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영역에 형성되는 2개의 후크는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영역에서는 동일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영역에서는 반대인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들은 가로지르는 상기 종격벽 또는 내부 횡격벽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동일한 단위 영역에 위치하는 후크 또는 인접한 단위 영역에 위치하는 후크들과 육각 형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벌집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수평 단면의 형상이 'Y'자 형상, '+'자 형상 또는 각 단부가 평면인 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기둥이 열성형되어 'Y'자 형상, '+'자 형상 또또는 별 형상의 갈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격벽부보다 1.0 ~ 1.5mm의 높이로 높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격벽부의 상단부터 상기 머리부의 외측 하단까지의 이격 거리가 0.2 ~ 0.5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접촉되며, 금속 분말과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자성층 및
    상기 자성층의 하부에 스폰지 또는 에어 메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분말과 수지의 혼합 용액이 상기 머리부의 상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자성층 및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접촉되며, 스폰지 또는 에어 메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결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평면 형상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KR1020130095825A 2013-08-13 2013-08-13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KR10157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25A KR101578051B1 (ko) 2013-08-13 2013-08-13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25A KR101578051B1 (ko) 2013-08-13 2013-08-13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231A true KR20150019231A (ko) 2015-02-25
KR101578051B1 KR101578051B1 (ko) 2015-12-16

Family

ID=5257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825A KR101578051B1 (ko) 2013-08-13 2013-08-13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0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64Y1 (ko) * 2016-06-30 2016-10-28 김남균 매직볼
WO2018007338A1 (en) * 2016-07-05 2018-01-11 Alfatex Nv Fastener tape
KR200487950Y1 (ko) * 2017-06-09 2018-11-2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611A (ja) * 1995-05-23 1996-11-26 Nitto Denko Corp 面ファスナ
KR100377450B1 (ko) * 1995-02-17 2003-06-12 벨크로 인더스트리스 비.브이. 자기적흡인제를구비한접촉식파스너
WO2012066418A2 (en) * 2010-11-17 2012-05-24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ing product face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450B1 (ko) * 1995-02-17 2003-06-12 벨크로 인더스트리스 비.브이. 자기적흡인제를구비한접촉식파스너
JPH08308611A (ja) * 1995-05-23 1996-11-26 Nitto Denko Corp 面ファスナ
WO2012066418A2 (en) * 2010-11-17 2012-05-24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ing product face configur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64Y1 (ko) * 2016-06-30 2016-10-28 김남균 매직볼
WO2018007338A1 (en) * 2016-07-05 2018-01-11 Alfatex Nv Fastener tape
CN109788825A (zh) * 2016-07-05 2019-05-21 阿尔法泰克斯公司 紧固件带
US10349707B2 (en) 2016-07-05 2019-07-16 Alfatex Nv Fastener tape
KR200487950Y1 (ko) * 2017-06-09 2018-11-2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051B1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5907B2 (en) Fastening strap assembly and foam article including same
KR101559688B1 (ko) 성형면 파스너
EP3513680B1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KR101509375B1 (ko) 성형면 파스너
KR101833156B1 (ko) 성형면 파스너
CN102712274B (zh) 沿着凸筋的可释放紧固装置
EP2941978B1 (en) Molded planar fastener and production method for cushion body
KR101578051B1 (ko)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KR102291541B1 (ko) 파스너
CN103327845A (zh) 触摸紧固产品面配置
TW201208600A (en)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GB2468869A (en)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US20200047650A1 (en) Injection-molded hook strip type seat covering fixing structure for a seat cushion of a car
KR20180100634A (ko) 성형면 파스너
US20160366992A1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JP2004148818A (ja) 成型品をオーバー成型する台となる被オーバー成型基材、発泡材の成形品、型及び成型品を製造する方法
US20160052433A1 (en) Sheet having tilted stems on both surfaces thereof and seat using same
JP2003174907A (ja) 係止部材の連結体およ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423243B1 (ko) 파스너 테이프
TWI500398B (zh) 用於發泡物件之黏扣組件及具有黏扣組件之座墊
JP5088816B2 (ja) 面ファスナ、及び、この面ファスナを備えたクッションパッド、並びに成形型
KR101934488B1 (ko) 곡선형 파스너 테이프
KR101372471B1 (ko) 파스너
TW201630702A (zh) 用於發泡物之黏扣帶及包含此黏扣帶之發泡物
KR101436581B1 (ko) 파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