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355A -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 Google Patents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355A
KR20150018355A KR1020140024322A KR20140024322A KR20150018355A KR 20150018355 A KR20150018355 A KR 20150018355A KR 1020140024322 A KR1020140024322 A KR 1020140024322A KR 20140024322 A KR20140024322 A KR 20140024322A KR 20150018355 A KR20150018355 A KR 2015001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asphalt
mixed
layer
reinforc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829B1 (ko
Inventor
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리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리기술
Publication of KR2015001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2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except those according to E01C7/26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3Foundations for pav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e.g. waste or recycl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면포장에 있어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를 형성하여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기능적 장점을 부각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하부에 보강재층을 형성하여 상부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증진하고 교면방수와 레벨링층의 초기파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법이다.

Description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Promote the durability of Bridge Deck Asphalt pavement drainage method}
본 발명은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멘트 콘크리트 상판에 보강재층를 설치하여 배수성 포장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포장공법이다.
신설교량이 대규모 주택 밀집지역이나 도심을 통과할 때 교통소음을 일으키기 때문에 교량 상판의 옆에 방음벽 또는 방음 소음 터널을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지만 교량의 사하중 증가로 인하여 교량 상부 및 하부 구조를 구조적인 보강으로 건설공사비가 증대하기 때문에 방음벽 또는 방음 터널보다 저렴하면서 소음저감 효과가 큰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을 시공하려 하지만 교면 방수와 레벨링층이 조기판손이 문제가 되고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골재탈리 현상과 포트홀 발생 등으로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제 10-2010-0275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으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하부에 보강재층을 형성하여 상부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증진하고 교면방수와 레벨링층의 초기파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법을 목적으로 한다.
교면에 상부에 보강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층 상부에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층은 석유아스팔트1,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은 석유아스팔트2,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상기 석유아스팔트1은 침입도 기준 80~100이며,
상기 석유아스팔트2는 침입도 기준 60~80이며,
상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며,
상기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 골재, 4.75mm 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되,
상기 보강재층의 경우, 굵은골재1은 골재최대치수를 보강재층 두께에 따라 달리하고,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경우, 굵은골재2는 골재최대치수는 19mm 또는 13mm를 사용하되,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상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층 골재의 경우, 굵은골재1은 5~40중량%이고, 잔골재는 60~95중량%로 혼합하고,
상기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또는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사용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되,
상기 보강재층 혼합물의 생산온도는 180~200℃이며, 현장포설온도는 230~260℃에서 시공하며,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상기 보강재층의 표면온도가 50~70℃일 때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강재층의 두께는 2~2.5cm일 때는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두께는 2.5~3cm로 하여, 상기 보강재층과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총 두께 5cm로 하고, 이때 상기 굵은골재1의 최대치수 10cm로 한다.
상기 보강재층의 두께는 3~4cm일 때는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두께는 4~5cm로 하여, 상기 보강재층과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총 두께 8cm로 하고, 이때 상기 굵은골재1의 최대치수 13cm로 한다.
본 발명은 시멘트 콘크리트 교량의 교면포장을 소음저감 효과가 큰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으로 대체함으로써 교통 소음 민원을 줄일 수 있으며, 교량 위를 주행하는 운전자들에게 우천 시 물튀김 방지현상 제서를 통한 시거확보로 교통사고 저감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적용시 방음벽이나 방음터널 설치를 계획하는 신설 교량은 이를 제거함으로써 상부구조의 사하중을 줄여서 공사비 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하부에 보강재층을 형성하여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 교면포장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시멘트 콘크리트 상판의 8cm 포장에 적용할 공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교면에 상부에 보강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층 상부에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을 형성한다.
배수성 아스팔트는 일반적으로 포장으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하고, 우수 등의 배수를 원할히 하는 등의 기능적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재층은 석유아스팔트1,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진다.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은 석유아스팔트2,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진다.
상기 석유아스팔트1은 침입도 기준 80~100이며, 상기 석유아스팔트2는 침입도 기준 60~80이다.
또한 상기 침입도 기준과 상응하는 점도 등급, 노화 잔류 점도 등급, 또는 PG 등급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다.
상기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 골재, 4.75mm 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한다.
상기 보강재층의 경우, 굵은골재1은 골재최대치수를 보강재층 두께에 따라 달리하게 된다.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경우, 굵은골재2는 골재최대치수는 19mm 또는 13mm를 사용하되,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한다.
또한 상기 굵은골재1 및 굵은골재2는 친환경을 위해 건설물 철거에 따른 골재를 가공한 순환골재, 또는 아스팔트 포장을 파쇄해서 얻을 수 있는 폐아스팔트골재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층 골재의 경우, 굵은골재1은 5~40중량%이고, 잔골재는 60~95중량%로 혼합한다.
상기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는 함께 사용하게 된다.
상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한다. 또는 상기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개질혼합재가 동시에 습식혼합될 수 있다.
상기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또는 골재의 입도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개질혼합재를 단순 첨가하는 방법으로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또는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사용한다.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또는 골재의 입도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채움혼합재를 단순 첨가하는 방법으로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재층 혼합물의 생산온도는 180~200℃이며, 현장포설온도는 230~260℃에서 시공한다.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상기 보강재층의 표면온도가 50~70℃일 때 시공한다.
상기 보강재층의 두께는 2~2.5cm일 때는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두께는 2.5~3cm로 하여, 상기 보강재층과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총 두께 5cm로 하고, 이때 상기 굵은골재1의 최대치수 10cm로 한다.
상기 보강재층의 두께는 3~4cm일 때는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두께는 4~5cm로 하여, 상기 보강재층과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총 두께 8cm로 하고, 이때 상기 굵은골재1의 최대치수 13cm로 한다.
10 : 마모층 (4cm)
11 : 텍코우트
12 : 레벨링층 (3cm)
13 : 배수층 (1cm)
14 : 시멘트 콘크리트 상판
20 :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 (5cm)
21 : 경계부
22 : 개질화된 석유아스팔트와 천연아스팔트 합성 바인더(MG)를 사용한 혼합물 포장
23 : 시멘트 콘크리트 상판

Claims (3)

  1. 교면에 상부에 보강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층 상부에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층은 석유아스팔트1,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은 석유아스팔트2,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상기 석유아스팔트1은 침입도 기준 80~100이며,
    상기 석유아스팔트2는 침입도 기준 60~80이며,
    상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며,
    상기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 골재, 4.75mm 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되,
    상기 보강재층의 경우, 굵은골재1은 골재최대치수를 보강재층 두께에 따라 달리하고,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경우, 굵은골재2는 골재최대치수는 19mm 또는 13mm를 사용하되,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상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층 골재의 경우, 굵은골재1은 5~40중량%이고, 잔골재는 60~95중량%로 혼합하고,
    상기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또는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사용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고,
    상기 보강재층 혼합물의 생산온도는 180~200℃이며, 현장포설온도는 230~260℃에서 시공하며,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상기 보강재층의 표면온도가 50~70℃일 때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의 두께는 2~2.5cm이고,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두께는 2.5~3cm로,
    상기 보강재층과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총 두께 5cm로 하고,
    상기 굵은골재1의 최대치수 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의 두께는 3~4cm이고,
    상기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두께는 4~5cm로,
    상기 보강재층과 배수성 아스팔트 표층의 총 두께 8cm로 하고,
    상기 굵은골재1의 최대치수 1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KR20140024322A 2013-08-08 2014-02-28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KR101495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358 2013-08-08
KR20130094358 2013-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55A true KR20150018355A (ko) 2015-02-23
KR101495829B1 KR101495829B1 (ko) 2015-02-25

Family

ID=5259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4322A KR101495829B1 (ko) 2013-08-08 2014-02-28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240A (zh) * 2019-06-20 2019-09-10 安徽建开建设工程有限公司 环氧沥青钢桥面铺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0431A (zh) * 2019-11-25 2020-02-21 湖北工业大学 铁路基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065B1 (ko) 2013-02-15 2013-08-02 대로건설(주) 박층형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의 포장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240A (zh) * 2019-06-20 2019-09-10 安徽建开建设工程有限公司 环氧沥青钢桥面铺装方法
CN110219240B (zh) * 2019-06-20 2021-05-25 安徽建开建设工程有限公司 环氧沥青钢桥面铺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829B1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27890U (zh) 一种环保型沥青路面结构
CN104878678A (zh) 一种透水及保水的透水路面结构施工方法
CN104652216A (zh) 水泥混凝土桥面的排水降噪型沥青路面结构及铺装工艺
US11840482B2 (en) Dry mix and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bed ash and related methods
KR20080063739A (ko) 중온의 폐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 가열 신재 혼합식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N205368926U (zh) 透水性强的园路路面层结构
CN207259961U (zh) 一种抗反射裂缝型重交通排水路面铺装结构
CN107700299B (zh) 一种高架桥梁下层地面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495829B1 (ko) 교면의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KR101541045B1 (ko) 보강층을 이용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CN204780512U (zh) 一种防渗耐用的沥青道路
KR101523660B1 (ko) 흙-아스팔트를 이용한 주차장용 바닥재 구조
CN212000440U (zh) 一种城市交叉路口及公交停靠站的排水路面结构
RU121515U1 (ru) Дорожная одежда
CN103541287A (zh) 全面防水增强路基的路面构造及其施工方法
CN204000529U (zh) 工程用沥青路面结构
KR20150018000A (ko) 콘크리트 상판 8㎝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공법
KR102044882B1 (ko) 차세대 포장 단면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도로 포장 방법
KR101131582B1 (ko) 고화제를 이용한 자전거도로나 산책로의 흙포장 구조
RU84857U1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CN107165012A (zh) 一种隧道上方的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JPH04315601A (ja) ステージコンストラクション工法
CN208136656U (zh) 一种全透性沥青混合料铺面结构
JPH0223603Y2 (ko)
CN110776280A (zh) 一种路基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