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733A -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자동차 및 센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자동차 및 센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733A
KR20150017733A KR1020147034842A KR20147034842A KR20150017733A KR 20150017733 A KR20150017733 A KR 20150017733A KR 1020147034842 A KR1020147034842 A KR 1020147034842A KR 20147034842 A KR20147034842 A KR 20147034842A KR 20150017733 A KR20150017733 A KR 2015001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ensor device
stator
tooth elements
ax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662B1 (ko
Inventor
로만 쇼페
에케하트 프로에리크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filed Critical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ublication of KR2015001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 B60W2422/5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on a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1)로서, 상기 센서 장치(1)는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홀더(2)와, 상기 홀더(2) 상에 배치되고 또한 마그네트로부터 마그네트 센서로 자속을 전도하도록 설계된 자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베이스 요소(18, 19)를 구비하며, 환형의 베이스 요소(18, 19)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분산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치형부 요소(20, 21)를 구비하는, 센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적어도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자동차 및 센서 장치 제조 방법{SENSOR DEVICE FOR MEASURING A VARIABLE CHARACTERISING A ROTATIONAL STATE OF A SHAFT PART OF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NSOR DEVICE}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 예를 들면 토크 및/또는 스티어링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센서 장치는 자동차의 관련된 그리고 대응하는 샤프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한다. 센서 장치는, 또한 홀더 상에 배치되고 또한 마그네트로부터 마그네트 센서로 자속(magnetic flux)을 전도하도록 설계된 자기 - 특히 연자성 - 재료로 형성된 스테이터 부분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그리고 플랜지형 베이스 요소를 구비하며, 또한 환형의 베이스 요소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분산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치형부 요소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와, 센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경우에, 특히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스티어링 각도 - 그리고 다음 또한 토크 - 가 이 센서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센서 장치는 종래 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전기 스티어링 시스템에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DE 102 40 049 A1 호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에서 야기되는 토크를 검출하도록 설계된 이러한 종류의 센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센서 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2개의 샤프트 요소에 끼워맞춰지며, 이들 2개의 샤프트 요소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에 대향되어 위치되어 있다. 마그네트 - 예를 들면 링 마그네트 - 는 제 1 샤프트 요소 상에 존재하는 반면에, 자계 센서 - 예를 들면 홀 센서(Hall sensor) - 는 다른 샤프트 요소 상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자계 센서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중간 공간 또는 공기 갭에 의해서 영구 자석에 대향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센서 장치는 2개의 센서 부분 또는 유닛, 구체적으로 한편으로는 링 마그네트 그리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 마그네트 센서를 통상적으로 포함하며, 마그네트 센서는 영구 자석의 자계를 검출하는 작용을 한다. 영구 자석이 스티어링 수단의 제 1 샤프트 부분에 끼워맞춰지는 동안에, 마그네트 센서는 토션 바아에 의해서 제 1 샤프트 부분에 연결된 제 2 샤프트 부분 상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센서 장치는 제 2 샤프트 부분에 관련하여 제 1 샤프트 부분의 상대적인 이동을 검출한다.
도입부에 인용된 일반적인 형태의 센서 장치는 특허문헌 DE 10 2007 043 502 A1 호에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은 스테이터 부분으로부터 홀 센서로 자속을 전도하는 작용을 하는 플럭스 도체 요소(flux conductor element)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특히 국제공개 팜플랫 제 WO 2009/035266 A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센서 장치는 서로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2개의 센서 유닛, 구체적으로 한편으로 링 마그네트와, 또한 다른 한편으로 자계를 검출하기 위한 마그네트 센서를 포함한다. 다음에, 마그네트 센서 - 특히 마지막에 언급한 특허문헌 국제공개 팜플랫 제 WO 2009/035266 A2 호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플라스틱 홀더와, 또한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방식(rotationally fixed manner)으로 홀더에 끼워맞춰진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이터는 2개의 자기 스테이터를 포함하며, 2개의 자기 스테이터는, 각각,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링형)의 플랜지형 베이스 요소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자기 치형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2개의 자기 스테이터 부분 전체는 스테이터를 형성하며, 링 마그네트의 자속을 수신하고 또한 자속을 상기 플럭스 도체로 그리고 상기 플럭스 도체를 통해서 또한 홀 센서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스테이터 및 링 마그네트는 각각 샤프트 요소에 고정식으로 끼워맞춰지며, 상기 샤프트 요소는 토션 바아에 의해서 연결되며, 그에 따라 샤프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제 본원 발명의 관심사는 상기 홀더의 스테이터 부분에 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국제공개 팜플랫 제 WO 2009/035266 A2 호에 따른 요지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통로 구멍의 형태인 다수의 절취부가 자기 스테이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 절취부는 자기 스테이터 부분의 반경방향의 링형 베이스 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 홀더의 대응하는 핀 또는 볼트는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체결하기 위해 절취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제 1 단점은, 이들 절취부들 또는 핀들이 자기 스테이터 부분으로부터 플럭스 도체로 그리고 다음에 홀 센서로 자속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플럭스 도체는 스테이터 부분의 환형 베이스 요소의 축방향 단부 면 또는 단부 표면으로부터 극히 작은 거리에 배치되게 되며, 그 결과 자속의 신뢰할만한 전달도가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체결 요소 때문에 가능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제 2 단점은,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체결하는 것 또는 단독의 연결 프로세스가 용접 절차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복잡하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은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체결하는 다른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스테이터 부분(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2개 부분 모두)은 홀더 상에 장착되며, 다음에 소위 보지 링이 홀더의 돌출 핀 상에 장착되어 레이저에 의해서 홀더에 용접된다. 또한, 이러한 체결 방법은 상대적으로 복잡한데, 그 이유는 우선 추가의 부품 - 구체적으로 보지 링 - 이 필요하며, 또한 단독의 레이저 용접 프로세스는 상대적으로 힘들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도입부에 인용된 일반적인 형태의 센서 장치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센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각각의 독립 청구항에 따른 특징을 갖는 센서 장치에 의해, 자동차에 의해, 또한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요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는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변수는 토크 및/또는 스티어링 각도이다. 센서 장치는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하며, 또한 홀더 상에 배치되고 또한 마그네트로부터 마그네트 센서로 자속을 전도하도록(예를 들면 플럭스 도체에 의해) 설계된 자기 스테이터 부분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부분은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터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베이스 요소를 구비하며, 또한 환형의 베이스 요소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분산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치형부 요소를 구비한다. 스테이터 부분은 적어도 축 방향에 있어서 치형부 요소에 의해서 홀더에 고정 또는 체결되어 있다.
스테이터 부분이 적어도 축 방향에 있어서 치형부 요소에 의해 홀더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자기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특히 간단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둘째로 자기 스테이터 부분 단독의 교정 작동 방법이 보장된다. 플랜지형 베이스 요소는 특별히 체결 요소가 없이 설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플럭스 도체(이것은 스테이터 부분으로부터 마그네트 센서로 자속을 전도함)는, 베이스 요소의 모든 체결 부분들에 의해 자속의 전달도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이, 스테이터 부분의 환형의 베이스 요소의 축방향 단부 표면으로부터 최소 축방향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 장치의 실질적인 장점은, 예를 들어 치형부 요소 등의 자유 축방향 단부를 굽히는 것과 같이,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체결하는 새로운 방법에서 특히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연결 기술이 필요 없이,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이 필요 없이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연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치형부 요소에 의해서, 또한 스테이터 부분은 종래 기술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추가의 연결 요소가 필요 없이 홀더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체결하는데 치형부 요소만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치형부 요소에 의해 체결이 독점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테이터 부분이 축 방향에 있어서 치형부 요소의 각각의 축방향 자유 단부에 의해서 홀더에 고정되게 되는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스테이터 부분이 치형부 요소의 각각의 축방향 단부들에 의해서 홀더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단부들은 환형의 베이스 요소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스테이터 부분은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단부에 의해서, 특히 예를 들면 축방향 단부가 홀더의 축방향 에지 영역으로 굽혀지는 것에 의해서 특히 신뢰성 있고 그리고 미끄럼 저항(slip-resistant) 방식으로 홀더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자유 단부는 굽혀져 있고, 스테이터 부분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홀더의 축방향 에지 영역 뒤에 결합되는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단부는 여기에서 홀더의 축방향 에지 영역으로 특히 굽혀져 있고, 그 결과 축방향 단부는 적어도 영역들에서 축방향 에지 영역 둘레에 결합되며, 그에 따라 스테이터 부분이 적어도 축 방향에서 신뢰성 있게 체결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치형부 요소는 자기 기능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스테이터 부분의 영역에서 변형되며, 그에 따라 스테이터 부분의 작동 방식은 역효과를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단부가 홀더의 축방향 에지 영역으로 굽혀지는 것만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스테이터 부분을 홀더에 고정하기 위해서 특정의 그리고 고가의 도구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축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터의 안전한 끼워맞춤은, 추가의 체결 요소 또는 그 이외의 특정 용접 기술을 이용하거나 사용함이 없이, 치형부 요소의 이들 굽혀진 축방향 단부에 의해서만 보장된다. 굽혀진 치형부 요소는 구체적으로 후크로서 작용하며, 상기 후크는 축방향 에지 영역 뒤에서 결합되며, 그에 따라 축 방향에서의 홀더에 대한 스테이터 부분의 이동 및/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특히,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자유 단부는 각각의 치형부 요소의 나머지 영역보다 원주 방향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설계된 각각의 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치형부 요소의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이들 러그들 전체가 치형부 요소의 나머지 영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우선 자유 단부 또는 러그가 쉽게 굽혀질 수 있게 허용하며, 둘째로 또한 치형부 요소가 그들의 플럭스 전도의 기능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테이터 부분이 또한 원주 방향에 있어서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자유 단부에 의해서 홀더에 고정 또는 체결되는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치형부 요소의 자유 단부 전체는 2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첫째로 축방향 고정의 기능과, 둘째로 원주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터 부분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자유 단부 또는 상술한 러그가 홀더 내의 대응 축방향 절취부 내에 수용되어 스테이터 부분을 원주 방향에서 고정시키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원주 방향에 있어서 홀더에 대한 스테이터 부분의 이동은 특히 안전하고 그리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한편으로 스테이터 부분과 다른 한편으로 홀더 사이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인터로킹 연결이 또한 이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제조한다.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홀더가 마련된다. 자속을 전도하기 위한 자기 스테이터 부분이 또한 마련되며, 스테이터 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베이스 요소를 구비하도록 설계되며, 환형의 베이스 요소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분산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치형부 요소를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스테이터 부분은 홀더에 고정된다. 스테이터 부분은 적어도 축 방향에 있어서 치형부 요소에 의해서 홀더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를 참조하여 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의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대해서 대응적으로 적용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해서도 대응적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명확해진다.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특징부 및 특징부의 조합과 이하의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고 및/또는 도면에만 도시된 특징부 및 특징부의 조합 모두는 각기 표시된 조합으로만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 또는 그 이외의 그들 조합 자체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리고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테이터 부분의 치형부 요소의 축방향 자유 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의 센서 장치의 제 1 측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센서 장치의 다른 측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의 토크 및/또는 스티어링 각도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전체 센서 장치의 센서 장치(1) 또는 부품들을 도시한 것이다. 스티어링 샤프트는 토션 바아에 의해서 서로에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샤프트 부분을 포함한다. 홀더(2)는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방식(rotationally fixed manner)으로 샤프트 부분 중 하나에 끼워맞춰지는 동시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링 마그네트는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방식으로 다른 샤프트에 보지된다. 홀더(2)는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부분 및/또는 주조 부품일 수 있다. 홀더(2)는, 이 홀더(2)를 관련 샤프트 부분에 체결시키기 위해, 금속 슬리브, 또는 로크, 후크, 클립 등과 같은 그 이외의 다른 체결 요소들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홀더(2)는 서로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원통형 영역, 구체적으로 우선 제 1 축방향 원통형 영역(3)과, 축방향에서 오프셋 방식으로 배치되고 다소 소경인 제 2 축방향 영역(4)을 구비한다. 제 1 축방향 영역(3)은 원주 방향으로 분산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스트럿 쌍(5)에 의해 제 2 축방향 영역(4)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스트럿 쌍(5)은 서로에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스트럿을 포함하며, 이들 2개의 스트럿 사이에 축방향 절취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취부(6)는 통로 개구부를 구성한다. 명료함을 위해서, 단지 하나의 단일 스트럿 쌍(5) 그리고 또한 하나의 단일 절취부(6)만이 도 1에 각각의 도면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홀더(2)의 제 1 축방향 영역(3)은 2개의 축방향 에지 영역, 구체적으로 우선 제 1 외측 에지 영역(7)과, 또한 다음에 제 2 축방향 에지 영역(8)을 구비한다. 원주방향 플랜지(9)는 제 2 축방향 에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방향 플랜지(9)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홀더(2)의 제 1 축방향 영역(3)으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9)에는 다수의 반경방향 절취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부는 스트럿(5) 사이의 절취부(5)와 동일한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 절취부(10)는 원통형의 그리고 중공의 홀더(2)의 내부로부터 스트럿(5) 사이의 절취부(6)를 거쳐서 도달될 수 있다.
제 1 반경방향 에지 영역(7)에는 다수의 축방향 절취부(11)가 또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방향 절취부는 홀더(2)의 제 1 축방향 영역(3)의 외측 에지 내에 축방향 리세스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취부(11)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절취부(10)와 관련하여 오프셋된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결과 절취부(11)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절취부(10) 사이에 각각 배열되며, 또한 반대로도 배열된다.
또한, 센서 장치(1)는 슬라이딩 피스(12)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스테이터 부분(14) 및 제 2 스테이터 부분(15)을 포함하는 스테이터(13)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스테이터(13)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플럭스 컨덕터까지 그리고 상기 플럭스 컨덕터를 통해서 예를 들면 홀 센서(Hall sensor)와 같은 마그네트 센서로 자속을 전도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플럭스 컨덕터는 슬라이딩 피스(12)의 평탄화된 부분(16) 상에 배열되어 있다. 슬라이딩 피스(12)는 홀더(2)의 제 1 축방향 영역(3)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내부 슬리브(17)를 구비하며, 그 결과 홀더(2)의 제 1 영역(3)의 외측 원주는 슬리브(17)의 내측 원주 상에서 활주될 수 있다.
각각의 스테이터 부분(14, 15)은 각각의 경우에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플랜지형 베이스 요소(18, 19)를 구비하며, 또한 각각의 다수의 치형부 요소(20, 21)를 구비한다. 치형부 요소(20, 21)는 축 방향에서, 특히 홀더(2)의 방향에서 각각의 베이스 요소(18 또는 19)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치형부 요소(20, 21)는 샤프트 부분의 회전 축에 대략 평행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스테이터 부분(14, 15)은 동일한 디자인이며, 그에 따라 스테이터 부분(14)의 치형부 요소(20)의 개수는 또한 다른 스테이터 부분(15)의 치형부 요소(21)의 개수와 동일하다.
치형부 요소(20, 21)는, 각각, 메인 본체(22, 23)와, 또한 메인 본체(22, 23)에 축방향으로 직접 인접한 러그(24, 25)를 구비한다. 메인 본체(22 또는 23)는 각각의 베이스 요소(18 또는 19)로부터 축방향으로 직접 돌출되며, 베이스 요소(18 또는 19)로부터 먼 방향으로 약간 테이퍼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러그(24 또는 25)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메인 본체(22 또는 23)보다 상당히 작은 폭, 예를 들면 메인 본체(22 또는 23)의 폭의 절반의 폭을 갖고 있다. 또한, 러그(24 또는 25)는 치형부 요소(20 또는 21)의 축방향 자유 단부(26 또는 27)를 형성한다. 러그(24 또는 25)는, 스테이터(13)를 홀더(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보다 작은 폭을 고려하여 반경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약간 외측으로 향해 굽혀질 수 있다.
치형부 요소(20, 21)의 단부 영역(28)은 도 2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메인 본체(22 또는 23)는 러그(24 또는 25)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화살표(29)에 따르면, 이러한 러그(24 또는 25)는 반경방향으로 굽혀져 있으며, 그 결과 스테이터(13)가 홀더(2)에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13)를 체결시키기 위해서, 우선 스테이터 부분(14)은 그 치형부 요소(20)에 의해서 홀더(2)의 제 2 축방향 영역(4) 상에 장착되며, 그 결과 치형부 요소(20)는 스트럿 쌍(5) 사이의 대응하는 개구부 내에 수용되어, 홀더(2)의 제 1 축방향 영역(3)의 내부 원주에 대해서 지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원주 방향에 있어서 치형부 요소(20) 사이의 거리는 홀더(2)의 외부 에지 영역(7)에서 절취부(11) 사이의 각을 이룬 거리에 대응한다. 스테이터 부분(14)이 홀더(2)의 제 2 영역(4) 상에 장착된 후에, 치형부 요소(20)는 홀더(2)의 제 1 영역(3)의 내부에 배치되며, 그 결과 러그(24)만이 제 1 영역(3)을 지나서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다음에, 러그(24)는 절취부(11)와 동일한 각을 이룬 위치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도시된 화살표(29)에 따라서 굽혀짐으로써 이들 대응하는 절취부(11)에 수용될 수 있다. 러그(24)는 적어도 90°로 굽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테이터 부분은 축 방향 그리고 원주 방향 모두에서 고정되며, 홀더(2)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 요소(18)는 또한 에지 영역(8)의 플랜지(9)와 접촉하게 되며, 그 결과 플랜지(9)는 스테이터 부분(14)이 장착될 때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한다.
다른 스테이터 부분(15)은 하기의 방법으로 홀더(2)에 체결된다: 치형부 요소(21)는 홀더(2)의 제 1 영역(3)의 내부 내로 삽입되는데, 구체적으로 치형부 요소(21)는 원통형 영역(3)의 내부 원주 상을 활주하는 방식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러그(25)는 각 스트럿 쌍(5)의 스트럿 사이에서 절취부(6)에 들어가며, 도시된 화살표(29)에 따라 굽혀짐으로써 플랜지(9) 내의 절취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러그(25)는 적어도 90°로 굽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스테이터 부분(15)은 또한 축 방향 그리고 또한 원주 방향 모두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테이터 부분(15)의 환형 베이스 요소(19)는 홀더(2)의 제 1 원통형 영역(3)의 에지 영역(7)에 대해서 지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스테이터 부분(14, 15)은, 스테이터 부분(14)의 치형부 요소(20)가 스테이터 부분(15)의 치형부 요소(21) 사이에 배치되게 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스테이터 부분(14)의 치형부 요소(20) 그리고 다음에 스테이터 부분(15)의 치형부 요소(21)가 원주 방향에 있어서 교호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센서 장치(1)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은 홀더(2)의 제 2 축방향 영역(4)이 또한 위치되어 있는 센서 장치(1)의 전방 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센서 장치(1)의 후방 면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축방향 리브(30)는 홀더(2)의 제 1 축방향 영역(3)의 내부 원주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치형부 요소(20, 21)는 상기 축방향 리브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치형부 요소(20, 21)에 대응하는 포켓 또는 반경방향 리세스는 상기 리브(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양 측면 상의 각각의 치형부 요소(20, 21)가 상기 포켓 또는 반경방향 리세스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포켓 또는 반경방향 리세스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홀더(2)의 내부 원주를 구성함으로써 추가의 회전 방지가 성취될 수 있다.

Claims (13)

  1.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1)로서, 상기 센서 장치(1)는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홀더(2)와, 상기 홀더(2) 상에 배치되고 또한 마그네트로부터 마그네트 센서로 자속을 전도하도록 설계된 자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베이스 요소(18, 19)를 구비하며, 환형의 베이스 요소(18, 19)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분산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치형부 요소(20, 21)를 구비하는, 센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적어도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각각의 축방향 자유 단부(26, 27)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상기 축방향 자유 단부(26, 27)는 굽혀져 있고,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상기 홀더(2)에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홀더(2)의 축방향 에지 영역(7, 8) 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상기 축방향 자유 단부(26, 27)는 치형부 요소(20, 21)의 나머지 영역(22, 23)보다 원주 방향에서 작은 폭을 갖도록 설계된 각각의 러그(24, 2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또한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축방향 자유 단부(26, 27)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상기 축방향 자유 단부(26, 27)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홀더(2) 내의 대응 축방향 절취부(10, 11)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센서 장치(1)를 구비하는 자동차.
  8.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1)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자동차의 상기 샤프트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홀더(2)를 마련하는 단계와,
    - 자속을 전도하기 위한 자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마련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베이스 요소(18, 19)를 구비하며, 환형의 베이스 요소(18, 19)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분산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치형부 요소(20, 21)를 구비하는, 상기 스테이터 부분 마련 단계와,
    -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상기 홀더(2)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적어도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각각의 축방향 자유 단부(26, 27)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상기 축방향 자유 단부(26, 27)는 굽혀져 있고, 그 결과 축방향 자유 단부는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상기 홀더(2)에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홀더(2)의 축방향 에지 영역(7, 8) 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상기 축방향 자유 단부(26, 27)는 치형부 요소(20, 21)의 나머지 영역(22, 23)보다 원주 방향에서 작은 폭을 갖도록 설계된 각각의 러그(24, 2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제조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은 또한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축방향 자유 단부(26, 27)에 의해서 상기 홀더(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 요소(20, 21)의 상기 축방향 자유 단부(26, 27)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부분(14, 15)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홀더(2) 내의 대응 축방향 절취부(10, 11)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47034842A 2012-06-13 2013-06-12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자동차 및 센서 장치 제조 방법 KR101675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11876A DE102012011876A1 (de) 2012-06-13 2012-06-13 Sensoreinrichtung zum Messen einer einen Rotationszustand eines Wellenteils eines Kraftfahrzeugs charakterisierenden Größe,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nsoreinrichtung
DE102012011876.7 2012-06-13
PCT/EP2013/062134 WO2013186254A2 (de) 2012-06-13 2013-06-12 SENSOREINRICHTUNG ZUM MESSEN EINER EINEN ROTATIONSZUSTAND EINES WELLENTEILS EINES KRAFTFAHRZEUGS CHARAKTERISIERENDEN GRÖßE,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NSOR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733A true KR20150017733A (ko) 2015-02-17
KR101675662B1 KR101675662B1 (ko) 2016-11-11

Family

ID=4866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842A KR101675662B1 (ko) 2012-06-13 2013-06-12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자동차 및 센서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861948B1 (ko)
KR (1) KR101675662B1 (ko)
DE (1) DE102012011876A1 (ko)
WO (1) WO201318625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8542A (zh) * 2015-10-08 2017-04-19 操纵技术Ip控股公司 扭矩传感器组件的磁性支承结构
CN114286778A (zh) * 2019-08-30 2022-04-05 Lg伊诺特有限公司 感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8456B4 (de) * 2017-05-23 2019-12-12 Bourns, Inc. Statorbefestigung im Drehmomentsensor
DE102018111046A1 (de) * 2018-05-08 2019-11-14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Magnet-Baugruppe für eine Senso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Sensoreinrichtung mit einer Magnet-Baugruppe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ensorein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543U (ko) * 2007-09-10 2009-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JP2009244205A (ja) * 2008-03-31 2009-10-22 Kayaba Ind Co Ltd トルク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261B2 (ja) * 1990-04-27 1997-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テップモータ
FR2824910B1 (fr) * 2001-05-18 2005-05-13 Denso Corp Capteur de couple et systeme de direction assistee electrique employant ce capteur
US6701792B2 (en) 2001-08-27 2004-03-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orque sensing apparatus for measuring relative torque between two shafts
US7568400B2 (en) * 2004-05-11 2009-08-04 Jtekt Corporation Torque detecting apparatus
JP5183036B2 (ja) * 2006-06-23 2013-04-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及びヨーク組立体の製造方法
DE102007043502A1 (de) 2007-09-12 2009-04-0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Flussleiterelemente für eine Drehmoment- oder Drehwinkelsensoranordnung
DE102007050209A1 (de) * 2007-10-20 2009-04-2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ensorhalterung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Drehmoment- oder Drehwinkelsensoranordnung
DE102007057292A1 (de) * 2007-11-28 2009-06-04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Drehmoment- oder Drehwinkelsensoranordnung an einer Welle
JP5191774B2 (ja) * 2008-03-31 2013-05-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45435A1 (de) * 2009-10-07 2011-04-14 Zf Lenksysteme Gmbh Sensor
US8448528B2 (en) * 2010-09-27 2013-05-28 Bourns Incorporated Three-piece torque sens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543U (ko) * 2007-09-10 2009-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JP2009244205A (ja) * 2008-03-31 2009-10-22 Kayaba Ind Co Ltd トルクセン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8542A (zh) * 2015-10-08 2017-04-19 操纵技术Ip控股公司 扭矩传感器组件的磁性支承结构
CN106568542B (zh) * 2015-10-08 2020-06-26 操纵技术Ip控股公司 扭矩传感器组件的磁性支承结构
US10794780B2 (en) 2015-10-08 2020-10-0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agnetic support structure of a torque sensor assembly including a central hub and a plurality of spoke segment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entral hub
CN114286778A (zh) * 2019-08-30 2022-04-05 Lg伊诺特有限公司 感测装置
CN114286778B (zh) * 2019-08-30 2023-10-31 Lg伊诺特有限公司 感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6254A2 (de) 2013-12-19
KR101675662B1 (ko) 2016-11-11
EP2861948B1 (de) 2017-08-23
WO2013186254A3 (de) 2014-03-13
EP2861948A2 (de) 2015-04-22
DE102012011876A1 (de)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1871B2 (ja) トルクセンサのステータ取付具
US9821846B2 (en) Device with a torque sensor device and a steering angle sensor device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KR20150138387A (ko) 차량의 센서 장치용 자석 유닛 제조 방법, 자석 유닛, 센서 장치 및 차량
KR101675662B1 (ko) 자동차의 샤프트 부분의 회전 상태의 특징인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자동차 및 센서 장치 제조 방법
JP6294261B2 (ja) トルク検出装置
EP2434259B1 (en) Target magnet assembly for a rotation sensor used with a steering gear
CN107107954B (zh) 扭矩传感器模块和包括该扭矩传感器模块的转向角度感测装置
EP2433848A2 (en) Three-piece torque sensor assembly
KR101664759B1 (ko) 차량용 센서 장치, 차량, 및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72897B1 (ko) 토크 센서의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EP2848905A1 (en) Relative-rotation-angle-displacement detector, torque controller and torque detector in which said detector is used, and vehicle provided with said controller
JP7138729B2 (ja) 自動車両のセンサー装置用の磁石組立体、磁石組立体を有したセンサー装置、およびセンサー装置を有した自動車両
US10871411B2 (en) Stator holder, stator assembly, method for assembling a stator assembly, torque sensor device with a stator assembly and a stator holder, and motor vehicle with a torque sensor device
EP2848906A1 (en) Relative rotational angle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torque detecting device and torque control device using said detecting device, and vehicle provided with said control device
US9945743B2 (en) Torque sensor device
CN112744286B (zh) 用于车辆的齿轮箱组件
KR101024759B1 (ko) 회전 센서 장치
JP5345259B1 (ja) 車両の車速検出装置および自転車
JP6134350B2 (ja) トルク検出装置
JP2007163487A (ja) ホイール支承部の回転運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6296561B2 (ja) トルク検出装置
JP6254544B2 (ja) トルク検出装置
JP6179715B2 (ja) 車両の車速検出装置および自転車
KR20130090177A (ko)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JP2004306672A (ja) 回転センサ付回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