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607A -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607A
KR20150017607A KR1020130093781A KR20130093781A KR20150017607A KR 20150017607 A KR20150017607 A KR 20150017607A KR 1020130093781 A KR1020130093781 A KR 1020130093781A KR 20130093781 A KR20130093781 A KR 20130093781A KR 20150017607 A KR20150017607 A KR 20150017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moisture barrier
barrier layer
layer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안
채경수
정관하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607A/ko
Priority to JP2014159676A priority patent/JP2015035213A/ja
Priority to US14/452,519 priority patent/US9383842B2/en
Publication of KR2015001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윈도우 기판; 상기 윈도우 기판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전극패턴이 형성된 터치센서 ; 상기 윈도우 기판와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시키는 접착층; 상기 터치센서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TOUCH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센서(Touch Sensor)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또한, 터치센서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센서와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이다.
종래 터치센서를 포함한 터치센서 모듈에서는 상호 접합된 면 사이에 수분이 침투함으로써 고온고습에서의 내환경성 및 내침습 특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제2012-0065740호와 같이 터치센서 모듈의 내침습 특성등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접합층 등의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생산성의 저하 및 별도구성의 추가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KR 2012-0065740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터치센서 모듈의 수분침투를 방지함으로써 고온고습환경에서의 내환경성 뿐만 아니라 터치센서 모듈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터치센서, 윈도우 기판;상기 윈도우 기판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전극패턴이 형성된 터치센서; 상기 윈도우 기판와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시키는 접착층; 상기 터치센서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터치센서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패턴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패턴을 구비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상기 윈도우 기판와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하는 접착층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아크릴 계열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의 표면을 덮는 제2 습기 방지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은 제1 습기 방지층과 다른 재질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윈도우 기판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형성되고, 일면에 전극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패턴의 습기 침투를 막아주는 방지 홈이 형성된 터치센서; 상기 윈도우 기판와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시키면서 상기 방지 홈에 삽입되는 접착층; 상기 터치센서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상기 윈도우 기판와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하는 접착층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의 표면을 덮는 제2 습기 방지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은 제1 습기 방지층과 다른 재질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타면에 제2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패턴상에 제1 투명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제2 투명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윈도우 기판를 결합하여 접착액이 흘러나와 제1 습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습기방지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투명접착층상에 윈도우 기판를 접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투명접착층상에 하드코팅층 또는 반사방지층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습기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습기방지층의 외주면에 제2 습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의 재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과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투명접착층상에 윈도우 기판를 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투명접착층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센서 모듈의 고온고습환경에서도 내침습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터치센서 모듈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센서 모듈의 접착되는 부분에서의 내환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윈도우 기판와 베이스 기판의 경계선으로부터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제1 습기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별도 공정이나 부재 없이도 효과적으로 터치센서 모듈의 내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센서 모듈에 사용되는 경계선상에 제1 습기 방지층이 형성되어 수분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별도 구성의 부가에 따른 모듈의 결합신뢰성의 저하 및 작동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습기 방지층과 제2 습기 방지층을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방습성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공정 중에 추가 공정이 없이 제1 투명접착층의 과도포하여, 제1 습기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접착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A 부분 확대도,
도 4 내지 8은 도 3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변형예시도 및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이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의 ‘터치’용어는 접촉 수용면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접촉 수용 면으로부터 입력수단이 상당한 거리만큼 근접하여 인식되는 범위까지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접착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A 부분 확대도, 도 4 내지 8은 도 3에 대한 터치센서 모듈의 변형예시도, 및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이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터치센서 모듈(1)의 내침습성을 비록한 내환경성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터치센서 모듈(1) 내부로 수분 등의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고온다습의 환경에서도 그 작동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이 및 터치센서 모듈(1)의 적용제품에서보다 다양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터치센서 모듈은, 윈도우 기판(30), 윈도우 기판(3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전극패턴(12,13)이 형성된 터치센서(10), 윈도우 기판(30)과 터치센서(10)를 결합시키는 접착층(21), 터치센서(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24)을 포함한다.
윈도우 기판(30)은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극패턴(12,13)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 기판(30)은 전극패턴(12,13)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에서 제공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윈도우 기판(30)은 터치센서(10)의 최 외곽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소정강도 이상의 강화유리 등을 사용함으로써 터치센서(10)을 보호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윈도우 기판(30)은 투명도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센서(10)는, 저항막방식이나 정전용량방식 기타 다양한 터치센서(10)가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센서(10)의 형태 및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1)에서는 베이스 기판(11)의 양면에 전극패턴(12, 13)이 형성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10)를 하나의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1)의 터치센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11), 베이스 기판(11)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전극패턴(12); 및 베이스 기판(11)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전극패턴(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은 소정강도 이상을 보유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기판(11)의 후술하는 전극패턴(12, 13)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 기판(11)과 전극패턴(12, 13)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베이스 기판(11)의 일면에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 등을 수행하 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패턴(12, 13)은 터치의 입력수단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전극패턴(12)과 제2 전극패턴(13)은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패턴(12)이 X축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때, 제2 전극패턴(13)은 제1 전극패턴(12)에 교차되는 Y축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패턴(12, 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전극패턴(12)과 제2 전극패턴(13)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점의 죄표를 인식하여 터치센서(10)가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전극패턴(12) 및 제2 전극패턴(13)에 사용될 수 있는 재질에는 전도성이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패턴(12, 13)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메시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메쉬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패턴(20a)이 연속적으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단위패턴(20a)은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전극패턴(12, 13)은 상술한 금속 이외에도 은염(銀鹽) 유제층을 노광/현상하여 형성된 금속 은, ITO(Indium Thin Oxide) 등의 금속산화물이나,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한 PEDOT/PSS 등의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터치센서(10)의 일면에는 제1 투명접착층(21)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 투명접착층(22)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0)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1 투명접착층(21) 및 제2 투명접착층(22)은 상부의 윈도우 기판(30)를 접합하거나, 하부의 하드코팅층(40)이나 반사 방지층을 결합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투명접착층(21) 및 제2 투명접착층(22)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Acryl)계열 및 에폭시(Epoxy)계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터치센서 모듈(1)의 시인성을 위해 투명한 재질의 접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투명접착층(21) 과 제2 투명접착층(22)에 의해 결합된 터치센서 모듈(1)에서는, 특히, 제1 투명접착층(21)이나 제2 투명접착층(22)이 결합 되어 형성된 부분의 경계선으로 외부 수분이 침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습기가 베이스 기판(11)과 제1 투명접착층(21)의 결합 경계선을 따라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습기 방지층(24)을 형성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습기 방지층(24)은 제1 투명접착층(21)과 윈도우 기판(30)가 결합과정에서 발생 되는 가압으로 접착액이 흘러나와 형성된다. 제1 습기 방지층(24)은 베이스 기판(11)과 제1 투명접착층(21)의 결합 경계선에서 흘러 나와 중력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려 경화된다. 즉, 제1 습기 방지층(24)은 중력에 의해 물방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습기 방지층(24)은 베이스 기판(11)과 제1 투명접착층(21)의 결합 경계선을 도포하도록 한다. 즉, 제1 습기 방지층(24)은 제1 투명접착층(21)이 과 도포되고 베이스 기판(11)과 결합 과정 중에 생성된다.
제1 습기 방지층(24)은 제1 투명접착층(21)의 결합 경계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습기 방지층(24)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Acryl)계열 및 에폭시(Epoxy)계열 등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습기 방지층(24)은 제1 투명접착층(21)과 동일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습기 방지층(21)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신설하지 않고 터치센서 패널(1)을 제작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와 같이 제1 습기 방지층(24)은 제1 투명접착층(21)과 제2 투명접착층(22)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각각 결합하는 경계선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투명접착층(21) 과 제2 투명접착층(22)은 동일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제1 습기 방지층(24)은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재질의 제2 습기 방지층(26)이 형성된다. 이는, 제2 습기 방지층(26)은 제1 습기 방지층(24)과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습기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제2 습기 방지층(26)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Acryl)계열 및 에폭시(Epoxy)계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변형예의 터치센서 모듈(1)은, 일실시예의 동일구성요소는 생략하고,본 발명에 따른 제1 변형예와 일실시예의 차별화되는 터치센서 모듈(1)의 구조를 설명한다. 일실시예와 동일 반복되는 윈도우 기판(30) 전극패턴(12,13), 제1 투명접착층(21) 및 제2 투명접착층(22)의 반복되는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변형예의 터치센서 모듈(1)은, 윈도우 기판(30), 윈도우 기판(3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전극패턴(12)이 형성된 터치센서(10), 윈도우 기판(30)과 터치센서(10)를 결합시키는 접착층, 터치센서(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24)을 포함한다.
터치센서(10)는 베이스 기판(11)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전극패턴(12); 및 상기 베이스 기판(11)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전극패턴(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은 제1 투명접착층(21)에 접하는 테두리를 따라 방지 홈이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11)에 형성되는 방지 홈은 레이저 및 기계가공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방지 홈은 제1 투명접착층(21)의 접착액이 삽입되어 충진된다. 즉, 방지 홈은 제1 투명 접착층(21)과 베이스 기판(11)의 경계면을 따라 침투되는 습기를 차단한다.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변형예의 터치센서 모듈(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변형예와 제2 변형예의 차별화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일실시예와 동일 반복되는 윈도우 기판(30), 전극패턴(12,13), 제1 투명접착층(21) 및 제2 투명접착층(22)의 반복되는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변형예의 터치센서 모듈(1)은, 윈도우 기판(30), 윈도우 기판(3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전극패턴(12)이 형성된 터치센서(10), 윈도우 기판(30)과 터치센서(10)를 결합시키는 접착층, 터치센서(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24)을 포함한다.
터치센서(10)는 베이스 기판(11)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전극패턴(12); 및 상기 베이스 기판(11)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전극패턴(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은 윈도우 기판(3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부(28)이 형성된다. 돌출부(28)은 베이스 기판(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돌출부(28)은 베이스 기판(11)의 표면보다는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28)은 제1 투명 접착층(21)과 베이스 기판(11)의 결합 경계면을 따라 침투되는 습기를 차단한다. 이때, 돌출부(28)은 침투되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접촉 면적을 넓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투명접착층(21)과 베이스 기판(11)의 결합 경계선에 형성된 제1 습기 방지층(24)과 더불어 습기가 터치센서 모듈(1)로 들어오는 것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8과 같이 제1 습기 방지층(24)의 표면을 제2 습기 방지층(26)으로 도포하여 결합 경계선으로 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9 는 베이스 기판(11)을 준비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베이스 기판(11)은 터치센서 모듈(1)의 시인성을 위해 투명한 재질을 사용함이 적절하다. 베이스 기판(11)의 재질 및 관련 설명은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베이스 기판(11)의 양면에 제1 전극패턴(12) 및 제2 전극패턴(13)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전극패턴(12) 및 제2 전극패턴(13)은 건식 공정, 습식 공정 또는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건식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을 포함하고, 습식 공정은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을 포함하며, 다이렉트 패터닝 공정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제1 투명접착층(21) 및 제2 투명접착층(22)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전극패턴(12)과 윈도우 기판(30)를 결합하여 접착액이 흘러나와 제1 습기 방지층(2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제1 전극패턴(12) 상에 제1 투명접착층(21)을 형성하고, 제2 전극패턴(13)상에 제2 투명접착층(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투명접착층(21) 및 제2 투명접착층(22)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터치센서 모듈(1)의 시인성을 위해 투명한 재질의 접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투명접착층(21)상에 윈도우 기판(30)를 접착함으로써 터치센서 모듈(1)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전극패턴(12)이 노출된 부분이므로 윈도우 기판(30)를 접합시켜 제1 전극패턴(12)을 보호하여 터치센서(10)의 작동 신뢰성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투명접착층(21)과 베이스 기판(11)을 결합한다. 이때, 베이스 기판(11)과 제1 투명접착층(21)의 결합 경계선을 따라 접착액이 흘러나온다. 흘러나온 접착액을 UV(Ultravilet Ray)조사를 통해 부분적으로 경화시켜 수분침투를 차단하는 제1 습기 방지층(24)으로 형성한다. 특히, OCA(Optical Clear Adhesive) 재질의 경우에는 보다 조밀한 구조로 경화시켜 제1 습기 방지층(24)을 결합 경계선에 형성함으로써, 외부 수분침투를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습기 방지층(26)을 제1 습기 방지층의 외주면에 형성함으로써, 습기 차단효과가 현저하게 늦춰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투명접착층(22)상에 하드코팅층(40)이나 반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하드코팅층(40)은 제2 전극패턴(13)을 포함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한다. 반사방지층은 터치센서 모듈(1)의 시인성을 위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투명접착층(22)상에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출력장치(도면 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1)과 동일하게 중복되는 구성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되어 중복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터치센서 모듈 10: 터치센서
11: 베이스 기판 12: 제1 전극패턴
13: 제2 전극패턴 21: 제1 투명접착층
22: 제2 투명접착층 24: 제1 습기 방지층
26: 제2 습기 방지층 28: 돌출부
30: 윈도우 기판 40: 하드코팅층

Claims (16)

  1. 윈도우 기판;
    상기 윈도우 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시키는 접착층;
    상기 터치센서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패턴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패턴을 구비하는 터치센서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하는 접착층과 동일한 재질인 터치센서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Acryl)계열 및 에폭시(Epoxy)계열의 재질을 사용한 터치센서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의 표면을 덮는 제2 습기 방지층이 더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은 제1 습기 방지층과 다른 재질을 사용한 터치센서 모듈.
  7. 윈도우 기판;
    상기 윈도우 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형성되고, 일면에 전극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패턴의 습기 침투를 막아주는 방지 홈이 형성된 터치센서;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시키면서 상기 방지 홈에 삽입되는 접착층;
    상기 터치센서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습기 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터치센서를 결합하는 접착층과 동일한 재질인 터치센서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Acryl)계열 및 에폭시(Epoxy)계열의 재질을 사용한 터치센서 모듈.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습기 방지층의 표면을 덮는 제2 습기 방지층이 더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은 제1 습기 방지층과 다른 재질을 사용한 터치센서 모듈.
  12.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타면에 제2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패턴상에 제1 투명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제2 투명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윈도우 기판를 결합하여 접착액이 흘러나와 제1 습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습기방지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접착층상에 윈도우 기판를 접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투명접착층상에 하드코팅 층 또는 반사방지층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습기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습기방지층의 외주면에 제2 습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습기 방지층의 재질은 상기 제1 습기 방지층과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접착층상에 윈도우 기판를 접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투명접착층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아크릴(Acryl)계열 및 에폭시(Epoxy)계열의 재질을 사용한 터치센서 모듈의 제조방법.
KR1020130093781A 2013-08-07 2013-08-07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7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81A KR20150017607A (ko) 2013-08-07 2013-08-07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14159676A JP2015035213A (ja) 2013-08-07 2014-08-05 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4/452,519 US9383842B2 (en) 2013-08-07 2014-08-05 Touch senso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81A KR20150017607A (ko) 2013-08-07 2013-08-07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607A true KR20150017607A (ko) 2015-02-17

Family

ID=5244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781A KR20150017607A (ko) 2013-08-07 2013-08-07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83842B2 (ko)
JP (1) JP2015035213A (ko)
KR (1) KR201500176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7082B2 (ja) * 2019-11-29 2023-11-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出装置及び検出装置の製造方法
US11294518B1 (en) * 2020-09-15 2022-04-05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0306A4 (en) * 2008-08-25 2013-01-16 Nissha Printing TOU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119355B1 (ko) * 2010-09-09 2012-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20065740A (ko) 2010-12-13 2012-06-2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40081313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2906A1 (en) 2015-02-12
US9383842B2 (en) 2016-07-05
JP2015035213A (ja)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681B1 (ko) 터치패널
US20130162547A1 (en) Touch screen
KR101119355B1 (ko) 터치패널
KR20130078065A (ko) 터치패널
KR20130051803A (ko) 터치패널
JP2015153422A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75908A (ko)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30277194A1 (en) Touch panel
US20150015802A1 (en) Touch sensor
US20140125624A1 (en) Touch screen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137443A (ko) 터치센서
US20130269991A1 (en) Touch panel
KR20140030772A (ko) 터치패널
KR2016012454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JP2015088185A (ja) タッチセンサ
KR20130022570A (ko) 터치패널이 포함된 디스플레이장치
US20140158507A1 (en) Touch panel
KR20150025388A (ko)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17607A (ko)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0298A (ko) 터치패널
US20140253822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US20140184953A1 (en) Touch panel
KR20120089133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1390B1 (ko) 터치센서모듈
KR20150081568A (ko)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