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405A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405A
KR20150017405A KR1020130069122A KR20130069122A KR20150017405A KR 20150017405 A KR20150017405 A KR 20150017405A KR 1020130069122 A KR1020130069122 A KR 1020130069122A KR 20130069122 A KR20130069122 A KR 20130069122A KR 20150017405 A KR20150017405 A KR 2015001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voltage
stage
main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475B1 (ko
Inventor
이정남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475B1/ko
Priority to US14/301,803 priority patent/US9431899B2/en
Priority to CN201410270061.XA priority patent/CN104242437A/zh
Publication of KR2015001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동작 전압 및 제1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의 동작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메인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전압을 메인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DC/DC 스테이지;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을 기설정된 제2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서버(Server)에 적용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서버용 전원은 스탠바이 전원을 생성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를 가진 플라이백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높은 전압 스트레스와 하드 스위칭으로 인해 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 서버용 전원 장치에서는,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스탠바이(Standby) 전원부가 동작전원 및 스탠바이 전원을 공급하고, DC/DC 스테이지는 상기 스탠바이(Standby)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메인 전압을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서버용 전원장치에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대개 플라이백 컨버터가 사용되며, 대략 230Vac 입력전압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50% 부하시 상기 PFC부의 효율은 대략 98%이고, 상기 DC/DC 스테이지의 효율은 96%이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효율은 80% 정도이다.
따라서, 종래 서버용 전원장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비중이 메인 전원부에 비하여 작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이 매우 낮으므로, 전원장치가 적용되는 서버의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 2는 메인 컨버터, 스탠바이 컨버터를 구비한 전원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전원 공급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1. 일본공개특허 2001-298860 2. 한국공개특허 2009-0003906
본 명세서는 메인 전압을 이용하여 스탠바이 전압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 스탠바이 출력단에 제공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시스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동작 전압 및 제1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의 동작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메인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전압을 메인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DC/DC 스테이지,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을 기설정된 제2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낮출 수 있다.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수동 소자부, 상기 수동 소자부 및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온(ON)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메인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는,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과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 공급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원 공급 라인을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부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보호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 공급시 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동작 전압 및 제1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의 동작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메인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전압을 메인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DC/DC 스테이지,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을 기설정된 제2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하는 스위칭 신호를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낮출 수 있다.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수동 소자부, 상기 수동 소자부 및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해 메인 전압을 이용하여 스탠바이 전압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해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 스탠바이 출력단에 제공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시스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제1 구현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제2 구현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제3 구현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제1 변형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 스테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PFC부(100), 스탠바이 스테이지(200), DC/DC 스테이지(300),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FC부(100)는 교류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직류 전압(Vdc)으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압(Vdc)을 상기 DC/DC 스테이지(300),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PFC부(100)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압(Vdc)을 기설정된 크기의 동작 전압(Vcc), 제1 스탠바이 전압(Vstb1)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Vstb1)을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C/DC 스테이지(300)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로부터의 동작 전압(Vcc)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 전압(Vdc)을 기설정된 크기의 메인 전압(Vmain)으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전압(Vmain)을 메인 출력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는 상기 DC/DC 스테이지(300)로부터의 메인 전압(Vmain)을 기설정된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의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PFC부(100)는 소정의 교류 전압(예컨대, 대략 90 내지 266 Vac)을 기설정된 크기의 직류전압(예컨대, 380Vdc)으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전압을 DC/DC 스테이지(300),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PFC부(100)로부터의 직류전압(Vdc)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동작 전압(Vcc)(예컨대, 10Vdc) 및 제1 스탠바이 전압(Vstb1)(예컨대, 10Vdc)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Vstb1)을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제공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Vstb1)은 스탠바이 전압(Vstb)이 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DC/DC 스테이지(300)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로부터의 동작 전압(Vcc)을 공급받고, 상기 DC/DC 스테이지(300)의 내부 회로를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직류전압(Vdc)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메인 전압(Vmain)(예컨대, 12Vdc)으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전압(Vmain)(예컨대, 12 Vdc)을 메인 출력단(OUTmain)으로 제공할 수 있다(S220).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는 상기 DC/DC 스테이지(300)로부터의 메인 전압(Vmain)을 미리 설정된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예컨대, 10V)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제공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은 스탠바이 전압(Vstb)이 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할 수 있다(S240).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공급되는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작아지므로,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는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걸릴 수 있다.
즉, DC/DC 스테이지(300)가 온 동작하는 경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가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가변함으로써,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로부터의 제1 스탠바이 전압이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DC/DC 스테이지(300)가 동작하지 않는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스탠바이 스테이지(200)가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로 유지함으로써, DC/DC 스테이지(300)로부터의 전압이 반영될 때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의 전압을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는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의 전압 변동이 저감될 수 있다.
또, DC/DC 스테이지(300)가 동작할 때, 전원 공급 장치 내의 회로에 내부 전원을 공급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의 제1 스탠바이 전압이 낮춰짐으로써 전원 공급 장치 내의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이 줄어든다. 이로 인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효율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제1 구현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는, 상기 메인 출력단(OUTmain)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1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다이오드(D1)는, 상기 DC/DC 스테이지(300)로부터의 메인 전압(Vmain)에 의해 턴온되고,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제2 구현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는, 상기 메인 출력단(OUTmain)과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SW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칭 소자(SW1)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되어 상기 DC/DC 스테이지(300)로부터의 메인 전압(Vmain)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상기 DC/DC 스테이지(300)에서 메인 전압(Vmain)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스위칭 소자(SW1)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제3 구현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는, 상기 DC/DC 스테이지(300)로부터의 메인 전압(Vmain)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410)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4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다이오드(D2)는,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410)로부터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1 변형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의 출력단과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 공급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원 공급 라인을 오프시키는 보호 회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부(500)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보호 다이오드(D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다이오드(D5)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 공급시 오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DC/DC 스테이지(300)가 온 동작하는 경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가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낮춤으로써,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로부터의 제1 스탠바이 전압이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 새어나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회로부(500)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의 출력단과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 공급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원 공급 라인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이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호 회로부(500)가 보호 다이오드(D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호 다이오드(D5)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 공급시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스탠바이 전압(Vstb1,Vstb2)이 각각 10Vdc일 경우, 상기 보호 다이오드(D5)는 오프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탠바이 스테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그 내부에 소정의 임피던스 소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수동 소자부(220), 스위칭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 소자부(220)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OUTstb)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소자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스위칭부(230)는 상기 수동 소자부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스위칭부(230)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온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출력되는 제1 스탠바이 전압이 저감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PFC부(100), 스탠바이 스테이지(200), DC/DC 스테이지(300),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 감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FC부(100),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 상기 DC/DC 스테이지(300),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400)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지부(600)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Vstb2)의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으로의 공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감지부(600)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하는 스위칭 신호(SW)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SW)를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 8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부(230)는 상기 스위칭 신호(SW)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칭 신호(SW)는 상기 스위칭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지부(600)가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230)는 온(ON)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OUTstb)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200)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 스탠바이 출력단에 제공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메인 전압을 이용하여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PFC부
200 : 스탠바이 스테이지
300 : DC/DC 스테이지
400 :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
500 : 보호 회로부
600 : 감지부

Claims (13)

  1.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동작 전압 및 제1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의 동작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메인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전압을 메인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DC/DC 스테이지; 및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을 기설정된 제2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낮추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수동 소자부; 및
    상기 수동 소자부 및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온(ON) 동작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메인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는,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과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 공급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원 공급 라인을 오프시키는 보호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부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에 연결된 애노드와,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보호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 공급시 오프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동작 전압 및 제1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스탠바이 스테이지;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로부터의 동작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직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메인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전압을 메인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DC/DC 스테이지;
    상기 DC/DC 스테이지로부터의 메인 전압을 기설정된 제2 스탠바이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을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메인/스탠바이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으로의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탠바이 출력단에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을 가변하는 스위칭 신호를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에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2 스탠바이 전압의 크기보다 낮추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는,
    상기 스탠바이 스테이지의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수동 소자부; 및
    상기 수동 소자부 및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30069122A 2013-06-17 2013-06-17 전원 공급 장치 KR101589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22A KR101589475B1 (ko) 2013-06-17 2013-06-17 전원 공급 장치
US14/301,803 US9431899B2 (en) 2013-06-17 2014-06-11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andby voltage by using main voltage
CN201410270061.XA CN104242437A (zh) 2013-06-17 2014-06-17 电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122A KR101589475B1 (ko) 2013-06-17 2013-06-17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05A true KR20150017405A (ko) 2015-02-17
KR101589475B1 KR101589475B1 (ko) 2016-01-28

Family

ID=5201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122A KR101589475B1 (ko) 2013-06-17 2013-06-17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31899B2 (ko)
KR (1) KR101589475B1 (ko)
CN (1) CN1042424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3814B2 (en) * 2010-03-16 2016-08-2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Apparatus of supplying power while maintaining its output power signal and method therefor
US10348207B2 (en) * 2016-11-15 2019-07-09 Lg Chem, Ltd. Control system for transitioning a DC-DC voltage converter from a boost operational mode to a safe operational mode
US10622832B2 (en) * 2017-05-03 2020-04-1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a hold up time of a power supply unit
KR20200030407A (ko)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46067B1 (ko) * 2019-07-17 202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4050746B1 (en) * 2021-02-26 2024-04-03 Ovh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circuit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from a plurality of power supplies to a plurality of loa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8860A (ja) 2000-04-12 2001-10-26 Sony Corp 電子機器の電源装置
KR100744938B1 (ko) * 2006-06-28 2007-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원공급 장치
KR20090003906A (ko)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90022222A (ko) * 2007-08-30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제어장치
KR101141416B1 (ko) * 2010-08-18 2012-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시스템 효율을 개선한 전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69Y1 (ko) 2007-10-23 2010-06-10 잘만테크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JP4332861B2 (ja) 2008-01-16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制御装置
CN201222664Y (zh) * 2008-06-16 2009-04-15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具备系统切换电路的电源供应器
US7864551B2 (en) * 2008-06-20 2011-01-04 Zippy Technology Corp. Power supply device with system switch circuit
CN103236785B (zh) * 2008-10-09 2016-01-20 立锜科技股份有限公司 多电平输出电源转换器的电位切换装置
TWI443922B (zh) * 2010-11-05 2014-07-01 泰達電子公司 電源供應電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8860A (ja) 2000-04-12 2001-10-26 Sony Corp 電子機器の電源装置
KR100744938B1 (ko) * 2006-06-28 2007-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원공급 장치
KR20090003906A (ko)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90022222A (ko) * 2007-08-30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제어장치
KR101141416B1 (ko) * 2010-08-18 2012-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시스템 효율을 개선한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1899B2 (en) 2016-08-30
KR101589475B1 (ko) 2016-01-28
US20140368179A1 (en) 2014-12-18
CN104242437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475B1 (ko) 전원 공급 장치
US98111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upply
JP2006094696A (ja) 力率補正回路及びその出力電圧制御方法
US8867245B1 (en)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high-power integrated circuit and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therefor
KR10153867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KR20100129550A (ko) 어댑터 전원 장치
JP2006230057A (ja) 電源装置
KR101141416B1 (ko) 시스템 효율을 개선한 전원 장치
US20170179759A1 (en) Ups with integrated bypass switch
JP6669968B2 (ja) 電圧制御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621054B2 (en) Power supply circuit, electronic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JP2010068631A (ja) 減電圧検出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システム
KR2011004493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JP2005210809A (ja) 電気機器の電源装置
KR20080013242A (ko) 대기전원 공급장치
KR20090041216A (ko) 전원공급장치의 소프트 스타트회로
US11258297B2 (en) Inverter control strategy for a transient heavy load
JP2007185018A (ja) 電力変換装置
US20190260288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fiber laser oscillator use
KR101030407B1 (ko) 어댑터 전원 장치
KR100565590B1 (ko) 전원 회로
JP6350645B2 (ja) 電源装置
KR101153586B1 (ko) 대기전력 저감형 전원 공급 장치
JP6297839B2 (ja)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90010651A (ko)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