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999A - 스위치 기어 - Google Patents

스위치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999A
KR20150016999A KR1020157000343A KR20157000343A KR20150016999A KR 20150016999 A KR20150016999 A KR 20150016999A KR 1020157000343 A KR1020157000343 A KR 1020157000343A KR 20157000343 A KR20157000343 A KR 20157000343A KR 20150016999 A KR20150016999 A KR 2015001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hutter
lock
ope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319B1 (ko
Inventor
스스무 고즈루
다카시 구로다
도시후미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8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개폐 기기와 그 조작축(10)이 케이스(1) 내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조작 핸들(11)을 삽입구(12)에 삽입하여 조작축(10)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 기기를 온 또는 오프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기어로서, 삽입구(12)를 개폐하는 셔터(13)와, 조작축(1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축(16)에 고착된 제1 캠(17)과, 셔터(13)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18)과, 개폐 기기가 「오프」이고 셔터(13)가 「닫힘」일 때, 양 캠(17, 18)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제1 락(14)과, 개폐 기기가 「온」이고 셔터가 「닫힘」일 때, 양 캠(17, 18)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제2 락(15)을 가지는 키 인터락 기구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스위치 기어{SWITCH GEAR}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 단로기(斷路器), 또는 접지 개폐기 등의 개폐 기기가 수용되며, 개폐 기기의 「온(on)」또는 「오프(off)」의 상태에서 시정(施錠)하는 키 인터락(interlock) 기구를 구비한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기어의 고압 회로를 보수 점검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기어로부터 접속되어 있는 상위(上位) 계통 및 하위(下位) 계통의 개폐기를 「오프」상태로 하고, 또한, 보수 점검 대상의 회로를 접지해 둘 필요가 있다. 접지 상태가 아닐 때에는 회로에 잔류의 전하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충전부에의 접촉이나 단락(短絡)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접지 개폐기가 「접지」상태에서 시정하여 키(key)가 빠지는 구조로 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접지 상태에서 락(lock)하여 두고, 또한, 이 빠진 키를 이용하여, 이 접지 개폐기의 접지에 따라 회로가 접지되는 스위치 기어의 도어를 열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기어의 회로를 보수 점검할 때에, 충전부에의 접촉이나 단락 사고의 발생을 막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또, 회로가 접지되어 있을 때에, 접지되어 있는 회로의 개폐기를 조작하여, 회로에 전압을 가해 버리면, 지락(地絡) 사고를 일으켜 버릴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접지 개폐기가 「단로」상태에서 시정하여 키가 빠지는 구조로 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단로 상태에서 락하여 두고, 또한, 이 빠진 키를 이용하여 관련하는 개폐기를 조작하고, 회로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여, 지락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개폐기의 키 인터락 장치로서, 예를 들면, 배전반(配電盤)의 동일 회로에 접속된 차단기와 단로기의 각각에 인터락용 래치 락(시정 기구)이 마련되고, 이 중의 단로기용 인터락은, 단로기 조작축에 고착한 캠판(cam板)의 외주에 단로기의 닫힘 및 열림의 위치에 대응한 리세스(recess)를 마련하고, 래치 락(latch lock)의 로드(rod)가 캠판의 리세스에 맞물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조작 핸들로 단로기 조작축을 돌려, 열림 또는 닫힘의 위치에서 시정함으로써, 로드가 리세스에 맞물리고, 그 상태를 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단부에 조작 핸들이 착탈 가능한 각기둥부를 가지고 단로기의 개폐를 조작하는 조작축과, 조작축의 각기둥부에 마련되어 각기둥부를 덮는 위치와 노출하는 위치로 슬라이드하여 조작축과 함께 회동하는 통 모양의 조작편과, 조작편의 둘레 방향의 2개소에 마련한 핀 구멍에 맞물림 가능한 2개의 로드 핀과, 시정에 의해 로드 핀을 가압하는 2개의 락을 구비하며, 단로기의 단로 상태와 투입 상태에 대응하는 조작편의 회동 위치에서, 각 락을 조작하여 로드 핀을 조작편의 핀 구멍에 맞물리게 하면, 조작편이 각기둥부를 덮는 위치에서 고정되고, 조작 핸들을 삽입할 수 없도록 구성된 키 인터락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실용신안공개 소61-84609호 공보(제4-6페이지, 제7-8도)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02-193506호 공보(제5페이지, 제3-4도)
특허 문헌 1과 같은 단로기의 인터락 기구에서는, 단로기의 조작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캠판의 리세스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단로기의 조작을 락하고 있으므로, 락이 걸린 상태에서, 잘못하여 조작 핸들에 과대한 힘을 걸면, 캠판과 래치부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의 키 인터락에서는, 키 인터락의 래치가 되는 로드 핀을 단로기의 조작축에 마련한 조작편의 핀 구멍에 맞물리게 하여 단로기의 조작을 락하고, 동시에 단로기 조작 핸들의 삽입을 락하는 구성이지만, 로드 핀이나 조작편 등의 부품수가 증가하고, 또,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인터락 조작시에 잘못하여 과대한 힘이 걸려 인터락 기능을 해칠 우려가 없고, 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 기어는,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 기기와 그 조작축이 수용되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핸들을 삽입하여 조작축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 기기를 온(on)ㆍ오프(off)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케이스에 형성된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개폐 기기가 「온」또는 「오프」이고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施錠) 가능한 락(lock)을 가지는 키 인터락(key interlock)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또, 케이스의 내부에, 전기회로의 「접속」 「단로(斷路)」 「접지」를 하나의 개폐기에 의해 행하는 3점(点) 단로기와 그 조작축이 수용되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핸들을 삽입하여 조작축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3점 단로기를 조작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케이스에 형성된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3점 단로기가 「접속」 「단로」 「접지」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고, 또한,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3개의 락을 가지는 키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개폐 기기가 「온」또는 「오프」이고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락을 가지는 키 인터락 기구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특허 문헌 2와 같은 종래 기술에 비해, 키 인터락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부품수의 삭감에 따라, 키 인터락을 구성하는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고, 기기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개폐 기기의 조작축의 회동을 락함과 아울러 조작 핸들의 삽입도 동시에 락할 수 있으므로, 조작축의 락 중에 잘못하여 조작 핸들이 조작되어 인터락의 기능을 해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3점 단로기가 「접속」 「단로」 「접지」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고, 또한,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3개의 락을 가지는 키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3점 단로기를 가지는 스위치 기어에서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정면도와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터락 기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터락 기구부를 정면 우측 상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터락 기구부의 제1 캠과 제2 캠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2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셔터 및 접지 개폐기의 동작 위치와 캠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의 각 캠의 회동 위치와 시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터락 기구부의 셔터 및 접지 개폐기의 동작 위치와 캠의 회동 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캠의 회동 위치와 시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인터락 기구부의 셔터의 개폐 위치와 제2 캠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의 인터락 기구부의 3점 단로기의 개폐 위치와 제1 캠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 단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인터락 기구부의 확대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그 저면도이다.
먼저 도 1에 의해 실시 형태 1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전체 구성부터 설명한다.
금속제의 케이스(1)의 내부는 복수의 컴파트먼트로 구획되어 있다. 전면(前面)측의 차단기실에는, 인출형의 차단기(2)가 전면측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차단기실의 후벽에는,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주회로의 단로부(斷路部, 3a, 3b)가 고정되며, 차단기(2)의 배면으로 돌출한 접속 단자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단기실의 배면측 상부는 모선실(母線室)이며, 3상(相)의 모선(4)이 지지 인슐레이터(insulator,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고, 모선(4)은, 차단기(2)의 일단측이 접속된 단로부(3a)의 주회로 단자와 분기(分岐) 도체(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차단기실의 배면측의 모선실의 하부는 부하측의 케이블(6)이 수용되는 케이블실로 되어 있고, 케이블(6)은, 차단기(2)의 타단측이 접속된 단로부(3b)의 주회로 단자와 접속 도체(7)에 의해 접속되고, 그 도중에는 변류기(8)가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단로부(3b)측은, 접속 도체(7)를 매개로 하여 접지 개폐기(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지 개폐기(9)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축(10)이, 접지 개폐기(9)로부터 케이스(1)의 전면(前面)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정면측 단부에는, 조작 핸들(11)이 착탈 가능한 감합부(嵌合部)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면측의 조작축(10)의 위치에는, 조작 핸들(11)을 삽입할 수 있는 핸들 삽입구(12)가 마련되어 있고, 이 핸들 삽입구(12)와 조작축(10)의 단부와의 사이에는, 핸들 삽입구(12)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13)(상세하게는, 도 2, 도 3, 도 5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13)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핸들(11)을 핸들 삽입구(12)에 삽입하고, 조작축(10)의 단부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시키며, 예를 들면 단부에 마련한 돌기(10a)(도 3 참조)와 맞물리게 하여 조작축(10)을 회동시킴으로써, 접지 개폐기(9)의 블레이드가 스윙하고, 접지 위치 「온」과 단로 위치 「오프」를 전환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1)의 전면측에는, 후술하는 캠과 연동하여 셔터(13)의 움직임과 조작축(10)의 회동을 락하는 제1 락(14)과 제2 락(15)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부분에 의해 키 인터락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 기어의 내부 구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키 인터락 기구부에 특징을 가지므로, 다음으로, 도 2 ~ 도 5에 의해 키 인터락 기구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a)는, 도 1의 (a)의 제1 및 제2 락(14, 15)이 마련된 케이스(1)의 프레임 부분의 확대도이며, (b)는 (a)를 하부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또, 도 3은, 키 인터락 기구부를 정면 우측 상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a)는 셔터(13)를 열었을 때, (b)는 셔터(13)를 닫았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단, 각 락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 내에서, 조작축(10)의 회동에 연동하여 링크 레버(21)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하는 캠축(16)이, 케이스(1)에 지지되어 마련되어 있다. 캠축(16)의 전면측의 축단 근방에, 캠축(16)에 고착되어 캠축(16)과 함께 회동하는 제1 캠(17)이 마련되고, 이것과는 별도로, 셔터(13)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18)이, 제1 캠(17)에 근접하여 캠축(16)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셔터(13)의 일단측은 제2 캠(18)에 마련된 맞물림핀(19)과 맞물려 있다.
또, 셔터(13)의 타단측에는, 케이스(1)에 마련한 슬릿(1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노브(knob, 20)가 마련되어 있고, 노브(20)를 쥐고 전면측으로부터 보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좌측 단부에서는 도 3의 (a)와 같이 셔터(13)가 열려, 케이스(1) 정면의 핸들 삽입구(12)가 열리고, 우측 단부에서는 도 3의 (b)과 같이 셔터(13)에 의해 핸들 삽입구(12)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의해 캠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a)는 캠축(16)에 고착되어 캠축(16)과 함께 회동하는 제1 캠(17)이고, 도 4의 (b)는 그 측면도이다. 제1 캠(17)은, 원판 모양을 하여 그 외주의 90도 떨어진 위치의 2개소에 축심을 향해 노치된 오목부(17a, 17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는, 오목부(17a, 17b)가 1개로 이어진 상태를 표시하고 있지만, 오목부의 크기에 따라서는, (c)와 같은 コ자 모양으로 노치된 오목부를 개별로 마련해도 좋다.
도 4의 (c)는 셔터(13)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18)의 정면도, 도 4의 (d)는 그 측면도이다. 제2 캠(18)은, 원판 모양을 하여 그 외주의 180도 떨어진 위치의 2개소에 축심을 향해 노치된 오목부(18a, 18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근방의 전면측에, 셔터(13)의 일단측과 맞물리는 맞물림핀(19)이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키 인터락 기구부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전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1 캠(17)과 제2 캠(18)의 지름 방향의 양측에, 제1 락(14)과 제2 락(15)이 배치되어 케이스(1)측에 고정되어 있다. 각 락은 키 조작에 의해 출입하는 래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락(14)의 래치(14a)와 제2 락(15)의 래치(15a)(도 6 참조)를, 각각 양 캠(17, 18)의 캠면을 향해서 대향 배치하고 있다. 제1 캠(17)과 제2 캠(18)의 오목부가 함께 어느 하나의 래치의 위치로 회동했을 때에, 그 위치에 있는 락의 래치를 키 조작에 의해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일방의 캠의 오목부만이 래치 위치에 있어도, 키 조작이 불가능하다.
제2 캠(18)의 맞물림핀(19)은, 셔터(13)의 일단부에 마련한 맞물림 구멍(13a)에 맞물려 있고, 셔터(13)의 좌우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2 캠(18)은 캠축(16)을 축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2 캠(18)은 제1 캠(17)과 동축 상에 있지만, 개별로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의해 인터락 기구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각각의 캠의 회동 위치와 각 락의 시정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셔터(13)의 개폐 위치와 제2 캠(18)의 회동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셔터(13)가 열려 있을 때, (b)는 셔터(13)가 닫혀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셔터(13)가 열려 있을 때에는, 어떤 락(14, 15)도 시정할 수 없다. 또, 셔터(13)가 닫혀 있을 때에는, 락(14, 15)을 시정할 수 있다. 단, 도 6의 (a), (b)는, 셔터(13)의 위치와 락(14, 15)의 관계만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실제의 동작에서는, 제1 캠(17)과의 관계에서, 양 락(14, 15)을 동시에는 시정할 수 없다.
도 6의 (c) 및 (d)는, 접지 개폐기(9)의 개폐 위치와 제1 캠(17)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접지 개폐기(9)가 「오프」일 때, (d)는 접지 개폐기(9)가 「온」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접지 개폐기(9)가 「오프」일 때에는 제1 락(14)을 시정할 수 있고, 접지 개폐기(9)가 「온」일 때에는 제2 락(15)을 시정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설명하는 락은 시정 상태에서 키가 빠지고, 개정(開錠, unlock) 상태에서는 키가 빠지지 않는 락을 사용하고 있으며, 키는 락(14)과 락(15)에 대해서 각각 1개씩 다른 것을 합계 2개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터락까지는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접지 개폐기(9)를 「온」및 「오프」상태의 각각에서 락하는 것만으로 괜찮은 경우에는, 락(14)과 락(15)에 대해 동일 종류의 키를 이용해도 좋고, 키도 시정 또는 개정 중 어느 상태에서도 빠져도 괜찮다.
도 7은, 제1 캠(17) 및 제2 캠(18)의 회동 위치와 각 락(14, 15)의 시정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전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캠(17) 및 제2 캠(18)의 외경 치수는 대략 동일하지만, 알기 쉽도록 제1 캠(17)을 조금 작게 하고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제1 캠(17)의 오목부(17a)와 제2 캠(18)의 오목부(18a)가, 함께 제1 락(14)의 래치(14a)의 대향 위치에 왔을 때, 제1 락(14)을 시정할 수 있다. 또, 도 7의 (b)와 같이, 제1 캠(17)의 오목부(17b)와 제2 캠(18)의 오목부(18b)가, 함께 제2 락(15)의 래치(15a)의 대향 위치에 왔을 때, 제2 락(15)을 시정할 수 있다.
이것을, 도 6과 맞추어 설명하면, 접지 개폐기(9)가 「오프」이고 셔터(13)가 「닫힘」일 때에는 제1 락(14)만을 시정할 수 있고, 접지 개폐기(9)가 「온」이고 셔터(13)가 「닫힘」일 때에는 제2 락(15)만을 시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어느 경우도, 셔터(13)가 열려 있을 때에는 어떤 락(14, 15)도 시정할 수 없고, 또, 락(14, 15) 중 어느 하나가 시정되어 있을 때에는, 셔터(13)를 열 수 없으며, 접지 개폐기(9)의 조작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 기어의 통상의 운전 상태에서는, 접지 개폐기(9)는 단로(斷路) 상태 즉 「오프」에 있고, 키 인터락 기구는 도 7의 (a)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 기어의 차단기(2)를 단로 상태로 하여, 접지 개폐기(9)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경우는, 먼저, 제1 락(14)에 키를 꽂아 해정(解錠, unlock)하는 것에 의해 셔터(13)를 여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노브(20)를 쥐고 셔터(13)를 슬라이드시켜 연다. 다음으로, 삽입구(12)에 조작 핸들(11)을 삽입하여 조작축(10)을 회동시켜, 접지 개폐기(9)를「온」으로 한다. 연동하여 캠축(16)과 제1 캠(17)도 회동한다.
다음으로, 조작 핸들(11)을 삽입구(12)로부터 뽑고, 셔터(13)를 닫아, 제2 락(15)을 시정한다(도 7의 (b)). 이 상태에서는, 접지 개폐기(9)가 「온」의 상태에서 락됨과 아울러, 셔터(13)도 「닫힘」의 상태에서 락되어 있으므로, 조작 핸들(11)을 삽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잘못하여 접지 개폐기(9)가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지 개폐기(9)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할 때에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가 된다.
각 락(14, 15)의 키 조작은, 통상, 락에 키를 삽입하고, 한 손으로 그 키를 회전시킴으로써 래치가 동작한다. 키의 오조작에 의해, 래치 조작시에 무리하게 과대한 힘을 걸리게 한 경우, 캠축(16)의 중심을 향하여, 래치 조작의 과대한 힘이 가해진다. 캠축(16)은 베어링 등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키의 오조작에 의해, 다소 과대한 힘이 가해져도, 파손에 이르지는 않고, 또, 필요에 따라 캠축(16)의 강도 상승은 용이하게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의 변형예로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제1과 제2의 2개의 락을 이용한 것이었지만, 다음으로 설명하는 스위치 기어는, 락이 1개인 경우이다. 스위치 기어의 전체 구성은, 도 1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락이 1개인 경우의, 스위치 기어의 인터락 기구부의 셔터 및 접지 개폐기의 개폐 상태와 캠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의 (a), (b)는 셔터(13)의 개폐 위치와 제2 캠(23)과의 회동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셔터(13)가 「열림」, (b)는 셔터(13)가 「닫힘」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c), (d)는 접지 개폐기(9)의 동작 위치와 제1 캠(22)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접지 개폐기(9)가 「온」, (d)는 접지 개폐기(9)가 「오프」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는, 양 캠의 회동 위치와 락의 시정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여기서 설명하는 락은 시정 상태에서 키가 빠지고, 개정 상태에서는 키가 빠지지 않는 락을 사용하고 있으며, 키는 락(14)에 대해서 1개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터락까지는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접지 개폐기를 「온」또는 「오프」상태의 각각에서 락하는 것만으로 괜찮은 경우에는, 키는 시정 또는 개정 중 어느 상태에서도 빠져도 괜찮다.
셔터(13)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23)은, 원주 방향의 1개소에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조작축(1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22)의 오목부(22a)도 둘레 방향의 1개소에만 마련되어 있다. 양 캠의 움직임을 락하는 락은, 지금까지 설명한 제1 락에 상당하는 위치에 1개만 마련되어 있다. 락는 1개뿐이지만, 지금까지의 설명과 맞추어, 편의상, 제1 락(14)으로 칭하기로 한다.
도 8의 (a)와 같이 셔터(13)가 열려 있을 때에는, 제1 락(14)은 시정할 수 없다. 또, 도 8의 (b)와 같이 셔터(13)가 닫혀 있을 때에는, 제2 캠(23)의 오목부(23a)가 제1 락(14)의 래치(14a)의 위치로 회동하여 제1 락(14)을 시정할 수 있다.
또, 도 8의 (c)와 같이 접지 개폐기(9)가 「온」일 때에는, 오목부(22a)가 래치(14a)의 위치로 회동하여 제1 락(14)을 시정할 수 있고, 접지 개폐기(9)가 「오프」일 때에는 (d)와 같이 되어 제1 락(14)을 시정할 수 없다.
상기는 개별의 동작이며, 실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캠(22)의 오목부(22a)와 제2 캠(23)의 오목부(23a)가, 함께 제1 락(14)의 래치(14a)의 대향 위치에 왔을 때에만, 제1 락(14)을 시정할 수 있다.
즉, 접지 개폐기(9)가 「온」이고 셔터(13)가 「닫힘」일 때에 제1 락(14)을 락을 시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셔터(13)가 열려 있을 때에는 제1 락(14)을 시정할 수 없고, 또, 제1 락(14)이 시정되어 있을 때에는 셔터(13)를 여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접지 개폐기(9)의 조작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캠을 시정하는 락이 1개인 경우에도, 접지 개폐기가 「온」, 즉 접지된 상태에서, 키를 뽑음으로써, 보수 점검시의 접지 조건 하에서의 작업시에, 뽑은 키를 이용하여, 스위치 기어 내에 침입할 수 있는 인터락을 형성하면, 확실히 접지를 하고, 또한 접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8, 9에서는, 접지 개폐기(9)가 「온」일 때에 시정하도록 한 것이지만, 제1 캠(22)의 오목부(22a)의 위치를 바꾸어, 접지 개폐기(9)가 「오프」일 때에 시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상까지의 설명에서는, 양 캠을 장착하고 있는 캠축(16)은, 접지 개폐기(9)의 조작축(10)과는 별도로 마련한 것으로 했지만, 접지 개폐기(9)의 조작축(10)에 직접 캠을 장착하여, 키 인터락을 구성해도 상관없다. 그 경우는 캠축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 공간 절약이 가능해진다.
또,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인터락의 대상이 되는 개폐 기기를 접지 개폐기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위치 기어에 수용되어 수동 조작되는 개폐 기기이면, 예를 들면, 단로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의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 기기와 그 조작축이 수용되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핸들을 삽입하여 조작축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 기기를 온ㆍ오프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케이스에 형성된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개폐 기기가 「온」또는 「오프」이고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락을 가지는 키 인터락 기구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특허 문헌 2와 같은 종래 기술에 비해, 키 인터락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부품수의 삭감에 따라, 키 인터락을 구성하는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고, 기기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개폐 기기의 조작축의 회동을 락함과 아울러 조작 핸들의 삽입도 동시에 락할 수 있으므로, 조작축의 락 중에 잘못하여 조작 핸들이 조작되어 인터락의 기능을 해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개폐 기기가 「오프」이고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제1 락과, 개폐 기기가 「온」이고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제2 락을 가지도록 했기 때문에, 개폐 기기가 「오프」의 상태와 「온」의 상태의 각각에서 인터락 할 수 있어,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스위치 기어의 인터락 기구부의 셔터의 개폐 위치와 캠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셔터가 「열림」일 때, (b)는 셔터가 「닫힘」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은, 인터락 기구부의 개폐 기기의 개폐 위치와 캠의 회동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다음으로 설명하는 단로기가 「접지」일 때, (b)는 단로기가 「단로」일 때, (c)는 단로기가 「접속」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 기어의 전체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도 1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터락의 대상이 되는 개폐 기기는 3점(点) 단로기의 경우이다. 즉, 블레이드의 위치에 의해서, 전기회로의 「접속」 「단로」 「접지」를 하나의 개폐기에 의해 행할 수 있는 단로기이다.
3점 단로기의 조작축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 축에 마련되어 캠축과 함께 회동하는 제1 캠과, 셔터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을 가지는 기구부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또, 실시 형태 1과 동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의 회동을 락하는 락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제1 락(14) 및 제2 락(15)에 더하여, 그 중간부에 제3 락(24)을 구비하고 있다.
셔터(13)의 좌우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26)은, 둘레 방향으로 90도 떨어진 위치의 3개소에 오목부(26a ~ 26c)를 가지고, 그것에 대응 가능하도록 제1 락(14), 제2 락(15), 및 제3 락(24)이 3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셔터(13)가 「열림」일 때에는, 오목부(26a ~ 26c)의 위치는 (a)와 같은 위치에 있고, 어떤 락(14, 15, 24)도 시정할 수 없다. 셔터(13)가 「닫힘」일 때만 (b)와 같이 시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 다음으로 설명하는 제1 캠(25)과의 관계에서, 실제로는, 어느 하나의 락 밖에 시정할 수 없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점 단로기가 「접지」상태에 있는 (a)일 때에는, 3점 단로기의 구동축(10)에 연동하여 제1 캠(25)이 회동하고, 제1 캠(25)의 오목부(25a)가 제1 락(14)의 위치로 온다. 마찬가지로, 「단로」상태인 (b)일 때에는, 오목부(25a)가 제3 락(24)의 위치로 회동하고, 「접속」상태인 (c)일 때에는, 오목부(25a)가 제2 락(15)의 위치로 회동하며, 그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락이 시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셔터(13)가 「닫힘」이고 제1 캠(25)이 도 11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락을 시정함으로써, 조작 핸들(11)을 핸들 삽입구(12)에 삽입할 수 없으므로, 3점 단로기의 개폐 동작을 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의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부에, 전기회로의 「접속」 「단로」 「접지」를 하나의 개폐기에 의해 행하는 3점 단로기와 그 조작축이 수용되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핸들을 삽입하여 조작축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3점 단로기를 조작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케이스에 형성된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3점 단로기가 「접속」 「단로」 「접지」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고, 또한, 셔터가 「닫힘」일 때, 제1 캠 및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3개의 락을 가지는 키 인터락 기구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3점 단로기를 가지는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3점 단로기의 「접속」 「단로」 「접지」의 각각의 상태를 용이하게 시정 할 수 있고,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서 설명한 락은 시정 상태에서 키가 빠지고, 개정 상태에서는 키가 빠지지 않는 락을 사용하고 있으며, 키는 락(14), 락(15) 및 락(24)에 대해서 각각 1개씩 다른 것을 합계 3개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터락까지는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3점 단로기를 「접속」 「단로」 「접지」상태의 각각에서 락하는 것만으로 괜찮은 경우에는, 락(14), 락(15) 및 락(24)에 대해 동일 종류의 키를 이용해도 좋고, 키도 시정 또는 개정 중 어느 상태에서도 빠져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과 같은 개폐 기기, 또는 실시 형태 2와 같은 단로기가 수용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제1 캠은,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 축에 고착되고, 제2 캠은, 캠 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양 캠의 오목부가 함께 어느 하나의 락의 래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왔을 때, 그 위치에 있는 락이 시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 캠을 동일한 축 상에 배치함으로써 키 인터락 기구를 컴팩트하게 모아 설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 형태를 자유롭게 조합시키거나, 각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케이스 1a : 슬릿
2 : 차단기 3a, 3b : 단로부
4 : 모선 5 : 분기 도체
6 : 케이블 7 : 접속 도체
8 : 변류기 9 : 접지 개폐기
10 : 조작축 10a : 돌기
11 : 조작 핸들 12 : 핸들 삽입구
13 : 셔터 13a : 맞물림 구멍
14 : 제1 락 14a, 15a, 24a : 래치
15 : 제2 락 16 : 캠축
17, 22, 25 : 제1 캠
17a, 17b, 18a, 18b, 22a, 23a, 25a, 26a ~ 26c : 오목부
18, 23, 26 : 제2 캠 19 : 맞물림핀
20 : 노브 21 : 링크 레버
24 : 제3 락

Claims (4)

  1.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 기기와 그 조작축이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핸들을 삽입하여 상기 조작축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폐 기기를 온(on)ㆍ오프(off)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상기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상기 개폐 기기가 「온」또는 「오프」이고 상기 셔터가 「닫힘」일 때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施錠) 가능한 락(lock)
    을 가지는 키 인터락(key interlock)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기가 「오프」이고 상기 셔터가 「닫힘」일 때,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에 마련한 상기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제1 락과,
    상기 개폐 기기가 「온」이고 상기 셔터가 「닫힘」일 때,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에 마련한 상기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제2 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3. 케이스의 내부에, 전기회로의 「접속」 「단로(斷路)」 「접지」를 하나의 개폐기에 의해 행하는 3점(点) 단로기와 그 조작축이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핸들을 삽입하여 상기 조작축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3점 단로기를 조작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조작 핸들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캠과,
    상기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2 캠과,
    상기 3점 단로기가 상기 「접속」 「단로」 「접지」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셔터가 「닫힘」일 때,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외주에 마련한 오목부에 래치를 맞물리게 하여 시정 가능한 3개의 락
    을 가지는 키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은, 상기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 축에 고착되고,
    상기 제2 캠은, 상기 캠 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양 캠의 상기 오목부가 함께 어느 하나의 상기 락의 래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왔을 때, 그 위치에 있는 상기 락이 시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KR1020157000343A 2012-07-13 2012-11-20 스위치 기어 KR101648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7096 2012-07-13
JPJP-P-2012-157096 2012-07-13
PCT/JP2012/080067 WO2014010110A1 (ja) 2012-07-13 2012-11-20 スイッチギ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999A true KR20150016999A (ko) 2015-02-13
KR101648319B1 KR101648319B1 (ko) 2016-08-12

Family

ID=4991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343A KR101648319B1 (ko) 2012-07-13 2012-11-20 스위치 기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18989B2 (ko)
KR (1) KR101648319B1 (ko)
CN (1) CN104471806B (ko)
WO (1) WO20140101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033A (ko) * 2018-02-06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1169B2 (en) * 2014-06-30 2016-12-27 Eaton Corporation Motor control center units with retractable stabs and interlocks using portal shutters
CN104852313A (zh) * 2015-06-08 2015-08-19 楼碧云 一种太阳能电力抽屉柜装置
EP3246931B1 (en) * 2016-05-19 2019-04-10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Interlock mechanism for an earthing switch of a gas insulated substation
US10186847B2 (en) 2016-11-21 2019-01-2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slidable shutters
CN106710912B (zh) * 2017-01-17 2019-05-21 许继集团有限公司 开关柜程序锁
US10742004B2 (en) 2017-12-20 2020-08-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including a power connector position interlock
CN109361166B (zh) * 2018-11-28 2024-03-26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断路器的抽屉柜联锁操作机构
CA3073017A1 (en) 2019-02-22 2020-08-2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dual disconnect switches, dual operator handles,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CN114141558B (zh) * 2021-11-29 2024-06-25 云南昆宝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安全操作的高压柜用智能联锁装置
CN114038698B (zh) * 2021-12-24 2023-09-01 江苏电科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高压柜接地开关与变压器网门联锁方法
DE102022210488A1 (de) 2022-10-04 2024-04-04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Betätigungseinrichtung zum manuellen Schalten eines Leistungsschalters und Schaltanl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609A (ja) 1984-10-03 1986-04-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可撓性像伝送用光フアイバ束の製造方法
JPH02193506A (ja) 1988-10-17 1990-07-31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の断路器インタロック装置
JP2002135919A (ja) * 2000-10-27 2002-05-10 Taito Kogyo Kk スイッチギヤ
JP2010115002A (ja) * 2008-11-06 2010-05-20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036989B1 (ko) * 2009-12-23 2011-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접지 스위치 연동 장치
KR101064772B1 (ko) * 2007-01-19 2011-09-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기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8518U (ja) * 1982-02-25 1983-08-31 株式会社明電舎 負荷開閉器のロツク装置
JPS5913003U (ja) * 1982-07-12 1984-01-26 富士電機株式会社 配電盤の接地開閉装置
JPS6184609U (ko) * 1984-11-06 1986-06-04
JP4074038B2 (ja) * 1999-11-10 2008-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の挿入/引出し装置
CN1223063C (zh) * 2001-05-09 2005-10-12 三菱电机株式会社 断路器的插入/抽出装置
JP2010095006A (ja) * 2007-01-16 2010-04-30 Nsk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201054311Y (zh) * 2007-06-29 2008-04-30 西安电力机械制造公司 一种用于气体绝缘开关设备的钥匙联锁装置
CN201247920Y (zh) * 2008-08-22 2009-05-27 大全集团有限公司 开关柜联锁装置
CN201289975Y (zh) * 2008-11-05 2009-08-12 上海泰高开关有限公司 大联锁推进机构
CN102024613A (zh) * 2009-09-14 2011-04-20 江阴市云峰电器设备有限公司 真空开关的凸轮联锁机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609A (ja) 1984-10-03 1986-04-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可撓性像伝送用光フアイバ束の製造方法
JPH02193506A (ja) 1988-10-17 1990-07-31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の断路器インタロック装置
JP2002135919A (ja) * 2000-10-27 2002-05-10 Taito Kogyo Kk スイッチギヤ
KR101064772B1 (ko) * 2007-01-19 2011-09-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기어
JP2010115002A (ja) * 2008-11-06 2010-05-20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036989B1 (ko) * 2009-12-23 2011-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접지 스위치 연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033A (ko) * 2018-02-06 2019-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71806B (zh) 2016-08-24
JP5818989B2 (ja) 2015-11-18
JPWO2014010110A1 (ja) 2016-06-20
CN104471806A (zh) 2015-03-25
KR101648319B1 (ko) 2016-08-12
WO2014010110A1 (ja)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319B1 (ko) 스위치 기어
KR101158645B1 (ko) 크래들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CN102725918B (zh) 马达控制中心及其子单元
JP4848018B2 (ja) 電力用閉鎖配電盤
KR20120020658A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JP2010115002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103441439A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EP3109881B1 (en) Locking device for operating mechanism of gas insulated switchgear
KR20140057966A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EP3427356B1 (en) Racking interlocking system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CN108538676B (zh) 三工位开关操作机构联锁装置
KR200482658Y1 (ko) 링메인유닛의 개폐기 인터록 장치
KR20110103850A (ko) 스위치 기어
EP3196908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101232985B1 (ko) 가스절연차단기의 3 포지션 구동장치
KR101793548B1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CN107465111B (zh) 配电板
JP2008245334A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KR101687722B1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접지 위치 잠금장치
JP2002150897A (ja) 開閉器用操作装置
KR102600333B1 (ko) 조작기구 잠금장치
CN206059265U (zh) 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的防误操作联锁机构及装置
KR20020048532A (ko) 진공차단기의 접지스위치 인터록장치
JP2001297664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16271Y2 (ja) 接地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