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932A - 박리가능한 라벨 및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박리가능한 라벨 및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932A
KR20150016932A KR1020147029106A KR20147029106A KR20150016932A KR 20150016932 A KR20150016932 A KR 20150016932A KR 1020147029106 A KR1020147029106 A KR 1020147029106A KR 20147029106 A KR20147029106 A KR 20147029106A KR 20150016932 A KR20150016932 A KR 20150016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removable
container
peel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일린 씨 에렌국
찰스 알 베르스
Original Assignee
프레스톤 프로닥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스톤 프로닥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레스톤 프로닥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1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2Funnels, e.g. for liquids without discharge val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7Multi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은 고정된 라벨 및 이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 제거가능한 라벨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고정 구조는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1 측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제2 고정 구조는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2 측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 구조와 제2 고정 구조는 협력하여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원뿔대 형상의 깔때기의 형태로 유지시킨다.

Description

박리가능한 라벨 및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PEELABLE LABEL AND METHOD OF USING SAME}
본 발명은 대체로 박리가능한 라벨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박리가능한 라벨 및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체를 담는 용기에는 박리가능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례에서,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은 고정된 라벨과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 제거가능한 라벨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고정 구조가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1 측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제2 고정 구조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2 측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 구조와 상기 제2 고정 구조는 협력하여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원뿔대 형상의 깔때기의 형태로 유지시킨다.
예시적인 실시례에서, 용기에 배치된 고정된 라벨과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 제거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는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깔때기를 형성하도록 감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깔때기의 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1 측면을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2 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르면,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이 고정된 라벨 및 제거가능한 라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은 상기 고정된 라벨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는 유지된 부분과 상기 고정된 라벨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제거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거가능한 부분은 대향하고 있으며 대체로 평행한 제1 측면 가장자리 및 제2 측면 가장자리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의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 측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이 깔때기의 형태로 형성될 때 깔때기의 출구를 형성하는, 반원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또한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의 사이에 뻗어 있으며 상기 제3 측면 가장자리의 반대쪽에 있는 제4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르면, 용기용 라벨 조립체가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측면은 용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된 라벨을 포함하고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은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놓이도록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은 제거가능한 부분과 유지된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지된 부분은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제2 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상기 유지된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슬롯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을 상기 고정된 라벨로부터 멀어지게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을 상기 고정된 라벨과 상기 유지된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을 원뿔대 형상으로 감을 때 상기 슬롯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탭을 포함한다.
도 1은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박리가능한 라벨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 1의 용기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박리가능한 라벨이 용기의 후방 벽으로부터 제거될 때의 도 1의 용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박리가능한 라벨이 제거된 상태의 도 1의 용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박리가능한 라벨이 도 1의 용기로부터 제거된 후의 박리가능한 라벨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박리가능한 라벨이 깔때기를 형성하기 위해 감길 때의 박리가능한 라벨의 사시도로서 박리가능한 라벨의 가장자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박리가능한 스트립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깔때기의 가장자리를 밀봉시키는 밀봉 테이프를 노출시키기 위해 박리가능한 스트립이 제거되었고 박리가능한 라벨이 깔때기를 완전히 형성하기 위해 감겨진 후의 박리가능한 라벨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박리가능한 라벨의 제2 실시례를 포함하는 용기의 정면 및 측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박리가능한 라벨의 일부분이 박리가능한 라벨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의 도 8의 용기와 박리가능한 라벨의 분해도이고;
도 10은 깔때기 형태로 감겨질 때의 도 8의 박리가능한 라벨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박리가능한 라벨이 깔때기 형태로 감기고 박리가능한 라벨의 탭이 박리가능한 라벨을 깔때기의 형태로 유지시키는 슬롯 속으로 삽입된 후의 도 8의 박리가능한 라벨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박리가능한 라벨이 깔때기 형태로 감기고 박리가능한 라벨의 모서리가 박리가능한 라벨을 깔때기의 형태로 유지시키는 슬롯 속으로 삽입된 후의 박리가능한 라벨의 다른 실시례의 상부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3은 깔때기 형태로 감겨질 때의 박리가능한 라벨의 또 다른 실시례의 상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장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명확해질 것이고, 아래의 설명에서 유사한 구조는 비슷하거나 유사한 참고 번호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은 박리가능한 라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의 하나의 예시로서만 고려되어야 하며 본 개시내용이 예시된 실시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한 가지 특정 실시례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용기로부터 쏟아질 수 있는 액체 또는 다른 유동가능한 물질을 담는 용기(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액체 또는 유동가능한 물질은 용기 내에 담겨 있거나 용기 내에 담겨서 판매되는 엔진 오일, 부동액, 과립형 물질(granular substance) 또는 임의의 다른 유동가능한 물질일 수 있다. 용기(20)는 전방 벽(24), 후방 벽(26), 용기(20)의 상부(30)에 인접하여 전방 벽(24)과 후방 벽(26)의 사이에 배치된 손잡이(28), 그리고 용기(20)에서 액체를 따르기 위한 개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진 몸체(22)를 포함하고 있다. 액체를 용기(20) 내부에 가두기 위해 뚜껑(32)이 상기 개구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리가능한 라벨(34)은 용기(20)의 후방 벽(26)에 배치되어 있지만, 대체 형태로서 용기(20)의 임의의 벽 또는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박리가능한 라벨(34)은 용기(20)의 후방 벽(26)에 남는 고정된 라벨(36)과 용기(20)를 제작하는 동안에는 고정된 라벨(36)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고정된 라벨(36)로부터 제거되는(도 3 및 도 4 참고) 제거가능한 라벨(38)을 포함하고 있다. 고정된 라벨(36)은 접착제 또는 다른 적층 프로세스(lamination process)의 사용에 의해 용기에 부착되어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38)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거가능한 라벨(38)이 고정된 라벨(36)로부터 벗겨질 수 있게 하는 저결합강도 접착제(low bond strength adhesive) 또는 압감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의 사용에 의해 고정된 라벨(36)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38)은 릴리스 라이너(release liner)(46)에 의해 덮혀 있는 가장자리(48)를 따라서 접착 밀봉 테이프(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제거가능한 라벨(38)이 고정된 라벨(36)로부터 제거되면, 사용자는, 제거가능한 라벨(38)이 고정된 라벨(36)에 부착되어 있었을 때 바깥쪽으로 향하는 제거가능한 라벨(38)의 제1 표면(40)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고 제1 표면(40)의 반대쪽에 있는 제2 표면(42)이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도록 제거가능한 라벨을 위치시킨다. 그 후에 사용자는 제2 표면(42)이 원뿔대 형상의 깔때기(44)의 외측을 형성하는 상태로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38)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는다.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일단 깔때기(44)가 형성되면, 제2 표면(42) 상의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38)의 가장자리(48)를 따라서 배치된 릴리스 라이너(46)가 제거되어, 접착 밀봉 테이프(50)를 노출시킨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완전한 형태로 깔때기(44)를 형성하고 깔때기(44)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봉 테이프(50)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38)의 제2 표면(42)에 부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깔때기(44)를 형성하는 방향은 제2 표면(42)이나 박리가능한 라벨(34) 또는 용기(20)의 임의의 다른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용기(100)에 부착된 박리가능한 라벨(98)의 제2 실시례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용기(100)로부터 쏟아질 수 있는 액체 또는 다른 유동가능한 물질을 담는 용기(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액체 또는 유동가능한 물질은 용기 내에 담겨 있거나 용기 내에 담겨서 판매되는 엔진 오일, 부동액, 과립형 물질 또는 임의의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용기(100)는 전방 벽(104), 후방 벽(106), 용기(100)의 상부(110)에 인접하여 전방 벽(104)과 후방 벽(106)의 사이에 배치된 손잡이(108), 그리고 용기(100)에서 액체를 따르기 위한 개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진 몸체(102)를 포함하고 있다. 액체를 용기(100) 내부에 가두기 위해 뚜껑(112)이 상기 개구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리가능한 라벨(98)은 용기(100)의 후방 벽(106)에 배치되어 있지만, 대체 형태로서 용기(100)의 임의의 벽 또는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박리가능한 라벨(98)은 용기(100)의 후방 벽(106)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된 라벨(116)과 고정된 라벨(116)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제거가능한 라벨(117)을 포함하고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117)은 폴리머 물질 또는 내수성(water resistant)인 코팅된 종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117)은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과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을 포함하고 있다.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은 제거가능한 라벨(117)의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고정된 라벨(116)로부터 제거될 때 고정된 라벨 부분(116)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어 있다. 고정된 라벨(116)은 접착제 또는 다른 적층 수단(lamination means)에 의해 용기(100)에 고정되어 있다.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은 접착제 또는 다른 적층 수단에 의해 고정된 라벨(116)에 고정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취선(130a, 130b)에 의해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에 고정되어 있다. 대체 형태로서,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저결합 접착제 또는 압감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고정된 라벨(116)에 고정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과 관련하여 저결합 접착제가 사용되면,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따내기(die cutting)에 의해 유지된 라벨 부분(118-118c)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제1 측면 가장자리(132) 또는 제2 측면 가장자리(134)를 움켜잡고서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을 제1 측면 가장자리(132)와 제2 측면 가장자리(134)의 다른 쪽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서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고정된 라벨(116)과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으로부터 제거된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당겨질 때,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유지된 라벨 부분(118a, 118b)으로부터 분리된다. 유지된 라벨 부분(118c)도 (고정된 라벨 부분(118a, 118b)과 함께) 고정된 라벨(116)에 남아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을 깔때기(156)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설명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을 제거하면 고정된 라벨(116)의 제2 측면에 형성된 표시(indicia)가 노출된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도 고정된 라벨(116)의 제2 측면에 형성된 표시와 유사한 표시를 포함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대체로 직선 형태인 상부 가장자리(140)와 비직선 형태이고 대체로 직선 형태인 제1 직선 부분(144), 제1 직선 부분(144)으로부터 뻗어나온 반원 형태인 제2 반원 부분(146), 그리고 제2 반원 부분(146)으로부터 뻗어나온 사선 형태인 제3 사선 부분(148)을 포함하는 바닥부 가장자리(142)를 포함하고 있다. 반원 부분(146)은 직선 부분(144)과 사선 부분(148)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원 부분(146)이 바닥부 가장자리(142)의 약 20퍼센트 내지 약 50퍼센트를 형성한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찢어졌을 때 슬롯(154)을 형성하는 비스듬한 절취선(148)을 더 포함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절취선(142)이 제1 측면 가장자리(132)로부터 멀어지고 제2 측면 가장자리(134)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뻗어나감에 따라 절취선(142)이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각을 이루고 있다. 게다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을 고정된 라벨(116) 및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으로부터 제거한 후에는,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탭(tab)(152)을 형성하는 제1 측면 가장자리(132)를 따라 형성된 절결부(15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탭(152)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바닥부 가장자리(14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슬롯(154)으로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탭(152)이 바닥부 가장자리(142)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일단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용기(100)로부터 제거되면, 사용자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비스듬한 절취선(142)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비스듬한 슬롯(154)을 형성하기 위해 절취선(148)을 찢는다. 선택적으로, 절취선(142)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고정된 라벨(116)로부터 제거될 때 찢어질 수 있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탭(152)이 슬롯(154)에 근접할 때까지 사용자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제2 측면 가장자리(134)를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제1 측면 가장자리(132)쪽으로 감거나 이에 상당하는 처리를 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을 감긴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탭(152)이 슬롯(154)속으로 삽입되고, 이로 인해 깔때기(156)를 형성한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상부 가장자리(140)는 유체를 따를 수 있는 깔때기(156)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입구(155)를 형성한다. 깔때기 형태에서는, 제1 측면 가장자리(132)도 깔때기(156)의 상부 가장자리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측면 가장자리(132)는 깔때기(156)의 경사진 측벽 부분(157)을 형성한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바닥부 가장자리(142)는 깔때기(156)의 바닥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는데, 제2 반원 부분(146)은 유체가 용기(100)로 배출될 수 있는 출구(159)를 형성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를 좁은 개구로 따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깔때기(156)의 제1 단부(160)는 깔때기(156)의 의 제2 단부(162)보다 폭이 더 넓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깔때기(156)로 감겨있을 때, 상기 직선 부분(144)은 제2 측면 가장자리(134)와 대체로 평행하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2의 실시례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도 12의 실시례의 탭(152)이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모서리(corner)의 사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9 내지 도 11의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과 유사하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와 유사한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의 탭(152)은 두 개의 절결부(150)에 의해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례에서, 절결부(150)는 슬롯(154)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탭(153)을 형성할 수 있다. 탭(152)과 슬롯(154)이 도시되어 있지만, 탭(152)이 슬롯으로 교체될 수 있거나 슬롯(154)이 탭으로 교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깔때기(156)를 형성하기 위해 임의의 갯수의 탭 및/또는 슬롯이 사용될 수 있거나 탭과 슬롯이 접착제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용기(20)의 특정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용기에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라벨의 고정된 부분, 제거가능한 부분 및 유지된 부부분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례에서, 고정된 라벨(116)은 임의의 영구적인 접착제, 반영구적인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를 이용하여 용기에 부착될 수 있다.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은 임의의 영구적인 접착제, 반영구적인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를 이용하여 고정된 라벨(116)에 부착되거나 용기(10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은 절취선(130a, 130b)에 의해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에 고정되거나 비-영구적인 접착제, 압감접착제, 반영구적인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를 이용하여 용기나 고정된 라벨(116)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어느 것이나 수성(water-based) 접착제, 아크릴계(acrylic-based) 접착제, 또는 고무(rubber) 접착제로 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는, 제거가능한 라벨(117)이, 고정된 라벨(116)에 부착되거나 적층되는 대신에 용기에 직접 부착되거나 적층되는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례에서는,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깔때기(156)로 사용되기 위해 유지된 라벨 부분(118a-118c)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실시례에서는,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이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120)을 용기(100)에 고정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면 본 개시내용에 대한 다양한 수정사항은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박리가능한 라벨을 만들고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를 개시할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Claims (27)

  1.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로서,
    고정된 라벨;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 제거가능한 라벨;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1 측면을 따라서 형성된 제1 고정 구조; 그리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2 측면을 따라서 형성된 제2 고정 구조;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고정 구조와 상기 제2 고정 구조는 협력하여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원뿔대 형상의 깔때기의 형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구조는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한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탭(ta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구조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1 측면의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구조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원뿔대 형상의 깔때기의 형태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비스듬한 슬롯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사이로 뻗어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3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고정 구조와 상기 제2 고정 구조가 협력하여 깔때기를 형성할 때 깔때기의 원형 출구를 형성하는, 반원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제4 측면은 상기 탭이 상기 슬롯 내에 배치될 때 깔때기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원형 출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에서 반원 형상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 상기 제3 측면의 약 20 퍼센트 내지 약 50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반원 부분의 사이에 뻗어 있는 직선 부분 그리고 상기 반원 부분과 상기 제2 측면의 사이에 뻗어 있는 사선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유지된 라벨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지된 라벨 부분은 상기 고정된 라벨에 부착되어 있으며 절취선에 의해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된 라벨 부분을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사이에 뻗어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3 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은,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4 측면을 형성하는, 제2 유지된 라벨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탭을 형성하는 제3 유지된 라벨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유지된 라벨 부분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된 라벨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14. 박리가능한 라벨을 용기에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용기에 배치된 고정된 라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는 제거가능한 라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고정된 라벨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을 원뿔대 형상으로 감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원뿔대 형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1 측면을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2 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가능한 라벨을 용기에 사용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중의 하나로부터 뻗어 있는 탭을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에 형성된 슬롯 속으로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가능한 라벨을 용기에 사용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사이에 뻗어 있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의 제3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성형 단계 동안, 유체가 깔때기를 빠져나올 수 있는 제1 개구를 형성하는 반원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가능한 라벨을 용기에 사용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를 용기에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개구의 반대쪽에 있는 깔때기의 제2 개구 속으로 유체를 따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가능한 라벨을 용기에 사용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고정된 라벨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을 상기 고정된 라벨에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된 라벨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을 용기에 사용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키는 것은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된 라벨 부분을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찢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을 용기에 사용하는 방법.
  20.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로서,
    고정된 라벨; 그리고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고
    대향하고 있으며 대체로 평행한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제2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의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3 측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거가능한 라벨이 깔때기의 형태로 형성될 때 깔때기의 출구를 형성하는, 반원 형태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의 사이에 뻗어 있으며 상기 제3 측면 가장자리의 반대쪽에 있는 제4 측면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는,
    제거가능한 라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 가장자리에서 반원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 상기 제3 측면 가장자리의 약 20 퍼센트 내지 약 50 퍼센트를 차지하고, 상기 제3 측면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측면 가장자리와 반원 부분의 사이에 뻗어 있는 직선 부분과 상기 반원 부분과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의 사이에 뻗어 있는 사선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박리가능한 라벨.
  22. 용기용 라벨 조립체로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측면은 용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된 라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놓이도록 위치된 제거가능한 라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거가능한 라벨은 제거가능한 부분과 유지된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지된 부분은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제2 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상기 유지된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슬롯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을 상기 고정된 라벨로부터 멀어지게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을 상기 고정된 라벨과 상기 유지된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제거가능한 라벨 부분을 원뿔대 형상으로 감을 때 상기 슬롯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대체로 직선인 상부 가장자리, 제1 측면 가장자리 및 제2 측면 가장자리 그리고 대체로 직선 부분과 반원 부분을 포함하는 바닥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 부분은,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이 깔때기의 형태로 형성될 때, 깔때기의 출구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조립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제2 측면에 형성된 표시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상기 고정된 라벨의 제2 측면에 형성된 상기 표시와 유사한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조립체.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이 원뿔대 형상으로 있을 때, 상기 직선 부분은 상기 제2 측면 가장자리와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조립체.
KR1020147029106A 2012-05-02 2013-05-01 박리가능한 라벨 및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 KR20150016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1621P 2012-05-02 2012-05-02
US61/641,621 2012-05-02
US201361768148P 2013-02-22 2013-02-22
US61/768,148 2013-02-22
PCT/US2013/039046 WO2013166137A1 (en) 2012-05-02 2013-05-01 Peelable label and method of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932A true KR20150016932A (ko) 2015-02-13

Family

ID=4951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106A KR20150016932A (ko) 2012-05-02 2013-05-01 박리가능한 라벨 및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30291417A1 (ko)
EP (1) EP2844563A4 (ko)
JP (1) JP2015517680A (ko)
KR (1) KR20150016932A (ko)
CN (1) CN104271449A (ko)
BR (1) BR112014025961A8 (ko)
CA (1) CA2869774A1 (ko)
IN (1) IN2014DN08275A (ko)
MX (1) MX2014013135A (ko)
WO (1) WO2013166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7670A1 (en) * 2021-03-01 2022-09-01 Multi-Color Corporation Label including a removable portion capable of forming a separate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0888A (en) * 1936-01-27 1937-11-30 Oscar L Vine Collapsible paper funnel construction
US2388501A (en) * 1944-02-25 1945-11-06 American Soil Products Co Inc Garden seeder
US2605582A (en) * 1946-07-24 1952-08-05 Raney R Allen Inlet tube for use in bait traps
DE3515675A1 (de) * 1985-05-02 1986-11-06 Hermann 8404 Wörth Kronseder Etikettieraggregat fuer flaschen oder dgl.
US4896707A (en) * 1987-12-21 1990-01-30 Cowles Stanley P Adjustable, disposible funnel
US5004353A (en) * 1989-11-15 1991-04-02 Martin Jeffrey J Fluid mixing accessory
US5121779A (en) * 1990-12-31 1992-06-16 John Green Funnel
US5484167A (en) * 1993-09-13 1996-01-16 The Clorox Company Label having integrally formed differential release coupon and method of making
US5601230A (en) * 1995-12-15 1997-02-11 Union Camp Corporation Integrated packaging and funnel construction
CA2327420A1 (en) * 2000-04-26 2001-10-26 Stephanie S. Wiethoff Disposable funnel
WO2002100764A2 (en) * 2001-06-12 2002-12-19 S & S Concepts, Inc. Multipurpose collapsible funnel and business method
US6991261B2 (en) * 2001-06-22 2006-01-31 Multi-Color Corporation Labels with removable section for in-mold production of in-mold labeled molded containers
FR2840294B1 (fr) * 2002-05-31 2004-12-10 Christophe Clevenot Entonnoir jetable obtenu a partir d'une etiquette autocollante
US20050229450A1 (en) * 2004-03-31 2005-10-20 Larsen Design System for wrapping containers
EP1968859B1 (en) * 2005-12-23 2011-03-09 Mogens Riis A label with a formable cup
GB2439300A (en) * 2006-06-20 2007-12-27 Paragon Labels Twin hinged and peelable label top layers
US20120090724A1 (en) * 2010-10-19 2012-04-19 Brian Heller Disposable fu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4013135A (es) 2015-05-07
BR112014025961A8 (pt) 2017-07-25
CA2869774A1 (en) 2013-11-07
WO2013166137A1 (en) 2013-11-07
US20150199924A1 (en) 2015-07-16
IN2014DN08275A (ko) 2015-05-15
EP2844563A1 (en) 2015-03-11
JP2015517680A (ja) 2015-06-22
US20130291417A1 (en) 2013-11-07
BR112014025961A2 (ko) 2017-06-20
CN104271449A (zh) 2015-01-07
EP2844563A4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35784A (ru) Упаковка для гигие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US20120290061A1 (en) Electrode Pad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JP2011501719A5 (ko)
TWI439397B (zh) 紙袋
EP3057880A1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a disposable flexible container
JP4444167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3977492B2 (ja) ラベル表紙と説明書付き表示ラベル、放射性医薬品用表示ラベル及びラベルシート
KR20100053583A (ko) 리필 가능한 분배 상자 시스템
KR20150016932A (ko) 박리가능한 라벨 및 박리가능한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
JP2002307867A (ja) ラベル付き伝票
US6799715B1 (en) Sliceable product container device
KR200453680Y1 (ko) 물티슈용기 개봉용 스티커
US20140069976A1 (en) Waste bag dispenser that is disposable and attachable to plurality of animal leashes
JP3179583U (ja) ロール式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紙取出構造
JP3146606U (ja) 封筒
JP2009166872A (ja) ラップフィルムロール収納ケース
KR200491369Y1 (ko) 개봉부 접착기능을 갖는 서류봉투
JP3106449U (ja) 埃・塵等のゴミ取り具
KR100537179B1 (ko) 휴대폰 줄용 포장대
EP1201565B1 (en) Container for stack of interfolded tissue sheets with gripping means for first sheet
CN212165688U (zh) 一种桶状抽取式纸巾
KR200440575Y1 (ko) 스티커
JP2007308531A (ja) 伝票類貼付用フィルムロール体及び貼付用フィルム付伝票
KR20180018010A (ko) 캔 뚜껑 안전 캡
KR200366372Y1 (ko) 개량형 티슈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