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53A -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753A
KR20150016753A KR1020130092597A KR20130092597A KR20150016753A KR 20150016753 A KR20150016753 A KR 20150016753A KR 1020130092597 A KR1020130092597 A KR 1020130092597A KR 20130092597 A KR20130092597 A KR 20130092597A KR 20150016753 A KR20150016753 A KR 2015001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utton
completion
recognizing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주)씨리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리얼 filed Critical (주)씨리얼
Priority to KR102013009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6753A/ko
Publication of KR2015001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원의 이름과 아이디를 프론트 메인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하고, 리모컨에는 저장한 해당 아이디를 설정하고 청소지령 조작보턴을 부가하는 예비과정(S0),
리모컨의 청소지령 조작보턴 조작시 수신반의 리모컨수신부에서 해당 아이디와 청소지령 조작보턴에 따른 청소시작을 인식하여 프론트로 보내는 청소시작인식과정(S1),
청소가 완료되면 리모컨을 사용하여 청소지령 조작보턴을 다시 조작하여 수신반에 알리면, 수신반은 이를 다시 프론트로 보내 청소의 완료를 실시간을 확인통보토록 하는 청소완료인식과정(S2),
청소한 사람이 실수로 완료보턴을 누르지 않을 경우 설정 시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론트에서 청소완료로 인식하도록 하는 자체청소완료인식과정(S3)을 순차 수행하고;
상기 청소중 객실비품의 손상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한 리모컨의 보턴을 눌러주면, 수신반을 통해 프론트에서 이를 인식하여 즉시 수리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과정(S4)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이다.

Description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Cleaning control method for a Hotel room}
본 발명은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객실의 청소를 하는 청소원에게 리모컨을 주고 해당 리모컨은 청소개시와 종료를 수신반을 통하여 메인컴퓨터에서 인식하고, 필요시 실내 고장기기의 통보도 가능토록 하는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박업소의 관리시스템의 일 예로는 프론트의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각 룸의 룸콘트롤러와, 해당 룸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주차안내장치, 키테그홀더, 도어센서, 및 차임벨을 포함하는 구성의 결합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239269호로 알려졌으나, 이는 주차 안내에 특화된 기술로 객실 청소관리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텔이나 모텔 등과 같은 곳의 객실마다 설치되는 수신반(100)은 도 1내지 도 3 과 같이 하우징(101) 좌우 측에 객실관리조명보턴(110,120)을, 그 중앙에는 디스플레이(150), 객실온도설정보턴(130), 및 고객퇴실요청 보턴(140)을 포함한다. 상기 객실조명관리보턴(110)은 중앙등 보턴(111), 조명등 보턴(112)을 포함하고, 상기 객실조명관리보턴(120)은 보조등 보턴(122), 욕실등 보턴(121)을 포함한다.
도 2 는 객실 장치 간의 결선도로, 수신반(100), 키홀더(200), 차임벨(400) 및 릴레이보드(300)를 상호 라인을 통하여 접속하고, 키홀더(200)측의 라인(L1,L2)을 통하여 카운터 메인 콘트롤러(180) 및 메인컴퓨터(600)로 된 프론트와 순차 접속도록 결선한다.
릴레이보드(300)는 릴레이의 연계작동으로 실내의 대응 욕실등(121‘), 보조등(122’), 조명등(112‘), 중앙등(111’) 및 에어컨(131‘) 등을 작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배선한다.
이를 사용할 때는 객실 조명관리보턴(110,120)의 해당 보턴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의 등을 점등시키도록 사용하고, 이를 위하여는 객실조명관리보턴(110,120)의 해당 보턴(예를 들어 중앙등 보턴(111))을 누르면, 이는 릴레이보드(170)의 대응 릴레이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대응하는 릴레이가 켜지도록 하는 기술 자체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단지 릴레이보드(170)로만 나타낸다)으로 도 2 와 같이 대응 중앙등(111‘)이 점등된다.
실내의 에어컨을 켜기 위하여 객실온도설정보턴(130)을 누르면, 누르는 값을 키홀더(150)의 마이컴(151)이 인식하여 그 값을 문자로 표현가능토록 디스플레이(150)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150)에 온도가 나타나도록 한다(물론 통상 하는 방식으로 현재의 온도와 원하는 온도가 구분되어 나타나도록 표시한다). 원하는 온도가 디스플레이(150)에 나타나면 이를 보고 원하는 온도에서 멈추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온도를 마이컴(151)에 세팅한다. 그러면 그 온도가 될 때까지 릴레이보드(300)는 설치된 에어컨(131‘)을 켜서 냉방기로 작동토록 한다. 이 경우 릴레이를 설정 온도까지 작동시키기 위하여 센싱하는 센서의 도시는 생략하고(센서는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고, 에어컨에 설치한 출력치를 그대로 인식할 수도 있다), 온도를 인식하여 작동을 포함하는 각종 제어 마이컴(151)은 키홀더(200)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나, 릴레이보드(300)에 설치할 수도 있고, 수신반(100)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키홀더(200)에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단순히 제어한다는 표현으로 대신한다.
수신반(100)의 고객퇴실요청보턴(140)은 체크아웃보턴(141)과 취소보턴(142)으로 구성되며, 체크아웃보턴(141)은 키홀더(200)의 마이컴(151)을 경유하여 라인(L1,L2)을 통하여 메인콘트롤러(180)가 인식 가능토록 결선한다.
이러한 구성의 객실관리시스템은 도어를 여는 도어개페장치(카드키나 자석키나, 일반 도어록 장치)를 통하여 투숙객이나 청소원이 열고 닫으며, 내부 실내등이나 에어컨 등을 조작하도록 하는 키홀더에 키를 꽂아야만 작동한다. 이러한 현재의 방식은 청소원이 청소를 하고 있는지 완료하였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일반 투숙객의 열쇠와 청소원 등의 열쇠를 달리하여(예를 들어 자석키의 경우 투숙객은 키의 중앙에 자석을 두고, 청소원은 양측에 자석을 두어 투숙객과 청소원을 구분하고; 카드식 키의 경우는 투숙객은 양쪽의 포토커플러를 통한 인식으로 투숙객인지를 확인하고, 한쪽의 포토커플러를 통한 인식으로 청소원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키홀더에 꽂으면 이를 카운터에서 투숙객이 투숙하였는지, 청소원이 청소를 하는지를 알 수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청소를 할 경우, 누가 하는지 언제 시작하여 언제 끝나는지 등을 정확하게 알 수 없어 객실 청소 관리에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원에게 각자의 아이디를 가지는 리모컨을 주고 리모컨 보턴을 조작하면 수신반에서 이를 인식하여 아이디를 가진 누구가 청소를 시작하였는지를 프론트에서 알 수 있도록 하고, 청소가 완료되면 다시 리모컨을 조작할 경우, 프론트에서 청소를 완료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객실의 활용 비율을 극대화시키고, 청소의 완료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객실관리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청소원의 이름과 아이디를 프론트 메인컴퓨터에 저장하고, 리모컨에는 해당 아이디를 설정하고 조작보턴을 부가하며,
리모컨의 조작시 수신반의 리모컨수신부에서 해당 아이디와 청소시작을 인식하여 프론트로 보내고,
청소가 완료되면 리모컨을 사용하여 수신반에 알리면, 이를 다시 프론트로 보내 청소의 완료를 실시간을 확인토록 하고,
청소한 사람이 실수로 완료보턴을 누르지 않을 경우 설정 시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론트에서 청소완료로 인식하도록 하고,
청소중 객실비품의 손상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한 보턴을 눌러주면, 프론트에서 이를 인식하여 즉시 수리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객실의 투숙객이 체크아웃 후에, 청소원이 해당 객실을 청소할 때 청소원에게 배당된 리모컨을 누르면 수신반의 리모컨 수신부를 경유하여 마이컴이 인식하고, 이를 프론트에 보내어 청소의 시작과 동시에 누가 청소를 하는지를 해당 아이디를 통하여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원이 언제 어느 객실을 청소하였는지 알 수 있고, 기록 자료로 남길 수 있어 청소현황 관리에 유리하다.
또한, 청소가 끝나면 다시 리모컨을 조작할 경우, 프론트에서 이를 기초로 확인할 수 있어, 청소의 완료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토록 하여 객실의 회전율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객실의 청소 중에 손상된 비품을 발견하면, 비품의 설정 번호를 입력하여 예를 들어 티브이세트를 1번으로 할 경우 1번 보턴을 누르면 프론트에서는 이를 티브이세트의 손상으로 인식하고 빨리 기사를 부르던가 대체하던가 하여 항상 투숙객이 정상적인 비품을 사용토록 하여 투숙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도 1 은 기존의 객실관리 시스템의 시스템구성도,
도 2 는 도 1의 요부 결선도,
도 3 은 도 1의 수신반 확대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블럭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데이티포맷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블럭 구성도로, 각 방(ROOM1,ROOM2...ROOMn)마다 리모컨(170)과 교통하는 수신반(100)을 설치한다. 상기 리모컨(170)의 바람직한 예로는 청소시작을 지령하는 삽입보턴(171), 청소완료를 지령하는 제거보턴(172), 필요시 고장 난 기기가 있음을 지령하는 외부입력보턴(173), 필요시 비프음의 발생 및 소거를 지령하는 음소거보턴(174), 어떤 기기가 고정인지를 지령하는 숫자보턴(175)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무선 방식은 무선주파수 방식도 가능하고, 빛에 의한 송신방식도 가능하므로 단순히 지령한다로 표현한다.
수신반(100)은 다양하게 구성가능하지만 리모컨수신부(160), 객실온도설정보턴(130), 객실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50), 고객퇴실요청보턴(140), 객실조명관리보턴(110,120)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반(100)은 마이컴(151)의 제어를 받으며 현재의 상태를 보고하도록 결선되며, 마이컴(1510은 입출력인터페이스(152)를 통하여 라인(L1,L2)을 경유하여 메인컴퓨터(600)와 연결된 메인콘트롤러(180)와 결선 된다.
상기 마이컴(151)은 포토커플러(PC1, PC2)에 의하여 키 삽입 여부를 인식하도록 하는 키홀더(203)와 결선되며, 조명등, 에어컨, 티브이, 냉장고 등의 실내 기기를 작동하는 릴레이보드(300)를 제어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리모컨이 송신하는 데이타의 데이티포맷 예시도로, 리모컨사용자의 아이디를 나타내는 비트(D1)와, 고장내용을 나타내는 비트(D2)를 리모컨 사용자가 각각 해당보턴을 눌러서 지령하면, 수신반은 이를 마이컴(151)에 보내고 마이컴(151)은 자신이 설치된 방 호수를 더하여 메인컴퓨터(600)로 도 5 와 같은 형태로 보내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타포맷에는 시작시간과 마지막시간을 더하여 보낼 수도 있고, 메인컴퓨터에서 시간 데이타를 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아이디를 나타내는 비트(D1)와 방 호수를 나타내는 비트(D3)로 구성할 수도 있고(이 경우 고장내역이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비트(D2)를 마이컴(151)을 통하여 별도로 추가하도록 한다, 아울러 아이디를 나타내는 비트(D1)와 고장내역을 나타내는 비트(D2)와, 방 호수를 나타내는 비트(D3)로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고장 내역이 없을 경우는 널(null) 상태로 하면 된다. 아울러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비트(D4)를 포함하여 메인컴퓨터(600)로 보낼 수도 있고, 메인컴퓨터에서 이 비트(D4)를 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고장 기기를 인식하도록 리모컨이 누르는 숫자보턴(175)의 번호와, 대응하는 고장 기기를 예시한 것으로, 이렇게 메인컴퓨터(600)에서는 설정하고, 청소하시는 분에게도 이 사실을 주지시키거나 별도의 알림표를 주면, 청소하다가 고장을 발견할 경우 예를 들어 티브이가 고장난 경우 리모컨(170)의 숫자버튼(175) 중 설정한 보턴(숫자보턴1)을 누르면, 이 숫자에 해당하는 고장내용비트(D2)가 예를 들어 2비트인 경우 01 이 된다. 그러면 이를 기초로 마이컴(151)에서는 더불어 오는 아이디 비트(D1)와 자신이 더하는 방 호수비트(D3)를 더한 데이타 포맷 형태로 메인컴퓨터(600)로 보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로, 청소원의 이름과 아이디를 프론트 메인컴퓨터(600)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하고, 리모컨(170)에는 저장한 해당 아이디를 설정하고 청소지령 조작보턴에 해당하는 삽입보턴(171)을 부가하는 예비과정(S0),
리모컨의 청소지령 조작보턴 조작시 수신반(100)의 리모컨수신부(160)에서 해당 아이디와 청소지령 조작보턴에 따른 청소시작을 삽입보턴(171)의 누름으로 인식하여 프론트 메인컴퓨터(600)로 보내는 청소시작인식과정(S1),
청소가 완료되면 리모컨을 사용하여 청소완료 보턴인 제거보턴(172)을 조작하여 수신반(100)에 알리면, 수신반(100)은 이를 다시 프론트 메인컴퓨터(600)로 보내 청소의 완료를 실시간을 확인통보토록 하는 청소완료인식과정(S2),
청소한 사람이 실수로 완료 보턴(제거보턴(172))을 누르지 않을 경우 설정 시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론트에서 청소완료로 인식하도록 하는 자체청소완료인식과정(S3)을 순차 수행하고;
상기 청소중 객실비품의 손상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한 리모컨(170)의 대응 숫자보턴(175)을 눌러주면, 수신반(100)을 통해 프론트 메인컴퓨터(600)에서 이를 인식하여 즉시 수리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과정(S4)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는 메인컴퓨터(600)에 프로그램상에 도 6 과 같은 지령 버튼 대응 고장기기를 미리 지정하여야 한다.
상기 보조과정(S4)에서 미리 설정한 보턴은 외부입력보턴(173)과 대응하는 숫자보턴(175)의 순차 누름작용으로 작동할 수 있는바, 각 숫자보턴(175) 각각은 메인 컴퓨터(600)에 도 6 과 같이 설정한 대응 고장기기로 인식하도록 메인컴퓨터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물론 저장하는 방식은 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과정(S0)에서 미리 설정한 보턴은 대응하는 숫자보턴(175)만으로 수행수도 있는바, 각 숫자보턴(175) 각각은 메인 컴퓨터(600)에 설정한 대응 고장기기로 인식하도록 메인컴퓨터에 도 6 과 같이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100;수신반 101;하우징 110,120;객실조명관리보턴 111;중앙등보턴 112;조명등보턴 121; 욕실등보턴 122;보조등보턴 130;객실온도설정보턴 140;고객퇴실요청보턴 141;체크아웃보턴 142;취소보턴 150;디스플레이 160;리모컨수신부 170;리모컨 171;삽입보턴 172;제거보턴 173;외부입력보턴 174;음소거보턴 175;숫자보턴 180;메인콘트롤러 200;키홀더 300;릴레이보드 400;차임벨 500;프론트 600;메인컴퓨터

Claims (3)

  1. 청소원의 이름과 아이디를 프론트 메인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하고, 리모컨에는 저장한 해당 아이디를 설정하고 청소지령 조작보턴을 부가하는 예비과정(S0),
    리모컨의 청소지령 조작보턴 조작시 수신반의 리모컨수신부에서 해당 아이디와 청소지령 조작보턴에 따른 청소시작을 인식하여 프론트로 보내는 청소시작인식과정(S1),
    청소가 완료되면 리모컨을 사용하여 청소지령 조작보턴을 다시 조작하여 수신반에 알리면, 수신반은 이를 다시 프론트로 보내 청소의 완료를 실시간을 확인통보토록 하는 청소완료인식과정(S2),
    청소한 사람이 실수로 완료보턴을 누르지 않을 경우 설정 시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론트에서 청소완료로 인식하도록 하는 자체청소완료인식과정(S3)을 순차 수행하고;
    상기 청소중 객실비품의 손상이 있을 경우 미리 설정한 리모컨의 보턴을 눌러주면, 수신반을 통해 프론트에서 이를 인식하여 즉시 수리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과정(S4)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과정(S4)에서 미리 설정한 보턴은 외부입력보턴(173)과 대응하는 숫자보턴(175)이며, 각 숫자보턴(175) 각각은 메인 컴퓨터(600)에 설정한 대응 고장기기로 인식하도록 메인컴퓨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과정에서 미리 설정한 보턴은 대응하는 숫자보턴(175)이며, 각 숫자보턴(175) 각각은 메인 컴퓨터(600)에 설정한 대응 고장기기로 인식하도록 메인컴퓨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KR1020130092597A 2013-08-05 2013-08-05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KR20150016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97A KR20150016753A (ko) 2013-08-05 2013-08-05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97A KR20150016753A (ko) 2013-08-05 2013-08-05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53A true KR20150016753A (ko) 2015-02-13

Family

ID=5257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97A KR20150016753A (ko) 2013-08-05 2013-08-05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67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3719B2 (en) Setting apparatus and setting method each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in electric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4658566B2 (ja) 遠隔操作装置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
WO2015190154A1 (ja) サーバ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06031189A (zh) 设备协同控制系统、设备控制装置、设备、设备协同控制系统的设备控制方法及其程序
JP2016116159A (ja) 通信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JP2016039575A (ja) 情報機器および制御機器
CN106125568A (zh) 智能家居管理方法和装置
US20130238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building energy facilities
JP2007166045A (ja) 遠隔監視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JP6111988B2 (ja) 空気調和機
CN110278404A (zh) 一种信息交互方法、电视、电子门铃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2039695A (ja) 接続機器管理システム
KR20150016753A (ko) 객실 청소 자동관리방법
JP4956160B2 (ja) 監視制御端末
JP2013013287A (ja) 電力供給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JP2002305845A (ja) 電気製品管理システム
JP2002185628A (ja) 無線式電源管理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送信装置
JP4162236B2 (ja) 熱源機通信システム
KR100576762B1 (ko) 객실 관리 시스템
KR100970279B1 (ko) 원격 전력제어장치
KR101892757B1 (ko) 전기제품
JP419634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アダプタ、電気機器
JP2010229680A (ja) 鍵カードシステム
KR102076273B1 (ko) 전기제품 및 그 제어방법
JP2009088786A (ja) 設備機器の初期設定システムおよび設備機器のリモコ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