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421A - 육류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421A
KR20150016421A KR1020130091288A KR20130091288A KR20150016421A KR 20150016421 A KR20150016421 A KR 20150016421A KR 1020130091288 A KR1020130091288 A KR 1020130091288A KR 20130091288 A KR20130091288 A KR 20130091288A KR 20150016421 A KR20150016421 A KR 2015001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tary drums
meat
rotar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317B1 (ko
Inventor
김선곤
Original Assignee
김선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곤 filed Critical 김선곤
Priority to KR102013009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3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Abstract

본 발명은 삶은 고기 덩어리를 고깃결에 따라 잘게 찢어 내는 육류 가공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고기 덩어리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외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부가 투입된 상기 고기 덩어리를 고깃결에 따라 잘게 뜯어내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드럼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육류 가공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육류 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meat}
본 발명은 삶은 고기 덩어리를 고깃결에 따라 잘게 찢어 내는 육류 가공 장치에 관련된다.
식재료는 용이한 섭취를 위하여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조리하게 된다. 특히 육류의 경우에 부드럽게 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입 크기에 적당한 사이즈로 가공한 후 육질을 부드럽게 하는 조리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통 한식에서 삶은 고기를 식재료로 사용하는 음식에 있어서는 고깃결을 살려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써 조리과정 중에 육질의 손상을 가능한 줄여 씹는 맛을 좋게 하며, 음식을 더욱 맛나게 보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쇠고기를 재료로 사용하는 육개장의 경우, 적당한 크기의 살코기 덩어리를 삶아 육수를 낸 다음, 삶은 고기를 결대로 찢어 양념을 한 후 다시 국 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대로 찢은 고기는 육개장을 끓이는 시간 등 추가적인 조리 과정 중에 고기가 흩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보기에도 좋고 식감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삶은 고기를 재료로 하는 식품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고깃결에 따라 찢어내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칼날을 가진 커팅장치를 이용하여 고깃결에 상관없이 덩어리 고기를 잘게 잘라서 이를 사용하고 있어서 고깃결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5139호 (2002.10.31)
본 발명은 삶은 살코기 덩어리를 고깃결에 따라 찢어내는 장치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고기 덩어리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외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부가 투입된 상기 고기 덩어리를 고깃결에 따라 잘게 뜯어내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드럼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육류 가공 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재보다 외경이 큰 원통체 및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나란히 한 쌍이 구비되고, 각 상기 회전드럼의 축부재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가 결합되어 있어, 어느 한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회전드럼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은 상부에서 투입한 고기 덩어리가 상기 회전드럼의 사이로 이동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나머지 한 쌍의 회전드럼은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의 돌출부는 이웃하는 회전드럼에 구비되어 있는 대응하는 돌출부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하면서, 서로의 이동 궤적이 겹쳐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드럼들의 회전 시에 어느 한 회전드럼의 돌출부는 이웃하는 회전드럼의 돌출부와 일정한 거리 이상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한 거리는 3 mm 내지 15 mm 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기를 자르는 것이 아니라 고깃결을 따라 잘게 찢어낼 수 있다. 따라서 장조림이나 육개장 등 음식을 요리할 때에 고깃결을 살린 육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자동화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작업자를 사용하여야 하는 수고로움이 생략되며, 다량의 육류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깃결에 따라 잘게 찢어냄에 있어서 고기가 장치에 의해 짓눌려지지 아니하므로 상품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하로 배치된 두 쌍의 회전드럼은 미처 잘게 나눠지지 않은 덩어리가 배출되지 않게 하므로, 작동 신뢰성이 높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구성을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회전드럼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스와 회전드럼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회전드럼에 구비된 돌출부들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드럼들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 내지 (e)는 회전드럼들의 회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 중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는 삶은 고기 덩어리를 살코기의 결에 따라 찢어내는 장치이다. 여기서 육류 가공 장치에 투입되는 대상은 삶은 고기 덩어리 외에 절이거나 반건조하여 고깃결에 따라 찢어내어 식재료로 사용되는 육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드시 삶은 고기 덩어리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서 고깃결에 따라 찢는다는 표현은 칼 등을 이용한 절삭과는 구별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찢는다는 표현은 고깃결에 따라 뜯어낸다는 의미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칼 등으로 잘라내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의 조립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육류 가공 장치(100)는 케이스(1), 복수의 회전드럼(2) 및 동력원(3)을 포함한다.
케이스(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투입구(11)로 사용되며, 케이스(1)의 하부도 개방되어 있어 배출구(도 4의 12 참고)가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투입구에는 가능한 투입구의 가운데로 고기 덩어리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구 사이즈가 작게 형성된 덮개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덮개부재에 형성된 입구에는 호퍼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배출구(12)가 케이스(1)의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도시된 육류 가공 장치(100)는 배출구(12)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선반(도시 생략) 위에 올려져 사용되는 것이 좋다. 선반의 하부에는 배출된 고기들을 받을 수 있는 상자가 놓이거나, 또 다른 가공장치의 투입구와 연결되는 컨베이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케이스(1)의 전면과 후면에는 회전드럼(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장착홀(13)에는 베어링이 장착된다.
케이스(1)의 전면 외부에는 후술하는 기어(33)가 결합된다. 케이스(1)에는 기어(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4)가 결합된다. 여기서 커버(14)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기어(33)와 커버(14)는 케이스(1)의 전방이 아니라 동력원(3)이 결합하는 케이스(1)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드럼(2)은 케이스(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드럼(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돌출부(23)에 의해 고기 덩어리는 고깃결에 따라 잘게 찢어지게 된다.
이러한 회전드럼(2)은 케이스(1)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회전드럼(2)은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각 회전드럼(2)에 구비된 돌출부가 상호 작용하면서 고기 덩어리를 효과적으로 고깃결에 따라 찢어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동력원(3)은 케이스(1)의 후방에 위치한다. 동력원(3)은 감속기(32)와 모터(31)를 포함한다. 적정한 회전수와 토크를 가지는 모터의 선택에 따라 감속기는 생략될 수 있다.
동력원(3)의 출력축은 어느 한 회전드럼(2)에 연결되어, 동력원(3)의 작동 시에 회전드럼(2)이 회전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력원은 케이스에 결합되는 거치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육류 가공 장치를 선반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 동력원은 선반에 설치되는 고정지그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드럼(2)은 케이스(1)의 상부에 나란히 한 쌍이 구비되며, 이 나란한 상부의 회전드럼들(2) 밑으로 또 한 쌍의 회전드럼(2)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수평으로 나란한 2 대의 회전드럼들(2)이 상하로 배치되는 형상이다.
도 3에는 회전드럼(2)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드럼(2)은 케이스의 전후면에 형성된 장착홀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21), 축부재(21)에 결합되어 있으면서 축부재(21)보다 외경이 큰 원통체(22) 및 원통체(22)에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23)를 포함한다.
축부재(21)는 케이스(1)의 장착홀(13)에 설치되는 베어링(B)에 결합함으로써 회전드럼(2)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케이스(1)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드럼들 중 어느 하나의 축부재(21)는 케이스(1)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전술한 동력원(3)과 결합되어 있다(도 2 참고).
원통체(22)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구조물이다. 원통체(22)의 단면 중심은 축부재(21)의 중심에 맞추어져 있으며, 축부재(2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원통체(22)의 전후 길이는, 케이스(1)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짧다. 원통체(22)는 축부재(21)와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축부재(21)의 회전 시에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돌출부(23)는 원통체(22)의 외주면에 법선방향으로 세워지는 판 부재이다. 돌출부(23)는 두께감이 있는 사각판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판 형상이기만 하면 사각형 외에 삼각형 사다리꼴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돌출부(23)의 전체에 있어 두께는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어느 한 모서리에서 두께가 얇아지는 칼날의 형태가 아니라, 각 모서리는 뭉툭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3)의 끝단면(확대한 도면의 상단면)과 측면이 연결되는 상단 모서리부분은 날카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라운드 처리되어 라운드면(231)을 형성하고 있다.
만일 이러한 라운드면(231)을 형성하지 않고, 돌출부의 상단면의 좌우 모서리를 직각인 채로 두면, 삶아진 고기 덩어리가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잘라지는(cutting)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를 라운드면(231)으로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들을 해소하고 있다.
돌출부(23)는 원통체(2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돌출부(23)는 원통체(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씩 이격 배치되어 있다. 또 돌출부(23)는 축부재(2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도 복수가 이격 배치되어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케이스(1)의 내부에 상하로 한 쌍씩 배치되어 있는 회전드럼들(2)의 각 축부재(21)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33)가 결합되어 있다. 기어들(33)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로 제작되는 것으로써, 어느 한 회전드럼(2)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회전드럼(2)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회전드럼(2)을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으로 기어(33)를 채택하고 있지만, 모든 회전드럼이 동등한 각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코크 벨트 등 미끄럼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공지된 동력전달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동력원(3)과 연결되기 위하여 일단부가 길게 형성되는 축부재(21)를 제외하고는, 각 회전드럼(2)의 원통체(22)나 돌출부(23) 등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사이즈이다. 즉, 돌출부(23)의 사이즈와 등각도에 따른 배치구조 및 전후 방향의 배치간격이 모든 회전드럼(2)에서 동일하다.
도 4 내지 도 6은 케이스 내에 설치된 회전드럼들의 상관 관계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회전드럼들(2)의 사이는 각 축부재(21)에 결합된 원통체(22)의 큰 직경에 의해 축부재의 이격 간격에 비하여 상당히 좁게 형성된다. 도 6의 평면도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두 원통체(22) 사이로 보이는 공간의 가로 폭은 투입되는 고기 덩어리의 폭 사이즈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회전드럼(2)이 회전할 때에, 원통체(22)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출부(23)는 이웃하는 회전드럼(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돌출부(23)는 이웃한 회전드럼(2)의 원통체(22)와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회전드럼(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지게 지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회전드럼(2)에 구비되는 돌출부(23)의 배치간격이나 배치각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도 5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평면상에 놓이는 돌출부들(23)이 이동하는 궤적이 겹치게 된다.
도 5를 살펴보면, 이점쇄선은 원통체의 외곽 단면을 나타낸 것인데, 좌우의 원통체 외곽선(L)을 따라 하나의 평면(A) 상에 8개의 돌출부(23)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축(C)에 도시한 회전방향에 따라 각 회전드럼이 회전함으로써, 평면(A) 상에 놓인 모든 돌출부들(23)이 원통체 외곽선들(L)의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돌출부들(23)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이렇듯 회전드럼(2)에 구비된 돌출부(23)는 이웃하는 회전드럼(2)에 구비되어 있는 대응하는 돌출부(23)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한다. 또한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돌출부들의 이동궤적은 일부분(원통체들의 사이)에서 겹쳐진다.
발명 과정 중에서 실험에 의해 알아낸 바에 따르면, 이웃하는 회전드럼의 돌출부들의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되도록, 돌출부의 전후 이격간격을 조절하여 어느 한 회전드럼의 돌출부들 사이로 다른 회전드럼의 돌출부가 통과하도록 제작한 경우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배치가 고기 덩어리를 고깃결에 따라 찢어내는 효과가 더욱 크다.
만일 나란히 배치된 회전드럼의 돌출부들의 이동 궤적이 같은 평면상에서 겹치지 아니하도록 돌출부들의 이격 간격을 조절한 경우에는, 케이스에서 배출된 고기들을 수차례 더 육류 가공 장치에 재투입해야 비로소 대부분의 덩어리가 잘게 찢어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들을 같은 평면상에서 이동 궤적의 일부가 겹쳐지게 배열한 경우에는 한 번의 통과만으로 충분히 잘게 고깃결에 따라 찢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전드럼(2)의 회전 각도를 초기에 세팅함에 있어서 돌출부들(23)이 지나치게 가깝게 위치하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드럼들(2)의 회전 시에 어느 한 회전드럼의 돌출부(23)는 이웃하는 회전드럼(2)의 돌출부(23)와 일정 거리 이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7에는 회전드럼(2)의 설치 방법과 관련된 도면이다. 케이스(1)에 회전드럼(2)을 설치하고 기어(33)를 결합하기 전에, 회전드럼(2)을 적절히 회전시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맞춘다. 여기서 돌출부들(23)이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돌출부 사이에는 적정 두께의 판재(도시 생략)를 개재하거나, 축부재의 회전을 임시 고정시킨다. 판재는 축부재에 기어들을 체결하여 회전드럼의 각도를 고정시킨 후에 제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배치된 회전드럼(2)의 각 돌출부들(23)을 일정간격으로 떨어뜨린 상태에서 축부재(21)에 기어를 체결함으로써, 추후 동력원(3)에 의한 회전드럼들(2)의 회전 시에 이웃하는 회전드럼들(2)에 구비된 돌출부들(23)이 일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지 않게 된다.
도 8을 살펴본다. 도 8에서 몇몇의 돌출부(23)에는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별모양 또는 삼각형의 마크를 표기하였다. 또 각 회전드럼(2)에는 회전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에서 회전드럼들(2)에 구비된 돌출부들(23)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도록 세팅되어 있다. 회전드럼(2)이 조금씩 회전함에 따라 (b) 내지 (e)로 진행된다.
도 8의 (b)에서 별 표시가 된 돌출부들(23)의 이격 간격이 가장 짧다. 즉, 도면 왼쪽의 별 표시가 된 돌출부(23)의 라운드면(231)과 오른쪽 하부에 위치하는 별 표시가 된 돌출부(23)의 측면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최소로 좁혀지게 된다. 이후 회전드럼(2)이 더 회전하면서 이 이격 간격(d)은 커지기 시작한다.
(c)에서 별 표시된 돌출부들(23)의 이격 간격보다 상하로 배치된 별 표시의 돌출부(23)와 삼각형 표시의 돌출부(23)가 더 가까워지기 시작한다. 회전드럼(2)이 더 회전함에 따라 (d)로 진행되면 별 표시된 돌출부(23)와 삼각형 표시된 돌출부(23)의 이격 간격이 가장 짧아진다. 이후 회전드럼(2)이 회전되면서 (e)의 상태로 진행되었다가 회전드럼의 회전이 진행되면서 다시 (a)상태로 전이된다.
여기서 초기 세팅하는 돌출부들(별 표시의 돌출부들(23))의 이격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b)나 (d)에서 나타나는 이웃하는 돌출부들(23)의 최소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최종 목적으로 하는 고깃결에 따라 찢은 고기의 평균 두께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만, 최소 이격 간격은 3 mm 내지 15 mm 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회전드럼(2)의 회전 시에 반복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돌출부(23)의 최소한의 이격 거리는 3 mm 내지 15 mm가 되도록 한다.
돌출부들(23)의 최소 이격 거리를 3mm 미만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돌출부들(23)이 지나치게 가깝게 모이게 됨에 따라 찢긴 고기가 돌출부들(23) 사이에 짓눌리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배출된 고기들을 관찰해 보면 일부에서 뭉개진 육질이 있게 되므로 상품성이 크게 나빠진다. 또한 이 최소 이격 거리가 15mm 초과하는 수준으로 세팅하면, 충분히 잘게 찢겨지지 아니한 고기 덩어리가 배출되기 시작한다. 삶은 정도나 고기의 육질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추가적인 찢음 가공이 요구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상하로 한 쌍씩 나란히 배치되는 회전드럼(2)의 회전 방향을 특정할 수 있다.
케이스(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2)은 상부에서 투입한 고기 덩어리가 상부의 회전드럼(2)들 사이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킨다. 즉, 정면에서 바라본 도 7을 기준으로 할 때에, 상부 왼쪽의 회전드럼(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부 오른쪽의 회전드럼(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각 회전드럼(2)의 축부재(21)는 기어들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2)은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회전드럼(2)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7에서 은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고기의 대략적인 이동 방향이다. 상부에서 투입된 고기 덩어리는, 상부에 배치한 회전드럼들(2)의 회전에 의해 회전드럼들의 가운데로 이동하게 된다. 나란히 위치하는 원통체(22)에 의해 회전드럼들(2) 사이의 공간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돌출부들(23)이 고기 덩어리에 접촉하므로 고기 덩어리는 고깃결에 따라 찢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돌출부들(23)은 같은 평면상에서 이동 궤적의 일부가 겹치면서 이동하므로 고기 덩어리를 강하게 물어 고깃결에 따라 해체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작용이 있다. 고기 덩어리는 원통체(22)의 외벽과 돌출부들(23) 사이에 눌리거나, 이웃하는 회전드럼들(2) 사이를 통과하면서 돌출부들(23) 사이에 물려지면서 고깃결에 따라 분리된다.
이때, 돌출부(23)는 이웃하는 원통체(22)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고, 이웃하는 회전드럼에 구비된 돌출부(23)와도 일정한 이격 거리 이내로 서로 가까워지지 아니하므로, 찢긴 고기가 돌출부(23)와 원통체(22) 외벽 사이 또는 돌출부들(23) 사이에 끼어 뭉개지지 않게 된다.
상부에 위치한 한 쌍의 회전드럼(2)을 통과한 고기는 하부에 배치한 회전드럼(2)의 가운데로 떨어진다. 하부의 회전드럼들(2)은 상부에 배치된 회전드럼들(2)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어서, 떨어진 고기는 하부에 배치된 회전드럼(2)의 돌출부들(23)에 의해 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의 벽으로 이동된다. 이때, 일부 고기들은 하부에 배치된 회전드럼들(2)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12)를 통하여 최종 배출될 수 있다.
케이스(1) 내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한 고기는 상부의 회전드럼(2)과 하부의 회전드럼(2)에 구비된 돌출부들(23)에 의해 다시 한 번 고깃결에 따라 찢어진다. 그 후 케이스(1)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과 그에 인접하게 지나가는 돌출부(23)에 의해 또 한 번 고깃결에 따라 찢어지게 된다. 그 후 배출구(12)를 통하여 최종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하로 한 쌍씩 회전드럼(2)을 배치하면서, 상하의 회전드럼들(2)의 회전 방향을 서로 달리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고기 덩어리가 상부의 회전드럼(2)을 통과하면서 미처 충분히 잘게 찢어지지 않더라도 하부의 회전드럼(2)에서 추가적으로 고깃결에 따라 찢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종 배출되는 고기는 충분히 잘게 찢어진 상태가 된다.
도시하지 아니한 실시예에서 회전드럼은 상하로 적층된 형태가 아니라 단층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적층되는 회전드럼의 쌍은 3 이상이 될 수도 있다.
100 : 육류 가공 장치
1 : 케이스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3 : 장착홀 14 : 커버 B : 베어링
2 : 회전드럼
21 : 축부재 22 : 원통체 23 : 돌출부 231 : 라운드면 d : 이격 간격
3 : 동력원
31 : 모터 32 : 감속기 33 : 기어
L : 외곽선 A : 평면 C : 축

Claims (6)

  1. 고기 덩어리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외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부가 투입된 상기 고기 덩어리를 고깃결에 따라 잘게 뜯어내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드럼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육류 가공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재보다 외경이 큰 원통체 및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육류 가공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나란히 한 쌍이 구비되고,
    각 상기 회전드럼의 축부재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가 결합되어 있어, 어느 한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회전드럼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는 육류 가공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은 상부에서 투입한 고기 덩어리가 상기 회전드럼의 사이로 이동하도록 회전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나머지 한 쌍의 회전드럼은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가공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돌출부는 이웃하는 회전드럼에 구비되어 있는 대응하는 돌출부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 이동하면서, 서로의 이동 궤적이 겹쳐지는 것이면서,
    상기 회전드럼들의 회전 시에 어느 한 회전드럼의 돌출부는, 이웃하는 회전드럼의 돌출부와 일정한 거리 이상이 유지되는 육류 가공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일정한 거리는 3 mm 내지 15 mm 인 육류 가공 장치.
KR1020130091288A 2013-08-01 2013-08-01 육류 가공 장치 KR10153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88A KR101530317B1 (ko) 2013-08-01 2013-08-01 육류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88A KR101530317B1 (ko) 2013-08-01 2013-08-01 육류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421A true KR20150016421A (ko) 2015-02-12
KR101530317B1 KR101530317B1 (ko) 2015-06-23

Family

ID=5257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288A KR101530317B1 (ko) 2013-08-01 2013-08-01 육류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979B1 (ko) * 2017-06-19 2017-12-22 이순식 육개장용 육류의 가공장치
KR102564526B1 (ko) 2022-05-11 2023-08-07 주식회사 돈앤우농축산 육류 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206A (en) * 1981-02-04 1982-10-26 Boldt Wesley H Method of massaging meat products
AT392198B (de) * 1988-06-28 1991-02-11 Inject Star Poekelmasc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fleisch
JPH0755136B2 (ja) * 1991-09-26 1995-06-14 鹿児島くみあいチキンフーズ株式会社 肉製品及びその加工方法
KR200351700Y1 (ko) * 2004-03-09 2004-05-27 김덕근 연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317B1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317B1 (ko) 육류 가공 장치
EP2394734B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spun mozzarella or other soft dairy product, starting with frozen raw material
KR20150051461A (ko) 홍게 가공용 탈갑 및 자동 절단 장치
KR101546899B1 (ko) 건고추 분쇄 장치
US4800807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perforated pita bread
CN202932010U (zh) 一种剥壳装置
US8740120B2 (en) Rotor for cutting foodstuffs intended for a food processor and corresponding appliance
CN202311057U (zh) 一种切肉机
US5103719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flat bread with notches therein
CN205611288U (zh) 一种立式秸秆铡草机
US4889043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perforated pita br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227494B2 (ja) 自動分離・粉砕装置
CN206184294U (zh) 搅拌刀及搅拌机
CN206598332U (zh) 刨肉机
CN107684055A (zh) 一种辣椒粉碎方法
CN205106154U (zh) 包括产品移除装置的烤箱
CN204183611U (zh) 新型牛肉自动切片机
US305329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litting beans
US3502125A (en) Article modifying apparatus
KR101811979B1 (ko) 육개장용 육류의 가공장치
CN208510864U (zh) 粉碎刀组及料理机
US1746590A (en) Albert j
KR200354640Y1 (ko) 생선뼈와 생선살 분리장치
CN205799662U (zh) 一种禽蛋切片机
CN204409523U (zh) 坚果表皮开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