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587A -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587A
KR20150015587A KR1020130090372A KR20130090372A KR20150015587A KR 20150015587 A KR20150015587 A KR 20150015587A KR 1020130090372 A KR1020130090372 A KR 1020130090372A KR 20130090372 A KR20130090372 A KR 20130090372A KR 20150015587 A KR20150015587 A KR 2015001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us
casing
mounting portion
treatment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효
김용학
김건태
서정율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서정율
(주)지오엔바이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서정율, (주)지오엔바이로텍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587A/ko
Publication of KR2015001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Abstract

본 발명은 복솔을 이용하여 하폐수의 처리수에서 인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이 설치된 분리막조; 상기 분리막조에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관로; 및 상기 처리수 배출관로에 설치된 인 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 처리유닛은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인 처리용 여재를 구비하며, 상기 인 처리용 여재는 처리수에 함유된 인을 불용성 금속 인산염으로 침전시키는 적니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폐수 고도처리장치{ADVANCED TREATMENT SYSTEM OF WASTEWATER}
본 발명은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니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여재를 이용하여 하폐수의 처리수 내에 용존되어 남아 있는 인과 중금속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사용하고 버린 더러운 물은 자연의 원리인 자정작용으로 깨끗이 정화되고 다시 자연계로 돌아가 생태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산업혁명이후에는 인구집중에 따른 도시화,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수질오염은 심각해졌고, 이에 따라 하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수질 오탁과 관련된 환경기준의 준수, 폐수 수역 등의 부영양화 방지, 처리수의 재이용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폐수 고도처리공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하폐수 고도처리공법에는 활성슬러지공법과 MBR공법 등이 있으며, 활성슬러지 공정은 하수처리에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생물학적 공정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은 이러한 유기물질 제거를 위해 활성슬러지 공정 또는 그의 변형된 공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활성슬러지 공정의 경우 방류수 수질 기준에는 적합하나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질소와 인은 거의 처리되지 않은 채 그대로 하천에 방류되거나 호수 및 저수지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유입수의 부하와 관계없이 처리수질을 항상 일정한 농도 이하로 설계할 수 있는 분리막 생물반응조 처리공법(이하 'MBR 공법'이라 한다)이 대체 사용하고 있다. MBR 공법은 활성슬러지공법과 비교해 볼 때 설치 소요면적이 작고 자동운전이 용이하고, 침전조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으며 유지비용도 적게 드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활성슬러지공법 등과 같은 전통적인 하수처리방식은 침전조가 필요하고 처리 수질을 위해 추가적인 2차 공정을 요하게 되지만 MBR 공법의 경우 침전조 없는 간단한 공정 구성으로도 처리 수질을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MBR 공법은 분리막조 내에 멤브레인(Membrane)을 설치하고, 이러한 멤브레인은 액체/고체의 혼합물에서 특정성분(현탁물질, 콜로이드, 고분자 유기물)만을 물리적 특성(막의 pore size 범위)을 이용하여 입자 및 분자 상태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MBR 공법에 의해서는 완벽한 고액분리가 이루어져 반응조 내에서 MLSS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잇으며, 유기물 제거효율과 질산화효율을 증대시켜 항상 일정한 양질의 처리수를 보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호수, 연안 해역, 하천 등에 질소, 인 등과 같은 영양염류가 과도하게 유입되면, 녹조류의 번식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부영양화된 호소 또는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녹조류가 크게 늘어나는 녹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녹조 발생 시에 용존산소량의 부족으로 인해 수중생물이 죽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유독남조류가 독소를 생산할 경우에는 동물 피해가 심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에, MBR 공법은 영양염류 중에서 상대적으로 그 양이 적고 제거가 용이한 인을 제거하는 총인 제거설비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총인 제거설비는 응집제를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인 화합물에 주입하여 침전물을 형성시켜 제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MBR 공정에서는 질산화조(무산소조), 분리막조 등의 이전공정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것이 좋으나 이 경우 분리막의 파울링이 심각하게 발생하여 정상적인 운전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막조의 후단 즉 분리막조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에 응집제를 주입할 수 있는데, 이때 처리수는 SS(SUSPENDED SOLID)가 거의 없어 응집제만으로는 응집이되지 않으며, 응집이 용이하게 되게 하기위해 벤토나이트, 규조토 등의 핵제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응집 후에는 침전 또는 부상을 통해 응집물을 제거해야 하므로 추가의 비용과 시설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응집제를 이용한 인 제거방식은 그 처리 공정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으나, 탁질 물질이 많이 포함된 시설에서는 여러 종류의 약품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약품비가 많이 들고 슬러지 발생량이 많아 슬러지 처리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침전성을 갖는 마이크로-플록(Micro-floc)의 생성에 한계가 있으며, 그에 따른 침전효율 또한 낮아 후단에 여과지와 같은 별도의 후처리 시설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환경기준에서는 배출되는 처리수 내의 인 농도가 2.0ppm 정도였지만, 최근에는 보다 엄격한 환경기준으로 인해 인의 농도가 0.1(0.2~0.5)ppm 이하의 수준으로 낮춰지고 있다. 하지만, 인의 제거 공정은 생물학적 처리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MBR 공정으로도 0.1ppm 이하로 처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분리막조의 후단(하류)에 설치된 적니조성물로 이루어진 여재층에 의해 처리수의 인을 물리화학적 기작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출되는 처리수의 인 농도를 대폭 줄여 부영양화를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멤브레인이 설치된 분리막조;
상기 분리막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관로; 및
상기 처리수 배출관로에 설치된 인 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 처리유닛은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인 처리용 여재를 구비하며,
상기 인 처리용 여재는 처리수에 함유된 인을 불용성 금속 인산염으로 침전시키는 적니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 처리용 여재는 망형상의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수납된 복수의 다공성 펠렛을 가진 카트리지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성 펠렛은 적니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가 개별적으로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는 상기 케이싱의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장착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장착공간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망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제1장착부의 하류 측에 제2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장착부 내에는 복수의 탁도제거용 마이크로필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 사이에는 이송관로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로의 일측에는 제1바이패스 방류관이 분기되며, 상기 이송관로의 도중에는 탁도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막조의 하류에 설치된 적니조성물로 이루어진 여재층에 의해 처리수의 인을 물리화학적 기작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출되는 처리수의 인 농도를 대폭 줄여 부영양화를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는 분리막조(10)와, 분리막조(1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관로(15)와, 처리수 배출관로에 설치된 인 처리유닛(30)을 포함한다.
분리막조(10)의 내부에는 멤브레인(11)이 설치되고, 멤브레인(11)은 하폐수 중에 존재하는 처리대상물질(유기, 무기 오염물질 및 미생물 등)을 막의 기공(pore size)에 의해 입자 및 분자 상태로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처리수 배출관로(15)는 분리막조(10)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도록 분리막조(10)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인 처리유닛(30)은 처리수 배출관로(15)의 단부에 설치되어 처리수에 함유된 인을 불용성 금속 인산염으로 흡착/침전/결합시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 처리유닛(30)은 케이싱(31)과, 케이싱(31)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인 처리용 여재(32)를 포함한다.
케이싱(31)은 분리막조(1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케이싱(31)의 일측에는 처리수가 유입되는 입구(31a)가 형성되며, 케이싱(31)의 타측에는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하는 출구(31b)가 형성된다. 특히, 케이싱(31)의 입구(31a)에는 처리수 배출관로(15)가 접속되고, 케이싱(31)의 출구(31b)에는 처리수를 방류하는 처리수 방류관(16)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31)의 내부에서 입구(31a)에 인접한 상류공간에는 처리수를 균일하게 이송시키는 정류판(33)이 설치된다.
인 처리용 여재(32)는 처리수에 함유된 인을 불용성 금속 인산염으로 흡착/침전/결합시켜 처리하는 적니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니(red mud)는 보크사이트(bauxite)의 정련 시에 생성된 잔재물로서, 보크사이트를 바이어법(Bayer Process)에 의해 수산화알루미나를 추출할 때 다량으로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인해 강알칼리(pH>12)이고 50% 내외의 함수율을 보이고 부식성이 강한 특성을 보이지만, 이와 동시에 적니 내에는 상당한 양의 유용한 광물질인 Fe2O3(26~30%), Al2O3(17~24%), SiO2(15~17%), TiO2(5~7%), 그리고 CaO(4~6%)를 함유하고 있어 적니를 중화처리 하지 않고 적니가 가지고 있는 높은 함수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경우 충분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니조성물은 적니를 중화 처리하지 않고 적니의 수분을 10~20% 내외로 건조 시킨 적니에 각종 첨가물이 혼합된 후에 가공단계를 거쳐 기능성 여재로 제조된다. 기능성 여재를 제조하기 위해 건조된 적니에 투입되는 첨가물로는 OPC(Ordinary Portland Cement), 알루미늄 플레이크(Aluminium Flake), 물 또는 물에 화학약품을 용해시킨 혼합수를 첨가한다. 첨가물의 용도는 OPC의 경우 강도 증가, 알루미늄 플레이크는 가스를 발생시켜 기공을 생성시키는 역할, 그리고 물 또는 물에 화학약품을 용해시킨 혼합수는 건조된 적니에 첨가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시켜주고 성형틀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투입된다. 혼합되어진 혼합물을 성형틀로 이송시켜 성형 및 기공을 형성시키고 커팅 작업을 거친 후 수중양생, 건조 및 파쇄단계를 거쳐 기능성 여재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적니조성물에 다가양이온(Ca2+, Mg2+, Fe3+, Al3+)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처리수에 함유된 인을 아래의 반응식(1), (2), (3), (4)와 같이 불용성 금속 인산염(Ca3(PO4)2, Mg3(PO4)2, FePO4, AlPO4)으로 용이하게 침전시킬 수 있다.
Ca2 + + PO4 3 - → Ca3(PO4)2 ...반응식(1)
Mg2 + + PO4 3 - → Mg3(PO4)2 ...반응식(2)
Fe3 + + PO4 3 - → FePO4 ...반응식(3)
Al3 + + PO4 3 - → AlPO4 ...반응식(4)
이러한 인 처리용 여재(32)에 의해 처리수에 함유된 인을 불용성 금속 인산염으로 침전시킴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 처리용 여재(32)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케이싱(31) 내에 개별적으로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32)는 케이싱(31) 내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에, 처리수가 케이싱(31)의 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인을 매우 효과적이고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 처리용 여재(32)들은 처리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류로 갈수록 인 처리성능이 높은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싱(31) 내에는 인 처리성능이 서로 동일한 인 처리용 여재(32)들이 장착되고, 인 처리를 수행하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가장 상류 측에 배치된 인 처리용 여재(32)의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새로운 인 처리용 여재(32)를 교체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류 측의 인 처리용 여재(32)의 성능이 가장 높을 수 있다.
케이싱(3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성되고, 케이싱(31)의 내부에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32)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41)가 형성되며, 제1장착부(41)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32)가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공간(41a, 41b, 41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복수의 장착공간(41a, 41b, 41c)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망체(35)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지지망체(35)에는 인 처리용 여재(32)가 지지되게 장착된다.
또한, 각 장착공간(41a, 41b, 41c)에는 샘플 포트(43a, 43b, 43c)가 소통되게 형성되고, 이 샘플 포트(43a, 43b, 43c)은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샘플 포트(43a, 43b, 43c)에 총인 측정장치 또는 탁도계 등과 같은 각종 수질측정설비를 연결하여 각 장착공간(41a, 41b, 41c)을 통과하는 처리수의 총인, 탁도 등과 같은 수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처리수의 수질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지망체(35)의 가장자리에는 지지턱(35a)이 형성되고, 이 지지턱(35a)에는 인 처리용 여재(32)의 가장자리가 지지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1)의 측벽에는 교체용 도어(36)가 각 장착공간(41a, 41b, 41c)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교체용 도어(36)의 개폐에 의해 각 장착공간(41a, 41b, 41c)에 인 처리용 여재(32)가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 처리용 여재(32)는 망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케이스(32a)와, 수납케이스(32a) 내에 수납된 복수의 다공성 펠렛(32b)을 가진 카트리지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여과수명(인 처리성능)이 다한 경우에 그 교체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케이싱(31)의 내부에는 제1장착부(41)의 하류 측에 제2장착부(42)가 마련되고, 제2장착부(42) 내에는 복수의 탁도제거용 마이크로필터(39)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장착부(41)와 제2장착부(42) 사이에는 이송관로(43)가 연결되고, 이송관로(41)의 일측에는 제1바이패스 방류관(44)이 분기되어 있다.
이송관로(43)의 도중에는 탁도계(38)가 설치되고, 이러한 탁도계(38)는 이송관로(43)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탁도계(38)에 의해 감지된 처리수의 탁도가 설정값 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2장착부(42)의 탁도제거용 마이크로필터(39)로 이송되어 처리수의 탁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관로(43)에는 개폐밸브(45)가 설치되고, 개폐밸브(45)는 탁도계(38)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탁도가 설정값 보다 낮을 경우에는 개폐밸브(45)가 폐쇄되고, 이에 탁도가 높지 않은 처리수는 제2장착부(42)의 마이크로필터(39) 측으로 이송되지 않고 제1바이패스 방류관(44)으로 흘러 방류된다.
또한, 처리수 배출관로(15)의 일측에는 제2바이패스 방류관(46)이 분기되고, 제2바이패스 방류관(46)은 이송관로(43)측에 접속된다. 처리수 배출관로(15)의 도중에는 개폐밸브(47)가 설치되고, 처리수 배출관로(15)의 상류에는 분리막조(1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총인을 측정하는 총인측정장치(48)가 설치된다. 이에, 총인측정장치(48)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총인이 설정값 보다 낮을 경우에는 개폐밸브(47)가 폐쇄되어 처리수는 인 처리유닛(30)을 통과하지 않고, 이송관로(43)를 통해 마이크로필터(39)으로 이송되거나 제1바이패스 방류관(44)를 통해 방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바이패스 방류관(46)에 의해 총인이 환경기준을 충족할 경우에는 분리막조(1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인 처리유닛(30)으로 통과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그 처리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수 배출관로(15)를 통해 공급되는 처리수는 인 처리유닛(30)의 케이싱(31) 내부로 상향류(도 1의 화살표 T 참조) 방식으로 이송됨에 따라,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32)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처리수 배출관로(15)의 도중에 송급펌프(17)가 설치되고, 이러한 송급펌프(17)에 의해 처리수는 처리수 배출관로(15)를 통과하여 케이싱(31)의 내부를 상향류 방식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분리막조(1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인 처리유닛(300의 케이싱(31) 내에 하향류 방식으로 즉, 자유낙하 방식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이ㄹ를 위해,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32)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41)가 케이싱(31)의 상부에 배치되고, 마이크로 필터(39)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42)는 케이싱(32)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처리수가 인 처리유닛(30)의 케이싱(31) 내로 하향류 방식(도 3의 화살표 D 방향 참조)으로 이송됨에 따라 처리수 배출관로(15)의 도중에 송급펌프가 설치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분리막조 11: 멤브레인 15: 처리수 배출관로
30: 인 처리유닛 31: 케이싱 32: 인 처리용 여재
33: 정류판 35: 지지망체 39: 마이크로 필터
41: 제1장착부 42: 제2장착부

Claims (5)

  1. 멤브레인이 설치된 분리막조;
    상기 분리막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관로; 및
    상기 처리수 배출관로에 설치된 인 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 처리유닛은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인 처리용 여재를 구비하며,
    상기 인 처리용 여재는 처리수에 함유된 인을 불용성 금속 인산염으로 침전시키는 적니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 처리용 여재는 망형상의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수납된 복수의 다공성 펠렛을 가진 카트리지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다공성 펠렛은 적니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가 개별적으로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는 상기 케이싱의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는 복수의 인 처리용 여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장착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장착공간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망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제1장착부의 하류 측에 제2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장착부 내에는 복수의 탁도제거용 마이크로필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 사이에는 이송관로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로의 일측에는 제1바이패스 방류관이 분기되며, 상기 이송관로의 도중에는 탁도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20130090372A 2013-07-30 2013-07-30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20150015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372A KR20150015587A (ko) 2013-07-30 2013-07-30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372A KR20150015587A (ko) 2013-07-30 2013-07-30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587A true KR20150015587A (ko) 2015-02-11

Family

ID=5257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372A KR20150015587A (ko) 2013-07-30 2013-07-30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161B1 (ko) * 2018-07-19 2019-03-05 (주) 삼진정밀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161B1 (ko) * 2018-07-19 2019-03-05 (주) 삼진정밀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555B1 (ko) 고농도 유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방법.
CN100336746C (zh) 利用冶金污水制取纯水的方法
US10807023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KR101312584B1 (ko) 경사판 급속응집 침전장치와 여과장치를 연계한 하 폐수 중의 총인 제거방법 및 총인 제거 공정 시스템
CN106946407A (zh) 一种碎煤加压气化废水生化出水的回用处理方法
CN101723551B (zh) 焦化废水回用处理方法
KR100989414B1 (ko)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JP2009072769A (ja) 汚水処理システム
CN101209884B (zh) 一般工业废水综合处理零排放及回用的方法和装置
KR20130019164A (ko)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KR101061982B1 (ko) 총인 제거를 위한 개선된 하·폐수처리시설
KR20050075948A (ko) 침출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CN106430846A (zh) 一种低有机物含量难生物降解废水高效处理集成工艺
KR20150015587A (ko)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CN214088061U (zh) 含锌废水回用处理系统
CN201400615Y (zh) 循环水排污水的处理系统
JPH0839075A (ja) 汚水処理方法及びその設備
KR101299586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1065940B1 (ko) 고농도 불산, 인산 및 질산 함유 폐수의 처리 및 재이용 방법과 그 장치
KR20110093285A (ko) 황 충전 엠비알 반응기를 이용한 포기조 내 질소 및 인 제거 장치
CN104556482A (zh) 丙烯酸涂料的废液净化方法
CN110902949A (zh) 一种可达到地表ⅳ类水排放的污水处理工艺及装置
CN219709325U (zh) 一种氮磷废水处理系统
CN214829794U (zh) 一种净化装置及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