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164A -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164A
KR20130019164A KR1020110081154A KR20110081154A KR20130019164A KR 20130019164 A KR20130019164 A KR 20130019164A KR 1020110081154 A KR1020110081154 A KR 1020110081154A KR 20110081154 A KR20110081154 A KR 20110081154A KR 20130019164 A KR20130019164 A KR 2013001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purification
adsorption
aeration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석
Original Assignee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9164A/ko
Publication of KR2013001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수, 연못, 지류하천, 화학폐수 등의 오폐수를 실시간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수질정화장치에서 오폐수의 성질에 따라 흡착팩을 교체가능하도록 하고, 각 처리조를 분리조립이 용이하게 구성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폐수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방류하는 수질정화장치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에 의해 내부 공간이 전단의 오폐수 유입부와 후단의 교반부로 U자형으로 구획되고, 상기 교반부에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에 수질정화용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기; 상기 교반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저면에 상광하협의 하부 경사판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폐수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기포발생기가 하단에 설치되어, 잉여 슬러지를 상류를 통하여 다음 단의 반응조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출구쪽 격벽은 전단의 폭기조에서 유입되는 처리수에 남아 있는 미립자의 오염물질을 그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흡착시켜 처리하도록 교체가능한 흡착팩으로 설치되어 있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샌드필터에 의해 내부 공간이 U자형으로 구획되어, 방류 직전의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걸러 여과한 후 방류하는 배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CONTINUOUS TIM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DSORPTION PACK}
본 발명은 준설수, 연못, 지류하천, 화학폐수 등의 오폐수를 실시간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유입하여 교반, 침전, 폭기 및 방류 처리를 각 처리조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정화장치의 가동중에도 오폐수의 성질에 따라 흡착팩을 교체가능하도록 하고, 각 처리조를 분리조립이 용이하게 구성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오폐수의 처리용도에 따라 분리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인구증가와 산업발달에 따라 현대사회에서는 물질적 문명활동의 부산물로서 가정, 공장, 골프장, 세차장, 폐차장 등에서 각종 폐수 등이 끊임없이 배출되어 연못, 하천, 강, 바다, 토양, 지하수 등의 오염이 심해짐으로써 환경보전 및 국민보건, 심지어는 인류의 생존에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 각국에서는 자국 수역의 오염방지, 이미 오염된 수질의 복구를 위하여 연구·법적규제·시설투자 등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범지구적인 환경보전을 위하여 국제간의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수질오염방지수단으로는 오폐수로부터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물리적인 방법, 큰 조에 오폐수를 가두고 응집제 등의 고분자 화학물질을 투입하여 물속에 있는 오염입자들을 물속에 가라앉히고 방류시 소독제를 투입하는 화학적인 방법, 오염된 물을 미생물이 들어있는 조에 넣어 미생물들이 물 속의 오염물질들을 먹어 정화시키는 생물학적인 방법, 기타 전기분해방법이나 수생식물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서로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들 방법들을 적절하게 섞어서 사용하고 있다.
KR 2010-0044640 A 특허문헌 1의 폐수용 정화장치는 오폐수 유입구(11)로 공급하여 공급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에서 중간수를 공급하여 교반축에 설치한 다수의 교반 날개(24)가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며 반응/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조(20)와; 상기 교반조(20)에서 공급수가 공급되며 여재를 보관하는 여재 보관망을 형성한 1차 폭기조(30)와; 상기 1차 폭기조(30)에서 공급수가 공급되며 상측에는 상측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하측 공간을 형성하여 바닥으로 침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의 사이에 여재를 보관하는 여재 보관망을 설치한 침전조(40)와; 상기 침전조(40)에서 공급수가 공급되며 여재를 보관하는 여재 보관망을 형성한 2차 폭기조(50)와; 상기 2차 폭기조(50)에서 공급수로 공급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의 부직포를 설치한 활성조(60)와; 상기 활성조(60)에서 유입수가 공급되며 여재를 보관하는 여재 보관망을 형성한 3차 폭기조(70)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오폐수의 처리용량에 상응하는 처리조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상의 광범위한 면적을 필요로 하고, 그에 따른 플랜트공사, 토목공사를 필요로 하여 비용과 공간 활용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고정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른 곳으로 이동 설치가 곤란하며, 오폐수의 성질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오폐수를 유입하여 정화처리한 후 방류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소규모로 제작이 가능하고, 소규모 제작이 가능하여 이동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정화장치를 구성하는 각 처리조들의 분리조립이 용이하여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본 정화장치의 가동중에도 오폐수의 성질에 따라 흡착 팩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는, 오폐수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방류하는 수질정화장치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에 의해 내부 공간이 전단의 오폐수 유입부와 후단의 교반부로 U자형으로 구획되고, 상기 교반부에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에 수질정화용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기;
상기 교반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저면에 상광하협의 하부 경사판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폐수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기포발생기가 하단에 설치되어, 잉여 슬러지를 상류를 통하여 다음 단의 반응조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출구쪽 격벽은 전단의 폭기조에서 유입되는 처리수에 남아 있는 미립자의 오염물질을 그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흡착시켜 처리하도록 교체가능한 흡착팩으로 설치되어 있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샌드필터에 의해 내부 공간이 U자형으로 구획되어, 방류 직전의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걸러 여과한 후 방류하는 배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응집제 투입기는 오폐수 유입량에 대응되어 수질정화용 응집제를 자동 투입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전조에는 상기 교반조의 상부와 연통되고, 그 하부에 상기 하부 경사판과 상반된 방향의 상협하광의 상부 경사판이 설치된 센터 웰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팩은 측면중앙이 관통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관통된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 메쉬판,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조와 침전조, 폭기조 및 배수조는 독립된 유니트로 이루어져 콘테이너박스에 순차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오폐수를 정화처리하여 방류하되, 흡착팩 고정수단이 2중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정화처리중에도 오폐수의 성질에 맞는 흡착팩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장치가 콘테이너박스에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수질정화가 필요한 곳에 신속하게 이동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폐수용 정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팩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팩의 교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구조의 흡착팩 바닥지지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니트형 이동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막형 이동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형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응집제와 같은 수질정화제와 교반하는 교반조(10), 오폐수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20), 정화중인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늘려주고 미립자의 오염물질을 흡착여과하는 제1, 제2 폭기조(30)(40), 상기 흡착여과 처리후 잔재하는 슬러지의 부유물을 샌드 필터(51)를 이용하여 걸러낸 후 해당 처리수역으로 방류하는 배수조(50)가 차례로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는 각 처리조들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교반조(10)는 오폐수의 진행방향으로 중간에 세퍼레이터(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퍼레이터(11)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교반조(10)의 내부 공간이 전단의 오폐수 유입부(12)와 후단의 교반부(13)로 U자형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교반부(13) 내에는 프로펠러와 같은 교반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교반부(13)의 상부에는 상기 교반부(13)에 수질정화용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응집제 투입기(15)는 유량센서 등을 이용하여 교반조(10) 내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유량을 감지한 후, 오폐수의 유량에 대응되어 사전에 설정된 양만큼 수질정화용 응집제를 자동 투입할 수 있는 자동 응집제 투입기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교반조(10)에 설치된 세퍼레이터(11)는 교반조(10)의 내부공간을 U자형으로 구획하여 유입부(12)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세퍼레이터(11)의 하부를 통과하여 교반부(13)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교반부(13)에서 수질정화제와 교반된 오폐수가 다시 유입부(1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음 처리조로 정상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침전조(20)는 교반조(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오폐수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광하협의 하부 경사판(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침전조(20)에는 전단의 교반조(10)로부터 교반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교반조(10)의 상부와 연통된 수평관(21)과, 상기 수평관(21)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침전조(20)의 하부로 유도하는 수직관(22), 그리고 상기 수직관(2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경사판(21)과 상반된 방향의 상협하광의 상부 경사판(24)으로 이루어지는 센터 웰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터 웰은 교반되어 나온 오폐수 슬러지의 고속 침전을 위하여 하부 경사판(21)과 상부 경사판(24)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설치하여 슬러지의 부유물이 침전조(20)의 가운데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고속 침전의 효과와 슬러지의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해 오폐수가 침전조(20)에 낙하될 때 와류가 최소화되도록 센터 웰의 배관직경을 침전조(20)의 크기와 유속을 감안하여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전조(20)의 하부에는 정화량이 늘어나면서 침전되는 슬러지가 점차 쌓이게 된다. 그런데, 만일 쌓여 있는 슬러지에 교반수를 계속 투입하게 되면 부유물이 발생하게 되어 처리수의 2차 오염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침전조(20)의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관(25)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폐수 농도에 따라 슬러지를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된 슬러지는 별도의 탈수처리장치로 이송하여 탈수처리한 후 폐기처리 할 수 있다.
폭기조(30)40)는 상기 침전조(2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폭기조(30)40)의 하부에는 기포발생기(31)(41)가 설치되어 있다.
폭기조(30)(40)는 기포발생기(31)(41)를 통해 오폐수 속에 공기를 불어넣어 물과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산화작용과 호기성 세균에 의한 소화작용을 촉진토록 하는 처리조이다. 즉, 오폐수 속에 있던 미생물들이 소화작용에 의해 탄산가스, 황화수소, 메탄가스 등을 제거하는 등, 오수에 폭기하여 미생물로 하여금 오폐수를 정화하게 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폭기조(30)(40)는 다음 처리조와의 분리막이 흡착팩(32)(42)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잉여 슬러지를 흡착팩(32)(42) 상류를 통하여 다음 단의 처리조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오폐수가 흡착팩(32)(42)을 통과하면서 처리중인 오폐수에 남아있는 미립자의 오염물질을 흡착시켜 걸러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흡착팩(32)(42)의 흡착물질은 오폐수의 성질에 따라 제올라이트, 폐각, 활성탄, 벤토나이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팩(32)(42)은 오염물질의 성질에 따라 정화장치가 가동중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해 흡착팩(32)(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중앙이 관통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 프레임(61)의 관통된 양측면에 각각 메쉬판(62)(63)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61)의 양 외측 가장자리에 고정용 가이드돌기(64)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쉬판(62)(63) 사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흡착물질로 채워져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니트형인 경우 폭기조 유니트의 내측벽 또는 일체형인 경우 콘테이너 박스의 내측벽과 같이 상기 흡착팩(32)(42)의 가이드돌기(64)가 접촉되는 위치에는 가이드 홈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팩(32)(42)은 가이드돌기(64)가 유니트 또는 콘테이너 박스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드되면서 착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흡착팩(32)(42)이 설치되는 위치의 폭기조 유니트 또는 콘테이너 박스의 바닥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지지대(33a)(33b)(43a)(43b)가 2중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지지대(33a)에 특정 성질의 오폐수에 대응된 흡착팩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 정화장치가 가동중일때 현재 설치되어 있는 흡착팩을 다른 성질의 오폐수에 대응된 흡착팩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성질의 오폐수에 대응된 흡착팩을 바닥지지대(33b)에 설치한 후 바닥지지대(33a) 위에 원래 설치되어 있던 흡착팩을 제거하면 된다. 바닥지지대(43a)(43b) 위에 설치된 흡착팩을 교체하는 경우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흡착팩(32)(42)을 2중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정화장치가 가동중에도 흡착팩(32)(42)의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최종 처리조로서 상기 폭기조(40)의 후단에는 배수조(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조(50)는 샌드필터(51)에 의해 내부 공간이 U자형으로 구획되어, 방류 직전의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샌드필터(51)로 걸러 여과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폐수의 성질에 따라 예컨대, 교반조, 침전조, 제1 폭기조, 제2 폭기조(제1 폭기조와 다른 흡착팩을 사용), 배수조 순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다른 실시예로써 교반조, 제1 폭기조, 제2 폭기조, 배수조 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실시는 상기 각 처리조들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분체형태의 유니트로 구성한 후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콘테이너 박스(100)내에 차례로 설치하는 유니트형으로 구성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콘테이너 박스(200)에서 분리막(210)을 이용하여 각 처리조들을 구획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테이너 박스내에 각 처리조들을 설치하는 것은 본 정화장치를 실내 또는 실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처리조들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제거 또는 추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처리조들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분체형태의 유니트로 구성한 후 고정결합한 형태의 고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정화장치에서 흡입펌프 등을 이용하여 교반조(10)로 오폐수를 유입시키면, 유입부(12)로 유입된 후 세퍼레이터(11)의 하부를 거쳐 교반부(13)로 이동된다.
교반부(13)에서는 교반기(14)가 오폐수를 상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작동되어 교반중인 오폐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고속교반 및 응집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교반조(10)에서 교반된 처리수는 센터 웰을 통해 침전조(20)의 하부로 이송되는데, 침전조(20)의 하부에는 하부 경사판(21)의 작용으로 슬러지의 부유물이 가운데로 모이게 됨으로써 고속침전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슬러지의 부상이 최대한 방지된다.
또한 침전조(20)에는 슬러지 배출관(25)이 설치되어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쌓이는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침전조(20)에서 오폐수의 슬러지를 침전시켜 배출처리한 후의 처리수는 폭기조로 이송되는데, 하부의 기포발생기(31)(41)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하여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늘림으로써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늘려 BOD, COD를 개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폭기조(30)(40)에서는 잉여 슬러지는 상류를 통하여 다음 처리조로 방류시키는 한편 처리수의 대부분은 흡착팩(32)(42)을 통과하여 다음 처리조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흡착팩(32)(42)은 오폐수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판(62)(63)내에 흡착물질이 채워져 있어서 처리수가 흡착팩(32)(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처리수에 남아 있는 미립자의 오염물질이 흡착되어진다.
폭기조(30)(40)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배수조(50)로 이송되는데, 배수조(50)의 중간에는 하부가 개방된 샌드필터(51)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처리수는 잔재하고 있는 슬러지 부유물이 샌드필터(51)에 의해 걸러진 샌드필터(51)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후단으로 이송되어 외부로 방류된다.
상기에서 흡착팩(32)(42)의 설치구조는 2중으로 되어 있어서 오염물질의 성질에 따라 정화장치가 가동중에도 정화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는 각 처리조들을 유니트형이나 분리막으로 구획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10 -- 교반조, 11 -- 세퍼레이터,
14 -- 교반기, 15 -- 응집제 투입기,
20 -- 침전조, 21 -- 하부 경사판,
24 -- 상부 경사판, 25 -- 슬러지 배출관,
30,40 -- 제1, 제2 폭기조, 31,41 -- 기포발생기,
32,42 -- 흡착팩, 51 -- 샌드 필터,
50 -- 배수조, 61 -- 프레임,
62,63 -- 메쉬판, 64 -- 가이드돌기,
33a,33b,43a,43b -- 바닥지지대,
100,200 -- 콘테이너 박스, 210 -- 분리막

Claims (6)

  1. 오폐수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방류하는 수질정화장치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에 의해 내부 공간이 전단의 오폐수 유입부와 후단의 교반부로 U자형으로 구획되고, 상기 교반부에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에 수질정화용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기;
    상기 교반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저면에 상광하협의 하부 경사판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폐수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기포발생기가 하단에 설치되어, 잉여 슬러지를 상류를 통하여 다음 단의 반응조로 이동시키도록 하되, 출구쪽 격벽은 전단의 폭기조에서 유입되는 처리수에 남아 있는 미립자의 오염물질을 그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흡착시켜 처리하도록 교체가능한 흡착팩으로 설치되어 있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샌드필터에 의해 내부 공간이 U자형으로 구획되어, 방류 직전의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걸러 여과한 후 방류하는 배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투입기는 오폐수 유입량에 대응되어 수질정화용 응집제를 자동 투입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는 상기 교반조의 상부와 연통되고, 그 하부에 상기 하부 경사판과 상반된 방향의 상협하광의 상부 경사판이 설치된 센터 웰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팩은 측면중앙이 관통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관통된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 메쉬판,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와 침전조, 폭기조 및 배수조는 독립된 유니트로 이루어져 콘테이너박스에 순차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와 침전조, 폭기조 및 배수조는 하나의 콘테이너박스내에서 분리막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획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KR1020110081154A 2011-08-16 2011-08-16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KR20130019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154A KR20130019164A (ko) 2011-08-16 2011-08-16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154A KR20130019164A (ko) 2011-08-16 2011-08-16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164A true KR20130019164A (ko) 2013-02-26

Family

ID=4789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154A KR20130019164A (ko) 2011-08-16 2011-08-16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916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36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리텍 토목, 건축현장에서 발생된 오염수 여과장치
CN107487897A (zh) * 2017-09-19 2017-12-19 刘路清 一种转轮式污水处理装置
CN108017174A (zh) * 2017-11-08 2018-05-11 刘武 一种便于清理沉底垃圾且增加曝气速率的污水沉淀装置
CN110451668A (zh) * 2019-08-01 2019-11-15 武汉华川环境有限公司 一种污水分级净化处理装置
CN114409126A (zh) * 2021-12-24 2022-04-29 宜兴市鹏发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基于污水分类的城市生活污水深度处理装置
CN117142611A (zh) * 2023-10-30 2023-12-01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金属矿山废水处理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36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리텍 토목, 건축현장에서 발생된 오염수 여과장치
CN107487897A (zh) * 2017-09-19 2017-12-19 刘路清 一种转轮式污水处理装置
CN108017174A (zh) * 2017-11-08 2018-05-11 刘武 一种便于清理沉底垃圾且增加曝气速率的污水沉淀装置
CN108017174B (zh) * 2017-11-08 2020-12-25 山东金安化工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沉底垃圾且增加曝气速率的污水沉淀装置
CN110451668A (zh) * 2019-08-01 2019-11-15 武汉华川环境有限公司 一种污水分级净化处理装置
CN114409126A (zh) * 2021-12-24 2022-04-29 宜兴市鹏发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基于污水分类的城市生活污水深度处理装置
CN117142611A (zh) * 2023-10-30 2023-12-01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金属矿山废水处理系统
CN117142611B (zh) * 2023-10-30 2024-01-09 山东黄金矿业科技有限公司充填工程实验室分公司 金属矿山废水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8908C (zh) 一种无污泥排放的污水深度处理方法及其装置
CN101205109B (zh) 厌氧法处理化纤废水装置
KR20110002832A (ko)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2225803B (zh) 生物膜反应器、废水处理系统及废水的处理方法
RU2572329C2 (ru) Стан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130019164A (ko)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US9951509B2 (en) Water treatment system
CN205676312U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设备
KR100989414B1 (ko)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200336701Y1 (ko) 직접 폭기식 오염하천 정화장치
CN201154935Y (zh) 化纤废水处理装置
CN113683257B (zh) 一种餐饮有机污水处理系统
KR101783292B1 (ko) 하수 처리 장치
RU123337U1 (ru)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394522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204395B1 (ko) 하.폐수의 처리장치
KR20010016337A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RU1873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225283Y1 (ko) 오폐수 처리장치
CN101293724A (zh) 小型通用污水处理系统
CN200967776Y (zh) 一种无污泥排放的污水深度处理装置
RU272651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переработки осадка в органические удобр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