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271A -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 Google Patents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271A
KR20150015271A KR1020130091127A KR20130091127A KR20150015271A KR 20150015271 A KR20150015271 A KR 20150015271A KR 1020130091127 A KR1020130091127 A KR 1020130091127A KR 20130091127 A KR20130091127 A KR 20130091127A KR 20150015271 A KR20150015271 A KR 20150015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blade
hub
cent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703B1 (ko
Inventor
박창환
전상욱
양지혜
정인엽
강승온
황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703B1/ko
Priority to JP2014122040A priority patent/JP2015031277A/ja
Priority to US14/312,270 priority patent/US20150037156A1/en
Publication of KR2015001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3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leading edge of a rotor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Impeller)은 허브(Hub),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내부공간과 출구가 형성되도록 대응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경으로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상판(Shroud) 및 상기 상판과 허브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되어 상판과 허브를 연결하는 선단과 유입구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의 외경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의 흡입력과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IMPELLER FOR ELECTRIC BLOWER}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원심 팬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원심 팬은 일반적으로 임펠러(Impeller) 또는 송풍 팬으로 지칭되고 있으며, 통상 청소기 모터(Cleaner motor)에 장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심 팬은 흡입구를 가지는 상판(Shroud),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두고 상호 대응하게 배치되며, 중앙에 샤프트(Shaft)를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공이 형성된 허브(Hub)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각기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Curvature) 형성된 블레이드(Blade)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원심 팬이 회전하면, 전면커버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각 블레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방사상으로 분산된 후 외향 압송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한편 원심 팬의 성능을 저해하는 요인 중에 하나로 상판에 형성된 흡입구 부분에 발생하는 유동의 박리 현상이 있다. 이러한 박리 현상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원인 중에 블레이드에 의한 유동의 안내(Guidance) 부족 또는 유로 면적의 급격한 변화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원심 팬의 선단(Leading Edge)은 (특허문헌 1)과 같이, 상판과 블레이드가 만나는 지점과 상기 블레이드와 허브이 만나는 지점이 직선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거나 (특허문헌 2)와 같이, 곡선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가 원심 팬의 끝단 높이보다 높거나 같다. 그리고 상기 원심 팬의 중심(C)과 블레이드가 만나는 거리는 흡입구의 반경보다 크다.
즉 원심 팬의 중심, 블레이드와 상판이 만나는 지점까지의 반경이 흡입구의 반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원심 팬의 흡입구에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의 안내(Guide)를 받지 못하는 공간이 생성되어 이 부분에서 박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기 원심 팬의 입구 면적과 블레이드가 상판과 만나는 지점에서 허브으로 수직으로 이은 직선을 360도 회전시켜서 얻은 면적과 블레이드 입구 면적의 비가 과도하게 크게 형성되어 있어 유동의 감속이 급격히 일어나 유동의 박리 현상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 팬은 상판과 블레이드가 만나는 부분의 곡률만을 설계 인자로 관리하여 상기 상판 전체에서 일어나는 유동 박리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는 전동 송풍기의 성능 향상을 저해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KR 2004-0082111 A KR 2005-0014536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 팬의 문제점인 블레이드와 상판의 박리 현상을 해결하여 전동 송풍기의 흡입력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관점은, 블레이드와 상판의 개선을 통해 전동 송풍기의 흡입력과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은 허브;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내부공간과 출구가 형성되도록 대응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 허브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되는 선단과 유입구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의 림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선단의 높이와 출구 측에 위치하는 후단의 높이의 비가 2.4∼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과 출구의 직경의 비는 2.2∼2.4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을 유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과 상기 유입구 면적의 비는 1.4∼1.5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은 허브;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내부공간과 출구가 형성되도록 대응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타원형의 곡선으로 라운드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 허브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블레이드;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의 곡률 중심은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판과 연결되는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선단의 높이와 출구 측에 위치하는 후단의 높이의 비가 2.4∼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과 출구의 직경의 비는 2.2∼2.4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을 유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과 상기 유입구 면적의 비는 1.4∼1.5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되는 선단과 유입구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의 림과 중심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은 허브;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내부공간과 출구가 형성되도록 대응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 허브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되는 선단과 유입구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의 외경과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공기가 처음 닿은 상면이 유입구를 기준으로 위,아래 0~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선단에서 상판을 향해 형성된 직선이 앞,뒤 0~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과 출구의 직경의 비는 2.2∼2.4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선단의 높이와 출구 측에 위치하는 후단의 높이의 비가 2.4∼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을 유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과 상기 유입구 면적의 비는 1.4∼1.5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는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타원형의 곡선으로 라운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의 곡률 중심은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판과 연결되는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선단과 유입구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의 외경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에 의해 안내되어 박리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의 흡입력과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판은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타원형의 곡선으로 라운드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함으로써, 상판 전체의 곡률에 변곡점이 없도록 하여 상기 상판에서 발생하는 유동 박리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의 흡입력과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선단과 유입구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의 외경과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에 의해 안내되어 박리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의 흡입력과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Impeller)은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Blade)의 안내(Guide)를 받지 못하는 공간이 생성되어 박리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Leading Edge)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중심(Center)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의 외경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와 동일하게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청소기모터의 샤프트(Shaft)에 체결되는 허브(Hub)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판(Shroud)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방사형(Radial)으로 배열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분산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블레이드는 균일한 곡률로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Curvature)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허브는 전술한 청소기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기 청소기모터의 회전시 이를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홀(Hole)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원심 팬의 내부에 블레이드가 배열되는 내부공간 및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도록 허브와 대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판과 허브는 블레이드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그 일례로써, 상기 상판과 허브에 각각 다수의 슬릿(Slit)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를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하여 상기 돌기와 슬릿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를 체결 후 원심 팬의 외부에서 코킹(caulking)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모터의 샤프트에 허브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기모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청소기모터는 일례로써,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or)의 코어가 모두 돌극(Salient)인 자기구조로 형성되며, 회전자에 어떠한 여자장치(권선 또는 영구자석) 없이 상기 고정자에만 집중권의 코일이 감겨 있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witched Reluctance Motor: SRM)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는 자기저항(Magnetic reluctance)의 변화에 따른 릴럭턴스 토크를 이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제조가격이 낮고,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으며, 신뢰성이 높아 수명이 거의 영구적인 장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는 청소기모터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 팬은 블레이드(Blade)의 선단(Leading Edge)과 상판(Shroud)이 연결되는 부분의 곡률만을 설계 인자로 관리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은 상판 전체의 곡률을 타원으로 정의하여 변곡점이 없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의 곡률 중심(Center)이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판과 연결되는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블레이드가 맞닿는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의 두 부분으로 분할되며, 이중 상판과 블레이드가 맞닿는 면을 타원의 일부를 사용하여 정의하고 나머지 부분은 그 연장선으로 형성하여 상판의 형상이 급격히 변하는 부분이 없도록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판의 개선을 통해 유동 박리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은 원심 팬의 입구 면적과 블레이드가 상판과 만나는 지점에서 허브에 수직하게 이은 직선을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블레이드 입구 면적의 비를 1.4∼1.5 사이로 형성하여 유동이 흐르는 면적의 급격한 변화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팬(100)은 허브(110)와 상판(12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110a)에 배치된 블레이드(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30)를 통해 상판(120)과 허브(11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허브(110)는 중심부에 청소기모터(10)의 샤프트(13)에 장착되는 장착구멍(111)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20)은 중심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1)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21)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원판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판(120)은 허브(110)의 상부에 대응하게 배치됨으로써, 원심 팬(100)에 내부공간(110a) 및 출구(110b)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내부공간(110a)에 다수의 블레이드(130)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130)는 일종의 편(Strip)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만곡(Curvature) 형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블레이드(130)는 상기 상판(120)에 형성된 유입구(121) 측에 위치되어 상판(120)과 허브(110)를 연결하는 선단(A)(B)과 상기 유입구(121)의 중심(C)까지의 거리(R1)가 유입구(121)의 림(Rim)과 중심(C)까지의 최소거리(RA)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일례로써, 상기 유입구(121)의 림과 중심(C)까지의 거리(R1)는 51.285㎜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130)의 선단(A)(B)과 유입구(121)의 중심(C)까지의 거리(RA) 역시 51.285㎜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30)의 선단(A)(B)과 유입구(121)의 중심(C)까지의 거리가 유입구(121)의 림과 중심(C)까지의 최소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130)의 선단(A)(B)에 의해 바로 안내받게 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 팬(Impeller)에서 발생하고 있는 박리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30)는 유입구(121) 측에 위치하는 선단(A)(B)의 높이(B1)와 출구(110b) 측에 위치하는 후단(a)(b)의 높이(B2)의 비(B1:B2)가 2.4∼2.6으로 형성된다. 즉 일례로써, 상기 블레이드(130)의 선단(A)(B)의 거리(B1)는 38.01㎜로 형성되고, 후단(a)(b)의 거리(B2)는 15.21㎜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21)의 직경(D1)과 출구(110b)의 직경(D2)의 비(D2:D1)는 2.2∼2.4로 형성되는데, 그 일례로써, 유입구(121)의 직경(D1)은 94.88㎜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110b)의 직경(D2)은 217.14㎜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의 선단(A)(B)을 유입구(121)의 중심(C)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을 F1으로 정의하고, 상기 유입구(121)의 면적을 F0으로 정의할 때, 그 비(F1:F0)는 1.4∼1.5 사이로 형성하게 된다.
즉 이는 F0=πR12, F1=2πRAB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청소기모터(10)는 통상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를 구성하는 고정자(11) 및 고정자(11)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1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12)의 중심부에 샤프트(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3)에 허브(110)가 장착구멍(111)을 통해 장착되어 청소기모터(10)의 구동시 회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팬(100)은 상기 청소기모터(10)의 회전시 유입구(121)를 통해 내부공간(110a)으로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130)의 선단(A)(B)에 의해 안내된 후 각각의 블레이드(130)에 의해 고르게 분산되어 최종적으로 출구(110b)를 통해 배출된다.
도 5 내지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팬(200)은 허브(210)와 상판(22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210a)에 배치된 블레이드(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30)를 통해 상판(220)과 허브(21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허브(210)는 중심부에 청소기모터(10)의 샤프트(13)에 장착되는 장착구멍(211)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220)은 중심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1)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21)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원판부(2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판부(222)는 타원형의 곡선으로 라운드(Round) 형성된다. 즉 블레이드(230)와 맞닿는 원판부(222)의 곡률을 타원형의 곡선으로 형성하여 변곡점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상판(220)에서 발생하는 유동의 박리를 감소시켜 박리 현상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판부(222)의 곡률 중심(Center)은 블레이드(230)의 선단(A)이 상판(220)과 연결되는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판(220)이 허브(210)의 상부에 대응하게 배치됨으로써, 원심 팬(200)에 내부공간(210a) 및 출구(210b)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210a)을 거쳐 출구(210b)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켜 박리 현상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230)는 일종의 편(Strip)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만곡(Curvature) 형성되어 내부공간(210a)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30)는 상판(220)에 형성된 유입구(221) 측에 위치되어 상판(220)과 허브(210)를 연결하는 선단(A)(B)과 상기 유입구(221)의 중심(C)까지의 거리(R1)가 유입구(221)의 림(Rim)과 중심(C)까지의 최소거리(RA)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일례로써, 상기 유입구(221)의 림과 중심(C)까지의 거리(R1)는 51.285㎜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230)의 선단(A)(B)과 유입구(221)의 중심(C)까지의 거리(RA) 역시 51.285㎜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30)의 선단(A)(B)과 유입구(221)의 중심(C)까지의 거리가 유입구(221)의 림과 중심(C)까지의 최소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2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230)의 선단(A)(B)에 의해 바로 안내받게 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 팬(Impeller)에서 발생하고 있는 박리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30)는 유입구(221) 측에 위치하는 선단(A)(B)의 높이(B1)와 출구(210b) 측에 위치하는 후단(a)(b)의 높이(B2)의 비(B1:B2)가 2.4∼2.6으로 형성된다. 즉 일례로써, 상기 블레이드(230)의 선단(A)(B)의 거리(B1)는 38.01㎜로 형성되고, 후단(a)(b)의 거리(B2)는 15.21㎜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221)의 직경(D1)과 출구(210b)의 직경(D2)의 비(D2:D1)는 2.2∼2.4로 형성되는데, 그 일례로써, 유입구(221)의 직경(D1)은 94.88㎜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210b)의 직경(D2)은 217.14㎜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30)의 선단(A)(B)을 유입구(221)의 중심(C)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을 F1으로 정의하고, 상기 유입구(221)의 면적을 F0으로 정의할 때, 그 비(F1:F0)는 1.4∼1.5 사이로 형성하게 된다.
즉 이는 F0=πR12, F1=2πRAB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청소기모터(10)는 통상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를 구성하는 고정자(11) 및 고정자(11)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1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12)의 중심부에 샤프트(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3)에 허브(210)가 장착구멍(211)을 통해 장착되어 청소기모터(10)의 구동시 회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팬(200)은 상기 청소기모터(10)의 회전시 유입구(221)를 통해 내부공간(210a)으로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230)의 선단(A)(B)에 의해 안내받게 되고, 상판(220)의 원판부(222)를 통해 유동이 안정화되어 각각의 블레이드(230)에 의해 고르게 분산되어 최종적으로 출구(210b)를 통해 배출된다.
도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팬(300)은 허브(310)와 상판(320) 사이의 내부공간(310a)에 배치된 블레이드(3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330)를 통해 상판(320)과 허브(31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330)는 일종의 편(Strip)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만곡(Curvature) 형성되어 내부공간(310a)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330)는 상판(320)에 형성된 유입구(321) 측에 위치되는 선단(A)(B)과 상기 유입구(321)의 중심(C)까지의 거리(R1)가 유입구(321)의 림(Rim)과 중심(C)까지의 거리(RA)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일례로써, 상기 유입구(321)의 림과 중심(C)까지의 거리(R1)는 51.285㎜로 형성될 때, 상기 블레이드(330)의 선단(A)(B)과 유입구(321)의 중심(C)까지의 거리(RA)는 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321)를 통해 원심 팬(3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330)의 선단(A)(B)에 의해 안내받게 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원심 팬(Impeller)에서 발생하고 있는 박리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10 내지 11에서 보듯이, 상기 블레이드(330)는 유입구(3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처음 닿는 상면(331)이 상기 유입구(321)를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상면(331)이 위,아래 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330)는 통상 상판(320)을 향해 직각(90°)으로 형성된 선단(A)(B)의 구성을 개선하여 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상판(320)을 향해 형성된 직선이 앞,뒤 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하게 된다.
도 12 내지 13에서 보듯이, 허브(310)는 중심부에 청소기모터(10)의 샤프트(13)에 장착되는 장착구멍(311)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320)은 중심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21)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321)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원판부(3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판부(322)는 타원형의 곡선으로 라운드(Round) 형성된다. 즉 블레이드(330)와 맞닿는 원판부(322)의 곡률을 타원형의 곡선으로 형성하여 변곡점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상판(320)에서 발생하는 유동의 박리를 감소시켜 박리 현상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판부(322)의 곡률 중심(Center)은 블레이드(330)의 선단(A)이 상판(320)과 연결되는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판(322)이 허브(312)의 상부에 대응하게 배치됨으로써, 원심 팬(300)에 내부공간(310a) 및 출구(310b)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310a)을 거쳐 출구(310b)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켜 박리 현상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330)는 유입구(321) 측에 위치하는 선단(A)(B)의 높이(B1)와 출구(310b) 측에 위치하는 후단(a)(b)의 높이(B2)의 비(B1:B2)가 2.4∼2.6으로 형성된다. 즉 일례로써, 상기 블레이드(330)의 선단(A)(B)의 거리(B1)는 38.01㎜로 형성되고, 후단(a)(b)의 거리(B2)는 15.21㎜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321)의 직경(D1)과 출구(310b)의 직경(D2)의 비(D2:D1)는 2.2∼2.4로 형성되는데, 그 일례로써, 유입구(321)의 직경(D1)은 94.88㎜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310b)의 직경(D2)은 217.14㎜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330)의 선단(A)(B)을 유입구(321)의 중심(C)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을 F1으로 정의하고, 상기 유입구(321)의 면적을 F0으로 정의할 때, 그 비(F1:F0)는 1.4∼1.5 사이로 형성된다.
즉 이는 F0=πR12, F1=2πRAB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듯이, 청소기모터(10)는 통상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를 구성하는 고정자(11) 및 고정자(11)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1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12)의 중심부에 샤프트(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3)에 허브(310)가 장착구멍(311)을 통해 장착되어 청소기모터(10)의 구동시 회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팬(300)은 청소기모터(10)의 회전시 유입구(321)를 통해 내부공간(310a)으로 유입된 공기가 블레이드(330)의 선단(A)(B)에 의해 안내받게 되고, 상판(320)의 원판부(322)를 통해 유동이 안정화되어 각각의 블레이드(330)에 의해 고르게 분산되어 최종적으로 출구(310b)를 통해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200, 300 - 원심 팬 110, 210, 310 - 허브
110a, 210a, 310a - 내부공간 110b, 210b, 310b - 출구
111, 211, 311 - 장착구멍 120, 220, 320 - 상판
121, 221, 321 - 유입구 122, 222, 322 - 원판부
130, 230, 330 - 블레이드 331 - 상면
A,B - 선단 a,b - 후단

Claims (18)

  1. 허브(Hub);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내부공간과 출구가 형성되도록 대응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상판(Shroud); 및
    상기 상판과 허브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블레이드(Blade);
    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되는 선단(A)(B)과 유입구의 중심(C)까지의 거리(R1)가 상기 유입구의 림(Rim)과 중심(C)까지의 최소거리(RA)와 동일하게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선단의 높이(B1)와 출구 측에 위치하는 후단의 높이(B2)의 비(B1:B2)가 2.4∼2.6으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D1)과 출구의 직경(D2)의 비(D2:D1)는 2.2∼2.4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A)(B)을 유입구의 중심(C)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과 상기 유입구 면적의 비는 1.4∼1.5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5. 허브(Hub);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내부공간과 출구가 형성되도록 대응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타원형의 곡선으로 라운드(Round)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 허브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블레이드(Blade);
    를 포함하는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의 곡률 중심은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판과 연결되는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D1)과 출구의 직경(D2)의 비(D2:D1)는 2.2∼2.4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선단의 높이(B1)와 출구 측에 위치하는 후단의 높이(B2)의 비(B1:B2)가 2.4∼2.6으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A)(B)을 유입구의 중심(C)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과 상기 유입구 면적의 비는 1.4∼1.5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되는 선단(A)(B)과 유입구의 중심(C)까지의 거리(RA)가 상기 유입구의 림(Rim)과 중심(C)까지의 최소거리(R1)와 동일하게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1. 허브(Hub);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내부공간과 출구가 형성되도록 대응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상판(Shroud); 및
    상기 상판과 허브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블레이드(Blade);
    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되는 선단(A)(B)과 유입구의 중심까지의 거리(R1)가 상기 유입구의 외경과 중심(C)까지의 거리(RA)보다 작게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공기가 처음 닿은 상면이 유입구를 기준으로 위,아래 0~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선단에서 상판을 향해 형성된 직선이 앞,뒤 0~5°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D1)과 출구의 직경(D2)의 비(D2:D1)는 2.2∼2.4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선단의 높이(B1)와 출구 측에 위치하는 후단의 높이(B2)의 비(B1:B2)가 2.4∼2.6으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A)(B)을 유입구의 중심(C)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켜 형성된 면적과 상기 유입구 면적의 비는 1.4∼1.5로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는 유입구를 중심으로 외곽을 향해 타원형의 곡선으로 라운드(Round)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의 곡률 중심은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판과 연결되는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된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KR1020130091127A 2013-07-31 2013-07-31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KR10152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27A KR101521703B1 (ko) 2013-07-31 2013-07-31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JP2014122040A JP2015031277A (ja) 2013-07-31 2014-06-13 電動送風機用インペラ
US14/312,270 US20150037156A1 (en) 2013-07-31 2014-06-23 Impeller for electric b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127A KR101521703B1 (ko) 2013-07-31 2013-07-31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271A true KR20150015271A (ko) 2015-02-10
KR101521703B1 KR101521703B1 (ko) 2015-05-19

Family

ID=5242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127A KR101521703B1 (ko) 2013-07-31 2013-07-31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37156A1 (ko)
JP (1) JP2015031277A (ko)
KR (1) KR101521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0412B (zh) * 2012-09-18 2015-07-01 Asustek Comp Inc 離心式風扇
KR101977871B1 (ko) * 2018-10-31 2019-05-13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이중 구조 블레이드부를 구비한 임펠러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KR101985690B1 (ko) * 2018-10-31 2019-09-03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내측부와 외측부로 구분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임펠러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DE102019121448A1 (de) * 2019-08-08 2021-02-11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Radialgebläse für einen Dunstabzu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494A (ja) * 1984-08-11 1986-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送風機
JPH06193593A (ja) * 1992-12-24 1994-07-12 Nisshinbo Ind Inc 遠心送風機の羽根車
KR100355827B1 (ko) * 2000-08-17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터보팬
JP3668782B2 (ja) * 2000-12-19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ファ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50529B1 (ko) * 2003-12-30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원심팬
JP2006009669A (ja) * 2004-06-24 2006-01-12 Nidec Shibaura Corp 遠心式送風機
KR20060039535A (ko) * 2004-11-03 2006-05-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모터
JP4703272B2 (ja) * 2005-06-08 2011-06-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JP5076796B2 (ja) * 2007-10-09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扇風機
US8141201B2 (en) * 2008-02-14 2012-03-27 Panasonic Corporation Electric fan
JP5342385B2 (ja) * 2009-09-15 2013-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ァン、そのファンを備えた電動送風機及び、その電動送風機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1174386A (ja) * 2010-02-23 2011-09-08 Nippon Densan Corp 遠心ファンのインペラ及びその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7156A1 (en) 2015-02-05
KR101521703B1 (ko) 2015-05-19
JP2015031277A (ja)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0674B2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JP5629505B2 (ja) 遠心ファン
CN201730841U (zh) 风机、使用所述风机的干手器及吸尘器
EP2295818B1 (en) Centrifugal fan
KR101521703B1 (ko) 전동 송풍기용 원심 팬
JP2010285956A (ja) 遠心ファン
TW201200738A (en)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US10113551B2 (en) Axial flow fan
EP3760877A1 (en) Electric blowe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CN111379715B (zh) 送风装置
JP6603448B2 (ja) 遠心インペラ及び遠心ブロワ
JP2010124534A (ja) 電動機用斜流ファンと該斜流ファンを備えた電動機
JP5907205B2 (ja) 送風装置
US10458423B2 (en) Impeller and fan including the impeller
JP2020020320A (ja) インペラ、遠心ファン
US9394920B2 (en) Centrifugal fan
JP7006195B2 (ja) 送風機
JP2020020338A (ja) 送風機
JP2015124734A (ja) 渦流ファン
CN210829802U (zh) 一种具有斜涵道的风机结构
JP6487179B2 (ja) 送風機
TWI794771B (zh) 多翼離心送風機
JP7123283B1 (ja) 遠心ファンおよび遠心ファンを用いた回転電機
US20240060509A1 (en) Axial fan
EP3813235B1 (en) Rotary electr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