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102A -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 Google Patents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102A
KR20150015102A KR1020130090645A KR20130090645A KR20150015102A KR 20150015102 A KR20150015102 A KR 20150015102A KR 1020130090645 A KR1020130090645 A KR 1020130090645A KR 20130090645 A KR20130090645 A KR 20130090645A KR 20150015102 A KR20150015102 A KR 2015001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minothioxanthone
derivative
present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현
김현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102A/ko
Publication of KR2015001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5/10Dibenzothiopyrans; Hydrogenated dibenzothiopyrans
    • C07D335/12Thioxanthenes
    • C07D335/14Thioxant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9
    • C07D335/16Oxygen atoms, e.g. thioxantho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50 내지 400nm 범위의 흡광도가 높아 증감제로 사용시 광경화성 조성물의 감도 향상 효과가 우수하고,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효율 높게 형광을 발광할 수 있는 고효율, 고신뢰성의 형광물질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Aminothioxanthone Derivatives}
본 발명은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서 증감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청색광을 낼 수 있는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컬러 필터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불가결한 구성 부품으로,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는 화면의 대형화와 고해상도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콘트라스트 및 색순도의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위해서, 컬러 필터 제작용의 경화성 조성물은 사용되는 착색제(유기 안료 등)의 입자 사이즈가 보다 작은 것이 요구되고 있고, 색순도 향상을 위해서는 컬러 필터 제작용의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중에 포함되는 착색제(유기 안료)의 함량이 보다 높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고체 촬상 소자용의 컬러 필터에 있어서는 고세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료 분산형 경화성 조성물에서는 안료가 비교적 조대한 입자이기 때문에 색 편차가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해상도의 보다 나은 향상을 꾀하는 것이 곤란하며, 고체 촬상 소자와 같이 미세 패턴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착색제로서 안료 대신에 유기 용제 가용성의 염료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고체 촬상 소자 용도의 컬러 필터에 대해서도 착색 패턴의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고, 종래와 동일한 색 농도로 박막화하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 제작용의 경화성 조성물 중 착색제의 함량을 높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용 및 고체 촬상 소자용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컬러 필터 제작용의 경화성 조성물은 착색제를 다량 함유하기 때문에,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성분인 광중합 개시제 및 광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이 제한되어 버려 강도가 불충분해지거나, 경화성이 불충분하여 기재가 되는 경질 표면과의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기판 사이즈의 확대에 따라, 현상 공정에 있어서 현상액 속에서도 장시간 패턴 형상을 유지하고, 패턴에 깨짐이나 박리가 없는 고감도의 경화성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컬러 필터 제작용의 경화성 조성물에 관해서는 상기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노광 경화시킬 때에 도포막 저부 부근에 있어서도 경화 반응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감도가 보다 높은 광중합 개시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아울러,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사용하여 경화성 조성물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감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450,279호에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디알킬티옥산톤 유도체가 광중합 개시제 및 증감제로 유용한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X 및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탄소수 1 내지 12개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알킬기 X 및 Y의 탄소수의 합은 3-15이다.
그러나, 상기 디알킬티옥산톤 유도체는 파장 350 내지 400nm 범위의 노광 광을 사용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때 감도가 낮아,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컬러 필터의 착색 패턴을 형성할 경우, 조사량이 부족하면 패턴의 결락이나 결손, 잔막율 혹은 화소 강도의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얻어진 컬러 필터의 착색 패턴에 있어서 해상력과 지지체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350 내지 400nm 범위의 흡광도가 높아 증감제로 사용시 광경화성 조성물의 감도 향상 효과가 우수한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효율 높게 형광을 발광할 수 있는 고효율, 고신뢰성의 형광물질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알킬기, C2-C10의 알케닐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는 종래의 증감제보다 365nm에서의 흡광도가 높아 광경화성 조성물에 증감제로 사용시 우수한 감도 향상 효과를 나타내며, UV 파장에 의해 강한 형광발광 특성을 보이고 고온, 고습 조건에서도 형광 특성을 유지하며 안정하여 표면처리용 청색 형광체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와 종래의 디알킬티옥산톤 유도체의 UV 스펙트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와 종래의 Eu 착체의 UV 흡수 및 형광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알킬기, C2-C10의 알케닐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10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10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2-C10의 알케닐기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2 내지 10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불포화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에틸렌일, 프로펜일, 부텐일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는 탄소수 3 내지 10개로 구성된 고리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아릴기는 아로메틱기와 헤테로아로메틱기 및 그들의 부분적으로 환원된 유도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아로메틱기는 5 내지 15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이며, 헤테로아로메틱기는 산소, 황 또는 질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아로메틱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피리디닐(pyridinyl), 푸라닐(furanyl), 티오페닐(thiophenyl), 인돌릴(indolyl), 퀴놀리닐(quinolinyl), 이미다졸리닐(imidazolinyl), 옥사졸릴(oxazolyl), 티아졸릴(thiazolyl),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10의 알킬기, C2-C10의 알케닐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 및 아릴기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소가 C1-C5의 알킬기, C2-C6의 알케닐기, C2-C6의 알키닐기, C3-C10의 시클로알킬기, C3-C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3-C10의 헤테로시클로알킬옥시, C1-C5의 할로알킬기, C1-C5의 알콕시기, C1-C5의 티오알콕시기, 아릴기, 아실기, 히드록시, 티오(thio), 할로겐, 아미노, 알콕시카보닐, 카복시, 카바모일, 시아노, 니트로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알킬기, C1-C10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C1-C10의 히드록시알킬기이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류; 푸마르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디카르복실산류;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양 말단에 카르복실기와 수산기를 갖는 폴리머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중 대표적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의 화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화학식 3]
Figure pat00005
[화학식 4]
Figure pat00006
[화학식 5]
Figure pat00007
[화학식 6]
Figure pat00008
[화학식 7]
Figure pat00009
본 발명의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2 및 6의 화합물은 각각 하기 반응식 1 및 2에 나타낸 반응공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0
[반응식 2]
Figure pat00011

상기 반응식 1 및 2에 나타낸 반응공정에서 사용된 반응시약, 반응조건 등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며,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는 노광의 주 파장인 365nm에서의 흡광도가 종래의 증감제보다 높아 광경화성 조성물에 증감제로 사용시 매우 우수한 감도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는 UV영역에서 흡광하여 450nm 부근의 청색 파장 영역에서 강한 형광발광 특성을 보이고, 고온, 고습 조건에서도 형광 특성을 유지하며 안정하여 표면처리용 청색 형광체로 사용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
제조예 1-1: 3-디메틸아미노 벤젠티올의 합성
Figure pat00012
마그네슘(1.38g, 56.7mmol)에 디에틸에테르(170mL) 및 3-브로모-N,N-디메틸아닐린(11.0g, 55mmol)을 넣고 5시간 동안 환류하여 마그네슘이 모두 소모된 갈색 그리나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황(1.85g, 57.8mmol)에 디에틸에테르(40mL)를 넣은 용액에 상기 그리나드 용액을 가하고 상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 수산화나트륨 25mL로 3회 추출하였다. 수층 용액에 6M 염산을 넣은 후 디에틸에테르 25mL로 3회 추출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3.79g, 45%).
제조예 1-2: 2-(3-디메틸아미노-페닐설파닐)-벤조익엑시드의 합성
Figure pat00013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3-디메틸아미노 벤젠티올(3.07g, 20mmol), t-부톡시나트륨(3.84g, 40mmol), 염화제이철(0.32g, 2mmol)에 2-요오드화벤조익엑시드(7.44g, 30mmol)를 톨루엔(30mL)에 용해시킨 용액을 가하고, 24시간 동안 환류한 후 반응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50mL)로 묽혔다. 1M 염산을 넣고 디클로로메탄 50mL를 이용하여 3회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4.21g, 77%).
제조예 1-3: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
Figure pat00014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2-(3-디메틸아미노-페닐설파닐)-벤조익엑시드(3.83g, 14.0mmol)에 황산(30mL)를 가하고 100℃로 가열하여 1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200mL의 얼음물에 부어 침전을 석출시킨 후 여과하였다. 침전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mL, 톨루엔 100mL을 이용하여 3회 추출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옅은 노란색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2.86g, 80%).
1H NMR (300MHz, d6-DMSO) δ 8.59(dd, 1H, J=6.6Hz, 1.2Hz) 8.48 (d, 1H, J=6.9Hz), 7.6-7.4 (m, 3H), 6.84 (dd, 1H, J=6.9Hz, 1.8Hz), 6.61 (d, 1H, J=1.8Hz), 3.10(s, 6H).
제조예 2: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
제조예 2-1: 4-클로로-2-페닐설파닐 벤조익엑시드의 합성
Figure pat00015
수산화나트륨(15.3g, 272mmol)을 물 180mL에 녹인 용액에 4-클로로-2-요오드화벤조익엑시드(15.4g, 54.5mmol), 구리 분말(0.346g, 5.5mmol), 티오페놀(5.57mL, 54.5mmol)을 넣었다. 혼합 반응용액을 120℃로 가열하여 8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한 후, 셀라이트를 통과시켜 여과를 하여 구리를 제거하였다. 여과한 혼합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교반을 진행하면서 과량의 HCl 수용액(5M, 100mL)을 가하였다. 얻어진 흰색 고체를 감압하에서 여과하고 과량의 물로 세정한 후 감압건조하여 흰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3.7g, 95%).
제조예 2-2: 3-클로로티옥산텐-9-온의 합성
Figure pat00016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4-클로로-2-페닐설파닐 벤조익엑시드(13.2g, 50mmol)에 진한 황산 160mL를 넣고 100℃로 가열하여 4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 후, 뜨거운 혼합 반응용액을 얼음물에 붓고 30분간 교반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노란색 침전물을 감압하에서 여과하고 과량의 물로 세정한 후 감압건조하여 노란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11.5g, 93%).
제조예 2-3: 3-[(2-히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티옥산텐-9-온의 합성
Figure pat00017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3-클로로티옥산텐-9-온(9.9g, 40mmol)에 2-메틸아미노에탄올(40mL)을 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혼합물을 물 30mL로 묽히고 5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그 후, 추출한 혼합용액에 Na2SO4를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노란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9.4g, 82%).
제조예 2-4: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
Figure pat00018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3-[(2-히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티옥산텐-9-온(8.6g, 30mmol)에 디클로로메탄 300mL, 트리에틸아민(4.6g, 45mmol)을 넣고 -20℃로 냉각한 후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3.4g, 37mmol)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2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한 후 얼음으로 냉각한 0.5N 염산 수용액(500mL)를 가하였다. 그 후, 디클로로메탄 150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 물, 포화 염산나트륨 수용액 각 250mL로 세정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를 이용하여 유기층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감압여과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핵산:에틸아세테이트=3:1)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8.7g, 85%).
1H NMR (300MHz, d6-DMSO) δ 8.57(dd, 1H, J=6.6Hz, 1.2Hz) 8.48 (d, 1H, J=6.9Hz), 7.6-7.4 (m, 3H), 6.85 (dd, 1H, J=6.9Hz, 1.8Hz), 6.63 (d, 1H, J=1.8Hz), 6.53(m, 1H), 4.22-4.17 (m, 3H), 3.94(dd, 1H, J=6.6Hz, 1.5Hz), 3.81(t, 2H, 1.8Hz), 3.11(s, 3H).
실험예 1: 감광도 평가
하기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성분을 혼합한 후(단위: 중량부), 전체 고형분이 18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뒤, 충분히 교반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항목 (A)바인더수지 (B)광중합성화합물 (C)광중합개시제 (D)증감제A (E)증감제B (F)증감제C
실시예1 50 50 5 3 - -
실시예2
50 50 5 - 3 -
비교예1 50 50 5 - - 3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
(A)바인더수지: 중량평균 분자량이 28,000 g/mol인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혼합 중량비 30/70)
(B)광중합성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KAYARAD DPHA; 닛본 카야꾸 ㈜ 제조)
(C)광중합개시제: [1-(4-페닐설파닐벤조일)헵틸리덴아미노]벤조에이트(IRGACURE OXE01; BASF사 제조)
(D)증감제A: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화학식 2의 화합물
(E)증감제B: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화학식 6의 화합물
(F)증감제C: 2,4-디에틸-9H-티옥산텐-9-온(알드리치사 제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수득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각각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건조 후의 두께가 약 5㎛가 되도록 유리 기판에 도포하고, 열풍 순환식 건조기에 의해 10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것에 의해 유리 기판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이 적층된 평가 기판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 기판을 사용하여, 아래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감광도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감광도
평가 기판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층 상에 네가티브 마스크(스토퍼 20단 스텝 타블렛)를 놓고, 그 위에 365nm의 빛을 주 발광파장으로 갖는 노광기를 사용하여 60mJ/㎠ 광을 조사하였다. 그 후, 1중량%의 수산화칼륨 수용액(25℃)에서 30초간, 0.1MPa/㎠의 압력으로 스프레이 현상하여, 미노광부를 용해 제거했다. 미노광 부분을 제거한 후, 동장 적층판 상에 형성된 광경화막의 스텝 타블렛의 단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광감도를 평가했다. 광감도는 스텝 타블렛의 단수로 나타내고, 이 스텝 타블렛의 단수가 높을수록 광감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광감도 14 13 8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디알킬티옥산톤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비해 광감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UV 스펙트럼 측정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화학식 2의 화합물,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화학식 6의 화합물 및 비교예로서 종래의 2,4-디에틸-9H-티옥산텐-9-온(증감제C)를 각각 PGMEA에 0.0001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의 UV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는 노광의 주 파장인 365nm에서의 흡광도가 기존 사용 중인 2,4-디에틸-9H-티옥산텐-9-온보다 강하여 컬러필터에 적용시 감도 향상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형광 특성 평가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비교예로서 Eu 착체인 트리스(디벤조일메탄)모노(1,10-페난트롤린)유로퓸(III) (Tris(dibenzoylmethane)mono(1,10-phenanthroline)europium(lll), 알드리치사 제조)를 각각 에틸아세테이트에 0.0001M 농도로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의 UV 흡수 및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는 UV영역에서 흡광하여 450nm 부근의 청색 파장 영역에서 강한 형광발광을 일으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존 사용 중인 Eu 착체는 고온, 고습(60℃, 90%RH) 조건의 신뢰성 평가에서 형광 특성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평가조건에서도 형광 특성을 유지하며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at00019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알킬기, C2-C10의 알케닐기, C3-C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알킬기, C1-C10의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C1-C10의 히드록시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3. 제2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2 내지 5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화학식 2]
    Figure pat00020

    [화학식 3]
    Figure pat00021

    [화학식 4]
    Figure pat00022

    [화학식 5]
    Figure pat00023

    [화학식 6]
    Figure pat00024

    [화학식 7]
    Figure pat00025
KR1020130090645A 2013-07-31 2013-07-31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KR20150015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645A KR20150015102A (ko) 2013-07-31 2013-07-31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645A KR20150015102A (ko) 2013-07-31 2013-07-31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102A true KR20150015102A (ko) 2015-02-10

Family

ID=5257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645A KR20150015102A (ko) 2013-07-31 2013-07-31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1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5943A (zh) * 2020-09-01 2022-03-01 深圳有为技术控股集团有限公司 3-位取代硫杂蒽酮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光聚合体系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5943A (zh) * 2020-09-01 2022-03-01 深圳有为技术控股集团有限公司 3-位取代硫杂蒽酮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光聚合体系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6363B2 (ja) 新規なβ‐オキシムエステルフルオレン化合物、それを含む光重合開始剤及び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KR101798220B1 (ko) 니트로 함유 비스옥심 에스테르 광개시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용도
KR101860511B1 (ko) 비스옥심 에스테르 광개시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용도
JP6328642B2 (ja) シクロペンタンジオンオキシムエステルとその応用
KR101700476B1 (ko) 고감광도 카르바졸 옥심 에스테르계 광개시제,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963931B1 (ko)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TWI680118B (zh) 含有可聚合基團的芴肟酯類光引發劑、製備方法及其應用
JP6778266B2 (ja) 耐熱安定性に優れたオキシムエステル化合物、それを含む光重合開始剤及び感光性樹脂組成物
KR101883164B1 (ko) 비대칭 디옥심에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KR20160109444A (ko)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30124215A (ko) 신규한 옥심에스테르 플로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중합 개시제 및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JP6816067B2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2079026B1 (ko) 플루오렌 다작용성 광개시제 및 이의 제조 및 용도, 및 플루오렌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감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6918994B (zh) 黑色矩阵用的感光性树脂组成物及其应用
KR20150015102A (ko) 아미노티옥산톤 유도체
KR20140055575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113885A (ko) 청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4672354A (zh) 一种双肟酯类光引发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60071994A (ko)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JP2021143300A (ja) 硬化物の製造方法
KR20180099105A (ko) 옥심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KR20140106832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754325B1 (ko) 금속 착물 아조 염료 및 이의 컬러 레지스트용 착색제로서의 용도
KR101991838B1 (ko) 신규 1,3-벤조디아졸 베타-옥심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5704994A (zh) 感光性树脂组合物及其用途、显示设备、和半导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