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317A -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317A
KR20150014317A KR1020130089828A KR20130089828A KR20150014317A KR 20150014317 A KR20150014317 A KR 20150014317A KR 1020130089828 A KR1020130089828 A KR 1020130089828A KR 20130089828 A KR20130089828 A KR 20130089828A KR 20150014317 A KR20150014317 A KR 2015001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wireless
application
wireless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탁
김병유
박정진
변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317A/ko
Priority to US14/189,270 priority patent/US20150029540A1/en
Priority to EP14156688.5A priority patent/EP2833612A1/en
Publication of KR2015001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9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adapted or bridged legacy communication protocols, e.g. emulation, protocol exte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1Device related settings, e.g. IP address, Nam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6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g. an inductiv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저장하는 NFC 태그; 상기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무선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nfigu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으로, 2002년 네덜란드 NXP 반도체와 일본 소니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424 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디바이스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NFC는 RFID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카드식 비접촉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넒은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스마트 폰, PC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에는 이 기술이 채택되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저장하는 NFC 태그; 상기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무선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상형성장치에 부착된 NFC 태그가 태깅되면,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독출하는 NFC 태그 처리부; 상기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프로파일을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NFC 태그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NFC 태깅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형성 장치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와 유사한 NFC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스마트폰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b의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는 NFC 태그와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NFC 태그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NFC 태그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NFC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무선랜 옵션 카드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무선랜 옵션 카드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PC, 무선랜 옵션 카드 및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무선랜 옵션 카드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커스텀 AP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커스텀 AP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커스텀 AP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20)이 존재한다. 도 1a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는 NFC 칩이 미리 내장되어 있어 스마트폰(20)과 NFC 기능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과 유사한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고하면, 마찬가지로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20)이 존재한다. 특히, 도 1a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면, 도 1a의 화상형성장치(10)에는 NFC 태그(30)가 미리 내장되어 있으나,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는 NFC 태그(30)가 미리 내장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는 추후에 NFC 태그(30)가 설치될 경우에만 스마트폰(20)과 NFC 기능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NFC 환경(1)의 동작은 화상형성장치(10)에 NFC 태그(30)가 추후에라도 설치된 경우라면, 미리 내장되어 있는 경우(도 1a)와 마찬가지임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NFC 환경(1)에는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 및 스마트폰(20) 한 쌍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들도 다수 존재할 수 있고 이들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 및 스마트폰(20)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고하면, NFC 환경(1)과 함께 다른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들이 도시되어 있다. NFC 환경(1)은 Wi-Fi Direct, Bluetooth, Ethernet, 802.11a/b/g/n 등과 같은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와 함께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NFC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NFC 기술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이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424 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디바이스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 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NFC 기술은 RFID 기술에 기반한 것이나, 스마트 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보다 넓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NFC는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 및 스마트폰(20) 간에 직접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RFID 방식의 일종이다. RFID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은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 출입카드 등과 같은 스마트카드에 주로 사용되는 13.56MHz 대역의 RFID와 물류에 주로 활용되는 900MHz 대역의 RFID가 있다. NFC는 스마트카드와 같이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에 해당된다. 그러나, NFC는 단방향으로만 통신 가능한 스마트카드와는 달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결정적 차이가 있다. 따라서,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리더기(reader)에 전송하는 태그(tag) 역할만을 갖는 스마트카드와는 다르다. NFC는 필요에 따라 태그 역할뿐만 아니라 태그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도 지원하며, NFC가 장착된 디바이스들간의 P2P(Peer to Peer) 정보 교환에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RFID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NFC는,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도 2a와 같이 비교될 수 있다.
도 2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약 10cm 내외의 거리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한 Bluetooth, Wi-Fi 등과는 달리 NFC는 극단적으로 짧은 거리(약 10cm 내외)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NFC는,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표 1과 같이 비교될 수도 있다.
기술 사용 주파수 보안성 표준 범위 주 서비스 영역
NFC 13.56 MHz 암호화 적용 국제 표준 비접촉 결제, RFID, 파일 전송
Bluetooth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파일 전송
Zigbee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기기 제어, RFID
900MHz RFID 900 MHz 미적용 국내(KR) 표준 RFID
즉,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10cm 이내의 거리에서만 동작되고 또한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는바, 보안성이 높다. 따라서, 3G, Wi-Fi 등과 같은 고속의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경우 디바이스들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기술과 Bluetooth 기술을 조합할 경우, NFC 기술은 디바이스들간의 연결(인증)에 사용되고, Bluetooth 기술은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됨으로써, 디바이스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NFC 표준 기술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따르면서 ISO 14443 비접촉식 카드(Proximity-card Standard) 표준을 확장한 것으로서, NFC IP-1(NFC Interface Protocol-1)(ISO/IEC 18092)과 NFC IP-2(ISO/IEC 21481)의 표준의 포함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ISO/IEC 14443 Type A 및 Type B, FeliCa, ISO/IEC 15693은 13.56MHz에서 동작하는 비접촉식 카드를 위한 4개 부문의 국제표준이다. 그리고, ISO/IEC 18092 표준은 NFC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 모드를 정의한다.
도 3a 및 3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NFC 포럼은 NFC의 주요 통신 모드들을 Reader/Writer 모드(301), P2P 모드(302) 및 Card Emulation 모드(303)의 3가지로 분류하여 표준화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은 표 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ISO/IEC 15693 ISO/IEC 18092 ISO/IEC 14443
동작 모드 리더/태그간 통신
(VCD2 mode)
기기간 통신
(P2P mode)
리더/태그간 통신
(PCD1 mode)
전력 공급 수동 능동 및 수동 수동
통신 범위 1m 10~20cm 10cm
데이터 속도 26kbps 이하 106, 212, 424Kbps 106Kbps
(PCD: Proximity Coupling Device, VCD: Vicinity Coupling Device)
먼저, Reader/Writer 모드(301)에 따르면, NFC 태그가 내장된 스마트폰(20)이 다른 NFC 태그를 읽는 reader로 동작하거나 다른 NFC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writer로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P2P 모드(302)는 두 개의 NFC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 및 스마트폰(20)간의 링크 수준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연결 수립을 위하여, 클라이언트(NFC P2P initiator, 스마트폰(20))는 호스트(NFC P2P target, 화상형성장치(10))를 검색하고 NDEF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P2P 모드(302)에 따르면, 스마트폰(20)을 화상형성장치(10)에 터치만 하여도 메일, 스케줄, 전화번호, XML 데이터 등의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Card Emulation 모드(303)는 NFC 태그가 내장된 스마트폰(20)이 스마트카드(ISO/IEC 14443)처럼 동작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비접촉식 카드의 국제표준인 ISO 14443은 물론, SONY의 펠리카(Felica)와 Philips의 마이페어(MiFare)와도 호환된다.
한편,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이 유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도 3b와 같이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NFC 시스템에서의 S/W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는 계층간의 통신 연결 및 제어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메시지는 NFC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기본 메시지 구조이다. NDEF는 NFC 포럼에 호환되는 디바이스 및 태그간에 이뤄지는 메시지 교환에 대한 레코드 형식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스마트포스터 및 그 밖의 것에 대한 표준 교환 형식이다. NDEF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NDEF 레코드를 포함한다. NDEF 레코드는 유형, 길이 및 옵션 식별자별로 설명된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한다. NDEF 페이로드는 NDEF 레코드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를 의미한다. RTD(Record Type Definition)는 NDEF 레코드에 해당될 수 있는 레코드 유형 및 유형 이름을 정의한다.
도 4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CPU(110), NFC 모듈(120), 유저 인터페이스부(130), HDD(140), RAM/ROM(150), 무선랜 인터페이스부(Wireless LAN interface unit)(160), 이더넷 인터페이스부(Ethernet interface unit)(170), 프린트 엔진(181),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을 포함한다. 만약 무선랜만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인 경우, 이더넷 인터페이스부(170)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가 프린터인 경우,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CPU(110)는 화상형성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HDD(140) 및 RAM/ROM(15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인쇄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의 정보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1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이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30)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LCD 또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에 2 또는 4 라인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다양한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UI(GUI)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부(160)는 IEEE 802.11 b/g/n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CPU(110)가 탑재된 화상형성장치(10)의 메인 보드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부(160)는 Wi-Fi Direct 기능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부(170)는 IEEE 802.3에 따라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프린트 엔진(181),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은 각각 인쇄 기능, 스캔 기능 및 팩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특히, 화상형성장치(10)는 NFC 모듈(120)을 구비하여 다른 NFC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스마트폰(20)과 NFC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NFC 모듈(120)은 NFC 기능을 담당하며 NFC 태그에 대하여 정보를 읽거나 쓸 수 있고, 또한, 메인 보드와의 통신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I2C(Inter 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등으로 통신한다. 도 1a 및 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FC 모듈(120)은, 공장 출하 시 화상형성장치(10)에 미리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NFC 태그(30)가 설치됨으로써 이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4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상형성장치(10)는 Bluetooth 모듈, Zigbee 모듈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모듈들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에 설치되는 NFC 태그(30)와 NFC 태그(30)에 저장된 정보(5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의 경우, 화상형성장치(10)에 미리 구비된 슬롯에 NFC 태그(30)가 삽입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는 비로소 NFC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NFC 태그(30)의 정보(510),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의 성능 정보 등은 Reader/Writer 모드(301)에 의해 다른 NFC 디바이스들에 의해 기록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NFC 태그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0)는 도 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들 중 본 실시예와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들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도 6에서 생략된 하드웨어 구성이라 하더라도 도 4의 화상형성장치(1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화상 작업의 종류로서는 화상형성장치(600)에서 지원하는 복사, 인쇄, 스캔, 팩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화상 작업 옵션들로서는, A3 또는 A4 등의 용지 옵션, 인쇄 또는 복사하기 위한 용지 매수의 옵션, 트레이 설정 옵션, 컬러 또는 흑백 인쇄 옵션, 컬러 또는 흑백 복사 옵션, scan to email 옵션, scan to server 옵션 등과 같이 화상형성장치(600)에서 화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많은 옵션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600)는 제어부(610), NFC 태그(620) 및 제어부(61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600)는 모바일 디바이스(700)와 NFC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600)와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NFC, Wi-Fi Direct 또는 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NFC 태그(620)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저장한다. 설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설치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설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기 위한 URL,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명칭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번호 등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화상형성장치(600)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제작되어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60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술 등과 같은 스펙(specification)에 따라 화상형성장치(600)의 고유의 어플리케이션이 제작된다.
무선 통신 모듈(630)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프로파일을 모바일 디바이스로(700)부터 수신한다. 프로파일은 NFC 태그에 저장된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무선 설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6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600)가 AP(access point)에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암호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600)가 어느 AP에 무선으로 연결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600)가 사용할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definition)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WPA, WPA2 등의 보안 방식으로 암호화된다.
모바일 디바이스(700)와 화상형성장치(600) 사이의 Wi-Fi Direct 설정은 모바일 디바이스(7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완료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700)에서 생성된 프로파일은 Wi-Fi Direct로 화상형성장치(600)로 전송된다.
제어부(610)는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프로파일에는 화상형성장치(600)가 어느 AP에 접속할 것인지 및 접속할 AP의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610)는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지정된 AP에 접속을 시도하며, 지정된 AP에 접속 시 요구되는 비밀번호를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프로파일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700)에서 무선 설정에 대한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600)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불편한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무선 설정이 완료되면 완료 메세지를 작성하고, 무선 통신 모듈(630)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완료 메세지를 전송한다.
도 7은 NFC 태그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600)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의 화상형성장치(6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의 화상형성장치(600)에도 적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60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640) 및 메모리(650)를 더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640)는 화상형성장치(600)에서 사용자에게 무선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640)는 화상형성장치(600)가 현재 접속 중인 AP를 표시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640)는 무선 설정이 완료되면, 무선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구 또는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650)는 모바일 디바이스(700)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및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설정된 무선 설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650)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NFC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700) 및 화상형성장치(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NFC를 통해 화상형성장치(6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600)에 필요한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NFC 태그 처리부(720)는 화상형성장치(600)에 부착된 NFC 태그가 태깅되면, NFC 태그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독출한다. 설치 정보는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설치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설치 정보는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URL,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명칭 또는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번호 등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710)는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6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제어부(710)는 NFC 태그가 태깅되면,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기 위한 마켓 어플리케이션(Market Application)을 실행한다. 마켓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설치된 운영체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및 다운받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경우, 마켓 어플리케이션은 "플레이스토어(Play Store)"라는 이름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또한, IOS 운영체제가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경우, 마켓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App Store)"라는 이름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에 따라 별도의 마켓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도 있다.
제어부(710)는 마켓 어플리케이션의 검색창에 설치 정보를 입력하여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검색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한다.
제어부(710)는 설치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나 입력 없이도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검색, 다운 및 설치할 수 있다.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무선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6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AP들을 검색하여 표시하고, 주변 AP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를 기초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700)가 접속중인 AP를 기초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AP를 검색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접속할 AP를 지정 받지 않고,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700)가 접속중인 AP에 화상형성장치(600)를 연결시키기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AP들을 검색하는 제1 옵션과 모바일 디바이스(700)가 접속중인 AP를 표시하는 제2 옵션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옵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제1 옵션과 제2 옵션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2개의 옵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옵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옵션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1 옵션이 선택되면,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AP들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주변 AP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AP에 화상형성장치(600)가 접속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에 접속하기 위해 비밀번호가 필요한 경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다.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입력된 비밀번호 및 선택된 AP에 화상형성장치(600)가 접속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써, 사용자에 의해 제2 옵션이 선택되면,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700)가 현재 접속중인 AP에 화상형성장치(600)가 접속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제2 옵션의 경우,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700)가 접속 중인 AP에 대한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때문에,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정보를 입력 받지 않고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30)는 프로파일을 화상형성장치(600)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730)는 NFC, Wi-Fi Direct 또는 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6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6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700), 서버(800) 및 화상형성장치(6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통하여, 화상형성장치(600)의 무선 설정이 수행된다.
910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화상형성장치(600)의 NFC 태그에 태깅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700)를 화상형성장치(600)에 부탁된 NFC 태그에 접근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700)가 NFC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92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600)의 NFC 태그에 저장된 설치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700)로 전송된다. 설치 정보는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930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마켓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태깅된 NFC 태그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수신하면, 마켓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마켓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다른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실행된 마켓 어플리케이션에 설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검색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기 위해 서버(800)에 전송을 요청한다.
940단계에서, 서버(800)는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디바이스(700)로 전송한다.
950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다운받은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으면, 사용자의 지시 없이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대한 지시를 받은 이후에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다.
960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화상형성장치(6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무선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화상형성장치(600)가 접속 가능한 AP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AP들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AP를 수신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사용자에 의해 AP가 선택되면, 선택된 AP의 접속을 위한 추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추가정보는 선택된 AP에 화상형성장치(600)가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 또는 화상형성장치(600)의 식별 정보 등일 수 있다.
970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화상형성장치(600)로 전송한다.
98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600)는 수신된 프로파일을 기초로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600)는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AP에 접속을 시도하고, AP에 접속 시 요구되는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지정된 AP에 접속한다.
도 10은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300)에는 무선 설정을 위한 입력 수단 또는 표시 수단 등이 PC(1200)에 비하여 부족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300)에서 직접 무선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어렵다. 사용자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PC(1200)에 연결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1001단계에서, 사용자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PC(1200)에 연결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PC(1200)에 연결되면, PC(12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USB와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다. PC(12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인스톨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인스톨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인스톨러 프로그램은 화상형성장치(1300)에 맞춤 프로그램일 수 있다. 즉,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모델에 따라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1002단계에서, 사용자는 실행된 인스톨러 프로그램에서 AP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AP정보는 화상형성장치(1300)가 접속할 AP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PC(1200)는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PC(1200)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한다.
1003단계에서, 사용자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PC(1200)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화상형성장치(1300)에 연결한다.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스펙에 따라 제작되었으므로,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연결되면,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1001 내지 1003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300)에서 별도의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PC(1200), 무선랜 옵션 카드(1100) 및 화상형성장치(1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인스톨러(1110), 무선 설정 메모리(1120) 및 USB 연결 처리부(1130)를 포함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해 제작된 특유의 디바이스이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PC(1200) 및 화상형성장치(13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1300)와 함께 제작되거나, 화상형성장치(1300)와 별도도 제작될 수 있다.
USB 연결 처리부(113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PC(1200) 또는 화상형성장치(1300)에 연결될 때, PC(1200) 또는 화상형성장치(1300)가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인식하도록 데이터를 처리한다. 따라서, PC(1200) 또는 화상형성장치(1300)에 별도의 드라이버(Driver)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PC(1200) 또는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PC(1200)에 연결되면, USB 연결 처리부(113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PC(1200)에 USB Disk로 인식되도록 데이터를 처리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PC(1200)에 USB Disk로 인식되면, PC(12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검색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화상형성장치(1300)에 연결되면, USB 연결 처리부(1130)는 화상형성장치(1300)에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에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1300)가 무선랜 옵션 카드(1100)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즉,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에서 무선랜 설정을 위해 제작된 디바이스이므로,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화상형성장치(1300)에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인스톨러(1110)는 무선 설정 메모리(1120)에 저장된 일종의 프로그램이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PC(1200)에 연결되면,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Disk 형태로 PC(1200)에 인식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Disk의 형태로 인식되면, 인스톨러(1110)는 실행 프로그램의 형태로 표시된다. 인스톨러(1110)는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의해 실행된다.
인스톨러(111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인스톨러(1110)가 실행되면, 인스톨러(1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1300)가 AP(access point)에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암호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1300)가 어느 AP에 무선으로 연결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1300)가 사용할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definition)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WPA, WPA2 등의 보안 방식으로 암호화된다.
인스톨러(1110)는 화상형성장치(1300)에 특화된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인스톨러(1110)가 실행되고, 설정되는 항목들은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해 미리 설계된다. 인스톨러(1110)는 프로파일이 생성되면, 사용자의 명령이나 조작 없이 생성된 프로파일을 무선 설정 메모리(1120)에 저장할 수 있다.
무선 설정 메모리(112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무선 설정 메모리(112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스펙을 저장한다. 또한, 무선 설정 메모리(1120)는 PC(1200)에서 생성된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무선 설정 메모리(1120)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이며, Disk와 같은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 적용된다.
PC(1200)는 USB 디스크 처리부(1210) 및 제어부(1220)를 포함한다. PC(1200)는 USB를 인식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electric device)를 나타낸다. PC(1200)는 데스크탑(Desktop) PC 뿐만 아니라 태블릿(tablet) PC 또는 노트북 등을 모두 포함한다.
USB 디스크 처리부(1210)는 USB 포트에 연결되는 장치를 인식한다. PC(1200)는 USB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USB 단자에 연결되면,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USB로 인식한다. 따라서, PC(12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파일들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1200)는 윈도우 탐색기를 이용하여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파일들을 탐색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인스톨러(111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제어부(122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인스톨러(1110)를 실행한다. 제어부(1220)는 인스톨러(1110)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인스톨러(1110)가 실행되면, 제어부(1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0)는 화상형성장치(1300)가 어느 AP에 무선으로 연결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제어부(1220)는 화상형성장치(1300)가 접속 가능한 AP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AP들의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AP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300)가 AP(access point)에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암호를 입력 받는다.
제어부(1220)는 화상형성장치(1300)가 사용할 AP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제어부(1220)는 프로파일을 WPA, WPA2 등의 보안 방식으로 암호화한다. 제어부(1220)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스펙에 따라 만들어진 인스톨러(111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인스톨러(1110)의 실행만으로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실행된 인스톨러(1110)에서 요구하는 정보들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프로파일을 검색하고,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300)는 USB 처리부(1310) 및 무선 설정부(1320)를 포함한다. USB 처리부(131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인식한다. USB 처리부(131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연결되면,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즉, USB 처리부(131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커넥터를 포함한다.
무선 설정부(1320)는 인식된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면, 무선 설정부(1320)는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무선 설정부(1320)는 USB 처리부(1310)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독출된 데이터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파일일 수 있다. 무선 설정부(1320)는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지정된 AP에 접속한다. 즉, 무선 설정부(1320)는 Wi-Fi를 통해 프로파일에서 지정된 AP에 접속한다.
도 12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PC(1200)와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1201단계에서, 사용자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PC(1200)에 삽입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PC(1200)의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하다.
1202단계에서, PC(12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스톨러(1110)를 실행한다. PC(1200)는 사용자로부터 인스톨러(1110)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인스톨러(1110)를 실행할 수 있다.
1203단계에서, PC(1200)는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PC(1200)는 인스톨러(1110)를 실행하고, 실행된 인스톨러(1110)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인스톨러(1110)가 실행되면, 인스톨러(1110)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한다.
1204단계에서, PC(1200)는 인스톨러(1110)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파일을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한다.
1205단계에서, 사용자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를 화상형성장치(1300)에 삽입한다. 무선랜 옵션 카드(1100)는 화상형성장치(1300)의 커넥터에 연결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300)의 커넥터는 PC(1200)의 USB 포트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옵션 카드(1100)와 화상형성장치(1300)가 연결 가능한 별도의 포트일 수 있다.
1206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독출(read)한다. 화상형성장치(1300)는 무선랜 옵션 카드(1100)가 연결되면, 무선랜 옵션 카드(110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검색하고,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독출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300)는 프로파일에 포함된 AP에 대한 정보 등을 독출한다.
1207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300)는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300)는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Wi-Fi 연결을 시도한다.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300)는 프로파일에서 지정된 AP에 Wi-Fi 연결을 시도하고, 지정된 AP에 접속 시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경우, 프로파일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입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300)가 AP에 연결을 시도할 때, 별도의 입력을 수행할 필요없이 무선랜 옵션 카드(1100)만을 화상형성장치(1300)에 연결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3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커스텀 AP(15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커스텀 AP(1500)를 사용자 AP(1400)에 연결하여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1301단계에서, 사용자는 커스텀 AP(1500)를 사용자 AP(1400)에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커스텀 AP(1500)와 사용자 AP(1400)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1302단계에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600)를 켠다. 화상형성장치(1600)가 켜지면, 화상형성장치(1600)는 커스텀 AP(1500)의 무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1303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600)와 커스텀 AP(1500)는 자체 특화 프로토콜(protocol)로 연결된다. 화상형성장치(1600)와 커스텀 AP(1500)는 생산될 때, 화상형성장치(1600)와 커스텀 AP(1500) 사이에만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자체 프로토콜이 설정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600)와 커스텀 AP(1500)가 동작하면, 화상형성장치(1600)와 커스텀 AP(1500)는 서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600)와 커스텀 AP(1500)가 서로 인식되면, 자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커스텀 AP(1500)는 자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600)로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600)는 커스텀 AP(1500)로부터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스텀 AP(1500)를 유선 AP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커스텀 AP(15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커스텀 AP(1500)는 일반적인 AP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화상형성장치(1600)와는 자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커스텀 AP(1500)와 사용자 AP(1400)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커스텀 AP(1500)와 화상형성장치(1600)는 자체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된다. 커스텀 AP(1500)와 사용자 AP(1400)의 연결이 된 이후, 커스텀 AP(1500)와 화상형성장치(1600)가 무선으로 연결된다. 커스텀 AP(150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6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스텀 AP(1500)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부(1510), 유선 데이터 처리부(1520),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1530),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 및 제어부(1550)를 포함한다.
유선 네트워크 연결부(1510)는 사용자 AP(1400)와 유선으로 연결하는 수단이다. 유선 네트워크 연결부(1510)는 사용자 AP(14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유선 네트워크 연결부(1510)는 사용자 AP(1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유선 데이터 처리부(15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P(1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커스텀 AP(1500)에 할당되는 IP가 될 수 있다.
유선 데이터 처리부(1520)는 네트워크 망에 연결을 수행한다. 커스텀 AP(1500)는 사용자 AP(1400)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다. 유선 데이터 처리부(1520)는 네트워크 망에 접속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1530)는 화상형성장치(1600)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수단이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1530)는 안테나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1530)는 화상형성장치(1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는 화상형성장치(1600)에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는 제어부(155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자체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한다. 즉,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는 화상형성장치(1600)와의 통신을 위해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600)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자체 프로토콜에는 복수의 데이터 필드들(data field)이 포함되며, 커스텀 AP(1500)와 화상형성장치(1600) 사이에 정의된 새로운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커스텀 AP(1500)와 화상형성장치(1600) 사이에 정의된 순서로 데이터 필드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체 프로토콜은 복수의 데이터 필드 중에서 일부 데이터 필드가 변형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는 주변의 화상형성장치(1600)를 검색한다.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는 사용자 AP로부터 IP가 할당되면, 주변의 화상형성장치(1600)를 검색한다.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는 정해진 주기마다 화상형성장치(1600)를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화상형성장치(1600)가 검색되면,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1600)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50)는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550)는 사용자 AP(1400)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제어부(1550)는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 AP(1400)의 IP 또는 커스텀 AP(1500)의 I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600)가 AP에 접속시키기 위한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50)는 사용자 AP(1400)의 IP 또는 커스텀 AP(1500)의 IP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에는 화상형성장치(1600)에 할당되는 IP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 정보에 화상형성장치(1600)에 할당되는 IP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화상형성장치(1600)는 사용자 AP(1400)의 IP 또는 커스텀 AP(1500)의 IP를 참조하여, 스스로 IP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600)는 사용자 AP(1400)의 IP 또는 커스텀 AP(1500)의 IP의 일부를 변경하여 IP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50)는 IP에 대한 정보를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1530)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600)로 전송한다.
제어부(1550)는 화상형성장치(1600)가 접속할 AP를 지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50)는 화상형성장치(1600)가 사용자 AP(1400)에 접속할 것인지, 커스텀 AP(1500)에 접속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프로파일을 화상형성장치(16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550)는 사용자 AP(1400) 커스텀 AP(1500) 이외의 AP에 화상형성장치(1600)의 접속을 지정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에는 지정된 AP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50)는 지정된 AP를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1530)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600)로 전송한다.
제어부(1550)는 무선 데이터 처리부(1540)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1530)에 의해 검색된 화상형성장치(1600)가 복수인 경우, 검색된 화상형성장치(1600)의 수에 따라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즉, 커스텀 AP(1500)의 주변에 커스텀 AP(1500)와 특화된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1600)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55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600)들 각각이 접속할 AP를 지정하거나 각각의 화상형성장치(1600)에 서로 다른 IP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600)들이 존재하더라도, 사용자는 각각의 화상형성장치(1600)에 대한 무선 설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커스텀 AP(1500)에 의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600)들이 자동으로 무선 설정이 완료된다.
커스텀 AP(1500)는 사용자 AP(1400)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커스텀 AP(1500)는 사용자 AP(1400)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주변의 화상형성장치(1600)를 검색한다.
커스텀 AP(1500)는 유선과 무선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디바이스이다. 즉, 커스텀 AP(1500)는 사용자 AP(1400)와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화상형성장치(1600)와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사용자 AP(1400)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AP이다. 즉, 사용자 AP(1400)는 현재 IP가 할당되어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AP(1400)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HCP 기능은 IP를 부여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사용자 AP(1400)는 DHCP 기능을 이용하여 커스텀 AP(1500)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600)는 무선 통신 모듈(1610) 및 무선 설정부(162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600)는 커스텀 AP(15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1610)은 커스텀 AP(15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무선 통신 모듈(1610)은 커스텀 AP(1500)와 특화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610)은 커스텀 AP(150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 AP(1400)의 IP 또는 커스텀 AP(1500)의 I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600)가 AP에 접속시키기 위한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설정부(1620)는 무선 통신 모듈(161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정보에 지정된 AP가 포함된 경우, 무선 설정부(1620)는 지정된 AP에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에 IP가 할당된 경우, 무선 설정부(1620)는 할당된 IP로 네트워크 망에 접속한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에 사용자 AP(1400)의 IP 또는 커스텀 AP(1500)의 IP가 포함된 경우, 무선 설정부(1620)는 사용자 AP(1400)의 IP 또는 커스텀 AP(1500)의 IP에 기초하여 스스로 IP를 할당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5는 커스텀 AP(15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600)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910단계에서, 사용자 AP(1400)와 커스텀 AP(1500)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커스텀 AP(1500)를 사용자 AP(1400)에 연결한다.
1920단계에서, 사용자 AP(1400)는 네트워크 정보를 커스텀 AP(15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 AP(1400)가 커스텀 AP(1500)에 할당하는 IP 또는 사용자 AP(1400)의 IP를 포함할 수 있다.
1930단계에서, 커스텀 AP(1500)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한다. 커스텀 AP(1500)는 할당된 IP로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다.
1940단계에서, 커스텀 AP(1500)는 화상형성장치(1600)를 검색한다. 커스텀 AP(1500)는 특화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600)만을 검색할 수 있다.
1950단계에서, 커스텀 AP(1500)는 무선으로 검색된 화상형성장치(1600)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정보에는 화상형성장치(1600)가 접속할 AP를 포함하거나, 화상형성장치(1600)에 할당된 IP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에는 사용자 AP(1400)의 IP 및 커스텀 AP(1500)의 IP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196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600)는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별도의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커스텀 AP(1500)를 사용자 AP(1400)에 연결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600: 화상형성장치
610: 제어부
620: NFC 태그
630: 무선 통신 모듈

Claims (19)

  1.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저장하는 NFC 태그;
    상기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무선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기 위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AP(access point)에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암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어느 AP에 무선으로 연결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사용할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definition)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설정이 완료되면 완료 메세지를 작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완료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제작되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 부착된 NFC 태그가 태깅되면,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독출하는 NFC 태그 처리부;
    상기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태그가 태깅되면,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기 위한 마켓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켓 어플리케이션의 검색창에 상기 설치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무선 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AP들을 검색하여 표시하고, 상기 주변 AP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를 기초로 상기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중인 AP를 기초로 상기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AP들을 검색하는 제1 옵션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중인 AP를 표시하는 제2 옵션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옵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정보는 상기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된 무선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위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프로파일을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무선 설정 방법.
  19. 제 18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89828A 2013-07-29 2013-07-29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50014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828A KR20150014317A (ko) 2013-07-29 2013-07-29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14/189,270 US20150029540A1 (en) 2013-07-29 2014-02-2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for forming wireless configuration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EP14156688.5A EP2833612A1 (en) 2013-07-29 2014-02-26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for forming wireless configuration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828A KR20150014317A (ko) 2013-07-29 2013-07-29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317A true KR20150014317A (ko) 2015-02-06

Family

ID=5023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828A KR20150014317A (ko) 2013-07-29 2013-07-29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29540A1 (ko)
EP (1) EP2833612A1 (ko)
KR (1) KR20150014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717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204571A1 (ko) * 2015-06-17 2016-12-22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5519B2 (ja) * 2011-12-21 2015-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受信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509873B2 (en) 2012-04-25 2016-11-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mmunication device
US11811989B2 (en) 2012-04-25 2023-11-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tenna in cover
JP2014096717A (ja) 2012-11-09 2014-05-2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CN104598174A (zh) * 2013-10-30 2015-05-06 诚研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及其操作方法
JP2015169946A (ja) * 2014-03-04 2015-09-2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端末
JP6270137B2 (ja) 2014-03-12 2018-01-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24144B2 (ja) * 2014-03-27 2017-05-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画像処理装置
JP6340917B2 (ja) * 2014-05-23 2018-06-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管理プログラム、文書閲覧編集プログラム、文書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文書管理システム
TWI539858B (zh) * 2014-08-22 2016-06-21 物聯智慧科技(深圳)有限公司 電子裝置與外部網路之連線設定方法及電子裝置
JP6190342B2 (ja) * 2014-09-04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729736B2 (en) 2015-02-26 2017-08-08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800762B2 (en) * 2015-03-03 2017-10-24 Ricoh Company, Lt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5094900A (zh) * 2015-07-13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下载控制程序的方法及装置
JP6459814B2 (ja) * 2015-07-17 2019-01-30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の設定状態更新システム
WO2017167274A1 (zh) * 2016-04-01 2017-10-05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Nfc标签
JP6776779B2 (ja) * 2016-09-30 2020-10-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11476954B2 (en) * 2017-01-23 2022-10-18 Circuitiq Inc.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power source identification by generating one or more service set identifier (SSID) communication signals
US11606675B2 (en) 2017-01-23 2023-03-14 Circuitiq Inc.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power source identification by generating one or more service set identifier (SSID) communication signals
US11003462B2 (en) * 2017-12-11 2021-05-11 Evgeny Chereshnev Touched home
CN109982308A (zh) * 2019-03-07 2019-07-05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nfc通讯进行门锁固件升级的方法及其系统
JP7322443B2 (ja) * 2019-03-20 2023-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758A1 (ja) * 2005-07-11 2007-01-18 Nikon Corporation 電子カメラ
EP1956572A1 (en) * 2007-02-01 2008-08-13 Nxp B.V.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 a remote control,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44629A1 (en) * 2007-11-29 2009-06-04 Andrew Rodney Ferlitsch Controlling Application for a Multifunction Peripheral Accessed and Operated from a Mobile Device
JP4767332B2 (ja) * 2009-03-13 2011-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240170B2 (ja) * 2009-03-18 2013-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2092141A1 (en) * 2010-12-30 2012-07-05 Google Inc. Peripheral device detection with short-range communication
KR20120097008A (ko) * 2011-02-24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획득 방법 및 장치
US9179016B2 (en) * 2011-10-25 2015-1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munication architectures for direct printing and scanning
US9013729B2 (en) * 2011-12-06 2015-04-21 Ricoh Company, Lt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obile print application
JP5421983B2 (ja) * 2011-12-22 2014-0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717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204571A1 (ko) * 2015-06-17 2016-12-22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9540A1 (en) 2015-01-29
EP2833612A1 (en)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317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92563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function of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of setting NFC operation mode thereof
KR10204145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nfc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작업의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US10229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write ta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9678693B2 (en) Method of setting wireless connectio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206085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having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reader, device having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ag and method thereof to connect to AP
KR10206450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서비스 제공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7782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
US20150126115A1 (en) Method of registering use of mobile terminal to image forming apparatu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method of requesting registration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US8462734B2 (en) Wireless docking with out-of-band initiation
KR10196179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US100887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I) screen customized to NFC device
KR101840725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US93110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supporting NFC fun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thereof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KR20140079195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nfc 디바이스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KR20150040669A (ko) 인쇄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커스터마이즈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3781151A (zh) 电子设备和系统的控制方法
KR2015001431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KR20140116350A (ko)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KR10138815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