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319A -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319A
KR20150014319A KR1020130089830A KR20130089830A KR20150014319A KR 20150014319 A KR20150014319 A KR 20150014319A KR 1020130089830 A KR1020130089830 A KR 1020130089830A KR 20130089830 A KR20130089830 A KR 20130089830A KR 20150014319 A KR20150014319 A KR 2015001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scree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319A/ko
Priority to US14/219,370 priority patent/US9614987B2/en
Publication of KR2015001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93Particular location of the interface or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2Transmitting printer device capabilities, e.g. upon request or period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02Interacting with the ope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02Interacting with the operator
    • G06K15/007Interacting with the operator only remotely, e.g. at a host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3Customising to a particular machine or model, machine function or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화상형성장치는 NFC를 통해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고,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앞서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Mobi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screen thereof}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으로, 2002년 네덜란드 NXP 반도체와 일본 소니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424 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디바이스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NFC는 RFID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카드식 비접촉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넒은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스마트 폰, PC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에는 이 기술이 채택되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상형성장치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NFC 모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로 다른 화면 구성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어느 상위 메뉴의 활성화 명령이 상기 NFC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어느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품 사양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기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품 사양들과 함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될 컨텐츠의 종류를 더 고려하여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품 사양들은, 디스플레이 크기, CPU의 성능, 메모리 용량 및 하드 드라이브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의 상위 계층의 메뉴들 및 하위 계층의 메뉴들 중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메뉴들을,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의 문서편집 창이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문서편집 창을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컨텐츠가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세부 컨텐츠를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한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NFC 모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어느 상위 메뉴의 활성화 명령이 상기 NFC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어느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품 사양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기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NFC 기능을 갖는 NFC 디바이스들이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어느 하나의 NFC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다른 NFC 디바이스로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바, 협소한 또는 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갖는 NFC 디바이스라 할지라도, 다른 NFC 디바이스에 구비된 보다 넓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와 유사한 NFC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스마트폰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b의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는 NFC 태그와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 UI(extended UI) 화면을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제품 사양들 (product specifications)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UI 화면(8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서버(62)로부터 수신된 문서 파일을 편집하기 위하여,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서버(62)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파일을 편집하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가 존재한다. 도 1a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는 NFC 칩이 미리 내장되어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20)와 NFC 기능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과 유사한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고하면, 마찬가지로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가 존재한다. 특히, 도 1a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면, 도 1a의 화상형성장치(10)에는 NFC 태그(30)가 미리 내장되어 있으나,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는 NFC 태그(30)가 미리 내장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는 추후에 NFC 태그(30)가 설치될 경우에만 모바일 디바이스(20)와 NFC 기능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NFC 환경(1)의 동작은 화상형성장치(10)에 NFC 태그(30)가 추후에라도 설치된 경우라면, 미리 내장되어 있는 경우(도 1a)와 마찬가지임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NFC 환경(1)에는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 한 쌍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들도 다수 존재할 수 있고 이들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가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고하면, NFC 환경(1)과 함께 다른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들이 도시되어 있다. NFC 환경(1)은 Wi-Fi Direct, Bluetooth, Ethernet, 802.11a/b/g/n 등과 같은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와 함께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NFC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NFC 기술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이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424 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디바이스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 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NFC 기술은 RFID 기술에 기반한 것이나, 스마트 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보다 넓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NFC는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 간에 직접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RFID 방식의 일종이다. RFID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은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 출입카드 등과 같은 스마트카드에 주로 사용되는 13.56MHz 대역의 RFID와 물류에 주로 활용되는 900MHz 대역의 RFID가 있다. NFC는 스마트카드와 같이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에 해당된다. 그러나, NFC는 단방향으로만 통신 가능한 스마트카드와는 달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결정적 차이가 있다. 따라서,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리더기(reader)에 전송하는 태그(tag) 역할만을 갖는 스마트카드와는 다르다. NFC는 필요에 따라 태그 역할뿐만 아니라 태그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도 지원하며, NFC가 장착된 디바이스들간의 P2P(Peer to Peer) 정보 교환에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RFID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NFC는,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도 2a와 같이 비교될 수 있다.
도 2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약 10cm 내외의 거리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한 Bluetooth, Wi-Fi 등과는 달리 NFC는 극단적으로 짧은 거리(약 10cm 내외)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NFC는,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표 1과 같이 비교될 수도 있다.
기술 사용 주파수 보안성 표준 범위 주 서비스 영역
NFC 13.56 MHz 암호화 적용 국제 표준 비접촉 결제, RFID, 파일 전송
Bluetooth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파일 전송
Zigbee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기기 제어, RFID
900MHz RFID 900 MHz 미적용 국내(KR) 표준 RFID
즉,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10cm 이내의 거리에서만 동작되고 또한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는바, 보안성이 높다. 따라서, 3G, Wi-Fi 등과 같은 고속의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경우 디바이스들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기술과 Bluetooth 기술을 조합할 경우, NFC 기술은 디바이스들간의 연결(인증)에 사용되고, Bluetooth 기술은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됨으로써, 디바이스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NFC 표준 기술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따르면서 ISO 14443 비접촉식 카드(Proximity-card Standard) 표준을 확장한 것으로서, NFC IP-1(NFC Interface Protocol-1)(ISO/IEC 18092)과 NFC IP-2(ISO/IEC 21481)의 표준의 포함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ISO/IEC 14443 Type A 및 Type B, FeliCa, ISO/IEC 15693은 13.56MHz에서 동작하는 비접촉식 카드를 위한 4개 부문의 국제표준이다. 그리고, ISO/IEC 18092 표준은 NFC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 모드를 정의한다.
도 3a 및 3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NFC 포럼은 NFC의 주요 통신 모드들을 Reader/Writer 모드(301), P2P 모드(302) 및 Card Emulation 모드(303)의 3가지로 분류하여 표준화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은 표 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ISO/IEC 15693 ISO/IEC 18092 ISO/IEC 14443
동작 모드 리더/태그간 통신
(VCD2 mode)
기기간 통신
(P2P mode)
리더/태그간 통신
(PCD1 mode)
전력 공급 수동 능동 및 수동 수동
통신 범위 1m 10~20cm 10cm
데이터 속도 26kbps 이하 106, 212, 424Kbps 106Kbps
(PCD: Proximity Coupling Device, VCD: Vicinity Coupling Device)
먼저, Reader/Writer 모드(301)에 따르면, NFC 태그가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20)가 다른 NFC 태그를 읽는 reader로 동작하거나 다른 NFC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writer로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P2P 모드(302)는 두 개의 NFC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 간의 링크 수준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연결 수립을 위하여, 클라이언트(NFC P2P initiator, 모바일 디바이스(20))는 호스트(NFC P2P target, 화상형성장치(10))를 검색하고 NDEF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P2P 모드(302)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20)를 화상형성장치(10)에 접촉만 하여도 메일, 스케줄, 전화번호, XML 데이터 등의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Card Emulation 모드(303)는 NFC 태그가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20)가 스마트카드(ISO/IEC 14443)처럼 동작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비접촉식 카드의 국제표준인 ISO 14443은 물론, SONY의 펠리카(Felica)와 Philips의 마이페어(MiFare)와도 호환된다.
한편,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이 유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도 3b와 같이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NFC 시스템에서의 S/W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는 계층간의 통신 연결 및 제어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메시지는 NFC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기본 메시지 구조이다. NDEF는 NFC 포럼에 호환되는 디바이스 및 태그간에 이뤄지는 메시지 교환에 대한 레코드 형식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스마트포스터 및 그 밖의 것에 대한 표준 교환 형식이다. NDEF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NDEF 레코드를 포함한다. NDEF 레코드는 유형, 길이 및 옵션 식별자별로 설명된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한다. NDEF 페이로드는 NDEF 레코드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를 의미한다. RTD(Record Type Definition)는 NDEF 레코드에 해당될 수 있는 레코드 유형 및 유형 이름을 정의한다.
도 4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CPU(110), NFC 모듈(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HDD(140), RAM/ROM(150), 무선랜 인터페이스부(Wireless LAN interface unit)(160), 이더넷 인터페이스부(Ethernet interface unit)(170), 프린트 엔진(181),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을 포함한다. 만약 무선랜만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인 경우, 이더넷 인터페이스부(170)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가 프린터인 경우,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CPU(110)는 화상형성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HDD(140) 및 RAM/ROM(15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인쇄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의 정보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1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LCD 또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에 2 또는 4 라인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다양한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UI(GUI)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부(160)는 IEEE 802.11 b/g/n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CPU(110)가 탑재된 화상형성장치(10)의 메인 보드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부(160)는 Wi-Fi Direct 기능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부(170)는 IEEE 802.3에 따라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프린트 엔진(181),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은 각각 인쇄 기능, 스캔 기능 및 팩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특히, 화상형성장치(10)는 NFC 모듈(120)을 구비하여 다른 NFC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와 NFC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NFC 모듈(120)은 NFC 기능을 담당하며 NFC 태그에 대하여 정보를 읽거나 쓸 수 있고, 또한, 메인 보드와의 통신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I2C(Inter 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등으로 통신한다. 도 1a 및 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FC 모듈(120)은, 공장 출하시 화상형성장치(10)에 미리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NFC 태그(30)가 설치됨으로써 이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4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상형성장치(10)는 Bluetooth 모듈, Zigbee 모듈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모듈들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에 설치되는 NFC 태그(30)와 NFC 태그(30)에 저장된 정보(5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1b의 화상형성장치(10)의 경우, 화상형성장치(10)에 미리 구비된 슬롯에 NFC 태그(30)가 삽입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는 비로소 NFC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NFC 태그(30)의 정보(510),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의 성능 정보 등은 Reader/Writer 모드(301)에 의해 다른 NFC 디바이스들에 의해 기록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라 확장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extended UI screen)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와 화상형성장치(6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들 중 본 실시예와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들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도 6에서 생략된 하드웨어 구성이라 하더라도 도 4의 화상형성장치(1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는 제어부(610), NFC 모듈(6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610)는 판단부(6101) 및 화면 구성부(6102)를 포함한다. 도 6에서, 제어부(610)는 도 4의 CPU(110)에 해당되고, NFC 모듈(620)는 도 4의 NFC 모듈(120)에 해당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는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해당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40)는 도 4의 무선랜 인터페이스부 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어부(210), NFC 모듈(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판단부(2101) 및 화면 구성부(2102)를 포함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6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4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40)는,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측면에서, 화상형성장치(60)와 NFC를 통해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NFC 프로토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60)의 접근을 인식한다. NFC 기능이 활성화되어 연결이 수립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에 해당되는 화상형성장치(60)와 호스트에 해당되는 모바일 디바이스(20)가 10cm 이내의 근접 범위 내로 접근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과 NFC 표준에서 정의된 NDEF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인증을 완료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와 화상형성장치(60)는 NFC를 통해 서로 태깅이 완료된다.
한편, NFC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간에 NFC를 통한 연결을 수립하는 과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자명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60)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product specifications)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품 사양은 화상형성장치(6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CPU의 성능, 메모리의 용량, 하드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olid state drive 등)의 용량 등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제품 사양들 (product specifications)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모바일 디바이스 B(702), 화상형성장치 A(705) 및 화상형성장치 B(707)는 모두 NFC 기능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로서, 서로 NFC를 이용하여 태깅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모바일 디바이스 B(702), 화상형성장치 A(705) 및 화상형성장치 B(707)는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은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크기는 4.99 인치이고, CPU는 2.3GHz quad-core 프로세서의 제품 사양들을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은 태블릿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크기는 10.1 인치이고, CPU는 1.4GHz quad-core 프로세서의 제품 사양들을 구비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A(705)는 복사, 인쇄, 팩스, 스캔 등의 화상형성 기능들을 제공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oduct, MFP)에 해당되는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크기는 8.4 인치이고, CPU는 1.4GHz dual-core 프로세서의 제품 사양들을 구비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B(707)는 인쇄 기능을 제공하는 프린터에 해당되는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크기는 3.3 인치이고, CPU는 600MHz Cortex A5 프로세서의 제품 사양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품 사양들 이외에도, 각각의 디바이스들(701, 703, 705 또는 707)은 다양한 제품 사양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 또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제품 사양들과 같은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screen component)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210)의 판단부(2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예를 들어,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제품 사양들) 및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 또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판단부(2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가 어떠한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한다.
판단부(2101)는 제품 사양들 중,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디바이스를 보다 우수한 제품 사양을 갖는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2101)는 제품 사양들 중,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작은 디바이스를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을 갖는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2101)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우수한 또는 열등한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2101)는 디스플레이 크기 뿐만 아니라, CPU 성능, 메모리 용량, 하드 드라이브 용량 등의 다양한 요소들도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우수한 또는 열등한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101)는 제품 사양들의 각각의 항목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교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항목만을 비교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판단부(2101)는 디스플레이 크기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판단부(2101)는 위와 같은 제품 사양들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20)와 화상형성장치(60)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될 컨텐츠의 종류 등을 더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될 도 9 내지 13을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210)의 화면 구성부(2102)는 판단부(2101)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또한, 화면 구성부(2102)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즉, 화면 구성부(2102)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main screen)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 또는 서브 화면(sub screen)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한편,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의 용어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 다른 용어들로 용이하게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서, 화면 구성부(2102)는, 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210), 특히 화면 구성부(2102)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로 다른 화면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 화면 및 서브 화면은 확장 UI 화면의 일부들에 해당되는 화면들로서,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에 각각 하나씩 할당될 수 있다. 즉, 제어부(21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으로 할당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서브 화면으로 할당될 수 있다. 반대로,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서브 화면으로 할당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UI 화면(8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확장 UI 화면(800)에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은 서로 NFC를 통해 의존적으로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해당된다. 즉, 확장 UI 화면 내의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로 연결된(linked) 상태로 동작된다. 이는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가 서로 NFC를 통해 태깅되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 UI 화면(800)은 별도의 디바이스들(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에 각각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 및 2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801 및 803)을 마치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처럼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간을 지칭한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의 화면 구성들은, 판단부(210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A(701)가 NFC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A(705)와 서로 태깅된 경우를 가정하면, 판단부(2101)는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및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디바이스를 판단한다. 도 7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4.99 인치이고,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8.4 인치인 것으로 가정하였는바, 판단부(2101)는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화면 구성부(2102)는, 판단 결과, 화상형성장치 A(705)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을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 구성부(2102)는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을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한다.
화상형성장치 A(705)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에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에 비하여 보다 많은 메뉴 항목들, 보다 많은 컨텐츠들 등이 제공되는 복잡한 화면 구성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경우에는,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때보다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이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에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에 비하여 단순한 메뉴 항목들, 숏컷들(shortcuts) 등만이 제공될 수 있는 단순한 화면 구성들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B(703)가 NFC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B(707)와 서로 태깅된 경우를 가정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10.1 인치이고, 화상형성장치 B(707)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3.3 인치이므로, 판단부(2101)는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화면 구성부(2102)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을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을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로 태깅된 디바이스들이 갖는 제품 사양들(특히,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다양한 경우들로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확장 UI 화면(800) 상의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될 수 있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 또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의, 화면 구성들은 동적(dynamic)이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의 소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앞서 제어부(210)에 의해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표시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작업 정보(job information)는 NFC 모듈(22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60)로 전송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에 표시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NFC 모듈(62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제어 또는 동작된다.
반대로,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어되고 표시될 수 있다. 즉, 확장 UI 화면 내의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로 연결된(linked) 상태로 동작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어느 상위 메뉴의 활성화 명령이 수신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는 이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측면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60)의 측면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NFC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접근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과 NFC 표준에서 정의된 NDEF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인증을 완료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와 화상형성장치(60)는 NFC를 통해 서로 태깅이 완료된다.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product specifications)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품 사양은 모바일 디바이스(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 CPU의 성능, 메모리의 용량, 하드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olid state drive 등)의 용량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제품 사양들과 같은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60)의 제어부(6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610)의 판단부(6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예를 들어,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제품 사양들) 및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 또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판단부(6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가 어떠한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한다.
판단부(6101)는 제품 사양들 중,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디바이스를 보다 우수한 제품 사양을 갖는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6101)는 제품 사양들 중,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작은 디바이스를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을 갖는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6101)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우수한 또는 열등한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6101)는 디스플레이 크기 뿐만 아니라, CPU 성능, 메모리 용량, 하드 드라이브 용량 등의 다양한 요소들도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우수한 또는 열등한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6101)는 제품 사양들의 각각의 항목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교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항목만을 비교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판단부(6101)는 디스플레이 크기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판단부(6101)는 위와 같은 제품 사양들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20)와 화상형성장치(60)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될 컨텐츠의 종류 등을 더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될 도 9 내지 13을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610)의 화면 구성부(6102)는 판단부(6101)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또한, 화면 구성부(6102)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즉, 화면 구성부(6102)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나아가서, 화면 구성부(6102)는, 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610), 특히 화면 구성부(6102)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 결정한다.
앞서 도 7 및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로 다른 화면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의 화면 구성들은, 판단부(610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및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가 NFC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A(701)와 태깅된 경우를 가정하면, 판단부(6101)는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및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디바이스를 판단한다. 도 7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4.99 인치이고,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8.4 인치인 것으로 가정하였는바, 판단부(6101)는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화면 구성부(6102)는, 판단 결과, 화상형성장치 A(705)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을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화면 구성부(6102)는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을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한다.
화상형성장치 A(705)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에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에 비하여 보다 많은 메뉴 항목들, 보다 많은 컨텐츠들 등이 제공되는 복잡한 화면 구성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경우에는,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때보다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이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에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에 비하여 단순한 메뉴 항목들, 숏컷들(shortcuts) 등만이 제공될 수 있는 단순한 화면 구성들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7의 화상형성장치 B(707)가 NFC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B(703)와 서로 태깅된 경우를 가정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10.1 인치이고, 화상형성장치 B(707)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3.3 인치이므로, 판단부(6101)는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화면 구성부(6102)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1)을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을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로 태깅된 디바이스들이 갖는 제품 사양들(특히,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다양한 경우들로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는, 화상형성장치(60)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의 소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앞서 제어부(610)에 의해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에 표시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작업 정보는 NFC 모듈(620)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표시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NFC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제어 또는 동작된다.
반대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어되고 표시될 수 있다. 즉, 확장 UI 화면 내의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로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어느 상위 메뉴의 활성화 명령이 수신된 경우,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는 이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측면 또는 화상형성장치(6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NFC 기능을 갖는 NFC 디바이스들이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어느 하나의 NFC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다른 NFC 디바이스로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바, 협소한 또는 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갖는 NFC 디바이스라 할지라도, 다른 NFC 디바이스에 구비된 보다 넓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A(701)에 해당되고, 화상형성장치(60)는 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앞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A(701)의 디스플레이 크기(4.99 인치)는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8.4 인치)보다 작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 A(701)(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1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되고,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3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될 수 있다.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의 결정은 모바일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제어부(210) 또는 화상형성장치(60)에 구비된 제어부(6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A(701)(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1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단순한 메뉴들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10)에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상위 메뉴들에 해당되는, copy 메뉴, fax 메뉴, scan 메뉴 등이 숏컷들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3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복잡한 메뉴들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30)에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하위 메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10)를 통해 copy 메뉴를 나타내는 숏컷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30)에는 copy 메뉴의 하위 메뉴들 또는 세부 옵션 설정들(컬러 설정, 복사 매수 설정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30)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10)은 협소하고 작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10)에 하위 메뉴들 또는 세부 옵션 설정들이 표시된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조작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디바이스(화상형성장치(60) 또는 화상형성장치 A(705))가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복잡하고 세부적인 화면 구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30)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비슷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하였던 다른 제품 사양들이 고려되어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B(703)에 해당되고, 화상형성장치(60)는 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앞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디스플레이 크기(10.1 인치)는 화상형성장치 A(705)의 디스플레이 크기(8.4 인치)보다 크므로, 모바일 디바이스 B(703)(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1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되고,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3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될 수 있다.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의 결정은 모바일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제어부(210) 또는 화상형성장치(60)에 구비된 제어부(6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3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단순한 메뉴들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30)에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상위 메뉴들에 해당되는, copy 메뉴, fax 메뉴, scan 메뉴 등이 숏컷들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디바이스 B(703)(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1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복잡한 메뉴들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10)에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하위 메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30)를 통해 copy 메뉴를 나타내는 숏컷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10)에는 copy 메뉴의 하위 메뉴들 또는 세부 옵션 설정들(컬러 설정, 복사 매수 설정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30)은, 앞서 설명된 도 9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30)과 달리,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동일한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라 할지라도,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의 결정은 NFC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A(705)(화상형성장치(60))에 태깅된 NFC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대적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B(703)에 해당되고, 화상형성장치(60)는 도 7의 화상형성장치 B(707)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앞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디스플레이 크기(10.1 인치)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디스플레이 크기(3.3 인치)보다 크므로, 모바일 디바이스 B(703)(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1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되고, 화상형성장치 B(707)(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3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될 수 있다.
메인 화면 또는 서브 화면의 결정은 모바일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제어부(210) 또는 화상형성장치(60)에 구비된 제어부(6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 또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어부(610)는 디스플레이 크기 뿐만 아니라,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 또는 610)는 문서편집 창을 표시하여 보다 용이하게 문서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10 또는 1130)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크기가 보다 크지만 그래픽 처리 성능이 열악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다 할지라도 그래픽 처리 성능이 우수한 디바이스가,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제품 사양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사용 환경들이 고려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 B(707)(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3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단순한 메뉴들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30)에는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Microsoft 사의 PowerPoint) 상에서 제공되는 상위 메뉴들에 해당되는, File 메뉴, Edit 메뉴, View 메뉴, Insert 메뉴 등이 숏컷들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디바이스 B(703)(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1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복잡한 메뉴들 또는 문서편집 창(text editing area 또는 text editing window)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10)에는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Microsoft 사의 PowerPoint) 상에서 제공되는 문서편집 창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서에 도형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30) 상에서 Insert 메뉴를 클릭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10) 상에 삽입될 수 있는 도형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1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30)은 서로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서버(62)로부터 수신된 문서 파일을 편집하기 위하여,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외부의 서버(62)는 도 6에 도시된 외부의 서버(62)에 대응되고, 외부의 서버(62)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서버(62)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Dropbox, GoogleDrive 등과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1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는 외부의 서버(62)(Dropbox)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도 6의 240 또는 640)를 통해 특정 문서파일 (file_name.ppt)을 동시에 다운로드하여, 앞서 도 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1210, 1230)을 통해 문서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서버(62)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파일을 편집하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외부의 서버(62)는 도 6에 도시된 외부의 서버(62)에 대응되고, 외부의 서버(62)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서버(62)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Evernote, Facebook 등과 같이 일정표, 메모, 사진 공유,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등과 같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도 13에서 외부의 서버(62)는 Evernote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는 외부의 서버(62)(Evernote)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도 6의 240 또는 640)를 통해 특정 컨텐츠 파일 (My note file)을 동시에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1310, 12330)을 통해 컨텐츠 작성 또는 컨텐츠 감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B(703)에 해당되고, 화상형성장치(60)는 도 7의 화상형성장치 B(707)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앞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디스플레이 크기(10.1 인치)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디스플레이 크기(3.3 인치)보다 크므로, 모바일 디바이스 B(703)(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1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되고, 화상형성장치 B(707)(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3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 B(707)(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30)은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단순한 메뉴들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30)에는 Evernote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상위 메뉴들에 해당되는, New note 메뉴, Snapshot 메뉴, All notes 메뉴, Tags 메뉴 등이 숏컷들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디바이스 B(703)(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10)은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바, 상대적으로 복잡한 메뉴들 또는 상세 메모 창(컨텐츠 작업 창)이 포함된 화면 구성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10)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13의 설명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일부의 예시들일 뿐이다. 이 밖에도, 본 실시예는, 보안을 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은 서브 화면에 대응되고, 보안을 요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디스플레이 크기가 큰 메인 화면에 대응되도록, 확장 UI 화면이 구성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 9 내지 13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도,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의 확장 UI 화면의 제공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확장 UI 화면 제공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4의 확장 UI 화면 제공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40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NFC 프로토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60)의 접근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과 NFC 표준에서 정의된 NDEF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인증을 완료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와 화상형성장치(60)는 NFC를 통해 서로 태깅이 완료된다.
140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60)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140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210)의 판단부(2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예를 들어,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제품 사양들) 및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 또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판단부(2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가 어떠한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210)의 화면 구성부(2102)는 판단부(2101)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즉, 화면 구성부(2102)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화면 구성부(2102)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140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하여 결정된 화면 구성에 대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60)로 전송한다.
140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의 소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앞서 제어부(210)에 의해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는, 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앞서 제어부(210)에 의해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확장 UI 화면 제공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5의 확장 UI 화면 제공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5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NFC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접근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의 NFC 모듈(220)과 NFC 표준에서 정의된 NDEF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인증을 완료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와 화상형성장치(60)는 NFC를 통해 서로 태깅이 완료된다.
150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15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60)의 제어부(6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6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610)의 판단부(6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예를 들어, 도 7의 모바일 디바이스 A(701)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B(703)의 제품 사양들) 및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도 7의 화상형성장치 A(705) 또는 화상형성장치 B(707)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판단부(6101)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화상형성장치(60)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가 어떠한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610)의 화면 구성부(6102)는 판단부(6101)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즉, 화면 구성부(6102)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메인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 또는 서브 화면에 대응되는 화면 구성으로 결정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화면 구성부(6102)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15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60)의 NFC 모듈(6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하여 결정된 화면 구성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15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는, 화상형성장치(60)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등의 소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앞서 제어부(610)에 의해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앞서 제어부(210)에 의해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의 확장 UI 화면 제공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6의 확장 UI 화면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601 단계에서, NFC 모듈(220)은 화상형성장치(60)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1602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1603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는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에서 확장 UI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의 확장 UI 화면 제공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6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7의 확장 UI 화면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701 단계에서, NFC 모듈(620)은 모바일 디바이스(20)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1702 단계에서, 제어부(6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화상형성장치(6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한다.
1703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30)는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사용자 디바이스 60: 화상형성장치
62: 외부의 서버
210: 제어부 220: NFC 모듈
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101: 판단부 2102: 화면 구성부
610: 제어부 620: NFC 모듈
6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6101: 판단부 6102: 화면 구성부

Claims (20)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NFC 모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 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로 다른 화면 구성들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어느 상위 메뉴의 활성화 명령이 상기 NFC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어느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품 사양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기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품 사양들과 함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될 컨텐츠의 종류를 더 고려하여 판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사양들은
    디스플레이 크기, CPU의 성능, 메모리 용량 및 하드 드라이브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화상작업 애플리케이션의 상위 계층의 메뉴들 및 하위 계층의 메뉴들 중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메뉴들을,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문서편집 애플리케이션의 문서편집 창이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문서편집 창을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컨텐츠가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세부 컨텐츠를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NFC 모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작업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어느 상위 메뉴의 활성화 명령이 상기 NFC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기 어느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표시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품 사양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을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중 보다 우수한 또는 보다 열등한 제품 사양들을 갖는 디바이스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기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8.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NFC를 통해 태깅된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품 사양들에 기초하여,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결된(linked) 동안 동작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화면 구성을 갖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8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89830A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KR20150014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830A KR20150014319A (ko)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US14/219,370 US9614987B2 (en) 2013-07-29 2014-03-19 Mobi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screen,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screen in the mobi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830A KR20150014319A (ko)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319A true KR20150014319A (ko) 2015-02-06

Family

ID=5239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830A KR20150014319A (ko)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14987B2 (ko)
KR (1) KR201500143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77B1 (ko) * 2015-06-23 2016-12-01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모바일용 erp 애플리케이션의 작동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WO2016195330A1 (ko) * 2015-06-02 2016-12-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상이한 실행 가능 문서 파일 포맷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방법,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200018574A (ko) * 2017-06-16 2020-02-1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규칙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CN113836602A (zh) * 2015-12-21 2021-12-2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1532B2 (en) * 2005-09-19 2014-07-15 Google Inc. Customized data retrieval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providing interpretation of markup language data
JP6119772B2 (ja) * 2015-01-22 2017-04-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210125A (zh) * 2015-02-13 2017-09-26 鲍尔拜普罗克西有限公司 电感式功率接收器
KR102306536B1 (ko) * 2015-04-01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207651B2 (ja) * 2016-03-30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70119905A (ko) 2016-04-20 2017-10-3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쇄물 배송 시스템 및 방법
US10650621B1 (en) 2016-09-13 2020-05-12 Iocurrents, Inc. Interfacing with a vehicular controller area network
US10475149B2 (en) * 2017-09-25 2019-11-12 Intel Corporation Policies and architecture to dynamically offload VR processing to HMD based on external cues
US11461065B2 (en) 2020-02-24 2022-10-04 Ricoh Company, Ltd. Secure mobile cloud printing using user information and printing device group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9500A1 (en) * 1999-07-12 2001-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wnloadable user-interface
US20030167334A1 (en) * 2002-03-04 2003-09-04 Mark Henry Butler Provision of content to a client device
US7730157B2 (en) * 2005-02-03 2010-06-0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media, and syste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thin-client in communication with a network
JP4207050B2 (ja) * 2005-06-27 2009-01-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BRPI0615536A2 (pt) * 2005-07-22 2011-05-17 Matt Pallakoff dispositivo manual que tem um mostrador da tela de toque com capacidade de implementar uma interface do usuário de teclado virtual para inserir toques no teclado por um usuário,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ui) baseada em tela de toque em um dispositivo manual,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ui) baseado em tela de toque otimizado pelo polegar em um dispositivo manual,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ui) virtual acionado a polegar para a busca de informações, sistema de interface do usuário virtual acionado pelo polegar, para selecionar itens selecionáveis virtuais em uma página da web exibida em um mostrador de tela de toque de um dispositivo portátil, dispositivo manual que tem um mostrador de tela de toque com capacidade de executar um teclado virtual para inserir toques no teclado por um usuário, método para implementar a seleção de entrda por um usúario dos itens exibidos em um tela de toque de um dispositivo manual e método para que uma interface virtual do usuário do teclado interaja com páginas da web em um dispositivo de visualização manual que tem um mostrador de tela de toque
US8689139B2 (en) 2007-12-21 2014-04-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Expandable user interface menu
US20100268762A1 (en) * 2009-04-15 2010-10-21 Wyse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a remote application
KR101509172B1 (ko) * 2009-10-01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그 ui 컨텐츠 제공방법, 및 호스트 장치의 ui 컨텐츠 수신방법
KR20110036222A (ko) * 2009-10-01 201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작업수행방법
JP2011124986A (ja) * 2009-11-12 2011-06-23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2008498A (ja) * 2010-06-28 2012-01-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724344B2 (ja) * 2010-12-06 2015-05-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カスタマイズ制御方法及びカスタマイズ制御プログラム
JP5532018B2 (ja) * 2011-06-27 2014-06-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
JP5435010B2 (ja) * 2011-11-02 2014-03-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携帯情報装置、画像処理装置連携方法、携帯情報装置連携方法、画像処理装置連携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情報装置連携プログラム
US9360940B2 (en) 2011-11-14 2016-06-07 Google Inc. Multi-pane interface
JP5991733B2 (ja) * 2012-03-05 2016-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JP5708589B2 (ja) * 2012-07-30 2015-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連携システム、画像処理連携方法、携帯端末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連携プログラム
JP5720661B2 (ja) * 2012-11-30 2015-05-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画像処理連携システム、画面データ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330A1 (ko) * 2015-06-02 2016-12-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상이한 실행 가능 문서 파일 포맷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방법,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681677B1 (ko) * 2015-06-23 2016-12-01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모바일용 erp 애플리케이션의 작동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CN113836602A (zh) * 2015-12-21 2021-12-2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CN113836602B (zh) * 2015-12-21 2024-03-29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KR20200018574A (ko) * 2017-06-16 2020-02-1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규칙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US11809217B2 (en) 2017-06-16 2023-1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ules based user interface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14987B2 (en) 2017-04-04
US20150029541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31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US9250847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4145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nfc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작업의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US10289351B2 (e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P28332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NFC-related service provision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US10229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write ta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96179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US2014016868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nfc device thereof
KR20150114765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nfc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EP283361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for forming wireless configuration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S100887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I) screen customized to NFC device
US93110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supporting NFC fun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thereof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