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189A -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189A
KR20150013189A KR1020147032745A KR20147032745A KR20150013189A KR 20150013189 A KR20150013189 A KR 20150013189A KR 1020147032745 A KR1020147032745 A KR 1020147032745A KR 20147032745 A KR20147032745 A KR 20147032745A KR 20150013189 A KR20150013189 A KR 2015001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ate
ppm
disease
salt
quino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395B1 (ko
Inventor
히로시 야마시타
데츠야 사토
다쿠야 미노와
유스케 호시카
히데카즈 도요후쿠
다츠야 야마구치
마사히로 소타
슈우지 가와노
다카유키 나카무라
료헤이 에토
다쿠마 이케부치
게이 모리야마
노부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4285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1318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우수한 중추 신경계 질환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IHYDRATE OF BENZOTHIOPHENE COMPOUND OR OF A SALT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치환기(들)를 갖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은 도파민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 활성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 활성), 세로토닌 5-HT2A 수용체 길항제 활성 (5-HT2A 수용체 길항제 활성), 및 아드레날린 α1 수용체 길항제 활성 (α1 수용체 길항제 활성) 이외에, 세로토닌 흡수 저해 활성 (또는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 활성) 을 갖는 활성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PTL) 1). 이 활성 성분은 중추 신경계 질환 (특히 정신분열병) 에 대해서 다양한 치료 스펙트럼을 가진다.
약학 분야에 있어서, 치료가 필요한 다양한 환자의 질병의 중증도, 환자 성향, 및 기타 요인에 따라 적합한 약학 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PTL 1 에 개시된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은 신경 질환에 대해서 다양한 치료 스펙트럼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다.
PTL 1: JP2006-316052A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우수한 중추 신경계 질환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우수한 중추 신경계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PTL 1 에 개시된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중에서,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이하, "본 발명의 2수화물" 이라고도 한다) 의 형태인 특정한 벤조티오펜 화합물이 원하는 치료제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2수화물을 중추 신경계 질환 치료용 근육내 주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것은 매우 효과적인 약리 활성 물질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수화물의 형태인 식 (I) 로 나타내는 신규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을 제공하며, 또한 공업적으로 유리한 2수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목 1 내지 14 에 나타내는 신규의 2수화물, 이의 제조 방법, 및 2수화물을 포함하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을 제공한다.
항목 1.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항목 2. 상기 항목 1 에 있어서, 단색광기를 통한 λ = 1.5418 Å 의 구리 방사선에 의해 측정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8.1°, 8.9°, 15.1°, 15.6° 및 24.4° 의 회절각 (2θ)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항목 3. 상기 항목 1 또는 2 에 있어서, 브롬화칼륨 정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서, 3509 ㎝-1, 2934 ㎝-1, 2812 ㎝-1, 1651 ㎝-1, 1626 ㎝-1, 1447 ㎝-1, 1223 ㎝-1 및 839 ㎝-1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항목 4. 상기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만 스펙트럼에서, 1497 ㎝-1, 1376 ㎝-1, 1323 ㎝-1, 1311 ㎝-1, 1287 ㎝-1, 1223 ㎝-1 및 781 ㎝-1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항목 5. 상기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물을 6.5 내지 8.8 wt.% 의 양으로 함유하는 2수화물.
항목 6. 상기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H-NMR 스펙트럼에서, 하기에서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1.64 ppm (tt, J=7.4Hz, J=7.4Hz, 2H),
1.80 ppm (tt, J=7.0Hz, J=7.0Hz, 2H),
2.44 ppm (t, J=7.5Hz, 2H),
2.62 ppm (br, 4H),
3.06 ppm (br, 4H),
3.32 ppm (s, 4H + H2O),
4.06 ppm (t, J=6.5Hz, 2H),
6.29 ppm (d, J=9.5Hz,1H),
6.80 ppm (d, J=2.5Hz, 1H),
6.80 ppm (dd, J=2.5Hz, J=9.0Hz, 1H),
6.88 ppm (d, J=7.5Hz, 1H),
7.27 ppm (dd, J=7.8Hz, J=7.8Hz, 1H),
7.40 ppm (dd, J=0.5Hz, J=5.5Hz, 1H),
7.55 ppm (d, J=9.0Hz, 1H),
7.61 ppm (d, J=8.0Hz, 1H),
7.69 ppm (d, J=5.5Hz, 1H),
7.80 ppm (d, J=9.5Hz, 1H), 및
11.57 ppm (s, 1H).
항목 7.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의 제조 방법:
(1) 아세트산 및 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산, 에탄올-물 혼합 용액 및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을 혼합하여 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 에서 수득한 용액을 5 ℃ 이하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및
(3) 단계 (2) 에서 냉각시킨 용액을 알칼리와 혼합하여 용액의 pH 를 7 이상으로 조절하는 단계.
항목 8. 항목 7 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항목 9. 상기 항목 1 내지 6 및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2수화물 및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무수물을 포함하며, 2수화물이 60 wt.% 이상의 양으로 화합물 중에 함유되는, 중추 신경계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벤조티오펜 화합물.
항목 10. 상기 항목 1 내지 6 및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2수화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추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항목 11. 상기 항목 10 에 있어서, 정신분열병, 치료-내성, 난치성 및 만성 정신분열병, 감정 장애, 정신 장애, 기분 장애, 양극성 장애, 조증, 우울증, 내인성 우울증, 주요 우울증, 멜랑코리성 및 치료-내성 우울증, 기분부전 장애, 순환성 장애, 불안 장애, 신체형 장애, 인위적 장애, 해리 장애, 성적 장애, 섭식 장애, 수면 장애, 적응 장애, 물질 관련 장애, 무쾌감증, 섬망, 인지 장애,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및 기타 신경변성 질환과 관련된 인지 장애, 인지 장애에 의한 BPSD, 정신분열병에서의 인지 장애, 치료-내성, 난치성 또는 만성 정신분열병에 의한 인지 장애, 구토, 멀미, 비만, 편두통, 통증, 정신 지체, 자폐증, 투렛 증후군, 틱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행동 장애 및 다운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중추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
항목 12. 상기 항목 1 내지 6 및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2수화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도파민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 및/또는 5-HT2A 수용체 길항제 및/또는 세로토닌 흡수 저해제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 및/또는 α1 수용체 길항제.
항목 13. 상기 항목 1 내지 6 및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2수화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후술하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수화물이 제공된다.
항목 14. 단색광기를 통한 λ = 1.5418 Å 의 구리 방사선에 의해 측정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7.7°, 9.4°, 11.8°, 18.9° 및 24.0° 의 회절각 (2θ)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갖는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의 수화물.
이하에서, 본 발명의 2수화물 및 2수화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에서 언급되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은 식 (I) 로 나타내는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이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따른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은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무수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을 생성하는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무수물 형태) 은 공지의 화합물이며, JP2006-316052A 의 실시예 1 에 개시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또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참고예 1 및 2 에 따라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은 상술한 단계 (1) 내지 (3)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단계 (1) 에서는, 아세트산 및 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산, 에탄올-물 혼합 용액 및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무수물 형태) 을 혼합하여 산 용액을 제조한다.
유기산으로서 사용되는 락트산은 D-체, L-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단계 (1) 에서 사용되는 에탄올-물 혼합 용액은 에탄올을 바람직하게는 약 95 부피%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부피%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 부피%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도록 제조된다. 에탄올-물 혼합 용액이 에탄올을 95 부피%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경우,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을 수득할 수 있다. 용액 중의 에탄올의 양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20 부피%,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부피% 이다.
에탄올-물 혼합 용액 중의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30 wt.%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20 wt.%,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 wt.% 이다.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농도를 상기 범위로 설정하는 경우,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을 에탄올-물 혼합 용액에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후속 단계 (단계 (2) 및 (3)) 를 수행함으로써 고순도의 2수화물을 수득할 수 있다.
에탄올-물 혼합 용액 중의 유기산의 양은, 계를 산성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기산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0 wt.%,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wt.% 의 양으로 함유된다.
유기산의 양은, 계를 산성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기산은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된다.
단계 (1) 에서 용액을 제조하는 온도는, 하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을 상기 유기산 및 에탄올-물 혼합 용액을 함유하는 액체에 용해시키고; 에탄올, 물 또는 유기산을 증발시키지 않으며; 벤조티오펜 화합물을 분해시키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120 ℃,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100 ℃ 이다. 환류 온도 (약 80 ℃) 를 사용할 수 있다.
단계 (2) 에서는, 단계 (1) 에서 수득한 용액을 냉각시킨다.
냉각 온도는 5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 ℃ 이하,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다. 후속 단계에서 용액의 pH 를 알칼리로 조절하는 경우, 열이 생성된다. 그러므로, 냉각 온도가 5 ℃ 초과인 경우, 본 발명의 2수화물의 수율이 불충분한 경향이 있다. 단계 (2) 에서의 냉각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후속 단계에서 온도를 상승시켜야 하며, 물이 냉각될 수 있다는 사실의 관점에서, 냉각 온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약 -20 ℃,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 이다.
단계 (3) 에서는, 단계 (2) 에서 냉각시킨 용액을 알칼리와 혼합하여 pH 를 7 이상으로 조절한다. 알칼리의 예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포함한다.
단계 (2) 에서 냉각시킨 용액을 알칼리와 혼합하기 위해서, 미리 제조한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수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약 0.1 내지 25 wt.%,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 wt.% 이다.
상술한 알칼리 (수용액) 의 첨가에 의한 계 중에서의 혼합 용액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알칼리 (수용액) 는 바람직하게는 예비-냉각시킨다. 알칼리 (수용액) 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 ℃,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 ℃ 이다.
알칼리의 양은, 계 중의 용액의 pH 를 7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칼리는 단계 (1) 에서의 용액에 혼입되는 유기산의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0 중량부,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단계 (3) 에서는, 알칼리에 의해서 용액의 pH 를 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5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 이상으로 조절한다. pH 가 7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의 2수화물의 수율이 불충분한 경향이 있다. pH 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침전된 2수화물의 세정 및 강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염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pH 약 12,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약 10 이다.
단계 (1) 내지 (3) 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2수화물이 침전된다.
본 발명의 침전된 2수화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고체상 및 액체상으로 분리하고, 물로 세정하여 정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득된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은 약 10 ℃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 ℃ 로 가열한다.
Figure pct00003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는 본 발명의 2수화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하기에 나타낸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는 본 발명의 2수화물의 결정형은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는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X-선 분말 회절
본 발명의 2수화물은 단색광기를 통한 λ = 1.5418 Å 의 구리 방사선에 의해 측정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의해서 확인된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은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도 2 에 나타내는 피이크를 가지며,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하기의 회절각 (2θ)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가진다. 이들 피이크는 공지의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무수물 형태) 의 피이크와 상이하다.
회절각 (2θ)
8.1°
8.9°
15.1°
15.6°
24.4°
본 발명의 2수화물은 상기 피이크 이외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기의 회절각 (2θ) 에서 피이크를 가진다.
회절각 (2θ)
11.6°, 12.2°, 14.0°, 16.3°, 18.1°, 18.4°, 18.9°, 19.5°, 20.5°, 21.5°, 22.6°, 23.3°, 25.0°, 26.1°, 26.4°, 27.1°, 28.1°, 28.5°, 28.9°, 29.8°, 30.4°, 30.7°, 31.6°, 32.9°, 33.9°, 34.4°, 35.2°, 36.0°, 36.7°, 37.4°, 38.3°.
상기 회절각 (2θ) 은 측정 장치, 측정 조건 등에 따라서 -0.2 내지 +0.2° 의 오차를 함유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준의 오차는 본 발명에서 허용 가능한 범위내이다.
Figure pct00005
적외선 흡수 측정
본 발명의 2수화물은 브롬화칼륨 정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서 확인된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서, 본 발명의 2수화물은 도 3 에 나타내는 스펙트럼을 가지며, 하기의 파수 (㎝-1) 에서 피이크를 가진다:
파수
3509 ㎝-1
2934 ㎝-1
2812 ㎝-1
1651 ㎝-1
1626 ㎝-1
1447 ㎝-1
1223 ㎝-1
839 ㎝-1
본 발명의 2수화물은 상기 피이크 이외에, 도 3 에 나타내는 파수에서 피이크를 가진다.
파수 (㎝-1) 는 측정 장치, 측정 조건 등에 따라서 -0.5 내지 +0.5 % 의 오차를 함유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준의 오차는 본 발명에서 허용 가능한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은 라만 스펙트럼에 의해서 확인된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은 도 4 에 나타내는 스펙트럼을 가지며, 하기의 파수 (㎝-1) 부근에서 피이크를 가진다:
파수
1497 ㎝-1
1376 ㎝-1
1323 ㎝-1
1311 ㎝-1
1287 ㎝-1
1223 ㎝-1
781 ㎝-1
본 발명의 2수화물은 상기 피이크 이외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기의 파수 부근에서 피이크를 가진다:
파수
1656 ㎝-1, 1613 ㎝-1, 1563 ㎝-1, 1512 ㎝-1, 1468 ㎝-1, 1446 ㎝-1, 1241 ㎝-1, 1203 ㎝-1, 1145 ㎝-1, 1096 ㎝-1, 1070 ㎝-1, 971 ㎝-1, 822 ㎝-1
Figure pct00006
물 함량
본 발명의 2수화물은 물을 6.5 내지 8.8 wt.%, 및 보다 구체적으로 7.3 내지 8.1 wt.% 의 양으로 함유한다. 물 함량은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서 측정된다.
Figure pct00007
1H-NMR 측정
본 발명의 2수화물은 1H-NMR 분광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이크에 의해서 확인된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은 도 1 에 나타내는 1H-NMR 스펙트럼을 가지며, 하기 실시예 1 에서 측정되는 1H-NMR 스펙트럼에서, 프로톤 피이크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수화물은 상술한 2수화물의 제조 방법 동안에 수득된다. 수화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X-선 분말 회절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수화물은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도 10 에 나타내는 피이크를 가지며, 하기의 회절각 (2θ)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가진다. 이들 피이크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공지의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무수물 형태) 의 피이크와 상이하다.
회절각 (2θ)
7.7°
9.4°
11.8°
18.9°
24.0°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수화물은 상기 피이크 이외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기의 회절각 (2θ) 에서 피이크를 가진다.
회절각 (2θ)
5.7°, 8.1°, 8.8°, 10.7°, 12.6°, 13.6°, 13.9°, 15.0°, 15.6°, 16.6°, 17.2°, 17.7°, 19.8°, 20.4°, 21.2°, 21.6°, 22.2°, 23.1°, 25.2°, 25.8°, 26.7°, 27.2°, 27.9°, 28.7°, 29.3°, 30.2°, 31.2°, 33.4°
Figure pct00009
본 발명의 2수화물을 함유하는 벤조티오펜 화합물
본 발명은 또한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무수물을 포함하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을 제공한다. 벤조티오펜 화합물은 중추 신경계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은 본 발명의 2수화물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탈수물과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수화물과의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벤조티오펜 화합물은 2수화물을 바람직하게는 60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wt.%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wt.% 이상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은 원하는 평균 입자 직경으로 추가로 분쇄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분쇄 방법은 건식 밀링 공정 및 습식 밀링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밀링 공정에 사용 가능한 밀의 예는 제트 밀, 볼 밀 (예, 다이노-밀), 및 기타 저 에너지 밀 (예, 롤러 밀), 및 고 에너지 밀을 포함한다. 고 에너지 밀의 예는 네취 밀, DC 밀, 유성형 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쇄된 2수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 ㎛,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진다. 분쇄된 2수화물은 본 발명의 2수화물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평균 입자 직경" 은 레이저 광 산란 (LLS)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부피 평균 직경을 나타낸다. 입자 크기 분포는 LLS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며, 평균 입자 직경은 상기 입자 크기 분포로부터 산출된다.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에서 언급되는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염의 예는 알칼리 금속염 (예, 나트륨염 및 칼륨염), 알칼리 토금속염 (예,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등의 금속염; 암모늄염, 알칼리 금속 탄산염 (예, 탄산리튬,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및 탄산세슘), 알칼리 금속 탄산수소염 (예,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수소칼륨),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세슘) 등의 무기 염기의 염; 트리(저급)알킬아민 (예,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피리딘, 퀴놀린, 피페리딘, 이미다졸, 피콜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저급)알킬-모르폴린 (예, N-메틸모르폴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 (DBN),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DBU),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DABCO) 등의 유기 염기의 염; 및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메이트, 하이드로요오다이드, 설페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등의 무기산의 염;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카보네이트, 피크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에탄술포네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글루타메이트 등의 유기산의 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저급) 알킬" 은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 을 나타낸다.
식 (I) 의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공결정 또는 공결정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공결정 또는 공결정염" 은 실온에서 2 개 이상의 독특한 고체로 구성된 결정질 물질을 의미하며, 각각은 특이한 물리적 특성 (예, 구조, 융점 및 융해열) 을 함유한다. 공결정 및 공결정염은 공지의 공결정화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ct00010
본 발명의 2수화물을 함유하는 약학 제제
본 발명의 2수화물은 중추 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학 제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약학 제제는 통상적인 약학 제제의 형태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희석제 및 부형제, 예를 들어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보습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약학 제제의 형태는 치료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는 정제, 환제, 분말제, 용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캡슐제, 좌제, 주사제 (용액제, 현탁제 등) 등을 포함한다.
정제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각종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예는 락토오스, 백당,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요소, 전분, 탄산칼슘, 카올린, 결정질 셀룰로오스, 규산, 및 기타 부형제; 물, 에탄올, 프로판올, 단미 시럽, 글루코오스 용액, 전분 용액, 젤라틴 용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셸락, 메틸셀룰로오스, 인산칼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기타 결합제; 건조 전분, 나트륨 알기네이트, 한천 분말, 라미나린 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리드, 전분, 락토오스, 및 기타 붕괴제; 백당, 스테아린, 카카오 버터, 경화유, 및 기타 붕괴 억제제; 4차 암모늄 염기,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기타 흡수 촉진제; 글리세롤, 전분, 및 기타 보습제; 전분, 락토오스, 카올린,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규산, 및 기타 흡착제; 정제 탈크, 스테아레이트, 붕산 분말,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 윤활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정제는, 예를 들어 당의정, 젤라틴-코팅 정제, 장용-코팅 정제, 필름-코팅 정제, 이층 또는 다층 정제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전형적인 코팅 물질로 코팅할 수 있다.
환제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각종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예는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전분, 카카오 버터, 수소화 식물유, 카올린, 탈크, 및 기타 부형제; 분말화 아카시아, 분말화 트라가칸트, 젤라틴, 에탄올, 및 기타 결합제; 라미나린, 한천, 및 기타 붕괴제 등을 포함한다.
좌제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각종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카오 버터, 고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 젤라틴, 반합성 글리세리드 등을 포함한다.
캡슐제는 활성 성분을 상술한 담체와 혼합하고, 생성물을 경질 젤라틴 캡슐제, 연질 캡슐제 등에 넣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주사제를 형성하기 위해서,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을 살균시키고, 바람직하게는 혈액에 등장성이게 한다. 이 분야에서의 상기 형태에 널리 사용되는 임의의 희석제를 주사제를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희석제의 예는 물, 에탄올, 마크로골, 프로필렌 글리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약학 제제는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또는 글리세롤을, 등장 용액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적인 용해보조제, 완충제, 진통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약학 제제는 착색제, 방부제, 방향제, 풍미제, 감미제 등, 및/또는 기타 의약품을 함유할 수 있다.
약학 제제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2수화물의 양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양은 일반적으로 약학 제제의 약 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약학 제제의 투여 경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제는 제제의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기타 조건, 및 질병의 상태에 적합한 경로로 투여된다. 예를 들어, 정제, 환제, 용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및 캡슐제는 경구 투여된다. 주사제는 단독으로 정맥 투여되거나 글루코오스 용액, 아미노 산 용액 등과 같은 전형적인 주사 수액과 혼합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근육내, 피내, 피하 또는 복강내에 단독 투여된다. 좌제는 직장내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약학 제제의 투여량은 사용 방법, 환자의 연령, 성별 및 기타 조건,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10 ㎎/㎏ 체중/일이다. 또한, 투여형의 각 단위내의 약학 제제는 활성 성분을 약 1 내지 200 ㎎ 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을 함유하는 약학 제제에 의해 치료되는 중추 신경계 질환의 구체예는 정신분열병, 예를 들어 치료-내성, 난치성 및 만성 정신분열병, 감정 장애, 정신 장애, 기분 장애, 양극성 장애 (예, I형 양극성 장애 및 II형 양극성 장애), 조증, 우울증, 내인성 우울증, 주요 우울증, 멜랑코리성 및 치료-내성 우울증, 기분부전 장애, 순환성 장애, 불안 장애 (예, 공황 발작, 공황 장애, 광장공포증, 사회 공포증, 강박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범 불안 장애 및 급성 스트레스 장애), 신체형 장애 (예, 히스테리, 신체화 장애, 전환 장애, 통증 장애 및 심기증), 인위적 장애, 해리 장애, 성적 장애 (예, 성 기능장애, 성욕 장애, 성적 흥분 장애 및 발기 부전), 섭식 장애 (예, 거식증 및 폭식증), 수면 장애, 적응 장애, 물질 관련 장애 (예, 알코올 남용, 알코올 중독 및 약물 중독, 암페타민 중독, 및 마약중독), 무쾌감증 (예, 의인 무쾌감증, 심리적 또는 정신적 원인의 무쾌감증, 우울증과 관련된 무쾌감증, 정신분열병과 관련된 무쾌감증), 섬망, 인지 장애,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및 기타 신경변성 질환과 관련된 인지 장애, 인지 장애에 의한 BPS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정신분열병에서의 인지 장애, 치료-내성, 난치성 또는 만성 정신분열병에 의한 인지 장애, 구토, 멀미, 비만, 편두통, 통증, 정신 지체, 자폐 장애 (자폐증), 투렛 증후군, 틱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행동 장애, 다운 증후군 등; 및 기타 각종 중추 신경계 질환을 포함한다.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을 함유하는 약학 제제는 이들 중추 신경계 질환의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신규의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특정한 제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2수화물을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수화물을 약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환자에게 투여후에 이의 약리 효과를 현저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2수화물을 근육내 주사제의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근육내 주사후에 자극이 적어 효과적이다.
도 1 은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 는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3 은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 는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 는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 은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7 은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8 은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9 는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0 은 참고예 3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2수화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11 은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식 (I) 로 나타내는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무수물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2 는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무수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도 13 은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벤조티오펜 화합물의 무수물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4 는 개의 허벅지 근육에 주입한 후의 화합물 (I) 의 평균 혈중 농도-시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예 1: 7-(4-클로로부톡시)-1H-퀴놀린-2-온의 합성
메탄올 (149 L), 7-히드록시-1H-퀴놀린-2-온 (14.87 ㎏) 및 수산화칼륨 (6.21 ㎏) 을 혼합하고 교반하였다. 용해 후, 이것에 1-브로모-4-클로로부탄 (47.46 ㎏) 을 추가로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환류하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1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원심분리하고, 메탄올 (15 L) 로 세정하였다. 습식 결정을 수집하여 탱크에 넣었다. 이것에 물 (149 L) 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원심분리 후, 수득된 고체를 물 (30 L) 로 세정하였다. 습식 결정을 수집하여 탱크에 넣었다. 메탄올 (74 L) 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환류하에서 교반하고, 10 ℃ 까지 냉각시킨 후,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원심분리하고, 메탄올 (15 L) 로 세정하였다. 분리된 결정을 60 ℃ 에서 건조시켜 7-(4-클로로부톡시)-1H-퀴놀린-2-온 (15.07 ㎏) 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2: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의 합성
물 (20 L), 탄산칼륨 (1.84 ㎏), 1-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12 ㎏) 및 에탄올 (8 L) 을 50 ℃ 에서 혼합하고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에 참고예 1 에서 수득한 7-(4-클로로부톡시)-1H-퀴놀린-2-온 (2.80 ㎏) 을 첨가하고, 9 시간 동안 환류하에서 교반하였다. 상압하에서 용매 (8 L) 를 농축시킨 후, 혼합물을 9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9 ℃ 까지 냉각시켰다. 침전된 결정을 원심분리하고, 이어서 물 (8 L) 및 에탄올 (6 L)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였다. 분리된 결정을 60 ℃ 에서 건조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미정제 생성물 (4.82 ㎏) 및 에탄올 (96 L) 을 반응 용기에서 혼합하고, 아세트산 (4.8 L) 을 반응 용기에 주입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환류하에서 교반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용해시켰다. 염산 (1.29 ㎏) 을 주입한 후, 혼합물을 10 ℃ 까지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다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7 ℃ 까지 냉각시켰다. 침전된 결정을 원심분리하고, 에탄올 (4.8 L) 로 세정하였다. 분리된 결정을 60 ℃ 에서 건조시켜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09 ㎏) 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00 ㎏), 에탄올 (45 L) 및 물 (30 L) 을 반응 용기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교반하여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용해시켰다. 이것에 활성탄 (500 g) 및 물 (5 L) 을 첨가하고, 30 분간 환류하에서 활성탄 처리를 수행하였다. 핫 여과를 수행한 후, 물 (1.5 L) 에 용해시킨 수산화나트륨 (511 g) 을 함유하는 용액을, 여과액을 환류하에서 교반하면서, 반응 용기에 유입시켰다. 30 분간 환류하에서 교반한 후, 이것에 물 (10 L) 을 주입하고, 혼합물을 약 40 ℃ 까지 냉각시켰다. 침전된 결정을 원심분리하고, 물 (125 L) 로 세정하였다. 분리된 결정을 80 ℃ 에서 건조시켜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3.76 ㎏)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2수화물의 제조
참고예 2 에서 수득한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3.2 ㎏), 에탄올 (64 L), 물 (74 L) 및 아세트산 (1.77 ㎏) 을 반응 용기에서 혼합하여 산성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교반하여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을 용해시켰다 (환류 온도: 84 ℃). -5 ℃ 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수득한 용액을 30 분에 걸쳐서, 0 ℃ 까지 냉각시킨 25 % 수산화나트륨 (5.9 ㎏) 및 물 (54 L) 을 함유하는 용액에 주입하여, pH10 의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5 ℃ 이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20 내지 30 ℃ 로 가열하고, 추가로 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고체 성분중의 알칼리가 사라질 때까지 (즉, 여과액의 pH 값이 7 이 될 때까지), 물 (320 L) 로의 세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고체 성분을 중량이 일정하게 될 때까지 공기 건조시켜 백색 고체의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2수화물 (비분쇄, 3.21 ㎏) 을 수득하였다.
도 1 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1H-NMR 스펙트럼 (DMSO-d6, TMS) 을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H-NMR 스펙트럼 (DMSO-d6, TMS) 에서, 피이크는 1.64 ppm (tt, J = 7.4 Hz, J = 7.4 Hz, 2H), 1.80 ppm (tt, J = 7.0 Hz, J = 7.0 Hz, 2H), 2.44 ppm (t, J = 7.5 Hz, 2H), 2.62 ppm (br, 4H), 3.06 ppm (br, 4H), 3.32 ppm (s, 4H + H2O), 4.06 ppm (t, J = 6.5 Hz, 2H), 6.29 ppm (d, J = 9.5 Hz, 1H), 6.80 ppm (d, J = 2.5 Hz, 1H), 6.80 ppm (dd, J = 2.5 Hz, J = 9.0 Hz, 1H), 6.88 ppm (d, J = 7.5 Hz, 1H), 7.27 ppm (dd, J = 7.8 Hz, J = 7.8 Hz, 1H), 7.40 ppm (dd, J = 0.5 Hz, J = 5.5 Hz, 1H), 7.55 ppm (d, J = 9.0 Hz, 1H), 7.61 ppm (d, J = 8.0 Hz, 1H), 7.69 ppm (d, J = 5.5 Hz, 1H), 7.80 ppm (d, J = 9.5 Hz, 1H) 및 11.57 ppm (s, 1H)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X-선 회절계 (D8 ADVANCE, Bruker AXS 제)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 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에서, 회절 피이크는 2θ = 8.1°, 8.9°, 15.1°, 15.6° 및 24.4°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 회절 피이크는 또한 2θ = 11.6°, 12.2°, 14.0°, 16.3°, 18.1°, 18.4°, 18.9°, 19.5°, 20.5°, 21.5°, 22.6°, 23.3°, 25.0°, 26.1°, 26.4°, 27.1°, 28.1°, 28.5°, 28.9°, 29.8°, 30.4°, 30.7°, 31.6°, 32.9°, 33.9°, 34.4°, 35.2°, 36.0°, 36.7°, 37.4° 및 38.3°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IR (KB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3 은 IR (KB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R (KBr) 스펙트럼에서, 흡수 밴드는 파수 3509 ㎝-1, 2934 ㎝-1, 2812 ㎝-1, 1651 ㎝-1, 1626 ㎝-1, 1447 ㎝-1, 1223 ㎝-1 및 839 ㎝-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4 는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만 스펙트럼에서, 흡수 밴드는 파수 1497 ㎝-1, 1376 ㎝-1, 1323 ㎝-1, 1311 ㎝-1, 1287 ㎝-1, 1223 ㎝-1 및 781 ㎝-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 흡수는 또한 파수 1656 ㎝-1, 1613 ㎝-1, 1563 ㎝-1, 1512 ㎝-1, 1468 ㎝-1, 1446 ㎝-1, 1241 ㎝-1, 1203 ㎝-1, 1145 ㎝-1, 1096 ㎝-1, 1070 ㎝-1, 971 ㎝-1 및 822 ㎝-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물 함량을, 수분계 (CA-100,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 Co., Ltd. 제) 를 사용하여, Karl Fische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2수화물은 7.79 중량% 의 물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2: 미세 분쇄 2수화물의 제조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2수화물 결정 (2.73 ㎏) 을 제트 밀을 사용하여 분쇄시켰다. 여기에서, 공기압은 5 ㎏f/㎠ 로 설정하였으며, 공급기의 회전 속도는 20 rpm 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미세 분쇄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2수화물 (2.61 ㎏, 95.6 %) 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2수화물 (미세 분쇄물) 은 5.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졌다. 평균 입자 직경은 Nikkiso Co., Ltd. 제의 Microtrack HRA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 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1H-NMR 스펙트럼 (DMSO-d6, TMS) 을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H-NMR 스펙트럼 (DMSO-d6, TMS) 에서, 피이크는 1.64 ppm (tt, J = 7.3 Hz, J = 7.3 Hz, 2H), 1.80 ppm (tt, J = 6.9 Hz, J = 6.9 Hz, 2H), 2.44 ppm (t, J = 7.3 Hz, 2H), 2.62 ppm (br, 4H), 3.06 ppm (br, 4H), 3.32 ppm (s, 4H + H2O), 4.06 ppm (t, J = 6.5 Hz, 2H), 6.29 ppm (d, J = 9.5 Hz, 1H), 6.80 ppm (d, J = 2.5 Hz, 1H), 6.80 ppm (dd, J = 2.3 Hz, J = 9.3 Hz, 1H), 6.88 ppm (d, J = 7.5 Hz, 1H), 7.27 ppm (dd, J = 8.0 Hz, J = 8.0 Hz, 1H), 7.40 ppm (d, J = 5.5 Hz, 1H), 7.55 ppm (d, J = 9.5 Hz, 1H), 7.61 ppm (d, J = 8.0 Hz, 1H), 7.69 ppm (d, J = 5.5 Hz, 1H), 7.80 ppm (d, J = 9.5 Hz, 1H) 및 11.57 ppm (s, 1H)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도 6 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에서, 회절 피이크는 2θ = 8.2°, 8.9°, 15.2°, 15.7° 및 24.4°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 회절 피이크는 또한 2θ = 6.8°, 12.2°, 14.0°, 14.5°, 17.4°, 18.1°, 18.5°, 19.0°, 19.2°, 19.6°, 20.3°, 20.6°, 21.5°, 22.7°, 23.4°, 25.0°, 26.1°, 27.1°, 28.6°, 29.0°, 30.4°, 34.0°, 34.5°, 35.3° 및 36.7°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IR (KBr) 스펙트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도 7 은 IR (KB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R (KBr) 스펙트럼에서, 흡수 밴드는 파수 3507 ㎝-1, 2936 ㎝-1, 2812 ㎝-1, 1651 ㎝-1, 1626 ㎝-1, 1447 ㎝-1, 1223 ㎝-1 및 839 ㎝-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8 은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만 스펙트럼에서, 흡수 밴드는 파수 1496 ㎝-1, 1376 ㎝-1, 1323 ㎝-1, 1311 ㎝-1, 1286 ㎝-1, 1223 ㎝-1 및 781㎝-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 흡수는 또한 파수 1656 ㎝-1, 1614 ㎝-1, 1563 ㎝-1, 1512 ㎝-1, 1467 ㎝-1, 1446 ㎝-1, 1241 ㎝-1, 1203 ㎝-1, 1145 ㎝-1, 1095 ㎝-1, 1069 ㎝-1, 971 ㎝-1 및 822 ㎝-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물 함량을, 수분계 (CA-100,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 Co., Ltd. 제) 를 사용하여, Karl Fische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2수화물은 6.74 중량% 의 물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3: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2수화물의 제조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5.0 ㎏), 에탄올 (100 L), 물 (115 L) 및 DL-락트산 (2.29 ㎏) 을 혼합하여 산성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액체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교반하여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을 용해시켰다 (환류 온도: 82 ℃). -5 ℃ 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수득한 용액을 약 15 분에 걸쳐서, 1 ℃ 까지 냉각시킨 수산화나트륨 (1.48 ㎏) 및 물 (135 L) 을 함유하는 용액에 주입하여, pH11 의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약 2 내지 5 ℃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45 ℃ 로 가열하고, 추가로 45 내지 50 ℃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고체 성분중의 알칼리가 사라질 때까지 (즉, 여과액의 pH 값이 7 이 될 때까지), 물 (200 L) 로의 세정을 수행하였다. 고체 성분을 추가로 에탄올 (15 L) 과 물 (20 L) 의 액체 혼합물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고체 성분을 중량이 일정하게 될 때까지 실온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의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2수화물 (비분쇄, 5.11 ㎏) 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2수화물은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것과 동일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2수화물의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9 는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만 스펙트럼에서, 흡수 밴드는 파수 1497 ㎝-1, 1376 ㎝-1, 1323 ㎝-1, 1311 ㎝-1, 1287 ㎝-1, 1223 ㎝-1 및 782 ㎝-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 흡수는 또한 파수 1656 ㎝-1, 1614 ㎝-1, 1563 ㎝-1, 1512 ㎝-1, 1468 ㎝-1, 1446 ㎝-1, 1241 ㎝-1, 1203 ㎝-1, 1145 ㎝-1, 1126 ㎝-1, 1096 ㎝-1, 1070 ㎝-1, 972 ㎝-1 및 822 ㎝-1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참고예 3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무수물 (7 g), 에탄올 (140 mL), 물 (161 mL) 및 락트산 (2.7 mL) 을 반응 용기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 환류시켜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무수물을 용해시켰다. 약 -10 ℃ 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수득한 용액을 교반하면서, 약 0 ℃ 까지 냉각시킨 수산화나트륨 (2.1 g) 및 물 (189 mL) 을 함유하는 용액에 주입하였다. 약 0 ℃ 의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고체-액체 분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수화물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도 10 은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에서, 회절 피이크는 2θ = 7.7°, 9.4°, 11.8°, 18.9° 및 24.0°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 회절 피이크는 또한 2θ = 5.7°, 8.1°, 8.8°, 10.7°, 12.6°, 13.6°, 13.9°, 15.0°, 15.6°, 16.6°, 17.2°, 17.7°, 19.8°, 20.4°, 21.2°, 21.6°, 22.2°, 23.1°, 25.2°, 25.8°, 26.7°, 27.2°, 27.9°, 28.7°, 29.3°, 30.2°, 31.2° 및 33.4° 에서 관찰되었다.
비교예 1: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무수물의 제조
참고예 2 에서 제조한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700 g), 에탄올 (14 L) 및 아세트산 (1.4 L) 을 반응 용기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온도 (76 ℃) 로 가열하여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을 용해시켰다. 이것에, 추가로 진한 염산 (158 mL) 을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0 ℃ 까지 냉각시켰다. 그 후, 혼합물을 다시 가열하고, 환류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8 ℃ 까지 냉각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흡입에 의해 여과하고, 에탄올 (0.7 L) 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고체 성분을 중량이 일정하게 될 때까지 60 ℃ 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의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814 g) 를 수득하였다.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800 g), 에탄올 (7.2 L) 및 물 (4.8 L) 을 반응 용기에서 혼합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환류 온도 (80 ℃) 로 가열하였다. 핫 여과를 수행한 후, 혼합물을 78 ℃ 로 다시 가열하고, 여과액 중에 침전된 결정을 용해시켰다. 물 (240 mL) 에 용해시킨 수산화나트륨 (81.6 g) 을 함유하는 용액을 상기 수득한 용액에 유입시키고, 혼합물을 30 분간 환류하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물 (2.4 L) 을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40 ℃ 까지 냉각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16 L) 로 세정하였다. 고체를 80 ℃ 에서 여과하여 백색 고체의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무수물 (637 g) 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무수물의 1H-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도 11 은 1H-NMR 스펙트럼 (DMSO-d6, TMS) 을 나타낸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H-NMR 스펙트럼 (DMSO-d6, TMS) 에서, 피이크는 1.63 ppm (tt, J = 7.3 Hz, J = 7.1 Hz, 2H), 1.80 ppm (tt, J = 7.3 Hz, J = 6.3 Hz, 2H), 2.44 ppm (t, J = 7.1 Hz, 2H), 2.61 ppm (m, 4H), 3.05 ppm (m, 4H), 4.05 ppm (t, J = 6.3 Hz, 2H), 6.29 ppm (d, J = 9.5 Hz, 1H), 6.80 ppm (d, J = 2.5 Hz, 1H), 6.80 (dd, J = 9.4 Hz, J = 2.5 Hz, 1H), 6.88 ppm (dd, J = 7.8 Hz, 0.8 Hz, 1H), 7.27 ppm (dd, J = 7.8 Hz, J = 7.8 Hz, 1H), 7.39 ppm (dd, J = 5.6 Hz, 0.8 Hz, 1H), 7.55 ppm (d, J = 9.4 Hz, 1H), 7.61 ppm (d, J = 7.8 Hz, 1H), 7.69 ppm (d, J = 5.6 Hz, 1H), 7.80 ppm (d, J = 9.5 Hz, 1H) 및 11.60 (s, 1H)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수득한 무수물의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도 12 는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분말 회절 스펙트럼에서, 회절 피이크는 2θ = 14.4°, 19.1°, 20.2°, 21.3° 및 23.2° 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수득한 무수물의 IR (KBr) 스펙트럼을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도 13 은 IR (KB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은, IR (KBr) 스펙트럼에서, 파수 2941 ㎝-1, 2818 ㎝-1, 1655 ㎝-1, 1624 ㎝-1, 1449 ㎝-1, 1221 ㎝-1 및 833 ㎝-1 부근에서 흡수 밴드를 가졌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무수물의 물 함량을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수득된 무수물이 0.04 중량% 의 물 함량을 가졌음을 나타냈다.
시험예 1: 근육에서의 약물 잔류의 측정
본 발명의 2수화물 (150 ㎎) 을 후술하는 현탁 매질 (1 mL) 에 분산시키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5 ㎜ 지르코니아 비이드 (1.2 g, 분쇄 시간: 30 min) 를 사용하여 분쇄시켰다. 분쇄에 사용된 현탁 매질은 0.832 % (w/v)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 4.16 % (w/v) 만니톨 및 0.074 % (w/v) 인산이수소 나트륨 1수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이었다. 적당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이의 pH 를 7.0 으로 조절하였다. 이 매질을 사용하여, 각 제제의 농도를 100 ㎎/mL 로 조절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2수화물 (미세 분쇄물) 은 3.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졌다. 무수물을 동일한 방식으로 분쇄시켜, 3.5 ㎛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무수물 (미세 분쇄물) 을 수득하였다.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 (SALD-3000J 또는 SALD-3100, Shimadzu Corporation 제)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술한 절차에 의해서, 본 발명의 2수화물 (미세 분쇄물, 평균 입자 직경: 3.5 ㎛) 또는 무수물 (미세 분쇄물, 평균 입자 직경: 3.5 ㎛) 을 각각 함유하는 주사제를 수득하였다. 표 1 에 이의 처방을 나타낸다.
이렇게 수득한 각 주사제를 25 ㎎/㎏ 의 투여량으로 쥐에 근육내 주사하였다. 각 주사제를 3 마리의 쥐에 주사하였다. 주사 56 일 후, 쥐를 해부하였으며, 근육내에 약물 잔류를 나타내는 쥐의 수를 계수하였다. 표 2 에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시험예 2: 개를 사용한 약동학 시험
본 발명의 2수화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주사제를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방하였다. 각각의 주사제를, 본 발명의 무수물로서 계산한 10 ㎎/㎏ 의 활성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는 투여량으로, 개의 허벅지 근육에 주사하였다. 도 14 는 주사후의 평균 혈중 농도-시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사로부터 30 일 초과 동안 서방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주사 부위에서의 자극은 주사 7 일 후에 관찰되었으며, 결과는 자극이 적었음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13

Claims (13)

  1.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색광기를 통한 λ = 1.5418 Å 의 구리 방사선에 의해 측정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8.1°, 8.9°, 15.1°, 15.6° 및 24.4° 의 회절각 (2θ)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브롬화칼륨 정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서, 3509 ㎝-1, 2934 ㎝-1, 2812 ㎝-1, 1651 ㎝-1, 1626 ㎝-1, 1447 ㎝-1, 1223 ㎝-1 및 839 ㎝-1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만 스펙트럼에서, 1497 ㎝-1, 1376 ㎝-1, 1323 ㎝-1, 1311 ㎝-1, 1287 ㎝-1, 1223 ㎝-1 및 781 ㎝-1 에서 특징적인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6.5 내지 8.8 wt.% 의 양으로 함유하는 2수화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H-NMR 스펙트럼에서, 하기에서 피이크를 갖는 2수화물:
    1.64 ppm (tt, J=7.4Hz, J=7.4Hz, 2H),
    1.80 ppm (tt, J=7.0Hz, J=7.0Hz, 2H),
    2.44 ppm (t, J=7.5Hz, 2H),
    2.62 ppm (br, 4H),
    3.06 ppm (br, 4H),
    3.32 ppm (s, 4H + H2O),
    4.06 ppm (t, J=6.5Hz, 2H),
    6.29 ppm (d, J=9.5Hz, 1H),
    6.80 ppm (d, J=2.5Hz, 1H),
    6.80 ppm (dd, J=2.5Hz, J=9.0Hz, 1H),
    6.88 ppm (d, J=7.5Hz, 1H),
    7.27 ppm (dd, J=7.8Hz, J=7.8Hz, 1H),
    7.40 ppm (dd, J=0.5Hz, J=5.5Hz, 1H),
    7.55 ppm (d, J=9.0Hz, 1H),
    7.61 ppm (d, J=8.0Hz, 1H),
    7.69 ppm (d, J=5.5Hz, 1H),
    7.80 ppm (d, J=9.5Hz, 1H), 및
    11.57 ppm (s, 1H).
  7.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의 제조 방법:
    (1) 아세트산 및 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산, 에탄올-물 혼합 용액 및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을 혼합하여 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 에서 수득한 용액을 5 ℃ 이하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및
    (3) 단계 (2) 에서 냉각시킨 용액을 알칼리와 혼합하여 용액의 pH 를 7 이상으로 조절하는 단계.
  8. 제 7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수화물 및 7-[4-(4-벤조[b]티오펜-4-일-피페라진-1-일)부톡시]-1H-퀴놀린-2-온 또는 이의 염의 무수물을 포함하며, 2수화물이 60 wt.% 이상의 양으로 화합물 중에 함유되는, 중추 신경계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벤조티오펜 화합물.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수화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추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정신분열병, 치료-내성, 난치성 및 만성 정신분열병, 감정 장애, 정신 장애, 기분 장애, 양극성 장애, 조증, 우울증, 내인성 우울증, 주요 우울증, 멜랑코리성 및 치료-내성 우울증, 기분부전 장애, 순환성 장애, 불안 장애, 신체형 장애, 인위적 장애, 해리 장애, 성적 장애, 섭식 장애, 수면 장애, 적응 장애, 물질 관련 장애, 무쾌감증, 섬망, 인지 장애,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및 기타 신경변성 질환과 관련된 인지 장애, 인지 장애에 의한 BPSD, 정신분열병에서의 인지 장애, 치료-내성, 난치성 또는 만성 정신분열병에 의한 인지 장애, 구토, 멀미, 비만, 편두통, 통증, 정신 지체, 자폐증, 투렛 증후군, 틱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행동 장애 및 다운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중추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수화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도파민 D2 수용체 부분 작용제 및/또는 5-HT2A 수용체 길항제 및/또는 세로토닌 흡수 저해제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 및/또는 α1 수용체 길항제.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수화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47032745A 2012-04-23 2013-04-23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0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36920P 2012-04-23 2012-04-23
US61/636,920 2012-04-23
US201361791378P 2013-03-15 2013-03-15
US61/791,378 2013-03-15
PCT/JP2013/062681 WO2013162046A1 (en) 2012-04-23 2013-04-23 Dihydrate of benzothiophene compound or of a salt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189A true KR20150013189A (ko) 2015-02-04
KR102160395B1 KR102160395B1 (ko) 2020-09-28

Family

ID=4842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745A KR102160395B1 (ko) 2012-04-23 2013-04-23 벤조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2수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7)

Country Link
US (5) US9499525B2 (ko)
EP (1) EP2841431B2 (ko)
JP (1) JP5952917B2 (ko)
KR (1) KR102160395B1 (ko)
CN (1) CN104254530B (ko)
AR (1) AR090774A1 (ko)
AU (1) AU2013253372B2 (ko)
BR (1) BR112014026424B1 (ko)
CA (1) CA2870000C (ko)
CO (1) CO7111315A2 (ko)
CY (1) CY1119103T1 (ko)
DK (1) DK2841431T4 (ko)
EA (1) EA026541B1 (ko)
ES (1) ES2617881T5 (ko)
FI (1) FI2841431T4 (ko)
HK (1) HK1203073A1 (ko)
HR (1) HRP20170242T4 (ko)
HU (1) HUE031997T2 (ko)
IL (1) IL235044B (ko)
IN (1) IN2014DN08867A (ko)
JO (1) JO3325B1 (ko)
LT (1) LT2841431T (ko)
ME (1) ME02619B (ko)
MX (1) MX361723B (ko)
MY (1) MY170220A (ko)
NZ (1) NZ630260A (ko)
PH (1) PH12014502324A1 (ko)
PL (1) PL2841431T3 (ko)
PT (1) PT2841431T (ko)
RS (1) RS55742B2 (ko)
SG (1) SG11201406790VA (ko)
SI (1) SI2841431T2 (ko)
SM (1) SMT201700130B (ko)
TW (1) TWI562991B (ko)
UA (1) UA117456C2 (ko)
WO (1) WO2013162046A1 (ko)
ZA (1) ZA201407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0783B (en) * 2005-04-14 2010-02-21 Otsuka Pharma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JOP20200109A1 (ar) 2012-04-23 2017-06-16 Otsuka Pharma Co Ltd مستحضر قابل للحقن
AR090775A1 (es) * 2012-04-23 2014-12-03 Otsuka Pharma Co Ltd Preparado inyectable
TWI562991B (en) * 2012-04-23 2016-12-21 Otsuka Pharma Co Ltd Dihydrate of benzothiophene compound or of a salt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OP20210047A1 (ar) * 2012-10-25 2017-06-16 Otsuka Pharma Co Ltd عامل وقائي و/أو علاجي للأعراض السلوكية والنفسية المصحوبة بمرض تنكسي عصبي أو الأعراض الإندفاعية المصحوبة بمرض ذهني، يحتوي على بريكسبيرازول أو ملحه
MX2016013889A (es) 2014-04-22 2017-03-09 Otsuka Pharma Co Ltd Medicamento.
CN104447723A (zh) * 2014-11-28 2015-03-25 瑞阳制药有限公司 7-(4-(4-(苯并[b]噻吩基)-1-哌嗪基)丁氧基)-2(1H)-喹啉酮的制备方法
CN104829603A (zh) * 2015-05-19 2015-08-12 杭州新博思生物医药有限公司 A晶型依匹唑派盐酸盐及其制备方法
CN106883223B (zh) * 2015-12-16 2021-11-23 北京福元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Brexpiprazole盐酸盐的纯化方法
WO2017106641A1 (en) 2015-12-17 2017-06-22 Assia Chemical Industries Ltd. Solid state forms of brexpiprazole
JP2019059672A (ja) * 2015-12-28 2019-04-18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治療抵抗性うつ病等の治療薬
US10464931B2 (en) 2015-12-28 2019-11-05 Honour (R&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2(1H)-one derivatives
WO2017134038A1 (en) 2016-02-01 2017-08-10 Hexal Ag Anhydrate-free polymorphically pure micronized crystalline brexpiprazole dihydrate for use in intramuscular injectable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US20170320862A1 (en) 2016-05-03 2017-11-09 Cadila Healthcare Limi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rexpiprazole and intermediates thereof
CN107365305A (zh) 2016-05-12 2017-11-21 上海奥博生物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依匹哌唑新晶型及其制备方法
WO2017208251A1 (en) * 2016-05-31 2017-12-07 Cipla Limited A new stable polymorph of brexpiprazol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06188023A (zh) * 2016-07-04 2016-12-07 山东川成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依匹唑派的精制方法
PL233778B1 (pl) 2016-07-19 2019-11-29 Adame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ob wytwarzania brekspiprazolu oraz zastosowanie zwiazkow posrednich w sposobie wytwarzania brekspiprazolu
WO2018033484A1 (en) 2016-08-16 2018-02-22 Hexal Aktiengesellschaf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 benzothiophene compound
EP3500247B1 (en) 2016-08-16 2020-05-27 H e x a l Aktiengesellschaft Immediate release tablet of a benzothiophene compound
CN107936005A (zh) * 2016-10-13 2018-04-20 上海科胜药物研发有限公司 一种依匹哌唑新晶型ii及其制备方法
CN111233848A (zh) * 2016-12-14 2020-06-05 上海博志研新药物技术有限公司 一种依匹哌唑甲醇合物、晶型a、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072605B2 (en) 2017-02-02 2021-07-27 Hexal Ag Crystalline brexpiprazole
EP3501506B1 (en) 2017-12-19 2019-10-09 Alfred E. Tiefenbacher (GmbH & Co. KG) Pharmaceutical tablet composition comprising brexpiprazole
CN111440158A (zh) * 2020-03-24 2020-07-24 石药集团中奇制药技术(石家庄)有限公司 一种盐酸依匹哌唑新晶型及其制备方法
US11229644B1 (en) * 2020-12-31 2022-01-25 Lake O'hara Llc Methods of treating psychiatric disorders in obese patients with brexpiprazole
WO2022176017A1 (ja) * 2021-02-16 2022-08-25 大塚製薬株式会社 非晶質体及び当該非晶質体を含む組成物
WO2023067664A1 (ja) * 2021-10-18 2023-04-27 大塚製薬株式会社 ベンゾチオフェン化合物の新規結晶形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052A (ja) 2005-04-14 2006-11-24 Otsuka Pharmaceut Co Ltd 複素環化合物
KR20080002817A (ko) * 2005-04-14 2008-01-04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정신 장애의 치료용 피페라진-치환 벤조티오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33485A1 (es) * 2001-09-25 2003-12-26 Otsuka Pharma Co Ltd Sustancia medicinal de aripiprazol de baja higroscopicidad y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la misma
ES2315721T5 (es) 2003-10-23 2012-08-2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Formulación de aripiprazol inyectable estéril de liberación controlada y procedimiento
EP1797039A1 (en) 2004-09-13 2007-06-20 Matrix Laboratories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orphs, solvates of aripiprazole using aripiprazole acid salts
DE102005001989A1 (de) * 2005-01-15 2006-07-20 Bayer Healthcare Ag Intravenöse Formulierungen von PDE-Inhibitoren
PE20090387A1 (es) * 2007-05-24 2009-04-28 Novartis Ag Formulacion de pasireotida
WO2009055675A1 (en) * 2007-10-26 2009-04-30 Repligen Corporation Methods of identifying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eful for neurological disorders
PT2247282E (pt) * 2008-01-30 2014-11-11 Novartis Ag Formulação de libertação controlada compreendendo octreotido e três polímeros lineares de polilactido-coglicolido
KR101461769B1 (ko) 2010-08-24 2014-11-13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및 실리콘 오일 및/또는 실리콘 오일 유도체를 함유하는 현탁액 및 케이크 조성물
JP2012232958A (ja) * 2011-05-09 2012-11-29 Otsuka Pharmaceut Co Ltd 注射製剤
EP2736894B1 (en) * 2011-07-28 2016-08-31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benzo[b] thiophene compounds
JO3227B1 (ar) * 2011-09-08 2018-03-08 Otsuka Pharma Co Ltd مشتقات بنزو ثيوفين بها استبدال ببرازين كعوامل مضادة للذهان
TWI562991B (en) * 2012-04-23 2016-12-21 Otsuka Pharma Co Ltd Dihydrate of benzothiophene compound or of a salt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R090775A1 (es) * 2012-04-23 2014-12-03 Otsuka Pharma Co Ltd Preparado inyectable
JOP20200109A1 (ar) * 2012-04-23 2017-06-16 Otsuka Pharma Co Ltd مستحضر قابل للحق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052A (ja) 2005-04-14 2006-11-24 Otsuka Pharmaceut Co Ltd 複素環化合物
KR20080002817A (ko) * 2005-04-14 2008-01-04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정신 장애의 치료용 피페라진-치환 벤조티오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53372B2 (en) 2016-12-08
HK1203073A1 (en) 2015-10-16
EA026541B1 (ru) 2017-04-28
ZA201407477B (en) 2015-12-23
WO2013162046A1 (en) 2013-10-31
US20210115030A1 (en) 2021-04-22
TW201348229A (zh) 2013-12-01
JO3325B1 (ar) 2019-03-13
EP2841431B1 (en) 2017-01-04
RS55742B1 (sr) 2017-07-31
TWI562991B (en) 2016-12-21
FI2841431T4 (fi) 2024-04-18
JP5952917B2 (ja) 2016-07-13
LT2841431T (lt) 2017-03-27
KR102160395B1 (ko) 2020-09-28
RS55742B2 (sr) 2024-04-30
BR112014026424A2 (pt) 2017-06-27
US20150087655A1 (en) 2015-03-26
SMT201700130B (it) 2017-03-08
US10407415B2 (en) 2019-09-10
PL2841431T3 (pl) 2017-06-30
US20200140424A1 (en) 2020-05-07
HRP20170242T4 (hr) 2024-03-01
JP2015514677A (ja) 2015-05-21
HRP20170242T8 (hr) 2017-09-22
ES2617881T3 (es) 2017-06-20
MX2014012527A (es) 2015-03-19
CA2870000A1 (en) 2013-10-31
HUE031997T2 (en) 2017-08-28
CY1119103T1 (el) 2018-02-14
ES2617881T5 (es) 2024-05-22
ME02619B (me) 2017-06-20
SI2841431T2 (sl) 2024-03-29
UA117456C2 (uk) 2018-08-10
IN2014DN08867A (ko) 2015-05-22
SG11201406790VA (en) 2014-11-27
IL235044B (en) 2019-05-30
PH12014502324B1 (en) 2015-01-12
AU2013253372A1 (en) 2014-10-30
US20230049327A1 (en) 2023-02-16
NZ630260A (en) 2015-09-25
US9499525B2 (en) 2016-11-22
PH12014502324A1 (en) 2015-01-12
CA2870000C (en) 2021-02-16
PT2841431T (pt) 2017-03-07
MX361723B (es) 2018-12-14
EA201491933A1 (ru) 2015-03-31
IL235044A0 (en) 2014-12-31
SI2841431T1 (sl) 2017-03-31
BR112014026424B1 (pt) 2022-09-13
EP2841431B2 (en) 2024-01-24
HRP20170242T1 (hr) 2017-04-07
CO7111315A2 (es) 2014-11-10
CN104254530A (zh) 2014-12-31
AR090774A1 (es) 2014-12-03
EP2841431A1 (en) 2015-03-04
CN104254530B (zh) 2016-09-21
MY170220A (en) 2019-07-10
DK2841431T3 (en) 2017-03-06
US20170066752A1 (en) 2017-03-09
DK2841431T4 (da) 202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5030A1 (en) Dihydrate of benzothiophene compound or of a salt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2799435B1 (en) Poly (adp-ribose) polymerase inhibitor
WO2014069510A1 (ja) 新規アミ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
GB2563642A (en) Small molecule modulators of human STING
EP3287463A1 (en) Condensed-ring pyrimidylamino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intermedi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AU2015402778B2 (en) Aminonapthoquinon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blocking ubiquitination-proteasome system in diseases
TW200936141A (en) Substituted heteroarylamide oxazepinopyrimidone derivatives
CN106255690B (zh) 光学活性pde10抑制剂
KR20130025857A (ko) 2-[[[2-[(히드록시아세틸)아미노]-4-피리디닐]메틸]티오]-n-[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피리딘카르복사미드의 벤젠술폰산염, 이의 결정, 이의 결정 다형 및 이들의 제조 방법
GB2572526A (en) Heterocyclic small molecule modulators of human STING
KR101082227B1 (ko) 피라졸로피리미딘 화합물의 메탄술폰산염, 그 결정 및 그제조 방법
JP2000512306A (ja) 5―ht―2c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有用なインドリン誘導体
EP2364316A1 (en) 6, 7 -dihydro- 5h- pyrrolo [3, 4-d¨pyrimidin-4-yl]-quinolin-3 -ylamine compounds useful as FAAH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3749671A1 (en) [1,2,4]triazolo[4,3-a]pyrazin-8-one derivatives
JPH11240882A (ja) 縮合ピリダジン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