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786A -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786A
KR20150012786A KR1020130088789A KR20130088789A KR20150012786A KR 20150012786 A KR20150012786 A KR 20150012786A KR 1020130088789 A KR1020130088789 A KR 1020130088789A KR 20130088789 A KR20130088789 A KR 20130088789A KR 20150012786 A KR20150012786 A KR 2015001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ropeller
ship
current fixing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284B1 (ko
Inventor
김문찬
정용기
박현찬
김세일
김동진
이원준
문원준
신용진
이준형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스티엑스마린서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스티엑스마린서비스(주)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284B1/ko
Priority to PCT/KR2014/005409 priority patent/WO2015012490A1/ko
Publication of KR2015001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프로펠러의 전방(상류측)에서 프로펠러로 진행하는 유체의 흐름을 정류하는 과정에서 덕트 내측에서의 유체 흐름은 물론 덕트 외측에서의 유체 흐름도 함께 가속 정류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추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는, 선박의 선미에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프로펠러의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류고정날개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류고정날개에 고정되게 설치된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고정날개는 상기 덕트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Apparatus for Improving Thrust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추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체 선미에서 프로펠러의 전방(상류측)에 설치되어 프로펠러로 진행하는 유체의 흐름에 직진성을 부여함으로써 선박의 추진력을 향상시키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있어 추진 성능의 향상은 연료의 절감을 통한 경제적 운항으로 귀결되므로 추진 효율의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는 CRP(Contra-Rotating Propeller), PBCF(Propeller Boss Cap Fins), Vane Wheel, PSS(Pre-Swirl Stator), Mewis Duct 등이 있다.
그 중 전류고정날개(PSS: Pre-Swirl Stator)는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프로펠러로 향하는 유체의 유입각을 변경하여 회전방향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회수함으로써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전류고정날개는 선체의 선미부에서 프로펠러의 전방부위로 프로펠러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 각도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뮤이스 덕트(Mewis Duct)는 전류고정날개와 덕트를 결합한 구조로서 전류고정날개에 약 5~9% 정도의 추진 효율 증대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뮤이스 덕트 구조는 전류고정날개의 블레이드 자유단부에 해당하는 끝단부에 원통 형상의 덕트(Duct)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프로펠러의 회전시 발생하는 흡입 작용에 의해 프로펠러의 전방 유체를 가속함으로부터 덕트 자체에서 발생하는 선박 진행 방향으로의 부가 추력을 발생시키고 선체의 선미형상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프로펠러의 전방에서의 불규칙한 유체를 가속 정류하여 추진 효율의 향상과 프로펠러의 기진력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30048호에 프로펠러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각을 변경시켜 추진효율을 향상시키는 전류고정날개와 프로펠러의 전방유체를 가속 정류하여 추진효율을 향상시키는 덕트 사이의 최적 결합을 위한 형상 및 배치 상태를 구현하여 선박의 추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선체의 선미부에 프로펠러의 중심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고정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류고정날개의 자유단부에 원통형상의 덕트가 결합되되, 덕트의 중심이 프로펠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선미부에서 선수부를 향해 우상향의 방향으로 편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선박의 추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를 비롯한 종래의 덕트 및 전류고정날개 결합형 추진력 향상 장치는 전류고정날개 전체가 덕트 내측에 배치된 구조로서 덕트 내측으로의 유체 흐름은 정류할 수 있지만 덕트 외측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은 정류할 수 없기 때문에 추진 효율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30048호(공개일자 2011년 03월 23일) :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83998(공개일자 2011년 07월 21일) : 선박용 덕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 내측에서의 유체 흐름은 물론 덕트 외측에서의 유체 흐름도 함께 가속 정류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추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는, 선박의 선미에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프로펠러의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류고정날개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류고정날개에 고정되게 설치된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고정날개는 상기 덕트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프로펠러 쪽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덕트 및 이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류고정날개를 지나면서 가속 정류되어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 때, 전류고정날개는 덕트의 측면부 외측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는 물론 덕트의 측면부 외측을 통과하는 유체도 전류고정날개에 의해 가속 정류되므로 기존의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추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류고정날개가 덕트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전류고정날개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추진력 향상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추진력 향상 장치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추진력 향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추진력 향상 장치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로펠러의 회전 시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속 분포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는 선박의 선미에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프로펠러의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류고정날개(10)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류고정날개(10)에 고정되게 설치된 덕트(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고정날개(10)는 상기 덕트(20)의 측면부(23) 외측 및 후단부(22)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전류고정날개(10)와 덕트(20)의 각 부분에 대한 설명에서 선박의 선체를 기준으로 하여 선체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그 방향(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류고정날개(10)는 복수개(이 실시예에서 4개)가 선박의 선미에 형성된 스턴보스(stern boss)(1)에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류고정날개(10)는 좌측에 3개, 우측에 1개로 좌우측이 비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전류고정날개(10)의 반경방향 끝단부는 상기 덕트(20)의 측면부(23)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덕트(20)의 측면부(23) 외측을 통해 프로펠러(2) 쪽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정류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전류고정날개(10)는 앞단(leading edge)(11)이 덕트(20)의 후단부(22)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전류고정날개(10)의 뒷단(trailing edge)(12) 부분이 덕트(20)의 후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덕트(20)는 전류고정날개(10)의 전단부(21)와 후단부(22)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전류고정날개(10) 및 선체의 선미 부분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덕트(20)는 후방에서의 유체 흐름을 더욱 가속시킬 수 있도록 전단부(21)에서 후단부(22)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지만, 이와 다르게 직경이 일정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덕트(20)는 그 중심(OD)이 프로펠러(2)의 중심(OP)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편심되게 설치된다. 에 따라 상기 전류고정날개(10)들의 반경방향 길이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전류고정날개(10)들의 덕트(20)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모두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전류고정날개(10)와 덕트(20) 간의 결합을 위해 전류고정날개(10)의 앞단(11)에 덕트(20)의 후단부(22)가 삽입되는 슬릿(미도시)이 절개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20)의 후단부가 상기 슬릿에 삽입된 후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용접 방식 외에도 볼트나 리벳 등 공지의 체결도구를 사용한 결합 방식으로 덕트(20)와 전류고정날개(10)를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덕트(20)는 전류고정날개(10)와만 고정될 수도 있지만,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가 선박의 선미 부분에 추가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는 프로펠러(2)의 전방에서 프로펠러(2)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가속 정류함으로써 프로펠러(2)에 의한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프로펠러(2)의 회전에 의해 프로펠러(2)의 전방에서 프로펠러(2) 쪽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덕트(20) 및 이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류고정날개(10)를 지나면서 가속 정류되어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 때, 전류고정날개(10)는 덕트(20)의 측면부 외측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20)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는 물론 덕트(20)의 측면부(23) 외측을 통과하는 유체도 전류고정날개(10)에 의해 가속 정류되므로 기존의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추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류고정날개(10)가 덕트(20)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전류고정날개(10)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도 6은 프로펠러(2)를 회전시켰을 때 프로펠러(2)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속 분포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단부에서 반류 저속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이 덕트(20)의 중심(OD)을 프로펠러(2)의 중심(OP)보다 상측으로 일정 거리 편향되게 설치함으로써 정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턴 보스 2 : 프로펠러
10 : 전류고정날개 11 : 앞전(leading edge)
12 : 뒷전(trailing edge) 20 : 덕트
21 : 전단부 22 : 후단부
23 : 측면부 OP : 프로펠러의 축 중심
OD : 덕트의 중심

Claims (8)

  1. 선박의 선미에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프로펠러의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류고정날개(10)와;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류고정날개(10)에 고정되게 설치된 덕트(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고정날개(10)는 상기 덕트(20)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20)의 후단부(22)는 상기 전류고정날개(10)의 앞단(leading edge)(11)에 고정되어 전류고정날개(10)의 뒷단(trailing edge)(12) 부분이 덕트(20)의 후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고정날개(10)의 앞단(11)에 덕트(20)의 후단부(22)가 삽입되는 슬릿이 절개되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20)의 후단부가 상기 슬릿에 삽입된 후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20)의 중심(OD)은 프로펠러(2)의 중심(OP)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고정날개(10)는 복수개가 설치되되, 각각의 전류고정날개(10)는 덕트(20)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20)의 일부분은 선박의 선미 부분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20)의 직경은 전단부(21)에서 후단부(22)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고정날개(10)는 좌측과 우측이 비대칭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KR1020130088789A 2013-07-26 2013-07-26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KR10153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89A KR101534284B1 (ko) 2013-07-26 2013-07-26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PCT/KR2014/005409 WO2015012490A1 (ko) 2013-07-26 2014-06-19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89A KR101534284B1 (ko) 2013-07-26 2013-07-26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86A true KR20150012786A (ko) 2015-02-04
KR101534284B1 KR101534284B1 (ko) 2015-07-07

Family

ID=5239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89A KR101534284B1 (ko) 2013-07-26 2013-07-26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4284B1 (ko)
WO (1) WO201501249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877A (ko) 2015-06-19 2016-1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 장치
KR20170121541A (ko) * 2016-04-25 2017-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70121547A (ko) * 2016-04-25 2017-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102494636B1 (ko) * 2022-01-05 2023-02-06 이상욱 추진효율 향상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방법
KR102541780B1 (ko) 2022-10-20 2023-06-13 김현희 선박 추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0173B (zh) * 2021-01-29 2022-08-0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用发电装置及船舶
CN113978687A (zh) * 2021-12-03 2022-01-28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一种螺旋桨前置节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6087A (en) * 1980-07-22 1982-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Device for improving propelling performance of ship
JPS58492A (ja) * 1981-06-24 1983-01-0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推進性能向上装置
JPH07267189A (ja) * 1994-03-31 1995-10-17 Mitsubishi Heavy Ind Ltd 整流フィン付き舶用プロペラ装置
DE202008006069U1 (de) * 2008-03-10 2008-07-17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des Antriebsleistungsbedarfes eines Schiffes
PL2591994T3 (pl) * 2011-11-11 2015-03-31 Becker Marine Sys Gmbh & Co Kg Urządzenie do zmniejszania zapotrzebowania na moc napędową pojazdu wodnego
KR20120023843A (ko) * 2012-02-24 2012-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류고정날개의 덕트 고정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877A (ko) 2015-06-19 2016-1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 장치
KR20170121541A (ko) * 2016-04-25 2017-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70121547A (ko) * 2016-04-25 2017-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102494636B1 (ko) * 2022-01-05 2023-02-06 이상욱 추진효율 향상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방법
KR102541780B1 (ko) 2022-10-20 2023-06-13 김현희 선박 추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2490A1 (ko) 2015-01-29
KR101534284B1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284B1 (ko) 선박의 추진력 향상 장치
KR101023052B1 (ko)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
US20130323098A1 (en) Axial flow blower
KR101684367B1 (ko)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
KR20110083998A (ko) 선박용 덕트
KR20120023843A (ko) 전류고정날개의 덕트 고정방법
RU2628625C2 (ru) Кольцевой гребной винт с откидкой лопастей вперед
KR101292911B1 (ko) 선속 향상 및 선미부의 유동 개선을 위한 선미 부가물
WO2010093305A1 (en) Propulsion device for a boat
KR20140118373A (ko)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 설치구조 및 선박의 추진 시스템
KR20120030124A (ko) 전류고정날개의 덕트 제조방법
KR20120007854U (ko) 3개 지지점을 가지는 비대칭 프로펠러 덕트 설치구조
KR20130003573A (ko) 선박용 전류고정날개
KR101225177B1 (ko) 프로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50076705A (ko) 선박용 덕트
KR20120068250A (ko) 선박용 덕트 구조체
KR20130002144U (ko) 선박용 프로펠러
KR102647301B1 (ko) 이동식 전류고정날개
KR101701730B1 (ko) 덕트 프로펠러 추진장치
KR102117384B1 (ko) 선박용 덕트의 지지구조
KR20150135906A (ko) 외측 핀이 장착된 프로펠러 덕트
KR20130098714A (ko) 선박용 보조 추력장치 및 이러한 보조 추력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741428B1 (ko) 전류고정날개 구조체
JP2002188403A (ja) 流体機械
KR20120110232A (ko) 선박의 방향타에 구비되는 추진효율 증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