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080A - 선박용 족장 - Google Patents

선박용 족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080A
KR20150012080A KR1020130087465A KR20130087465A KR20150012080A KR 20150012080 A KR20150012080 A KR 20150012080A KR 1020130087465 A KR1020130087465 A KR 1020130087465A KR 20130087465 A KR20130087465 A KR 20130087465A KR 20150012080 A KR20150012080 A KR 2015001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fixing means
ship
present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080A/ko
Publication of KR2015001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0Magn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bo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박용 족장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내 홈이 형성되는 바닥 판; 및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천장에 부착되어 상기 바닥 판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족장{Scaffold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족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선박용 족장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선박은 상당한 높이를 갖는 구조물이다. 예를 들어, 대형 화물선이나 여객선의 높이는 수십 미터를 넘는다. 아울러, 대형 선박을 구성하는 블록 구조물도 상당한 높이를 가지므로, 선박의 건조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를 상당한 높이로 떠받치는 족장(즉, 비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족장은 작업 대상 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므로, 작업자에게 충분한 작업공간과 이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족장은 설치 및 제거에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족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부대 시설(예를 들어 안전망) 등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족장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내부에 이물질의 침투로 인한 도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알루미늄 재질의 족장판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상기 족장판의 효율적인 설치를 위한 어떠한 기술사상도 소개하고 있지 않다.
KR 2001-009026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 및 제가가 용이한 선박용 족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내 홈이 형성되는 바닥 판; 및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천장에 부착되어 상기 바닥 판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에서 상기 고정 수단은, 천장에 부착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과 연결되고, 접철이 가능한 관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에서 상기 자석은 전류신호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에서 상기 고정 수단을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에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바닥 판의 모서리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바닥 판의 모서리에서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족장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족장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족장의 측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족장의 측면도로서, 선박용 족장의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족장의 측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족장의 측면도로서, 선박용 족장의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족장(100)은 바닥 판(110), 고정 수단(130, 132, 134, 136), 구동 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선박용 족장(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용 족장(100)은 작업용 공구를 임시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판(110)은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판(110)은 대체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평판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닥 판(110)의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평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바닥 판(110)은 적어도 2명 이상의 작업자 무게를 버틸 수 있는 재질 또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판(110)은 합금강, 알루미늄, 기타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바닥 판(110)은 가벼우면서도 소정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셀 구조 형태(예를 들어, 벌집 구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바닥 판(1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바닥 판(110)의 길이는 선박용 족장(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범위가 작은 작업(예를 들어 용접작업)에 사용되는 선박용 족장(100)은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작업범위가 넓은 작업(예를 들어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선박용 족장(100)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 판(110)에는 복수의 안내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바닥 판(110)의 네 모서리 부근에는 4개의 안내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 홈(120)은 바닥 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쌍의 안내 홈(120)은 바닥 판(110)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쌍의 안내 홈(120)은 바닥 판(110)의 타 단에서 일 단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쌍의 안내 홈(120)과 제2쌍의 안내 홈(120)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1쌍의 안내 홈(120)과 제2쌍의 안내 홈(120)이 연결될 수 있다(이 경우, 바닥 판(110)에 형성되는 안내 홈(120)의 수는 2개일 수 있다).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은 바닥 판(110)에 장착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복수의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은 바닥 판(110)의 안내 홈(12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은 안내 홈(120)을 따라 이동하며, 바닥 판(11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4개의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이 하나의 바닥 판(110)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4개 이상의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이 하나의 바닥 판(11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 또는 8개의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이 하나의 바닥 판(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 홈(120)의 수도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에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다.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은 바닥 판(110)을 선박 구조물(예를 들어 선박 블록)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은 자석(140)과 관절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140)은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자력을 통해 선박 구조물(예를 들어, 천장)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140)의 크기(즉, 자력의 크기)는 바닥 판(110)과 작업자의 총 중량을 지탱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자석(140)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석일 수 있다. 따라서, 자석(140)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선박 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또는 선박 구조물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관절 부재(150)는 자석(140)과 구동 수단(160)을 연결하며, 복수의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막대는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힐 수 있다.
관절 부재(150)는 상당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관절 부재(150)는 작업자의 머리가 선박 구조물의 천장에 부딪히지 않도록 작업자의 평균 신장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 부재(150)의 길이는 1.8 ~ 2.1 미터일 수 있다.
구동 수단(160)은 안내 홈(120)에 장착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복수의 구동 수단(160)은 복수의 안내 홈(12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구동 수단(160)은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수단(160)은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을 안내 홈(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수단(160)은 전류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수단(160)은 직선운동이 용이한 선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 수단(160)은 안내 홈(120)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족장(100)은 고정 수단(130, 132, 134, 136)을 통해 선박 구조물에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될 수 있으며, 관절 부재(150)와 이동 수단(160)을 통해 선박 구조물 상에서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선박용 족장(100)의 위치 변경 원리를 설명한다.
선박용 족장(100)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먼저, 선박용 족장(100)의 이동예정방향(도 3 기준으로 오른쪽)과 반대편에 위치한 고정 수단(130, 132)의 위치를 변경한다. 여기서, 고정 수단(130, 132)의 위치 변경은 고정 수단(130, 132)의 탈착 및 접철, 이동, 그리고 재부착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2개의 고정 수단(130, 132) 중 1개의 자력을 비활성화시켜 선박 구조물로부터 탈착하고 접는다(도 3 참조). 그리고 안내 홈(120)을 따라 고정 수단(130)을 선박용 족장(100)의 이동예정방향(오른쪽)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 수단(130)의 자력을 다시 활성화하여 선박 구조물에 부착시킨다(도 4 참조). 같은 방법으로 고정 수단(132)의 위치를 변경한다(도 5 참조).
다음으로, 바닥 판(110)을 선박용 족장(100)의 이동예정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바닥 판(110)의 이동은 구동 수단(16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수단(134, 136)의 부착위치를 고정 수단(130, 132)과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한다(도 6 참조). 그러면 선박용 족장(100)의 위치를 안내 홈(120)의 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는 고정 수단(160)의 탈부착이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기구 및 모터를 통해 고정 수단(160)의 탈부착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선박용 족장
110 바닥 판
120 안내 홈
130 고정 수단
140 자석
150 관절 부재
160 구동 수단

Claims (5)

  1.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내 홈이 형성되는 바닥 판; 및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천장에 부착되어 상기 바닥 판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고정 수단;
    을 포함하는 선박용 족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천장에 부착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과 연결되고, 접철이 가능한 관절 부재;
    를 포함하는 선박용 족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류신호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인 선박용 족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을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선박용 족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바닥 판의 모서리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바닥 판의 모서리에서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는 선박용 족장.
KR1020130087465A 2013-07-24 2013-07-24 선박용 족장 KR20150012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465A KR20150012080A (ko) 2013-07-24 2013-07-24 선박용 족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465A KR20150012080A (ko) 2013-07-24 2013-07-24 선박용 족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080A true KR20150012080A (ko) 2015-02-03

Family

ID=5248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465A KR20150012080A (ko) 2013-07-24 2013-07-24 선박용 족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2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3096A (zh) * 2021-06-11 2021-09-28 蓬莱中柏京鲁船业有限公司 一种浮船坞维护用船体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3096A (zh) * 2021-06-11 2021-09-28 蓬莱中柏京鲁船业有限公司 一种浮船坞维护用船体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N113443096B (zh) * 2021-06-11 2022-07-01 蓬莱中柏京鲁船业有限公司 一种浮船坞维护用船体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7391A (ko) 선박의 계류 장치
KR20150138256A (ko) 해양 설비 또는 선박을 위한 스키딩 시스템
JP7033390B2 (ja) デッキクレーンの設置構造及び船舶
KR20150012080A (ko) 선박용 족장
ES2285069T3 (es) Unidad cabina-pivote plegable para grua de torre.
KR101670579B1 (ko) 레일 장착형 갠트리 크레인을 구비한 h형 바지선
JP2015205604A (ja) ソーラーパネル搭載ハッチカバー
KR101938802B1 (ko) 계류 모사 장치의 거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계류성능평가 시스템
KR102353702B1 (ko) 래싱 브릿지
KR20130095101A (ko) 선박용 방식 장치
KR200468323Y1 (ko) 선박 계류용 펜더
KR20120007432U (ko) 선박의 해치커버 하부가이드 취부용 지그
KR200485664Y1 (ko) 블록 턴 오버 지그
KR20160048583A (ko) 선루익 방진 장치
KR101549080B1 (ko)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접안 설비
KR102455882B1 (ko)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20120035266A (ko) 부유식 휀더 어셈블리
KR20130098540A (ko) 지지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턴버클 지지판이 마련된 래싱 브리지
JP2017193217A (ja) 船舶、及び装備品固定床
KR20150019900A (ko) 대형 패널 곡직 작업용 보조 기구
KR20180001110U (ko) 헬리콥터 운반크레인
CN110271649B (zh) 一种船用克令吊抓斗的固定装置
US20180207792A1 (en) High-speed gantry system having a linear drive
KR20140046903A (ko)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KR20130068797A (ko) 덱 하우스 모듈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덱 하우스 모듈이 시공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