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790A - 운동 보조구 - Google Patents

운동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790A
KR20150011790A KR1020147001860A KR20147001860A KR20150011790A KR 20150011790 A KR20150011790 A KR 20150011790A KR 1020147001860 A KR1020147001860 A KR 1020147001860A KR 20147001860 A KR20147001860 A KR 20147001860A KR 20150011790 A KR20150011790 A KR 2015001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operating
operating portions
fram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5001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63B21/002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isometric exercising,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54Rotatio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e.g. butterfly-type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탄성 반발력에 저항하여 수축 가능한 동부(11)와, 그 동부(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조작부(12, 13)를 구비하고, 양 조작부(12, 13)는, 동부(11)의 수축 시에 서로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운동 보조구{EXERCISE AID DEVICE}
본 발명은, 운동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운동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운동자의 양손 또는 양다리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가압되는 타입의 운동 보조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탄성 변형하는 통부(筒部)와, 통부 내에 수용되는 탄발재(彈撥材)와, 통부의 양측에 설치된 단부판을 구비하는 트레이닝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하여 트레이닝을 행할 시에는, 각 단부판에 각각 손을 대고 탄발재의 탄력에 거슬러 힘을 가하는 가압 조작, 힘을 완화하는 조작을 행한다.
일본국 특개2006-2609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트레이닝 기구로는, 통부의 압축량을 나타내는 기준이 특별히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운동자에 따라 통부의 압축량이 다를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기구로는, 예를 들면 근육의 수축 정도를 바꾸지 않고 힘을 가하는 아이소메트릭 운동을 행할 때, 통부를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해도 각 단부판이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기 쉽고, 압축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트레이닝 기구에 한하지 않고, 양손 또는 양다리로 끼워서 가압 조작하는 운동 보조구에 있어서는 대략 공통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높은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한 조작량을 알기 쉽고, 또한 그 양의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쉬운 운동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운동 보조구는, 탄성 반발력에 저항하여 수축 가능한 동부(胴部)와, 그 동부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양 조작부는 동부의 수축 시에 상호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운동 보조구에 있어서는, 양 조작부는 서로 끼워 맞추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 방법이나 조작량이 운동자에게 있어서 직감적으로 알기 쉽다. 또한, 양 조작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운동 보조구의 중심축의 주위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이 때문에, 특히 근육의 수축 정도를 바꾸지 않고 힘을 내는 아이소메트릭 운동을 행하기 쉽다.
상기의 운동 보조구에 따르면, 높은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한 조작량을 알기 쉽고, 또한 그 양의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운동 보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운동 보조구의 단면도.
도 3은 운동 보조구를 구성하는 제2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운동 보조구를 구성하는 제1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운동 보조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운동 보조구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도 7은 운동 보조구의 가압 조작 시에 있어서의 사시도.
도 8(a)∼(e)는 운동 보조구의 변형예의 평면도.
이하, 운동 보조구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 보조구(10)는,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동부(11)의 좌우 양단에 조작부(12, 13)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운동자가 양 조작부(12, 13)를 각각 한쪽 손으로 잡고 양 조작부(12, 13)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후술하는 스프링의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동부(11)가 수축하면서 양 조작부(12, 13)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됨과 함께, 후술의 스프링에 의해 운동자에 대하여 운동 부하가 가해진다.
이하에, 운동 보조구(10)의 각 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부(11)에 있어서의 좌측에는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프레임(15)이 배치되며, 우측에는 동일한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프레임(16)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5, 16)에는 각각 원통부(17, 18)가 형성되며, 제1 프레임(15)의 원통부(17)가 제2 프레임(16)의 원통부(18) 내에 중심축(O)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6)의 원통부(18)의 내주에는 축방향을 따라 뻗는 4조의 가이드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5)의 원통부(17)의 외주에는, 각 가이드 홈(19) 내에 끼워 맞추는 가이드 돌출조(突條)(20)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19)과 각 가이드 돌출조(20)의 끼워 맞춤에 의해, 양 프레임(15, 16)의 중심축(O)을 따르는 상대 이동이 가이드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레임(15, 16)의 원통부(17, 18)의 선단에는 상호 걸어 맞춤 가능한 복수의 클로(claw)(21, 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15, 16)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각 프레임(15, 16)이 소정의 이간 위치에 달했을 때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클로(21, 22)끼리가 걸어 맞춰져서, 각 프레임(15, 16)의 더한 이동이 규제되며, 이간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양 프레임(15, 16)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양 프레임(15, 16)이 소정의 접근 위치에 달했을 때에는, 제1 프레임(15)의 원통부(17)의 선단이, 제2 프레임(16)의 내단면(內端面)에 걸어 맞춰져서, 양 프레임의 더한 이동이 규제되며, 접근 위치에 유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프레임(15, 16)의 플랜지(28, 29) 사이에는,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외통(23)이 개재되어 있다. 외통(23)의 내측에는 수용 공간(24)이 형성되며, 그 수용 공간(24)의 내측면 사이에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25)이 개재되어 있다. 스프링(25)의 탄성 반발력은 외통(23)을 통하여 양 플랜지(28, 29)에 작용하고, 그 스프링(25)에 의해, 제1, 제2 프레임(15, 16)이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외통(23)의 외주면에는 장식과 보호를 겸한 피복천(26)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용 공간(24)의 내면 전체에는, 스프링(25)과의 접촉에 의한 발포 폴리우레탄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천(27)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조작부(12, 13)에는, 그 골격을 구성하는 경질 합성 수지제의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각 프레임(30)은, 돔 형상을 이루는 기부(基部)(31)와, 그 기부(31)로부터 180도의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2개의 돌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31)와 돌출부(32) 사이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33, 34)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2)의 선단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경사부(35)는 돌출부(32)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각 기부(31)의 내측에는, 구상부(鉤狀部)(3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레임(30)은 동부(11)의 우단 및 좌단에 끼워져 있으며, 동부(11)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각 기부(31)의 내측면이, 각 플랜지(28, 29)의 외주부의 경사진 수용부(36, 37)에 접합되어 있다. 각 프레임(30)의 외측면에는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40)가 고착되어 있다. 각 쿠션재(40)의 외표면 및 각 프레임(30)의 바깥 쪽으로의 노출면에는 보호와 장식을 겸한 피복천(41)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피복천(41)은, 상기 구상부(39)에 걸어두고 있지만, 도 2에서는 편의상, 그 걸어둔 상태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조작부(12, 13)의 서로 대향하는 외주연부(外周緣部)에는, 각각 대략 반원호(半円弧) 형상의 오목부(42)와 볼록부(43)가 90도 마다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오목부(42)는 18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한 쌍의 볼록부(43)도 18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조작부(12, 13)는, 서로의 오목부(42) 및 볼록부(43)를 90도 위상을 어긋나게 한 상태로 동부(11)에 설치되어 있다. 각 볼록부(43)의 외측면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동 보조구의 조립 직후의 미사용 상태, 즉, 자연 상태에서는, 스프링(25)의 반발력에 의해, 동부(11)는 클로(21, 22)끼리 걸어 맞추는 신장 상태에 있으며, 각 조작부(12, 13)는 좌우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조작부(12, 13)에 대하여 접근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스프링(25)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동부(11)가 수축하면, 양 조작부(12, 13)가 접근하고, 서로의 오목부(42)와 볼록부(43)가 끼워 맞춰진다. 즉, 좌우의 조작부(12, 13)는, 요철의 끼워 맞춤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쿠션재(40)는, 오목부(42)와 볼록부(43)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양 조작부(12, 13)가 전체로서 편구(扁球)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운동 보조구(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자는, 양손(100)으로 양 조작부(12, 13)를 각각 파지한다. 각 조작부(12, 13)에 상기 쿠션재(4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그 정부(頂部)는 대략 반편구(半扁球)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의 곡선을 따라 쉽게 파지하기 쉬움과 함께, 조작 시에 있어서의 감촉도 양호해진다.
또한, 운동 보조구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각 조작부(12, 13)의 오목부(42)와 볼록부(43)가 서로 마주 보고 있기 때문에, 운동자는 각 조작부(12, 13)가 서로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동자는 각 조작부(12, 13)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상태까지, 각 조작부(12, 13)를 가압하면 되는 것을,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운동자는, 스프링(2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각 조작부(12, 13)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 각 가이드 홈(19)과 각 가이드 돌출조(20)의 끼워 맞춤에 의해, 동부(11)가 비틀리거나 구부러지거나 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가압 조작을 행하기 쉽다.
또한, 각 프레임(30)에 경사부(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오목부(42)에 대하여 대응하는 볼록부(43)가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운동자가 각 조작부(12, 13)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면 대흉근 등의 가슴 주위의 근육, 등 근육, 팔 근육에 부하가 가해진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자는, 각 조작부(12, 13)를, 각 오목부(42)에 대응하는 볼록부(43)가 끼워 맞춰질 때까지 가압한다. 양 조작부(12, 13)를 서로 끼워 맞춘 상태(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운동자의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당한 부하가 되도록 스프링(25)의 부세력 등이 조정되어 있다. 양 조작부(12, 13)를 서로 끼워 맞춘 상태에서는, 운동 보조구(10)는 전체로서 거의 편구 형상이 된다.
또한, 각 오목부(42)와 각 볼록부(43)가 서로 끼워 맞춰져서, 각 볼록부(43)의 측면과 각 오목부(42)의 측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 운동 보조구의 중심축(O)의 주위에 있어서의 양 조작부(12, 13)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양 조작부(12, 13)를 끼워 맞춘 상태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근육의 수축 정도를 바꾸지 않고 양 조작부(12, 13)에 힘을 가하는 아이소메트릭 운동을 행하기 쉽다.
또한, 운동 보조구(10)는, 손(100)뿐만 아니라, 다리의 무릎 사이에 끼워서 가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조작부(12, 13)는, 쿠션재(40)의 유연성에 의해, 무릎 사이에 안정하게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 운동 보조구(10)에 있어서는, 양 조작부(12, 13)는 서로 끼워 맞추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높은 운동 효과가 얻어지는 사용 방법 및 조작량이 운동자에 있어서 직감적으로 알기 쉽다. 또한, 양 조작부(12, 13)가 서로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조작부(12, 13)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끼워 맞춤 상태의 양 조작부(12, 13)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근육의 수축 정도를 바꾸지 않고 힘을 내는 아이소메트릭 운동을 행하기 쉽다.
(2) 이 운동 보조구(10)에 있어서는, 동부(11)에 설치되는 각 가이드 홈(19)과 각 가이드 돌출조(20)의 끼워 맞춤에 의해, 양 조작부(12, 13)를 가압할 때에, 동부(11)가 비틀리거나 구부러지거나 하지 않으므로, 가압 조작을 행하기 쉽다.
(3) 이 운동 보조구(10)에 있어서는,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양 조작부(12, 13)는, 전체로서 편구 형상의 형상을 이룬다. 이 때문에, 높은 운동 효과가 얻어지는 조작량이 운동자에 있어서 알기 쉽다. 또한, 양 조작부(12, 13)의 정부가 손바닥의 곡선을 따르기 쉽고, 가압 조작하기 쉽다.
(4) 이 운동 보조구(10)에 있어서는, 양 조작부(12, 13)는, 서로의 오목부(42) 및 볼록부(43)를 90도만큼 위상을 어긋나게 한 상태로 동부(11)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를 구성하는 1종류의 부품을 준비하면, 좌우에서 공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운동 보조구(10)를 2개의 조작부(12, 13) 및 동부(11)와 같은 2종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경예)
도 8(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조작부(12, 13)의 서로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a)에서는, 양 조작부(51, 52)에는,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으로서 3개 이상의 산부(山部)(53) 및 그 산부(53)와 동수의 곡부(谷部)(54)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조작부(51, 52)는, 동부(11)에 대하여, 서로의 산부(53)와 곡부(54)가 마주 보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설치된다. 도 8(b)는, 양 조작부(55, 56)에 대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수를 증가시킨 구성을 나타낸다. 양 조작부(55, 56)는, 서로의 오목부(57)와 볼록부(58)가 마주 보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동부(11)에 설치된다.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조작부(12, 13)의 서로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오목부 및 볼록부는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조작부(59, 60)는, 평면에서 봤을 때 계단 형상의 단차(61, 62)를 갖는다. 양 단차(61, 62)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동부(11)는, 그 양단이, 각 조작부(59, 60)에 형성된 오목부에 각각 안쪽으로 끼워져 있다. 양 조작부(59, 60)의 가압 조작 시에는 양 단차(61, 62)가 서로 맞물리고, 그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양 조작부(59, 60)는 전체로서 직방체 또는 입방체를 형성한다.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조작부(63, 64)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좌측의 조작부(63)는, 볼록부(65)와 사각 형상의 오목부(66)를 구비한다. 우측의 조작부(64)는, 직방체의 베이스(67)와, 오목부(66)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의 돌출부(68)를 구비한다. 가압 조작 시에는, 돌출부(68)가 오목부(66)에 안쪽으로 끼워지고, 베이스(67)는 볼록부(65)의 단부면에 맞닿는다.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운동 보조구(10) 전체로서, 입방체 또는 직방체의 형상을 구비한다.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조작부(69, 70)를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끼워 맞춤 상태에서, 우측의 조작부(70) 전체가 좌측의 조작부(69)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좌측의 조작부(69)는, 직방체에 사각 형상의 오목부(71)가 형성된 형상이다. 우측의 조작부(70)는, 오목부(71)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71)의 안쪽 길이(D1)(깊이)는, 조작부(70)의 안쪽 길이(D2)보다 크다. 양 조작부(69, 70)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동부(11)가 압축되어서, 조작부(70)와 함께 오목부(71)에 수용된다.
제1 프레임(15) 및 제2 프레임(16)을 예를 들면 금속과 같은 수지 이외의 경질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각 프레임(15, 16)을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각 프레임(15, 16)을 외통(23)에 고착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각 플랜지(28, 29)는 생략해도 된다. 또한, 각 프레임(15, 16)은, 예를 들면 판 형상, 단부면 U자 형상 등의 통 형상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가이드 홈(19) 및 가이드 돌출조(20)의 개수는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1 프레임(15)에 가이드 홈을 설치하고, 제2 프레임(16)에 가이드 돌출 형상부를 설치해도 된다. 각 클로(21, 22)는, 단순한 차양부(鍔部)여도 된다.
스프링(25) 대신에 다른 부세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고무 부재, 또는 당해 고무 부재의 내측에 스프링을 설치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천(27) 대신에, 외통(23)의 내측에, 스프링(25)의 권단(卷端)을 지지하는 스프링 와셔나, 내면을 보호하는 신축 가능한 고무재나 수지재를 설치해도 된다.
동부(11)의 외통(23) 및 쿠션재(40)의 적어도 한쪽을, 발포 폴리우레탄 이외의 발포 수지, 고무 등의 발포 수지 이외의 신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외통(23) 및 쿠션재(40)가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피복천(26, 41)을 생략할 수 있다.
프레임(30)을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30)의 선단에 각각 설치된 경사부(35)를 생략하고, 직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에 충분한 강도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강 리브(33, 34)를 생략할 수 있다.
양 조작부(12, 13)에, 쿠션재(40) 대신으로서, 쿠션재(40)보다도 경질인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당해 부재에 의해 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경우, 프레임(30)을 생략할 수 있다.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양 조작부(12, 13)를, 구 형상, 입방체 형상, 직방체 형상 등과 같은 편구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각 조작부(12, 13)의 정부에 평면을 형성해도 된다.
외통(23)의 내측 또는 내부에 신축 가능한 지지 프레임을 설치하여, 가압 조작 시에 비틀리기 어려운 구성으로 해도 된다. 외통(23)만으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경우에는, 각 프레임(15, 16)을 생략할 수 있다.
운동 보조구(10)의 크기는, 양 조작부(12, 13)의 정부를 손으로 잡고 동부(11)를 수축할 수 있으면 되며,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운동 보조구(10)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10…운동 보조구, 11…동부, 12, 13, 51, 52, 55, 56, 59, 60, 63, 64, 69, 70…조작부, 19…가이드 홈, 20…가이드 돌출조, 42, 57, 66, 71…오목부, 43, 58, 65…볼록부

Claims (7)

  1. 탄성 반발력에 저항하여 수축 가능한 동부(胴部)와, 그 동부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양 조작부는 상기 동부의 수축 시에 상호 끼워 맞추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운동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부는, 운동 보조구의 중심축을 따라 뻗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안내되는 가이드 돌출조(突條)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조작부는, 상호 끼워 맞춘 상태에 있어서, 전체로서 구 형상 또는 편구(扁球) 형상의 형상을 이루는 운동 보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부는, 적어도 2개의 볼록부 및 적어도 2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각 조작부의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위상을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운동 보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부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된 쿠션재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선단부에, 상기 각 조작부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부는, 상기 양 조작부의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서로 맞닿아서, 운동 보조구의 중심축의 주위에 있어서의 각 조작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운동 보조구.
KR1020147001860A 2013-06-28 2013-11-13 운동 보조구 KR201500117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5902 2013-06-28
JPJP-P-2013-135902 2013-06-28
PCT/JP2013/080717 WO2014207955A1 (ja) 2013-06-28 2013-11-13 運動補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90A true KR20150011790A (ko) 2015-02-02

Family

ID=5095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860A KR20150011790A (ko) 2013-06-28 2013-11-13 운동 보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50011790A (ko)
CN (2) CN203663334U (ko)
TW (1) TW201500079A (ko)
WO (1) WO2014207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5476B2 (en) 2018-09-09 2021-10-05 4 Grip Ltd Exercise devices for palms and fingers assemblie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2709A (en) * 1926-05-01 1926-10-12 Sandow William Exercising device
JPS59133252U (ja) * 1983-01-17 1984-09-06 ▲ちよ▼ 明鎬 握力機構造を設けたロ−プ飛び具の把持部
JPH0611756U (ja) * 1992-01-06 1994-02-15 邦男 安藤 身体鍛錬具
JPH07400U (ja) * 1993-06-11 1995-01-06 勝男 榎本 運動用器具
EP0688584B1 (en) * 1994-03-21 1996-11-27 Ping Chen Multi-functional physical exercise device
JP2001299958A (ja) * 2000-04-25 2001-10-30 Fukushima Hatsujo Seisakusho:Kk スプリングを交換できる握力増進器
JP2007068606A (ja) * 2005-09-05 2007-03-22 Takashige Tanahashi 健康増進器具
JP3156131U (ja) * 2009-10-02 2009-12-17 康則 立石 健康器具
JP3173467U (ja) * 2011-11-07 2012-02-09 光昭 星谷 表情筋エクササイズ美顔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8816A (zh) 2014-12-31
CN203663334U (zh) 2014-06-25
TW201500079A (zh) 2015-01-01
WO2014207955A1 (ja)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482B2 (en) Body conto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US8974351B2 (en) Bi-directional wrist exercise device
KR20160012988A (ko) 운동 장치
US20190366145A1 (en) Hand exerciser
KR101726649B1 (ko) 손가락 운동장치
JP3120948U (ja) マッサージ具
JP2014073331A (ja)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KR20150011790A (ko) 운동 보조구
CN105688323A (zh) 导丝约束装置
AU2012335797B2 (en) Clamp device for elastic band
US201402281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thenar muscles
KR200486138Y1 (ko) 손목운동기구
KR100642259B1 (ko) 수직방향으로 허리살이 가압되는 훌라후프
JP6731440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運動器具
US20200282260A1 (en) Fitness hand-muscle developer
KR101636694B1 (ko) 손가락 고정부 및 발 고정부를 갖는 운동용 탄력밴드
JP6381621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JP6568629B2 (ja) 人形体の手および人形体
RU2019102519A (ru) Двустворчатый футляр для ключей
JP5435248B1 (ja) 頭皮マッサージ器
CN218737635U (zh) 一种强固自复位折叠式提手
CN110087606B (zh) 按摩装置
JP6069233B2 (ja) 人形体の手首の関節構造、人形体の足首の関節構造、および人形体
KR100857375B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KR101674308B1 (ko) 악력기능을 갖는 골프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