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988A -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988A
KR20160012988A KR1020157028513A KR20157028513A KR20160012988A KR 20160012988 A KR20160012988 A KR 20160012988A KR 1020157028513 A KR1020157028513 A KR 1020157028513A KR 20157028513 A KR20157028513 A KR 20157028513A KR 20160012988 A KR20160012988 A KR 2016001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device
elastic
elastic material
loop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엘런 크로웰
안나 슈록
탄야 로레인 웨이커
네빈 딘 저버
Original Assignee
더 하이제닉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하이제닉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하이제닉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1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6Bars; Tubes;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made of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steel wool, intended to be compres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4Removably attached to wheelchair, home furnishing, or hom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7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 장치는 제 1면과 이 제 1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면을 갖는 제 1탄성재 부분; 제 3면과 이 제 3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4면을 갖는 제 2탄성재 부분; 및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탄성재 부분의 상기 제 2면은 각 접합부에서 상기 제 2탄성재 부분의 상기 제 3면에 부착된다. 각 접합부는 하중을 받거나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동시에 다차원적인 스트레칭이 가능하다. 일체로 연결된 운동장치 조립체는 제 2운동 장치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1운동 장치를 포함하고, 각 접합부는 제 1운동 장치와 제 2운동 장치가 분리되는 경우, 2개의 작은 접합부로 분리 가능하다.

Description

운동 장치{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탄성 저항성 운동 밴드에 관한 것이다.
저항성 운동은 부상을 방지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며, 부상이나 수술 후 근육 회복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오랫동안 운동 트레이닝과 치료 요법에 포함되어 왔다. 종래의 등척(isometric) 또는 등방성 운동 장치는, 보다 큰 장비에 필요한 비용과 공간 없이도 근력 트레이닝과 근육 치료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밴드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성 운동만을 기초로 하여 손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많은 유형의 탄성재 단일 루프 밴드 또는 단일 스트립 밴드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손이나 한 발로 순환식(endless) 루프 밴드의 일단을 잡고, 밴드의 타단은 문과 같은 고정된 물체에 부착하거나, 밴드의 타단을 다른 손이나 발로 잡은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다. 종종, 종래의 밴드에 적당한 그립(grip)을 얻고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밴드를 여러 번 자신의 손이나 발 주위에 걸거나, 또는 밴드의 적절한 위치에 매듭을 묶어야 한다. 종래의 밴드와 함께 적절한 위치에서 효율적인 핸들을 제공하기 위한 이들 방법은, 종종 밴드의 손상 및/또는 손이나 발 영역에 국부적인 압력, 즉, 매듭 영역에서, 및 그 주변에서의 밴드의 상당한 축소로 인해, 밴드가 절단되기도 한다. 매듭 지어진 밴드의 이러한 파고드는 효과(digging-in effect)를 회피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손목이나 발목 같은 말단의 넓은 부위에 걸쳐 밴드를 장착하기보다는, 손으로 잡는 것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노인, 또는 손이나 발의 근육에 과도한 손상을 입은 사람들과 같은 일부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밴드를 효율적으로 잡을 수 없으며, 그로 인해 손상된 근육을 강화 및/또는 회복하기 위해 의사가 처방한 치료 요법에서 벗어날 수 있고/또는, 그들은 추가적으로 부상을 당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일부 사용자들은 운동장치에 개별적으로 부착해야 하는 특수한 핸들에 의지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에게 좌절감을 주는 추가적인 비용과 복잡함을 초래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듭 또는 수축하는 루프를 갖는 장치를 재구성할 필요 없이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운동 장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등방성 성질이, 표면의 형상에 따라 장치가 용이하게 만들어지도록 하며, 다양한 물체에 장착하는 경우, 슬립이 감소됨과 아울러, 추가적인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의 생체 구조의 윤곽을 따라 성형할 수 있는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련의 유연한 루프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의 저항 특성에 의존하는 근육 운동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선택한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접합된 탄성재의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운동 장치는, 제 1면과 이 제 1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 2면을 갖는 제 1탄성재 부분; 제 3면과 이 제 3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 4면을 갖는 제 2탄성재 부분; 및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며, 제 1탄성재 부분의 제 2면은 각 접합부에서 제 2탄성재 부분의 제 3면에 부착된다. 각 접합부는 하중을 받거나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동시에 다차원적인 스트레칭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체로 연결된 운동 장치의 조립체는, 제 2운동 장치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1운동 장치를 포함한다. 각 운동 장치는 제 1탄성재 부분; 제 2탄성재 부분; 제 1탄성재 부분을 제 2탄성재 부분에 주기적으로 부착하는 다수의 접합부; 및 다수의 연속 루프로 이루어지고, 각 루프는 연속 접합부들 사이 및 제 1탄성 부분과 제 2탄성 부분 사이에 개방 공간을 규정하며, 각 접합부는 2개의 작은 접합부로 분리될 수 있고, 제 1운동 장치와 제 2운동 장치가 분리되는 경우, 작은 제 1접합부는 제 1운동 장치의 폐쇄단을 규정하고, 작은 제 2접합부는 제 2운동 장치의 폐쇄단을 규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운동 장치는, 탄성재로 형성되고 접혀서 제 1부분과 이 제 1부분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 2부분을 형성하는 연신형 스트립; 및 연신형 스트립의 세로 길이를 따라 주기적으로 제공되어, 다수의 연속 폐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제 1부분의 영역을 상기 제 2부분의 영역에 연결하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운동 장치에 따르면, 매듭 또는 수축하는 루프를 갖는 장치를 재구성할 필요 없이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운동 장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등방성 성질이, 표면의 형상에 따라 장치가 용이하게 만들어지도록 하며, 다양한 물체에 장착하는 경우, 슬립이 감소됨과 아울러, 추가적인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의 생체 구조의 윤곽을 따라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장치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운동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운동 장치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운동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 및 그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그리고 기술에 대한 본 기여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요를 오히려 넓게 설명하였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고, 본원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게 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구성의 세부적인 응용, 및 다음의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한 구성요소의 배열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기재되고, 수행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요약서 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사용한 어법 및 용법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가 근거로 하는 개념을, 본 발명의 다수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기타의 구조, 방법과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이하,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언급하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운동 장치의 다양한 측면은 연결, 부착 및/또는 함께 접합되는 구성요소를 도시 및 기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연결", "부착", 및/또는 "접합" 이라는 용어들은, 2개의 구성요소 간의 직접 연결, 또는 개재되거나 중간 구성요소를 통한 서로 간의 적절한 간접 연결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반면에, 만일 구성요소가 다른 부품에 "직접 연결", "직접 부착", 및/또는 "직접 접합" 되었다고 언급하는 경우, 개재되는 요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부" 또는 "바닥", "상부" 또는 "위", "단(end)" 또는 "단들", "면(face)" 또는 "베이스" 같은 관련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한 다른 요소에 대한 하나의 요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 관련 용어들은 도면에 묘사된 배향 이외에도, 운동 장치의 여러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로서, 도면에 도시하는 운동 장치의 관점을 뒤집을 경우, 구성요소들은 다른 요소의 "상부"측에 배향될 다른 요소의 "하부"측에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부"라는 용어는, 따라서 장치의 특정한 배향에 따라 "하부" 와 "상부"의 배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운동 장치(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장치(10)는 하부(12)와 상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12)와 상부(14)는 본원에서 논의하는 재료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높은 탄성도를 제공하고, 찢김에 내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휴식할 때와 광범위한 반복적인 스트레칭 후에도 원하는 형상이나 유연성을 유지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재와 같은 임의의 접합한 천연 고무나 합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하부(12)와 상부(14)가 그 길이를 따라 접합부에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루프(16)가 하부(12)와 상부(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루프(16)는 예를 들어, 가열 접착, 고주파 또는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및/또는 다양한 접착제의 도포를 통해서, 적절한 방법으로 하부(12)와 상부(14)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툴 또는 장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접합부가 운동 장치(10)의 다른 부분의 연신 특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균일한 연신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접합부(18)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 장치(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10)의 길이를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 개별 루프(16)는 접합부(18)에 의해 분리되는, 8개의 루프(16)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동 장치의 길이를 따라 각 루프(16)가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가 약 6인치인 6 내지 12개의 루프가 있을 수 있으나,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루프(16)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루프(16)는 동일한 일반적인 수치이지만, 루프(16)의 각 사이즈를 변화시켜, 다양한 사이즈로 된 루프(16)의 다양한 패턴들을 결합하여 운동 장치(1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대로 배치되는 4인치 및 6인치 루프(16), 또는 12인치 중앙 루프를 갖는 6인치 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5는 전체적으로, 장치(10)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원리를 나타내기 위해 운동장치(10)를 확대한 부분의 다양한 도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록 도 1에는 개방 루프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 및 4는 운동 장치(10)가 예를 들어, 일반적인 휴식 상태에 있거나, 특히, 장력 하에 운동 장치(10)가 사용 상태에 있는 경우, 및 특정 루프(16)가 루프 또는 핸들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루프(16)는 평평하게 놓여 있는 것으로 도시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상태인 경우, 루프(16)는 실제로 하부(12)와 상부(14)중 하나에서 파열되거나 찢기는 경우에 리던던시(redundancy)를 제공하는 2층으로 된 특징이 있다. 리던던시는 장치에 대해 안전 대책을 제공하는 것으로, 재료 스냅의 단일 층이 예기치 않게 운동 중에 저항이 해제되고/되거나 운동 장치(10)의 일부가 위험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향하여 부러지는 경우, 통합된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한다. 예로서,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고정된 지지물에 있는 날카로운 모서리 등에 의해, 운동 장치(10)을 통해서 완전히 파열되는 경우에도, 하부(12) 또는 상부(14) 중 하나가 먼저 파열되어, 저항력의 부분 해제만으로 사용자에게 상황을 알리거나, 사용 중에 사용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이중 층 설계의 리던던시 특성은, 통상의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러지거나 해제된 운동 장치(10)의 충격이나 "갑작스러운 반동(snap-back)"을 일반적으로 최소화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부(12)는 제 1단(20)과 제 2단(22)을 갖는 탄성재의 세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14)는 제 1단(24)과 제 2단(26)을 갖는 재료의 제 2세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장치(10)를 만드는 과정은 재료의 스풀로부터 상부(14)를 직선적으로 공급하여 하부(12)를 덮어씌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재료의 제 2스풀로부터 직선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재료는 예를 들어, 시트 재료, 또는 스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공급되는 튜브 재료일 수 있다. 하부(12)와 상부(14)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 부(12와 14)는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열 밀봉 또는 접착제의 도포와 같은 접착 과정은, 하부(12)와 상부(14)를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기 위해, 그리고 동일한 간격이나 가변 길이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운동 장치(10)의 접합부(18)를 규정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매 8번째 접합부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특정 접합부(18)의 세로 영역은 이중 접착될 수 있다. 임의의 접합부가 2개의 개별 운동 장치(10)의 2개의 단을 분리 형성시에 영역을 규정할 수 있으나, 추가된 길이가 운동 장치의 단에 바람직한 경우에 이중 접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치료 요법에서, 수행할 운동은 이중 접착에 의해 부여된 추가적인 강도가 바람직할 수 있는 경우에, 불균형적으로 운동 장치(10)의 단 루프를 사용하는 것에 의존할 수 있다. 접착된 영역을 배가하는 것은 분리된 운동 장치의 단을 형성하는 2개의 작은 접합부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는 이중 접착으로 언급하였지만. 이중 접착은 유사한 접합부의 접합 영역에 걸쳐서, 접합부의 접합 영역의 임의 증가를 언급할 수 있다.
도 2 및 3에서와 같이 능선으로 보일 수 있는 접합부(18)는, 가공 툴의 구성에 따라 임의의 원하는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능선은 접합부 중 하나에서, 접착된 탄성층 장치를 절단 또는 분리하기 위한 시각적인 유도(visual guidance)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운동 장치의 주문형 제작이나 다수의 운동 장치 조립체로부터 하나의 운동 장치의 분리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능선식 압착 툴보다는, 임의의 적절한 부드러운 질감, 및 / 또는 엠보싱 표면 외관을 제공하는 데 압착 툴을 사용될 수 있다. 하부(12)와 상부(14)의 재료는 부드러운, 질감, 및/또는 엠보싱 표면을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면, 일련의 연결된 운동 장치(10)의 큰 스풀, 롤 또는 접힌 스택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래서 의사는 접합부(18)를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조립체로부터 하나의 개별 운동 장치(10)를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각 운동 장치(10)의 개별 길이를 제어해서, 저장을 위해 콤팩트한 구성을 유지하면서 특정 사용자의 요구에 맞출 수 있다. 대안으로, 연결된 운동 장치(10)의 스풀 길이가, 특정 길이의 접합부(18)를 따라 얻어짐으로써, 스풀된 운동 장치의 큰 더미로부터 개별 운동 장치(10)의 용이하고 효율적인 제거를 가능케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접합부(18) 사이에 하부(12) 및 / 또는 상부(14)의 하나 또는 양 세로 측면을 따라 노치(30)가 제공될 수 있다. 각 노치(30)는 대향하는 하부(12) 또는 상부(14)에 있는 비-노치 영역(unnotched region)(32)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상부(14)로부터 하부(12)를 분리하여 루프(16)를 형성하기 위해 비-노치 영역(32)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포물선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노치(30)는 운동 장치(10)의 전체적인 외관의 맥락에서 볼 때, 미적으로 훌륭한 외관을 만드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12)에서 장치(10)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 하나의 노치(30)와, 상부(14)에서 장치(10)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노치(30)와 함께, 노치(30)는 하부 또는 상부의 특정 세로 측면을 따라서, 중심이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노치 또는 다수의 노치(30)들은 각각 하부와 상부(12 및 14)의 세로 측면을 따라 임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장치(10) 상의 연속 루프(16)는, 장치를 물체에 장착할 경우, 장치(10)의 신속한 위치 결정을 가능케 한다. 물체 주변에 장치(10)를 묶는 것보다는, 장치(10)의 일단이 물체의 적절한 장착 부분 주위에 신속하게 감길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장치(10)의 타단 주위에서 루프(16) 중 하나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장치(10)의 제 1단의 연속되는 당김은, 이후 고정된 물체의 장착 부분 주변에 폐쇄되는 장치(10)의 부분을 간단히 맬 수 있다. 운동 장치(10)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간단히 장치(10)의 활성 단(active end)을 해제하고, 본래 나사 가공된 운동 장치(10) 상의 루프(16)을 당기면 된다. 나사 가공된 루프(16)은 결국, 활성 단을 분리시키고 활성 단을 해제하여, 운동 장치(10)는 물체로부터 자유롭게 분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운동 장치(10)의 하부(12)와 상부(14)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 재료의 저항성에 의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부(12) 및/또는 상부(14)는 특정 두께를 갖고/갖거나 장치와 함께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특정 범위의 저항력을 부여할 수 있는 치수로 된 탄성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점진적인 레벨의 저항력을 갖는 일련의 운동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 식별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진적인 레벨의 저항력을 갖는 운동 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해 숫자, 색상, 문자, 심볼, 패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마킹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부(12)와 상부(14)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 탄성재는 어떤 방향으로든 유사하게 스트레칭할 수 있는 등방성 재료일 수 있다. 재료의 등방성은, 재료가 용이하게 표면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만들어지도록 하며, 다양한 물체에 장착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그립을 제공함과 동시에,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구조의 윤곽을 따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등방성 재료는 보다 효율적이고 편안한 저항 유형의 운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운동을 가능케 한다.
또한, 재료의 탄성은 균일한 스트레칭과 운동 장치의 하중 부분의 회복을 제공하며, 재료는 종래의 운동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종종 경험하는 최저 위치로 되거나 갑작스러운 멈춤 없이 사용자에게 일관성 있는 진행을 제공하는 접합부와 루프 모두에 걸쳐 가해진 하중 하에서 유사하게 스트레칭된다. 예를 들어, 탄성 띠와 조합하여 직물 성분을 포함하는 종래의 운동 장치들은 직물재의 비탄성으로 인해 특정 종점에서의 한계를 경험하고,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으며,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갑작스러운 멈춤이나 최저 위치로 되는 느낌을 주게 된다. 회복하는 동안, 접합부와 루프에 걸쳐서 일관성 있는 연신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탄성재의 성질은, 부드럽고 일관성 있는 회복을 가능케 하여 운동 장치를 정지 상태로 되돌린다. 게다가, 직물 성분 기반의 운동 장치에는 직물재의 증대된 마모가 가해지며, 이는 운동 장치에 대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의도된 레벨의 저항력과 일관성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섬유 기반 장치는 종종, 보다 미끄러워서 본원에 개시한 방법에 따라 물체에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보다 위험하며, 보다 넓은 범위의 운동을 수행하는 데 덜 효율적이다.
운동 장치(10)를 문 손잡이 같은 고정된 물체에 장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운동 장치(10)는 사용자의 몸통 주위, 또는 다리와 팔의 다양한 부분에 상술한 방법으로 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운동 장치(10)를 자유롭게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저항성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연속 루프(16)를 제공함으로써, 운동 장치(10)는 운동 장치(10)을 잡는 다수의 자세를 제공하며,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많은 다양한 해부학적 치수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 장치(10)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킨다. 또한, 종래의 순환식 루프 밴드와 비교할 경우, 운동 장치에 제공된 연속 루프(16)의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예를 들어, 루프(16)가 임의의 운동 범위 동안 사용되는 동안 일반적으로 보다 안전한 그립을 제공한다.
운동 장치(10)의 다른 이점은, 운동 장치(10)의 루프(16)의 사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순환식 개방 밴드와 비교할 경우,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보다 사용하기 쉽다. 게다가, 사용자는 루프(16)를 장치에서 매듭을 지을 필요 없이, 적당하게 운동 장치(10)를 잡고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매듭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좁아진 밴드 재료의 인가 압력으로 인해, 실질적인 파고드는 압력(digging pressure)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루프(16)의 개방 측면에 의존해서, 운동 장치를 손, 발, 손목, 팔꿈치,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보다 자연스럽고 인체 공학적으로 장착하며, 운동 장치(10)를 보다 편안하고 효율적이면서 사용설명서에 따라 사용하게 된다. 운동 장치(10)의 사용을 통해 실현되는 사용의 용이성 및 효율성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일련의 운동이나 일상에서 빠르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고, 증대된 사용자의 적합성 및 고도의 지속적인 심장박동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특징과 이점들은 상세한 명세서로부터 명백해지고, 따라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본 발명의 그러한 모든 특징 및 이점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당업자에게는 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도시하고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동작으로 발명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따라서 모든 적절한 수정과 등가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32)

  1. 제 1면과 상기 제 1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면을 갖는 제 1탄성재 부분;
    제 3면과 상기 제 3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4면을 갖는 제 2탄성재 부분; 및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탄성재 부분의 상기 제 2면은 각 접합부에서 상기 제 2탄성재 부분의 상기 제 3면에 부착되고, 상기 각 접합부는 하중을 받거나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동시에 다차원적인 스트레칭이 가능하게 되는 운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 1탄성재 부분을 상기 제 2탄성재 부분에 점착(adhesively bonding)하여 형성되는 운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 1탄성재 부분을 상기 제 2탄성재 부분에 가열 접착하여 형성되는 운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 장치를 더 포함하는 운동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하나 이상의 천연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합성 재료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제 1탄성재 부분과 상기 제 2탄성재 부분 사이에 개방 공간으로서 다수의 연속 루프가 규정되고, 상기 운동 장치가 가해진 하중을 받는 경우, 가해진 하중을 받는 상기 루프와 접합부는 거의 균일한 연신을 받게 되는 상기 운동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속 루프 중 하나 이상은 고정된 물체에 부착하여 상기 다수의 연속 루프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가 잡는 운동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속 루프는 8개 내지 11개의 루프로 이루어지는 운동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속 루프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사이즈의 루프들을 포함하는 운동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제 1 사이즈는 대략 6인치이고 제 2 사이즈는 대략 12 인치이며, 상기 다수의 연속 루프는 상기 제 2 사이즈의 중심 루프에 의해서 균등하게 나뉘어지는 다수의 상기 제 1 사이즈의 루프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합부는 일련의 가로 능선(transverse ridges)들로 이루어지는 운동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루프는 연속 접합 영역들 사이에서 상기 제 1탄성재 부분 및/또는 상기 제 2탄성재 부분에 형성되는 노치 부분을 포함하는 운동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연신형 시트재인 운동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연신형 튜브재인 운동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탄성 한계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운동 장치의 세로 길이를 따라 400% 이상 연신되는 등방성 재료인 운동 장치.
  16. 일체로 연결된 운동장치 조립체에 있어서,
    제 2운동 장치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1운동 장치를 포함하고, 각 운동 장치는:
    제 1탄성 부분;
    제 2탄성 부분;
    상기 제 1탄성 부분을 상기 제 2탄성 부분에 주기적으로 부착하는 다수의 접합부; 및
    다수의 연속 루프를 포함하고, 각 루프는 연속 접합부들 사이 및 상기 제 1탄성 부분과 상기 제 2탄성 부분 사이에 개방 공간을 규정하며,
    각 접합부는 2개의 작은 접합부로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제 1운동 장치와 상기 제 2운동 장치가 분리되는 경우, 작은 제 1접합부는 상기 제 1운동 장치의 폐쇄단을 규정하고, 작은 제 2접합부는 상기 제 2운동 장치의 폐쇄단을 규정하는, 조립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합부는 제 1탄성 밴드부의 일부를 제 2탄성 밴드부의 일부에 점착시켜 형성되는 조립체.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합부는 상기 제 1탄성 밴드부의 일부를 상기 제 2탄성 밴드부의 일부에 가열 접착하여 형성되는 조립체.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로 연결된 다수의 운동 장치는 롤 형상으로 조립되는 조립체.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연신형 시트재인 조립체.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연신형 튜브재인 조립체.
  22. 접혀서 제 1부분과 상기 제 1부분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 2부분을 형성하는 연신형 탄성재; 및
    상기 연신형 탄성재의 세로 길이를 따라 주기적으로 제공되어, 다수의 연속 폐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제 1부분의 영역을 상기 제 2부분의 영역에 연결하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합부는 점착하여 형성되는 운동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합부는 가열 접착하여 형성되는 운동 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 장치를 더 포함하는 운동 장치.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하나 이상의 천연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합성 재료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속 루프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사이즈의 루프들을 포함하는 운동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제 1 사이즈는 대략 6인치이고 제 2 사이즈는 대략 12 인치이며, 상기 다수의 연속 루프는 적어도 상기 제 2 사이즈의 중심 루프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탄성 한계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운동 장치의 세로 길이를 따라 400% 이상 연신되는 등방성 재료인 운동 장치.
  3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일련의 가로 능선들로 이루어지는 운동 장치.
  31.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연신형 시트재인 운동 장치.
  3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연신형 튜브재인 운동 장치.
KR1020157028513A 2013-03-14 2014-02-26 운동 장치 KR20160012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27,445 2013-03-14
US13/827,445 US9022908B2 (en) 2013-03-14 2013-03-14 Exercise device
PCT/US2014/018537 WO2014158588A1 (en) 2013-03-14 2014-02-26 Exercis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988A true KR20160012988A (ko) 2016-02-03

Family

ID=5152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513A KR20160012988A (ko) 2013-03-14 2014-02-26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022908B2 (ko)
EP (1) EP2969061B1 (ko)
JP (1) JP6362671B2 (ko)
KR (1) KR20160012988A (ko)
CN (1) CN105102077B (ko)
BR (1) BR112015023411B1 (ko)
DK (1) DK2969061T3 (ko)
ES (1) ES2672740T3 (ko)
HK (1) HK1218406A1 (ko)
MY (1) MY168403A (ko)
PT (1) PT2969061T (ko)
TR (1) TR201809651T4 (ko)
WO (1) WO2014158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6496B1 (fr) * 2011-06-20 2013-07-19 Sveltus Dispositif de type extenseur entierement souple compose d'au moins deux elements de prehension, de preference 4, 6, ou 8 elements
US20160287927A1 (en) * 2012-08-17 2016-10-06 Joshua Reid Hunter Exercise assembly
US20140059810A1 (en) * 2012-08-31 2014-03-06 AKACAS IP Holdings, LLC Bottle bracelet
US9656115B2 (en) * 2013-11-18 2017-05-23 Dr. Fit365, LLC.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JP6524387B2 (ja) * 2015-02-04 2019-06-05 株式会社Toscom 筋力トレーニング支援バンド
DK3285892T3 (da) * 2015-04-22 2020-11-23 Hygenic Intangible Property Holding Company Llc Træningsanordning
US20180132454A1 (en) * 2015-05-29 2018-05-17 Federica Giacon Play-training device for grabbing or tugging or "spring pole" activities for dogs
EP3199209B1 (de) * 2016-02-01 2019-04-17 Nnsquare GBR Trainingsgerät für den menschlichen körper
US10512590B2 (en) * 2017-02-02 2019-12-24 Harrison Legacy 301, Llc Gamers knuckle bracelet for hand exercises
USD829286S1 (en) * 2017-04-18 2018-09-25 Woochang Bae Exercising apparatus
ES1187339Y (es) * 2017-06-21 2017-10-02 Kine Dynamics S L Dispositivo mejorado para el entrenamiento en suspensión
USD850546S1 (en) * 2017-09-26 2019-06-04 Perform-X Training Systems, Inc. Elastic fitness band
USD895340S1 (en) * 2017-10-03 2020-09-08 Bliss Hammocks Inc. Hammock hanging strap
US11000087B1 (en) * 2017-12-15 2021-05-11 Blindside Partners LLC Elastic resistance strap for use with protective helmets
USD844080S1 (en) 2018-03-09 2019-03-26 Dr. Fit365, Llc Exercise device
US20190282849A1 (en) * 2018-03-16 2019-09-19 Thomas Val Balent Hand Positioning Strap System for Athletic Training
TWI684475B (zh) * 2018-11-06 2020-02-11 王羽暄 壁掛式伸展運動用具
USD876206S1 (en) * 2018-11-08 2020-02-25 Eagles Nest Outfitters, Inc. Hammock strap with 3-stitch line pattern
US10954046B2 (en) * 2018-11-17 2021-03-23 Simple Strap, Llc Securing device
US11083926B2 (en) * 2018-11-30 2021-08-10 Robert Yanez Exercise device
US10947646B2 (en) * 2019-01-31 2021-03-16 Mi Shen Chiang Elastic band
USD911152S1 (en) * 2019-10-02 2021-02-23 Tethrd LLC Tree mountable strap and gear holder
USD998069S1 (en) 2021-01-05 2023-09-05 Joshua Hunter Resistance band sleeve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12937A (en) * 1965-07-06 H. Moquin John Elastic exercising device
US4570929A (en) * 1983-08-31 1986-02-18 Trim, Inc. Plastic exercising devic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5556369A (en) 1986-11-10 1996-09-17 Roberts; William J. Exercise device
AU3775693A (en) * 1992-02-27 1993-09-13 Lewis Dean Apparatus for stretching muscles and use thereof
FR2688141B3 (fr) 1992-03-05 1994-05-27 Robert Krupa Appareil de gymnastique et de reeducation.
AU4870196A (en) 1995-03-27 1996-10-16 Rupert Reiter Suspended trimming device
US5571064A (en) 1995-05-26 1996-11-05 Holm; James E. Elastic exercise device with segmented handle
US5816984A (en) 1996-12-02 1998-10-06 Weiss; Lou Flexible resistance exerciser
US6450929B1 (en) 1998-03-16 2002-09-17 Douglas J. Markham Door mounted exercizing device
AU4062300A (en) * 1999-05-14 2000-12-05 Frank Rotella Adjustable strap and band exercise device mountable on door
US6179751B1 (en) 1999-10-13 2001-01-30 Weldon R. Clears Device for ameliorating tennis elbow
US6726606B2 (en) 2001-10-18 2004-04-27 Neill Jacobsen Aerobic exercise apparatus
US6921354B1 (en) 2002-01-15 2005-07-26 Tessema Dosho Shifferaw Exercise harness and method
CA2406149C (en) 2002-10-02 2009-01-06 Thomas Mark Tustin Dynamic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JP3094822U (ja) * 2002-12-20 2003-07-04 公利 三宅 チューブを用いた健康用具
US6840894B2 (en) * 2003-02-03 2005-01-11 Louis L. Lerner Modular resistive exercise system
US20070027005A1 (en) 2003-04-09 2007-02-01 Randal Hetrick Exercise device grips and accessories for exercise devices
US7090622B2 (en) 2003-04-09 2006-08-15 Fitness Anywhere, Inc. Exercise device grips and accessories for exercise devices
US7806814B2 (en) 2003-04-09 2010-10-05 Fitness Anywhere, Inc.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rive
US7044896B2 (en) 2003-04-09 2006-05-16 Fitness Anywhere, Inc. Exercise device including adjustable, inelastic straps
SE526075C2 (sv) 2003-08-08 2005-06-28 Torbjoern Sjoedin Träningsanordning
US8096922B2 (en) 2004-11-26 2012-01-17 Redcord As Training apparatus
NO322678B1 (no) 2004-11-26 2006-11-27 Nordisk Terapi As Anordning til bruk sammen med et treningsapparat som har nedhengende, lengdejusterbart og lasbart tau.
MX2008005833A (es) * 2005-11-07 2008-10-23 Fitness Anywhere Inc Asidero de combinacion para un dispositivo de ejercicio.
US8343018B2 (en) 2006-12-05 2013-01-01 Moulton Kelly J Muscle tension strap
US7651451B2 (en) 2007-05-04 2010-01-26 Jensen John B Multiple muscle exercising device
US20090075790A1 (en) 2007-09-17 2009-03-19 Randal Hetrick Combination anchor for an exercise device
US7785244B2 (en) 2007-09-17 2010-08-31 Fitness Anywhere Inc.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evice
US7762932B2 (en) 2007-09-17 2010-07-27 Fitness Anywhere, Inc. Inelastic exercise device having a limited range
US8083653B2 (en) 2007-09-17 2011-12-27 Fitness Anywhere, Llc Exercise device having a door anchor
US8043197B2 (en) 2007-09-17 2011-10-25 Fitness Anywhere LLC Exercise device having inelastic straps and interchangeable parts
CA2633850A1 (en) 2008-02-05 2009-08-05 Jennifer Chan Elastic ring and method of proper placement to perform series of yoga asanas
US20100292054A1 (en) 2009-05-17 2010-11-18 Amy Lynn Karpus Resistive band/loop exerciser of thermoplastic elastomer
US8920294B2 (en) 2009-11-24 2014-12-30 The Power Straps, Inc. Suspension training device
US8088053B2 (en) 2010-02-24 2012-01-03 Orenda LLC Physical training and rehabilitative rope suspension system
USD636036S1 (en) 2010-05-13 2011-04-12 Rick Rios Suspension trainer
US8197392B2 (en) 2010-08-03 2012-06-12 Astone Fitness Ltd. Suspendible exercise straps
CN201848050U (zh) * 2010-11-08 2011-06-01 叶雄锋 健身拉力带
US8157712B1 (en) * 2010-12-08 2012-04-17 Nicholas R. Musachio Resistance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apparatus
FR2976496B1 (fr) * 2011-06-20 2013-07-19 Sveltus Dispositif de type extenseur entierement souple compose d'au moins deux elements de prehension, de preference 4, 6, ou 8 elements
US20130059702A1 (en) 2011-09-01 2013-03-07 The Hygenic Corporation Stretch Strap
JP2012228549A (ja) * 2012-07-23 2012-11-22 Imamura:Kk トレーニング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969061T (pt) 2018-06-12
JP2016512066A (ja) 2016-04-25
BR112015023411A2 (ko) 2017-08-22
TR201809651T4 (tr) 2018-07-23
HK1218406A1 (zh) 2017-02-17
EP2969061B1 (en) 2018-04-11
EP2969061A1 (en) 2016-01-20
US9022908B2 (en) 2015-05-05
US20140274601A1 (en) 2014-09-18
EP2969061A4 (en) 2016-02-24
JP6362671B2 (ja) 2018-07-25
BR112015023411B1 (pt) 2022-08-23
ES2672740T3 (es) 2018-06-15
DK2969061T3 (en) 2018-07-16
MY168403A (en) 2018-11-01
WO2014158588A1 (en) 2014-10-02
CN105102077B (zh) 2018-05-01
CN105102077A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2988A (ko) 운동 장치
JP6925975B2 (ja) 運動器具
US20160129294A1 (en) Elastic training apparatus
JP6890339B2 (ja) エクササイズループ
US4570929A (en) Plastic exercising devic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7931572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20150335937A1 (en) Elastic exercise apparatus
US5529550A (en) Device for forearm, elbow, wrist, hand, finger and thumb exercise
US20180133541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Facilitating Exercise And Training
US20220219042A1 (en) Flexible Resistance Articles, Systems, Kits, and Methods
US20130019376A1 (en) Hand grip for exercising and rehabilitation
US20050227814A1 (en) Exercise device
JP2002191716A (ja) 運動用具
KR101636694B1 (ko) 손가락 고정부 및 발 고정부를 갖는 운동용 탄력밴드
JP6461417B1 (ja) 運動具
US20240009503A1 (en) Finger and toe exercising band
JP4757280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及び方法
JP2020178812A (ja) 足用トレーニング器具および足のトレーニング方法
JP3170189U (ja) 環状の筋肉トレーニング器
JP4072635B2 (ja) 健康器具
JP3170837U (ja) 環状の筋肉トレーニング器
JPH09266957A (ja) 健康運動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