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753A - 절첩식 욕조 - Google Patents

절첩식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753A
KR20150011753A KR1020140051079A KR20140051079A KR20150011753A KR 20150011753 A KR20150011753 A KR 20150011753A KR 1020140051079 A KR1020140051079 A KR 1020140051079A KR 20140051079 A KR20140051079 A KR 20140051079A KR 20150011753 A KR20150011753 A KR 20150011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olded
water
ai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760B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ublication of KR2015001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바닥판(11,12,13,14,15,16)들과 측면판(21,22,23,24,25,26)들로 이루어지는 바닥면부와 측면부; 상기 바닥면부는 상향 절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측면부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은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하며, 복수의 바닥판(11,12,13,14,15,16)들과 측면판(21,22,23,24,25,26)들간이 일정 폭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는 복수의 튜브(31,32,33,34,35,36)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절첩부; 하단부의 절첩부에는 절첩부를 수평관통하여 저수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절첩부의 내부로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밸브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절첩부를 따라 간단히 접혀질 수 있도록 하면서 절첩부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여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욕조{A collapsible bathtub}
본 발명은 절첩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첩 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간단한 에어 주입에 의해서 펼쳐지면서 욕조나 풀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첩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목욕이나 기타의 용도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욕조는 대부분이 주택의 욕실에서 붙박이로 설치되는 구성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욕조는 도기 또는 합성수지 또는 대리석 등으로 제작되도록 하고 있다.
붙박이로 구비되는 욕조는 이동성이 없어 설치된 위치로 이동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최근에 아기들을 위해서 그리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돌봄을 위한 장비 중 이동이 가능한 욕조가 제안된 바 있다.
환자나 노약자를 위한 욕조는 대개가 튜브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 시 물이 쉽게 넘치게 되어 주의가 요망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유아용 욕조를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공개특허 제2009-0099521호(2009.09.22.명칭:절첩식 욕조)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가요성 굽힘 가능 조인트에 의해서 간단히 접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유연성과 방수성을 갖는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찢김이 없도록 하면서 접혀지는 부위는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수밀과 함께 수많은 횟수에 걸쳐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하지만 비록 플라스틱을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연결하더라도 접었을 때에는 가요성 플라스틱 부분이 접혀질 수가 있기는 하나 접혀진 상태에서는 펼쳐질려는 탄성이 있어 접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가 어려우므로 접힌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별도로 필요로 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접혀진 상태에서 전개시키기 위해서는 인력에 의해 가요성 플라스틱 부분이 펼쳐지도록 해야 하고, 어느정도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저수되어야만 온전한 형태로 펼쳐지게 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09-0099521호(2009.09.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접혀지는 부위를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하여 공기를 뺀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절첩식 욕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기만 하면 손쉽게 형태 복원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욕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를 이용하여 공기 주입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첩식 욕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절첩식 욕조는, 일정 두께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판과 측면판으로 바닥면부와 측면부를 이루고, 상기 바닥면부는 상향 절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측면부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은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복수의 바닥판들과 측면판들간이 일정 폭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는 복수의 튜브를 연결하여 절첩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의 절첩부에는 절첩부를 수평관통하여 저수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절첩부의 내부로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밸브를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은 고무 또는 발포매트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절첩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첩부는 겹쳐지는 부위에서의 바닥면 또는 측벽의 두께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절첩식 욕조는 절첩 부위가 유연하도록 함으로써 접혀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하거나 이동하는데 있어 최소 사이즈로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전체적으로 펼쳐지게 한 상태에서 절첩되는 부위로 공기만 불어넣기만 하면 절첩 부위가 기둥역할을 하면서 쉽게 전개되도록 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를 예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에서의 개폐 밸브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에 호스 연결구를 장착한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에서의 절첩이 되는 상태를 예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에 급수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절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식 욕조는 크게 바닥면부와 측면부와 절첩부 및 개폐 밸브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바닥면부는 전체 면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바닥면부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바닥면부는 6개의 바닥판(11,12,13,14,15,16)으로 이루어진다.
즉 바닥면부는 폭 중간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게 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양분되도록 하고, 다시 양분된 양 바닥판은 양단부가 각각 삼각형 형상으로 분리되면서 총 6개의 바닥판(11,12,13,14,15,16)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런 바닥면부는 바닥판(11,12,13,14,15,16)들이 상향 및 하향 절곡되게 함으로써 상향 절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측면부는 바닥면부의 단부를 따라서 각각 4개의 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측면들 중 마주보는 한 쌍은 폭 중간을 기준으로 양분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6개의 측면판(21,22,23,24,25,26)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들 측면들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바닥면부와 측면부를 이루는 각 바닥판(11,12,13,14,15,16)과 측면판(21,22,23,24,25,26)들은 일정 두께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신체와의 접촉 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 또는 발포 매트로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바닥면부와 측면부의 상호 분리되도록 한 각 바닥판(11,12,13,14,15,16)과 측면판(21,22,23,24,25,26)들간을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이렇게 이격된 부위에는 튜브(31,32,33,34,35)로 이루어지는 절첩부가 연결되도록 한다.
절첩부의 각 튜브(31,32,33,34,35)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도록 하되 각 튜브(31,32,33,34,35)의 폭은 접혀지는 부위에서의 판재들의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절첩부의 튜브(31,32,33,34,35)에는 내부로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절첩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연질의 재질로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런 튜브(31,32,33,34,35)의 결합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절첩부에서 바닥면부와 측면부는 튜브(31)에 의해 연결되며, 측면부의 코너측 측면판(21,22,23,24,25,26)들간은 튜브(32)에 의해 연결되고, 동일한 평면의 측면판(23,24)와 측면판(25,26)들은 튜브(33)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바닥면부에서 바닥판(11,12)의 빗면과 근접하는 바닥판(13,15)와 바닥판(14,16)과는 튜브(34)에 의해 연결되고, 바닥판(13,14)와 바닥판(15,16)간은 튜브(35)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첩부에는 하단부에 개폐 밸브가 구비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에서의 개폐 밸브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밸브는 이중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이중관의 내부로는 배수관(41)을 형성하고, 배수관(41)의 일측으로는 배수관(4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에어 주입관(42)이 외측을 감싸도록 하면서 적어도 에어 주입관(42)의 일단이 배수관(41)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배수관(41)은 바닥면부와 측면부간을 연결하는 튜브(31)를 수평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에어 주입관(42)은 튜브(31)의 외부에서 일단이 튜브(31)의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하여 에어 주입관(42)의 내부와 튜브(31)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하고, 외부측 에어 주입관(42)에는 외주면으로 에어 주입구(420)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 에어 주입구(420)는 에어 캡(421)에 의해서 개폐가 단속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에어 주입구(420)의 안쪽에는 일방향으로만 개폐되는 체크 밸브(4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를 주입 시에만 개방되고, 충전된 에어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배수관(41)도 마개(41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하되 튜브(31)를 기준으로 마개(410)에 의해 욕조 내측에서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수관(41)은 배수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배수관(41)의 외측단부로 급수 호스가 연결되게 하여 급수가 되게 할 수가 있다.
즉, 급수 밸브와 이격된 거리에서도 급수 호스를 배수관(41)에 연결하기만 하면 욕조 내부로 안정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단부에도 바닥면부와 측면부간을 연결하는 튜브(31)와 마찬가지로 각 측면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면서 각 측면판(21,22,23,24,25,26)들간을 연결하는 튜브(32,33)와 상호 연통되도록 튜브(36)가 형성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이때의 튜브(36)는 노약자들이나 아이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단부측 튜브(36)에는 일측의 주면에서 튜브(36)의 내주면측으로 도 4에서와 같이 호스 연결구(50)가 형성되게 하여 호스 연결구(50)에 형성한 호스 관통홀(51)에 급수 호스가 끼워질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급수용 구조는 단순히 측면판(21,22,23,24,25,26)들 중 하나에서 상단부를 수평 관통되게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도 형성은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절첩식 욕조의 절첩작용과 그에 의한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절첩식 욕조는 간단한 절첩에 의해서 접혀지도록 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절첩부로 에어 주입만 하면 자동으로 전개되게 하여 좀더 편리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바닥면부와 측면부간 연결 부위와 각 판면을 분리되도록 한 연결 부위를 각각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튜브형상의 절첩부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욕조에서의 절첩이 되는 상태를 예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부는 바닥판(11,12,13,14,15,16)과 측면판(21,22,23,24,25,26)간을 연결하는 튜브(31,32,33,34,35,36)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바닥면부와 측면부간을 연결하는 튜브(31)는 안쪽으로 절곡되는 구성이고, 측면간을 연결하는 튜브(32)도 안쪽으로 절곡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의 측면판(23,24,25,26)간을 연결하는 튜브(33)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다만 바닥면부의 바닥판(11,12)과 연결되는 바닥판(13,14,15,16)들과의 연결 튜브(34)는 상향 절곡되도록 하며, 바닥판(13,14,15,16)들간을 연결하는 튜브(35)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한다.
한편, 바닥면부가 직사각형인 경우 바닥판(13,14)과 바닥판(15,16) 사이는 일정 거리가 이격되는 형상이 되므로 이렇게 이격되는 부위에 연결되는 튜브(36)는 튜브(34)와 함께 상향 절곡되도록 한다.
이렇게 튜브(31,32,33,34,35,36)들이 절곡되도록 하면 본 발명의 욕조는 완전히 접혀진 상태가 된다.
접혀진 상태에서 절첩부에는 복원력이 없으므로 자연적으로 펼쳐지지는 않게 되므로 최소한의 공간에서 보관할 수가 있으며, 운반 시에도 이동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이 직사각형상인 경우 측면판(21,22)의 길이 중간에서 상단부로 장공의 파지용 홀(27)을 형성하게 되면 더욱 운반이 용이해질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된 상태에서 굳이 인위적으로 펼치려 하지 않아도 에어 주입구(420)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게 되면 절첩부의 각 튜브(31,32,33,34,35,36)로 에어가 충진되면서 자연적으로 펼쳐져 욕조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에어 충전은 입으로 불어서 할 수도 있으나 간단한 충전 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다만 사이즈가 작은 유아용 욕조의 경우는 입으로도 충분히 에어 충전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에어의 충전만으로 절첩부가 기둥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욕조의 상부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나, 급수 호스를 배수관(41)에 연결하여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간편하다.
또한 급수는 도 6과 같이 상단부측 튜브(36)에 형성한 호스 연결구(50)를 통해서도 물을 받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바닥면부와 함께 측면부는 절첩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보다 견고하게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욕조를 환자와 가까운 방이나 정원 등에 설치하게 되더라도 급수 호스를 이용하여 배수관(41)이나 호스 연결구(50)에 형성한 호스 관통홀(51)에 끼우게 되면 급수 밸브와 비록 이격된 거리에서라도 욕조 내부로 안정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가 있도록 한다.
사용이 끝나면 배수관(41)을 막고 있는 마개(410)를 분리시켜 내부에 채워진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물이 배출되더라도 본 발명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배수관(41)을 통해 배출시키고도 잔류하는 물이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한 다음 절첩부의 각 튜브(31,32,33,34,35,36)에 채워져 있는 에어를 배출시킨다.
에어 배출은 에어 주입관(42)에 일체로 형성한 에어 주입구(420)로부터 에어 캡(421)을 분리시킨 후 에어 주입구(420)의 외주면을 압축시키게 되면 체크 밸브(422)가 강제적로 개방되므로 에어가 쉽게 배출될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은 에어 배출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각 튜브(31,32,33,34,35,36)로부터 에어도 배출시키게 되면 욕조는 측면판(21,22,23,24,25,26)들에 의해서만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이때 에어가 배출된 튜브(31,32,33,34,35,36)를 바닥면부 양측에서부터 바닥면부가 상향 접혀지도록 하면 상호 분리된 측면판((23,24,25,26)들간 튜브(33)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도 7에서와 같이 접혀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혀진 상태에서도 안정되게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이나 이동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히 에어를 절첩부에 주입하기만 하면 다시 욕조의 형상으로 복원되므로 변형을 방지시킬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닥면부와 측면부의 바닥판(11,12,13,14,15,16)과 측면판(21,22,23,24,25,26)을 좀더 가벼우면서 안전하고 변형에 강한 재질로서 좀더 큰 사이즈로도 형성할 수도 있어 아이들의 놀이 풀 등의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11,12,13,14,15,16 : 바닥판
21,22,23,24,25,26 : 측면판
31,32,33,34,35,36 : 튜브
41 : 배수관 410 : 마개
42 : 에어 주입관 420 : 에어 주입구
421 : 에어 캡 422 : 체크 밸브
50 : 호스 연결구 51 : 호스 관통홀

Claims (8)

  1. 일정 두께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바닥판들과 측면판들로 이루어지는 바닥면부와 측면부;
    상기 바닥면부는 상향 절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측면부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은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하며, 복수의 바닥판들과 측면판들간이 일정 폭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는 복수의 튜브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절첩부;
    하단부의 절첩부에는 절첩부를 수평관통하여 저수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절첩부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밸브;
    를 결합한 구성인 절첩식 욕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은 고무 또는 발포매트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욕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욕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바닥면 또는 측벽의 두께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절첩식 욕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는
    내부측으로는 배수관(41)을 형성하고, 배수관(41)의 일측으로는 배수관(4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에어 주입관(42)이 외측을 감싸도록 하면서 적어도 에어 주입관(42)의 일단이 배수관(41)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바닥면부와 측면부간을 연결하는 튜브를 수평 관통되도록 하여 일단부는 상기 튜브의 내측면과 접합되고 타단부는 튜브의 외부로 일정 길이가 인출되도록 하는 배수관,
    상기 튜브의 외부에서 상기 배수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하면서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튜브의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하여 내부가 튜브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며, 타단측 단면은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과 밀폐되도록 일체로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에 에어 캡에 의해서 개폐가 단속되도록 하는 에어 주입구를 형성하는 에어 주입관,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욕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 주입구의 안쪽에는 일방향으로만 개폐되는 체크 밸브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의 유동이 단속되도록 하는 절첩식 욕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의 튜브들 중 상단부측의 튜브에는 튜브의 내주면측으로 호스 연결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호스 연결구에 형성한 호스 관통홀에 급수 호스가 끼워져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욕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판면에 절첩부를 형성하지 않은 양측의 측면판에는 길이 중간 위치의 상부에 판면을 수평관통시킨 장공의 파지부를 형성하는 절첩식 욕조.
KR1020140051079A 2013-07-23 2014-04-28 절첩식 욕조 KR101590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386 2013-07-23
KR20130086386 2013-07-23
KR1020130087701 2013-07-24
KR20130087701 2013-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53A true KR20150011753A (ko) 2015-02-02
KR101590760B1 KR101590760B1 (ko) 2016-02-03

Family

ID=5248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79A KR101590760B1 (ko) 2013-07-23 2014-04-28 절첩식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130A1 (ko) * 2019-12-27 2021-07-01 임진광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808A (ja) * 1989-09-26 1991-05-13 Res Dev Corp Of Japan 高解像受光系及び該受光系を用いた光断層像画像化装置
KR200272566Y1 (ko) * 2001-12-12 2002-04-19 김승근 간이 욕조
KR200349604Y1 (ko) * 2004-02-24 2004-05-12 김경일 휴대용 목욕통
KR20090099521A (ko) 2006-11-07 2009-09-22 프렉시 바스 에이피에스 접철식 욕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808B2 (ja) * 1994-06-20 2000-1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クロスカットシュレッ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808A (ja) * 1989-09-26 1991-05-13 Res Dev Corp Of Japan 高解像受光系及び該受光系を用いた光断層像画像化装置
KR200272566Y1 (ko) * 2001-12-12 2002-04-19 김승근 간이 욕조
KR200349604Y1 (ko) * 2004-02-24 2004-05-12 김경일 휴대용 목욕통
KR20090099521A (ko) 2006-11-07 2009-09-22 프렉시 바스 에이피에스 접철식 욕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130A1 (ko) * 2019-12-27 2021-07-01 임진광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
KR20210084081A (ko) * 2019-12-27 2021-07-07 임진광 환자용 침대에 적합한 접이식 욕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760B1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2770B2 (en) Collapsible bathtub
RU269711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мывания
US20180255978A1 (en) Infant bathing device
KR101590760B1 (ko) 절첩식 욕조
EP3110299A1 (en) Inflatable bathtub
US20100212084A1 (en) Portable tub
KR200476257Y1 (ko) 접이식 욕조
CN101797126A (zh) 用于淋浴室的可移动式简易浴缸
EP3241579B1 (en) Colonic irrigator
JP3111808U (ja) 携帯用浴槽
JP2008237868A (ja) 子供用いす
KR101039702B1 (ko) 욕조겸용 침대
KR102262423B1 (ko) 욕조 본체와 프레임의 고정력을 강화한 기능성 접이식 욕조
KR100780046B1 (ko) 의료용 세발기
US10405703B2 (en) Portable shower enclosure
US10743718B2 (en) Baby bath system
KR2005004382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욕용 욕조
JP3065084U (ja) 介護用浴槽
KR200450840Y1 (ko) 접이식 유아용 욕조
CN111632222B (zh) 一种多用肛肠和前列腺理疗坐浴盆
CN215127786U (zh) 一种可折叠的足浴盆
KR200320146Y1 (ko) 공기를 이용한 욕조
KR200349604Y1 (ko) 휴대용 목욕통
JP2007135691A (ja) 折りたたみ可能な洗髪器
JPH10290823A (ja) 据置使用の介護用伸縮浴槽及びその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