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875A -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875A
KR20150010875A KR20130085445A KR20130085445A KR20150010875A KR 20150010875 A KR20150010875 A KR 20150010875A KR 20130085445 A KR20130085445 A KR 20130085445A KR 20130085445 A KR20130085445 A KR 20130085445A KR 20150010875 A KR20150010875 A KR 2015001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ortion
chlorine dioxide
raw material
dioxide gas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811B1 (ko
Inventor
김종락
김진성
류재홍
Original Assignee
(주)푸르고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르고팜 filed Critical (주)푸르고팜
Priority to KR102013008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8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6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18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혼합됨으로써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가 상기 압력이 가해진 저장부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ClO2 GAS FUMIG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축산물은 저장 및 유통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중에 부패 미생물이나 생리적 작용 또는 온도 조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썩거나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훼손된다. 손실 비율은 전체 농축산물의 20% 내지 30%에 이르러 이를 경제적 손실규모로 환산하면 수 조원에 이른다.
농축산물의 저장 및 유통 중 손실을 줄이기 위해 현재까지 저온 유지(cold chain)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밀폐 저장 공간의 공기 조성 성분을 변경하여 산소는 줄이고 이산화탄소는 높이는 CA(Controlled Atmosphere), MA(Modified Atmosphere) 저장법이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식물의 노화 호르몬으로 작용하는 에틸렌을 조절하는 방법이 부상되고 있다. 축산물의 경우에는 온도조절과 진공 포장 등 여러 방법의 적용으로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농축산물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의 밀도를 낮추지 않고서는 미생물에 의한 농축산물의 부패 가속화를 제어하기 힘들다. 미생물의 제거를 위해 작물에 따라 농산물을 살균 용액으로 세척하여 미생물을 제거하기도 하지만 딸기, 포도, 복숭아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과수 작물들과 약초는 수용액 접촉이 원천적으로 불가하고 축산물 역시 마땅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용액의 접촉이 허용된다고 하더라도 농축산물의 갈라지거나 상처가 난 틈새 부위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는 가스 살균이 용액에 의한 세척 살균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실험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용액 세척 살균과 비교하여 가스 훈증법을 적용하면 상품 포장이 이뤄진 후 아주 미세한 공기 구멍을 통해서도 가스와 작물의 접촉이 이루어져 살균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 훈증법에 사용되는 물질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황 훈증 방법의 경우 인체 유해 가능성이 문제시 되고, MB(메틸브로마이드) 훈증의 경우는 오존파괴물질로 사용이 금지되어 가고 있는 반면, 이산화염소는 식약청에 등록된 식품첨가물이며 농수산식품부에서 식품 표면의 세척, 소독 목적으로 등록된 유기적 취급물질로 친환경적이다.
이산화염소는 곰팡이에서 세균,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산화 살균제로서 광범위한 효력을 갖고 있으며, 미생물 살균 메커니즘은 미생물의 보호막을 뚫고 들어가 산화력에 의한 세포의 효소작용을 방해하여 미생물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살균력은 넓은 PH범위에서 유효하며 염소에 비해 2.5배 이상 살균력이 강하고 THM(trihalomethane)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유럽이나 미국에서 환경 친화적 그린(Green) 살균제로 각광 받고 있다. UN 산하 세계보건기구(WHO) 및 식량농업기구(FAO)는 이산화염소를 살균제로 추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 훈증 팩(한국출원특허 10-2011-0095118)을 출원하였다. 이러한 가스 훈증 팩은 가스 차단 필름을 제거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가스 훈증 팩을 사용하기 전이나 사용하는 경우 모두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한 상태이므로 가스 차단 필름의 노후화나 사용자의 실수로 가스 차단 필름이 벗겨질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산화염소 가스가 누출될 수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11-0095118 (공개일 : 2013년 03월 29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혼합됨으로써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가 상기 압력이 가해진 저장부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일측면의 맞은 편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혼합됨으로써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산환염소 가스 훈증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가 상기 압력이 가해진 저장부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의 외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이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는 LDPE 또는 LLD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외부로 투과시키고,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LDPE 또는 LLD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원료물질 또는 상기 제2 원료물질 중 하나는 아염소산나트륨이고, 다른 하나는 산성기 공급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산성기 공급 물질은 구연산, 초산, 또는 젖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막는 투과방지막이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막는 투과방지막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일측면에 이격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제1 저장부, 상기 이격부 및 상기 제2 저장부가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기 이격부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는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제2 저장부 전체 영역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는 서로 붙어 있으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는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전체 영역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는 서로 붙어 있으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는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제2 저장부 전체 영역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을 가하여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가 연통됨으로써 간편하게 이산화염소 가스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장치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를 조작하는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이산화염소 가스에 대한 다양한 재질의 투과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A1-A2, B1-B2, 및 C1-C2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제1 저장부, 이격부 및 제2 저장부가 연통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연통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10), 제1 저장부(120), 제2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제1 저장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한다.
제2 저장부(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제1 원료물질과 혼합됨으로써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한다.
이 때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가 압력이 가해진 저장부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연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의하여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제1 저장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한다.
제2 저장부(130)는 일측면의 맞은 편인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제1 원료물질과 혼합됨으로써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한다.
이 때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가 압력이 가해진 저장부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연통되어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따라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경우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동일한 일측면에 배치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경우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서로 다른 측면들에 각각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눌리면서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이 서로 섞이면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이산화염소 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원료물질 또는 제2 원료물질 중 하나는 아염소산나트륨(NaClO2)이고, 다른 하나는 산성기 공급 물질일 수 있다. 아염소산나트륨이 Na+와 ClO2 -로 분해될 때 산성기 공급 물질은 ClO2 -의 전자를 잃게 하여 ClO2를 형성시킨다. 또한 산성기 공급 물질은 물과 같은 용매에 산성기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산성기 공급 물질은 염산과 같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구연산(C6H8O7), 초산(CH3COOH), 젖산(CH3CHOHCO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연산, 초산, 젖산과 같은 산성기 공급 물질은 약산성 물질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취급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구하기 쉽다.
산성기 공급 물질이 구연산을 포함할 경우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 사이의 화학반응은 다음과 같다.
15NaClO2 + 4C6H8O7 = 12ClO2 + 4C6H5Na3O7 + 3NaCl + 6H2O
이와 같은 화학 반응에 따라 이산화염소 가스(12ClO2)와 부산물(4C6H5Na3O7, 3NaCl, 6H2O)이 생성되며, 이들 부산물은 인체에 해롭지 않다.
한편,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의 외부로 투과시키고,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이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는,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섞이지 전에는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의하여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이산화염소 가스에 대한 다양한 재질의 투과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가스(ClO2)에 대한 LDPE 및 LLDPE의 투과성이 나머지 재질(PS : Polystyrene, PVC : Polyvinyl chloride, 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PLA : Poly Lactic Acid, BOPP :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Nylon, PET : Polyethylene phthalate, EVA : Ethylene Vinyl Acetate, EVOH : Ethylene Vinyl Alcohol)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도 6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단위 : 초)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각 재질을 통과한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가 LDPE 또는 LLDP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LDPE 또는 LLDPE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LDPE 또는 LLDPE의 가공성은 PET에 비하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가 PET로 형성되는 경우, 제조 과정에서 프레스가 PET를 열압착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PET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성이 LDPE나 LLDPE에 비하여 낮으므로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에 비하여 형상이 단순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위하여 LDPE나 LLDPE로 형성되고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가 가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PET로 형성될 수 있다.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외부로 투과시키고,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투과방지막(140)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염소 가스가 외부로 투과되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막는 투과방지막(140)이 부착될 수 있다.
투과방지막(140)은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투과방지막(140)은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부착되므로 이산화염소 가스에 노출되는 대상물이나 대상물이 보관되는 대상 공간의 부피에 따라 이산화염소 가스가 투과되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공간 A의 부피가 대상 공간 B의 부피보다 큰 경우, 대상 공간 A에서의 투과방지막(140)의 넓이는 대상 공간 B에서의 투과방지막(140)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면에 이격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는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제1 저장부(120), 이격부(150) 및 제2 저장부(130)가 연통되어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부착된 이격부(150) 영역의 두께(t) 또는 접착 강도는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전체 영역 중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T1, T2)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120), 이격부(150) 및 제2 저장부(130)는 열압착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부착될 수 있는데, 열압착에 의한 이격부(150)의 접착 강도가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의 접착 강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격부(150)의 접착 강도 또는 두께(t)가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의 접착 강도 및 두께(T1, T2)보다 작으므로 사용자가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눌렀을 때 제1 원료 물질 및 제2 원료 물질이 도 8과 같이 이격부(150)를 통하여 이동하여 섞일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저장부(130)를 누르면 압력이 두께가 작거나 접착 강도가 낮은 이격부(150)를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연통되고 이에 따라 제1 원료 물질과 제2 원료 물질이 서로 섞이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는 이격됨이 없이 서로 붙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의 두께(l) 또는 접착 강도는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제2 저장부(130) 전체 영역 중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L1, L2)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분리되어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연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의 연통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는 서로 붙어 있으며,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의 두께(l) 또는 접착 강도는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전체 영역 중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L1, L2)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이 압력에 의하여 뚫리면서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130)가 연통되어 제1 원료 물질과 제2 원료 물질이 서로 섞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는 사용자가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눌러 압력을 가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한 후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를 농수산물의 저장된 컨테이너에 넣으면 컨테이너가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농수산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 110
제1 저장부 : 120
제2 저장부 : 130
투과방지막 : 140
이격부 : 150

Claims (14)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혼합됨으로써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가 상기 압력이 가해진 저장부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일측면의 맞은 편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혼합됨으로써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가 상기 압력이 가해진 저장부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의 외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이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는 LDPE 또는 LLDP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외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LDPE 또는 LLDP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물질 또는 상기 제2 원료물질 중 하나는 아염소산나트륨이고, 다른 하나는 산성기 공급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기 공급 물질은 구연산, 초산, 또는 젖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막는 투과방지막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를 막는 투과방지막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일측면에 이격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제1 저장부, 상기 이격부 및 상기 제2 저장부가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기 이격부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는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제2 저장부 전체 영역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는 서로 붙어 있으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는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전체 영역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는 서로 붙어 있으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가 서로 붙어 있는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는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제2 저장부 전체 영역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영역의 두께 또는 접착 강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KR1020130085445A 2013-07-19 2013-07-19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KR10155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45A KR101557811B1 (ko) 2013-07-19 2013-07-19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45A KR101557811B1 (ko) 2013-07-19 2013-07-19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875A true KR20150010875A (ko) 2015-01-29
KR101557811B1 KR101557811B1 (ko) 2015-10-20

Family

ID=5248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445A KR101557811B1 (ko) 2013-07-19 2013-07-19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3776A (zh) * 2017-03-30 2018-10-16 北京必洁仕环保新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二氧化氯消毒剂用于房屋消毒的方法
KR102149117B1 (ko) * 2020-01-17 2020-08-27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 키트
WO2021145732A1 (ko) * 2020-01-17 2021-07-22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8877A (ja) * 2009-11-06 2011-05-19 Pharma Kenkyusho:Kk 二酸化塩素ガスを簡便に発生させる薬剤の混合装置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3776A (zh) * 2017-03-30 2018-10-16 北京必洁仕环保新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二氧化氯消毒剂用于房屋消毒的方法
KR102149117B1 (ko) * 2020-01-17 2020-08-27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 키트
WO2021145732A1 (ko) * 2020-01-17 2021-07-22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용 키트
CN115003341A (zh) * 2020-01-17 2022-09-02 秦南燮 二氧化氯熏蒸消毒用试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811B1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058B1 (ko)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CN108349202B (zh) 从UV活化的亚氯酸根离子按需释放ClO2气体的方法和组合物
AU2017277070B2 (en) Chlorine dioxide disinfecting cloth
KR101557811B1 (ko)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CN106458421A (zh) 存储制品和方法
KR102018545B1 (ko) 식품의 신선도 유지, 소독, 위생 처리를 위한 아염소산 소스(Chlorous acid source)를 제공하기 위한 키트
KR101669875B1 (ko)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KR20140116986A (ko) 이산화염소 훈증장치, 및 이에 의한 훈증방법
KR101460003B1 (ko)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장치
CN101755895B (zh) 贴片式二氧化氯气体发生剂
CN106332954A (zh) 一种二氧化氯缓释包
KR101718760B1 (ko) 과일, 채소 및 화훼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KR102172698B1 (ko)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WO2017002277A1 (ja) 除菌シートパックおよび除菌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455719B1 (ko) 이산화염소가스 훈증장치
CN112897194A (zh) 一种可降解次氯酸消毒湿巾生产方法
US20190269126A1 (en) System to package and transport fresh cut produce
US9193514B2 (en) Product packaging system with antimicrobial agent
KR20130031501A (ko) 미량 서방형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팩
KR20150098708A (ko) 이산화염소가스 공급장치
US20120100230A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Crops
JP2020048419A (ja) セレウス菌増殖の抑制方法、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並びに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KR20160089104A (ko) 식품용 살균패드
JP6578144B2 (ja) 除菌シートパックおよび除菌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718756B1 (ko) 과일, 채소 및 화훼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