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308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308A
KR20150010308A KR1020130085131A KR20130085131A KR20150010308A KR 20150010308 A KR20150010308 A KR 20150010308A KR 1020130085131 A KR1020130085131 A KR 1020130085131A KR 20130085131 A KR20130085131 A KR 20130085131A KR 20150010308 A KR20150010308 A KR 2015001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light source
fix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308A/ko
Priority to CN201420392167.2U priority patent/CN203963757U/zh
Priority to US14/333,216 priority patent/US20150023039A1/en
Publication of KR2015001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을 사용한 것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나의 광원과, 서로 다른 광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의 빛 중 서로 다른 일부분을 각 렌즈별로 투과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렌즈는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빔 패턴과는 상이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을 사용한 것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 모듈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최근에는 램프 모듈이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태의 빛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한편,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온 기술인 만큼, 이를 통해서는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갖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다른 제품들과의 보다 뚜렷한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8-218145호 (2009.09.18)
본 발명은 하나의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을 사용한 것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나의 광원과, 서로 다른 광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의 빛 중 서로 다른 일부분을 각 렌즈별로 투과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렌즈는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빔 패턴과는 상이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하나의 광원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누광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을 사용한 것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의 고급화된 외관을 구현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광학 부재로서 실리콘을 이용하기 때문에 벌브와 같이 고열을 발생시키는 광원이 이용되더라도 높은 내구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 모듈 및 광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 및 광 차단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렌즈로 입사되는 광원의 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헤드 램프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에서 바라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광원 모듈(100) 및 렌즈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 모듈(100)은 광원(110) 및 광원(11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110)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프로젝션(projection) 타입의 광원일 수 있다.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는 빛을 하나의 지점으로 모아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클리어(clear) 타입보다 배광 효과 면에서 유리하고, 차량 전면 형상에 스포티한 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은 방전 벌브 및 방전 벌브로 인해 발광하는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전 벌브는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벌브(metal halide bulb)일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원하는 위치로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발생한 빛의 반사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플렉터(120)의 표면에는 난반사층 또는 확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원(110)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면 리플렉터(120)에 의해 불규칙하게 난반사되어 빛이 고르게 퍼진 상태로 전방의 렌즈부(210)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부(21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면 광원에서 출사된 형태와 같이 휘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리플렉터(120)의 표면에 형성된 난반사층은 반복적인 형태의 미세 요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이 미세 요철에 의해 불규칙하게 반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가질 수도 있다.
렌즈 모듈(200)은 렌즈부(210) 및 광 차단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부(210)는 광원(110)의 빛을 굴절시켜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렌즈부(210)는 볼록 또는 오목 렌즈로서 초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렌즈부(210)는 서로 다른 광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로 구성되어 광원(110)의 빛 중 서로 다른 일부분을 각 렌즈별로 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는 상호간에 분리되어 광원(110)의 빛을 각각 입사받는 렌즈부(210)의 일부분으로서 서로 접한 렌즈 표면의 매질 차이로 인하여 렌즈간 빛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으며, 광 차단 부재(220)가 렌즈간 빛의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렌즈(211)는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 2 렌즈(212)는 빔 패턴과는 상이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한다. 즉, 제 1 렌즈(211)는 야간에 전방의 시야를 확보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 2 렌즈(212)는 시야 확보의 역할보다는 제 1 렌즈(211)의 주변에서 일정한 형상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200)의 중앙에 배치된 렌즈가 제 1 렌즈(211)에 해당하고, 제 1 렌즈(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 각각이 제 2 렌즈(212)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렌즈부(210)를 복수의 렌즈로 구분하고 각 렌즈간 빛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하나의 광원(110)에 의하여 빛이 입사되더라도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는 복수의 광원이 각각의 렌즈에 구비되어 점등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벌브 광원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광원이 적용된 것과 같은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110)은 하나의 광원(11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광원이 광원 모듈(100)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복수의 광원이 광원 모듈(100)에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특정 광원에서 발생된 빛이 특정 렌즈로 입사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된 모든 빛은 고르게 분포되어 렌즈 각각에 입사될 수 있다.
다만, 특정 광원에서 발생된 빛의 대부분이 특정 렌즈만으로 입사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도 해당 광원에서 발생된 빛의 일부분이 다른 렌즈로 입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렌즈(211)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광원(110)에 의하여 발생된 빛의 대부분은 제 1 렌즈(211)로 입사된다.
그러나, 광원(110)의 빛 중 로우 빔 패턴의 형성에 이용되지 않는 빛 즉, 누광이 제 2 렌즈(212)로 입사되어 이를 투과한 빛은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누광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110)을 구비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렌즈(211)를 투과한 빛의 색상과 제 2 렌즈(212)를 투과한 빛의 색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이 함유되어 렌즈부(210)가 제작되는데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에 함유된 색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의 필름이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렌즈(211)에는 어떠한 색상도 반영되어 있지 않고, 제 2 렌즈(212)에만 색상이 함유되거나 필름이 부착되어 특정 색상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2 렌즈(212)별로 색상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원(110)은 벌브일 수 있는데, 점등된 벌브 광원은 고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렌즈부(210)를 변색 또는 변형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210)는 실리콘 렌즈일 수 있다. 즉, 실리콘을 재질로 하는 렌즈부(210)로서 벌브 광원이 고열을 발생시키더라도 실리콘 렌즈는 변색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렌즈부 및 광 차단 부재(2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렌즈부(210)는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구별된 렌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렌즈부(210)가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렌즈가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렌즈(212) 각각이 서로 구별된 렌즈로 구비될 수도 있다.
광 차단 부재(220)는 렌즈부(210)의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를 수용하는데 각 렌즈는 광 차단 부재(220)에 구비된 격벽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렌즈에 입사된 빛은 그 내부에서 산란되더라도 산란된 빛은 격벽에 의하여 반사되기 때문에 다른 렌즈로 전달되지 않고 해당 렌즈를 통해서만 외부로 방출된다.
이를 위하여, 광 차단 부재(220)의 격벽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렌즈(212)의 바깥쪽을 둘러싸는 광 차단 부재(220)의 외측벽도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제 2 렌즈(212) 로 입사된 빛은 제 2 렌즈(212)의 전방으로만 방출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이다. 광원(110)에 의하여 발생된 빛이 리플렉터(120)로 전달되는 경우 리플렉터(120)에 의하여 반사된 반사광(310)은 렌즈부(210)를 향하여 조사된다. 이 때, 리플렉터(120)의 내부가 포물 곡면이고, 광원(110)이 포물 곡면의 초점에 위치해 있는 경우 반사광(310)은 리플렉터(120)의 반사 위치와 무관하게 광축(300)과 평행하게 렌즈부(210)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광원(110)의 빛 중 일부는 리플렉터(120)로 전달되지 않고 직접 렌즈부(210)로 조사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렌즈부(210)로 직접 전달되는 직광(320)은 광축(30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렌즈부(210)로 전달된다.
광축(300)에 대하여 각도를 가진 빛의 조사 경로에는 복수의 렌즈가 존재할 수 있는데, 전술한 광 차단 부재(220)의 격벽에 의하여 최초로 빛이 입사된 렌즈를 통해서만 빛이 투사되어 외부로 방출되고 나머지 렌즈로는 빛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3은 광원(110)의 직광(320)에 의한 조사 경로상에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 1 렌즈(211)와 제 2 렌즈(212)의 사이에 구비된 격벽(221)에 의하여 제 1 렌즈(211) 로 조사된 빛(320)은 제 2 렌즈(212) 로 전달되지 않고, 격벽(221)에서 반사되어 제 1 렌즈(21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거나, 격벽(221)에서 흡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도이다. 차량용 램프(10)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는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 각각이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며, 이에 따라 각 렌즈별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제 1 렌즈(211)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렌즈(212)가 배치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렌즈(211)의 좌측, 우측 및 하측에 배치되어 "U"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U"자 형상을 가진 하나의 제 2 렌즈(212)가 제 1 렌즈(21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렌즈(212)가 "U"자 형상을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제 2 렌즈(212)의 배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배치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 2 렌즈(212)가 제 1 렌즈(211)의 모든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O"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에만 배치되어 "11"자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 렌즈(212)가 렌즈부(210)의 중앙에 집중되어 있고 제 1 렌즈(211)가 렌즈부(2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의 출사면의 형상도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형의 출사면을 가진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출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사시도로서, 광축(300)과 평행한 빛(510, 520)이 각 렌즈(211, 212)를 통하여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리플렉터(120)에 의하여 반사된 반사광은 대체로 광원(110)의 광축(300)에 대하여 평행하게 렌즈부(210)로 조사된다. 그러나, 리플렉터(120)에 의하여 반사되지 않은 광원(110)의 직광은 광축(300)에 대하여 어느 정도 각도를 두고 렌즈부(210)로 조사되며, 리플렉터(120)에 반사된 반사광이라고 하더라도 난반사된 반사광은 광축(300)에 대하여 어느 정도 각도를 두고 렌즈부(210)로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축(300)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렌즈부(210)를 투과한 빛은 렌즈간 간섭을 일으켜 관찰자로 하여금 렌즈간의 경계가 불명확하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광축(300)에 대하여 평행하게 렌즈(611, 612)를 투과하는 빛(621, 622)과 광축(300)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투과하는 빛(631, 632)을 나타내고 있다.
광축(300)에 대하여 평행하게 렌즈(611, 612)를 투과하는 빛(621, 622)을 바라본 관찰자는 렌즈(611, 612)의 해당 영역별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할 것이라고 인식하게 된다.
한편, 광축(300)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투과하는 빛(631, 632)을 바라본 관찰자는 해당 빛에 대응하는 광원(110)의 위치를 짐작하기 어려우며, 렌즈(611, 612)의 사이에 발생된 빛의 간섭 때문에 렌즈(611, 612)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광원(110)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이 이용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감소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 부재(220)는 이러한 렌즈(611, 612)간에 발생되는 빛의 간섭을 방지하여 관찰자로 하여금 렌즈(611, 612)간의 경계가 명확하게 인식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차단 부재(220)의 격벽(700)이 렌즈(611, 612)의 사이에 존재함으로 인하여 광축(300)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조사된 빛(631, 632)은 격벽(700)에 의하여 차단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광축(300)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은 빛(631, 632)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관찰자는 각 렌즈(611, 612)간 경계를 뚜렷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611, 612)의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격벽(800)이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광축(300)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조사되는 보다 많은 빛(631, 632, 641, 642)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611, 612)간 경계는 보다 뚜렷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광 차단 부재(220)의 격벽(700, 800)으로 인하여 광축(300)에 대하여 각도를 두고 렌즈(611, 612)로 입사된 빛 중 일부는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관찰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광축(300)에 평행하게 조사된 빛(510, 520)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복수의 렌즈(611, 612)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렌즈(211)에 비하여 제 2 렌즈(212)가 보다 앞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 1 렌즈(211)을 투과한 빛과 제 2 렌즈(212)을 투과한 빛간의 간섭이 감소되고 그 경계가 더욱 뚜렷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분해 사시도로서, 렌즈 모듈(200)은 제 1 렌즈(211), 제 2 렌즈(212), 광 차단 부재(220), 커버 부재(240) 및 고정 부재(251, 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렌즈(211), 제 2 렌즈(212) 및 광 차단 부재(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 부재(240)는 제 1 렌즈(211), 제 2 렌즈(212) 및 광 차단 부재(22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고, 광원(110)에 의하여 발생된 빛이 렌즈 이외의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커버 부재(240)는 차량에 부착되어 렌즈 모듈(200) 자체를 차량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렌즈부(210) 및 광 차단 부재(220)가 노출되는 부분이 커버 부재(240)의 전면이라고 할 때, 커버 부재(240)의 후면 또는 측면은 차량에 부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그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251, 252)는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 1 고정 부재(251)는 제 2 렌즈(212)의 뒤편에 위치하여 제 2 렌즈(212)가 광 차단 부재(220)와 제 1 고정 부재(25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고정 부재(252)는 제 1 고정 부재(251)와 함께 제 1 렌즈(21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 1 고정 부재(251)와 제 2 고정 부재(252)의 사이에 제 1 렌즈(2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 부재(251, 252)의 중앙 및 그 가장자리에는 렌즈(211, 212)에 대응하는 중공 홀(261, 271) 및 적어도 하나의 홀(262, 27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제 1 고정 부재(251)의 중공홀(261)을 통하여 제 1 렌즈(211)의 일부가 관통하고 제 1 렌즈(211)의 가장자리가 제 1 고정 부재(251)와 제 2 고정 부재(252)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나머지 홀(262, 271, 272)은 각 렌즈(211, 212)로 빛을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즉, 제 2 렌즈(212)는 제 1 고정 부재(25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6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고정 부재(251) 및 제 2 고정 부재(252)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홀(262, 272)을 통하여 광원(110)의 빛이 제 2 렌즈(212)로 전달되고, 제 2 고정 부재(252)의 중앙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광원(110)의 빛이 제 1 렌즈(211)로 전달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20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고정 부재(251)는 생략될 수 있으며, 광 차단 부재(220) 및 커버 부재(24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헤드 램프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가 반드시 헤드 램프(1000)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 램프(1000)와는 분리되어 차량에 장착될 수 있으며, 헤드 램프(1000)와 같이 야간에 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후진등으로 이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에서 바라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은 차량용 램프(10)가 소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2는 차량용 램프(10)가 점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소등된 상태에서는 차량용 램프(10)의 이미지(1100)가 명확하지 않으나, 점등된 상태에서는 제 1 렌즈(211) 및 제 2 렌즈(212)을 투과한 이미지(1200)가 명확해지게 된다.
여기서, 제 1 렌즈(211)를 투과한 빛의 휘도가 제 2 렌즈(212)를 투과한 빛의 휘도보다 높기 때문에 제 1 렌즈(211)와 제 2 렌즈(212)간의 구별이 뚜렷하게 되는데, 이를 더욱 뚜렷하게 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을 통하여 제 1 렌즈(211)를 투과한 빛의 색상과 제 2 렌즈(212)를 투과한 빛의 색상을 서로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광원 모듈 200: 렌즈 모듈
110: 광원 120: 리플렉터
210: 렌즈부 211: 제 1 렌즈
212: 제 2 렌즈 220: 광 차단 부재
240: 커버 부재 251: 제 1 고정 부재
252: 제 2 고정 부재

Claims (9)

  1. 하나의 광원; 및
    서로 다른 광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의 빛 중 서로 다른 일부분을 각 렌즈별로 투과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렌즈는 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빔 패턴과는 상이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벌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렌즈가 배치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배치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의 출사면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차량용 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를 투과한 빛의 색상과 상기 제 2 렌즈를 투과한 빛의 색상은 서로 상이한 차량용 램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및 상기 제 2 렌즈간 빛의 이동을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는 실리콘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1항에 있어서,
    중공홀 및 그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고정 부재의 중공홀을 통하여 상기 제 1 렌즈의 일부가 관통하고, 상기 제 1 렌즈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고정 부재와 상기 제 2 고정 부재의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제 1 고정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30085131A 2013-07-16 2013-07-19 차량용 램프 KR20150010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31A KR20150010308A (ko) 2013-07-19 2013-07-19 차량용 램프
CN201420392167.2U CN203963757U (zh) 2013-07-16 2014-07-16 机动车灯
US14/333,216 US20150023039A1 (en) 2013-07-16 2014-07-16 Vehicle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31A KR20150010308A (ko) 2013-07-19 2013-07-1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08A true KR20150010308A (ko) 2015-01-28

Family

ID=5248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131A KR20150010308A (ko) 2013-07-16 2013-07-1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03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9265B2 (ja) ロー及びハイの両ビームを出力し且つ可動パーツを有さないヘッドランプ
JP6609135B2 (ja) 車両用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JP2009064729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CN109386807B (zh) 车辆用灯具
JP4044352B2 (ja) ヘッドランプ
CZ2013925A3 (cs) Světlomet motorového vozidla
JP5640306B2 (ja) 灯具ユニット
US20140313758A1 (en) Lighting unit for vehicle lamp
JP6285193B2 (ja) 車両用灯具
KR101672031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JP5445049B2 (ja) 車両用灯具
JP6986341B2 (ja) 車両用前照灯
JP5977111B2 (ja) 車両用前照灯
JP5446757B2 (ja) 車両用灯具
KR20160054984A (ko) 차량용 램프
JP3958653B2 (ja) ヘッドランプ
KR10155585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248999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118139B1 (ko) 차량용 램프
JP7235387B2 (ja) フォグランプユニット
KR20150010308A (ko) 차량용 램프
JP5397174B2 (ja) 車両用灯具
JP3227059B2 (ja) 車輌用灯具
KR20150072623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