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751A - 빠짐방지용 스냅링 - Google Patents

빠짐방지용 스냅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751A
KR20150009751A KR20130084072A KR20130084072A KR20150009751A KR 20150009751 A KR20150009751 A KR 20150009751A KR 20130084072 A KR20130084072 A KR 20130084072A KR 20130084072 A KR20130084072 A KR 20130084072A KR 20150009751 A KR20150009751 A KR 2015000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ring body
ring
cap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태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13008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751A/ko
Publication of KR2015000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빠짐방지용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 링몸체와; 상기 링몸체의 내주연부와 외주연부가 개방된 형태로 연결되게 형성된 언록킹공간부; 상기 언록킹공간부의 양측인 링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핀집게삽입홀을 갖는 접촉편; 및 슬릿홈이 형성된 캡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에 결합되는 스냅링캡;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홈은 상기 캡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링몸체에 형성된 접촉편이 상기 슬릿홈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선상에 삽입된 피고정체인 회전체가 스냅링에 편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스냅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스냅링에서 발생되는 불균일한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을 더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빠짐방지용 스냅링{Separate anti snap ring}
본 발명은 빠짐방지용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선상에 삽입된 피고정체인 회전체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스냅링이 편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나 축계 기계요소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과 구멍에 홈 가공을 하고, 가공된 홈에 스냅링(snap ring)을 조립하게 된다.
스냅링은 멈춤링이라고 하는데 스냅링 플라이어(snap ring plier)를 이용하여 스냅링에 형성된 2개소의 구멍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림으로써 조립된다.
스냅링은 축용 C형 멈춤링(retaining rings C type)이라고 하는데 C자 모양의 멈춤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축과 원형 내면을 갖는 원통형 부품을 조립하는 경우, 축 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거나 위치결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하는 기계요소중의 하나이다.
도6 및 도7은 이와 같은 스냅링(90)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80)은 외주연부에 결합된 베어링(8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어링(81)을 관통하여 타측으로 노출된 축(80)의 단부에 디스크형태의 회전체(82)가 결합되어 있다.
회전체(82)는 축(80)의 단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체(82)를 관통하여 노출된 축(80)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스냅링홈(801)이 형성되도록하고, 스냅링홈(801)에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 스냅링(90)을 결합시키면 된다.
그러나 회전체(82)에 축하중이 작용하게 될 경우, 축하중에 의하여 회전체(82)가 축방향으로 밀리면서 스냅링(90)의 측면에 먼저 접촉되어 스냅링(90)을 가압하는 현상 즉, 편접촉형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스냅링(90)에 변형이 발생하고, 변형에 의하여 스냅링(90)이 축(80)의 스냅링홈(801)으로 부터 분리되어 회전체(82)에 유동이 발생하거나 심지어 축(80)으로 부터 회전체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축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축에 결합된 회전체가 스냅링에 편접촉 또는 편가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냅링에 불균일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스냅링이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회전체가 축으로부터 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링몸체와; 상기 링몸체의 내주연부와 외주연부가 개방된 형태로 연결되게 형성된 언록킹공간부; 상기 언록킹공간부의 양측인 링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핀집게삽입홀을 갖는 접촉편; 및 슬릿홈이 형성된 캡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에 결합되는 스냅링캡;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홈은 상기 캡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링몸체에 형성된 접촉편이 상기 슬릿홈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냅링캡은 슬릿홈이 형성된 캡몸체와; 상기 슬릿홈의 내측으로 각각 상기 링몸체의 단부로 형성된 접촉편의 핀집게삽입홀에 삽입되는 언록킹돌기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돌기는 상기 슬릿홈의 양측벽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마주보는 언록킹돌기의 하부에 상부 내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삽입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몸체는 링몸체 두께가 스냅링홈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링몸체 중심선의 양측으로 링몸체 두께의 1/2 폭으로 요형만곡부와 철형만곡부가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하중에 의하여 축선상에 삽입된 피고정체인 회전체가 스냅링에 편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냅링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스냅링에서 발생되는 불균일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스냅링의 수명을 더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스냅링이 분리되어짐으로써 회전체가 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용 스냅링에 의하여 회전체가 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용 스냅링에 의하여 회전체가 축에 결합된 상태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용 스냅링의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용 스냅링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용 스냅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냅링에 의하여 회전체가 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냅링에 의하여 회전체가 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용 스냅링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몸체(10), 언록킹공간부(20) 및 접촉편(30)으로 구성되어 편접촉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링몸체(10)는 소정 지름과 두께를 가지면서 지름이 확장될 수 있도록 일측이 소정 길이 또는 폭으로 절단되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링몸체(10)의 내주연부는 축(80)에 형성된 스냅링홈(80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링몸체(10)의 두께 또는 폭은 축(80)에 형성된 스냅링홈(80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몸체(10)는 스냅링의 요구조건, 즉 높은 강도를 요구될 경우에는 강스틸이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부식방지가 요구될 경우에는 스테인레스스틸이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절단 및 펀치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록킹공간부(20)는 축(80)의 스냅링홈(801)에 링몸체(10)를 결합시키거나 결합된 상태에 다시 분리시키는 과정중에 링몸체(10)의 직경을 넓혀 용이한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링몸체(10)의 내주연부(11)와 외주연부(12)가 중심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링몸체(10)의 일측이 소정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절단된 길이 만큼 벌릴 경우에는 링몸체(10)의 직경이 넓혀져 축(80)의 스냅링홈(801)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편(30)은 상기 언록킹공간부(20)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링몸체(10)의 내경이 넓혀지도록 하여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언록킹공간부(20)의 양측인 링몸체(10)의 단부에 핀집게삽입홀(31)을 갖는 접촉편(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30)에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편(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스냅링캡(4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냅링캡(40)은 링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갭몸체(41)의 하부에 상기 링몸체(10) 또는 접촉편(30)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슬릿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홈(111)은 캡몸체(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링몸체(10)에 형성된 접촉편(30)이 각각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링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슬릿홈(111)이 양측에 각각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양측이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릿홈(111)은 캡몸체(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슬릿홈(111)에 링몸체(10)에 형성된 접촉편(30)이 각각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슬릿홈(411)의 내측으로 각각 상기 링몸체(10)의 단부로 형성된 접촉편(30)의 핀집게삽입홀(31)에 삽입되는 언록킹돌기(41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억지끼워맞춤에 의하여 결합된 것 보다 언록킹돌기(412)가 핀집게삽입홀(3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외부에서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편접촉이나 축하중에 의하여 링몸체(10)에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분리되는 것을 원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언록킹돌기(412)는 상기 슬릿홈(411)의 양측벽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접촉편(30)의 핀집게삽입홀(31)에 양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주보는 언록킹돌기(412)의 하부에 상부 내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413-1)이 형성된 삽입가이드부(413)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간단하게 눌러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압입력에 의하여 언록킹돌기(412) 사이가 벌어진 후 언록킹돌기(412)가 핀집게삽입홀(31)에 삽입됨과 동시에 오무려지면서 록킹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용 스냅링의 링몸체(10)가 평평한 단순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몸체(10)는 링몸체 두께(T)가 스냅링홈 폭(T')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링몸체 중심선(CL)의 양측으로 링몸체 두께(T)의 1/2폭으로 요형만곡부(101)와 철형만곡부(102)가 반복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축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축하중이 요형만곡부(101)와 철형만곡부(102)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충됨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가해지는 축하중이 해제될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변형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링몸체 11:내주연부
12:외주연부 20:언록킹공간부
30:접촉편 31:핀집게삽입홀
40:스냅링캡 41:캡몸체
101:요형만곡부 102:철형만곡부
411:슬릿홈 412:언록킹돌기
413:삽입가이드부 413-1:경사면

Claims (4)

  1. 링몸체(10)와;
    상기 링몸체(10)의 내주연부(11)와 외주연부(12)가 개방된 형태로 연결되게 형성된 언록킹공간부(20);
    상기 언록킹공간부(20)의 양측인 링몸체(10)의 단부에 형성된 핀집게삽입홀(31)을 갖는 접촉편(30); 및
    슬릿홈(411)이 형성된 캡몸체(41)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30)에 결합되는 스냅링캡(40);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홈(411)은 상기 캡몸체(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링몸체(10)에 형성된 접촉편(30)이 상기 슬릿홈(41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짐방지용 스냅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캡(40)은 슬릿홈(411)이 형성된 캡몸체(41)와; 상기 슬릿홈(411)의 내측으로 각각 상기 링몸체(10)의 단부로 형성된 접촉편(30)의 핀집게삽입홀(31)에 삽입되는 언록킹돌기(412)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빠짐방지용 스냅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돌기(412)는 상기 슬릿홈(411)의 양측벽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마주보는 언록킹돌기(412)의 하부에 상부 내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413-1)이 형성된 삽입가이드부(41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빠짐방지용 스냅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몸체(10)는 링몸체 두께(T)가 스냅링홈 폭(T')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링몸체 중심선(CL)의 양측으로 링몸체 두께(T)의 1/2 폭으로 요형만곡부(101)와 철형만곡부(102)가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빠짐방지용 스냅링.
KR20130084072A 2013-07-17 2013-07-17 빠짐방지용 스냅링 KR20150009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072A KR20150009751A (ko) 2013-07-17 2013-07-17 빠짐방지용 스냅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072A KR20150009751A (ko) 2013-07-17 2013-07-17 빠짐방지용 스냅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751A true KR20150009751A (ko) 2015-01-27

Family

ID=5248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072A KR20150009751A (ko) 2013-07-17 2013-07-17 빠짐방지용 스냅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7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01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이엔에스 스냅 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01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이엔에스 스냅 링
WO2022071628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이엔에스 스냅 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3732A (en) Anti-rotate snap ring
US2487803A (en) Spring retaining ring
US9726219B2 (en) Thrust washer
US3401436A (en) Internal spring ring clip
CN107532660B (zh) 滚柱型单向离合器
MX2014012131A (es) Anillo interior con rebajo para mejorar la flexibilidad de lengüeta.
KR20150009751A (ko) 빠짐방지용 스냅링
US9714681B2 (en) High-speed snap ring and snap ring retention method
JP2006519964A (ja) オーバーラニングクラッチ
EP3327312A1 (en) Friction pulley
US20160146252A1 (en) Rolling-element bearing component and method for loading a cage of a rolling-element bearing with rolling elements
CN106870567B (zh) 轴承用密封件以及拉拔夹具
US5405201A (en) Alignment ring for split bearing race and method of assembly
JP4406600B2 (ja) 一方向クラッチ
CN112008653A (zh) 轴承的拆卸方法
WO2015122057A1 (ja) 軸受装置及び軸受装置の製造方法
EP3067581A1 (en) Bea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aring device
KR101533523B1 (ko)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KR101974247B1 (ko) 일방향 클러치
KR101756542B1 (ko) 구름베어링, 구름베어링용 쉴드 및 구름베어링의 제조방법
KR20140123354A (ko)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및 이의 조립 방법
JP6848087B2 (ja) 止め輪を用いた部品の支持構造
US11542984B2 (en) Snap ring and bearing assembly including a snap ring
JP2013117298A (ja) リテーナープレート付き軸受ユニット
JP2011099480A (ja) 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