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046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046A
KR20150009046A KR1020130081264A KR20130081264A KR20150009046A KR 20150009046 A KR20150009046 A KR 20150009046A KR 1020130081264 A KR1020130081264 A KR 1020130081264A KR 20130081264 A KR20130081264 A KR 20130081264A KR 20150009046 A KR20150009046 A KR 2015000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area
button
displa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701B1 (ko
Inventor
이정현
박종석
이영훈
최진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701B1/ko
Priority to US14/174,695 priority patent/US9261994B2/en
Priority to DE202014010551.0U priority patent/DE202014010551U1/de
Priority to EP14168201.3A priority patent/EP2824556A1/en
Priority to CN201910456311.1A priority patent/CN110262745B/zh
Priority to CN201410279619.0A priority patent/CN104281405B/zh
Publication of KR2015000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46A/ko
Priority to US15/042,871 priority patent/US98175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3Force feedback applied to a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부 영역이 네비게이션 영역으로 할당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배열은 변경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배열을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물리적인 키 패드(예컨대, 숫자 키패드)를 적용하였으나, 터치스크린이 보편화됨에 따라, 물리적인 키 패드의 활용성은 현저히 감소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수많은 이동 단말기가 물리적으로 구현된 네비게이션 버튼(예컨대, 안드로이드 OS 및 iOS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에서의 홈 버튼)을 적용하고 있다. 네비게이션 버튼을 배치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는 네비게이션 버튼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다만, 위와 같은 제약은 베젤없는(bezeless)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물리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을 대체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네비게이션 버튼을 구현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배열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일부 영역이 네비게이션 영역으로 할당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배열은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독(dock)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할당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배열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물리 키 형태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소프트 키 형태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네비게이션 영역 내 네비게이션 버튼의 배열 및 종류가 변경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이의 배열이 수동으로 결정되는 것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네비게이션 영역의 테마(theme)가 변경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네비게이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배치 및 종류가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네비게이션 영역에 화살표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네비게이션 버튼의 용도가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손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표시 위치가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손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중복 제공되는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표시가 중단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독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독 영역 및 네비게이션 영역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독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독 영역의 표시가 온오프 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통합된 영역에서 독 아이콘 및 네비게이션 아이콘이 동시에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네비게이션 영역을 기점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 범위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분할된 영역 내 네비게이션 영역이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디스플레이부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의 출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 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 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 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 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을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 3 조작 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조작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네비게이션 버튼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바일 운영체제별로 살펴보면, 안드로이드 OS (Operating System)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취소 버튼, 홈 버튼 및 메뉴 버튼 등을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비하고, iOS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는, 홈 버튼을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취소 버튼은 각각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 하거나,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취소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메뉴 버튼은 현재 출력 화면과 연관된 적절한 메뉴를 호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OS와 iOS에서 공통적으로 구비하는 홈 버튼은 이동 단말기의 절전 해제, 홈 스크린 화면으로의 이동, 다중 작업 환경에서 작업간 천이 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종래, 네비게이션 버튼은 물리 키(physical key)의 형태를 띄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최근에는, 베젤없는(bezeless) 디자인의 보편화 및 디스플레이 크기 확장 추세와 맞물려, 네비게이션 버튼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되는 소프트 키의 형태를 띄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도 4는 물리 키 형태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소프트 키 형태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취소 버튼, 홈 버튼 및 메뉴 버튼 등의 네비게이션 버튼이 물리 키 형태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취소 버튼, 홈 버튼 및 메뉴 버튼 등의 네비게이션 버튼이 소프트 키의 형태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버튼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버튼은 도 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버튼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버튼이 배치될 물리적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반면, 네비게이션 버튼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배치를 위한 별도의 물리적 공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것보다 베젤없는 디자인을 적용하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버튼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부는 네비게이션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에서 네비게이션 버튼을 디스플레하는 공간상의 영역을 네비게이션 영역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필수적(mandatory)인 네비게이션 버튼과 함께 선택적으로(optionally)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들에서는 취소 버튼, 홈 버튼 및 메뉴 버튼을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이라 가정한다.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배열 및 종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후술되는 도 5를 참조하여,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배열 및 종류가 변경되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네비게이션 영역 내 네비게이션 버튼의 배열 및 종류가 변경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제어부는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종류 및 이들의 배열이 조합된 조합예(A-F)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 5의 (a)의 선택 메뉴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 만으로 구성된 조합예와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과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성된 조합예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조합예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합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영역에 노출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는 네비게이션 영역이 필수적인 버튼들로만 구성된 A 항목을 따라 구성되어 있고, 도 5의 (b)에서는 네비게이션 영역이 필수적인 버튼과 추가적인 버튼으로 구성된 D 항목을 따라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조합예를 살펴보면, 조합예는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만으로 구성되거나(즉, 총 3개의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성된 조합예, A 항목 및 B 항목 참조),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과 함께 단일의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즉, 총 4개의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성된 조합예, C-F 항목 참조). 도시된 예와 달리,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과 함께 복수의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합예(예컨대, 5개의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성된 조합예)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조합예들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조합예 중 어느 하나에 적절한 터치 입력을 가함으로써, 조합예에 노출된 네비게이션 버튼을 변경하거나, 네비게이션 버튼의 배치 순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A항목의 취소 버튼과 홈 버튼의 위치를 뒤바꿀 수도 있고, D 항목의 알림 버튼을 다른 종류의 버튼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조합예에 노출된 네비게이션 버튼의 변경은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에 한해서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의 (a) 및 (b)에서는 취소 버튼, 홈 버튼 및 메뉴 버튼 등의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 이외의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로 퀵 메모 버튼 및 알림 버튼을 예시하였다. 퀵 메모 버튼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필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를 필기 입력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필기 입력 모드 하에서, 사용자가 소정 궤적(612)의 터치를 입력하면,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궤적(612)을 따라 필기(614)가 그려질 수 있을 것이다.
알림 버튼은 발생한 이벤트(예컨대, 이동 단말기가 새롭게 수신한 문자 메시지, 새롭게 수신한 이메일, 부재중 전화의 발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알림 버튼(620)이 터치된 경우, 제어부는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알림 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줄(630)을 일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알림 창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네비게이션 영역에 알림 버튼이 노출된다면, 알림 버튼을 터치하는 것 만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알림을 확인할 수 있는 알림 창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퀵 보이스 버튼, 검색 버튼, 볼륨 버튼 및 통합 액세스 버튼 등이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로 설정될 수 있다. 퀵 보이스 버튼은 사용자가 음성으로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를 음성 입력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퀵 보이스 버튼(64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6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상태, 즉 음성 입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음성 입력 모드 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검색 버튼은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메모리 또는 웹을 통해 검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검색 버튼(65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6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가상 키패드(66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상 키패드를 통해 소정의 텍스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입력된 텍스트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하거나, 입력된 텍스트의 웹에서의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볼륨 버튼은 이동 단말기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볼륨 버튼(67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6e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한쌍의 볼륨 조절 버튼(예컨대, + 버튼 및 - 버튼, 672,674)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e의 예에서, + 버튼(672)이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의 볼륨은 증가할 수 있을 것이고, - 버튼(674)이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의 볼륨은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 액세스 버튼은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합 액세스 버튼(68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6f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통합 액세스 버튼과 연계된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한 버튼(682,684,686)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682,684,68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통합 액세스 버튼(680)과 연계된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6f에서는 통합 액세스 버튼(680) 터치시 퀵 메모 버튼(684), 퀵 보이스 버튼(682) 및 검색 버튼(686)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통합 액세스 버튼(680) 터치시 디스플레이되는 버튼의 종류는 도 6f와 달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최근 버튼은 최근에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버튼(69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6g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목록(695)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버튼들이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버튼도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설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버튼 터치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실행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버튼 터치시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로 설정될 수 있는 후보 리스트가 증가함에 따라, 도 5의 (a) 및 (b)의 선택 메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조합예의 수도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열거된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예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에서는 선택 메뉴를 통해 제공되는 조합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맞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배열이 결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와 달리,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이의 배열은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이의 배열이 수동으로 결정되는 것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어부는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설정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 메뉴에는 네비게이션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후보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후보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선택된 버튼들이 네비게이션 영역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영역에 노출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종류 및 이들의 배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어부는 프리뷰 영역(710)에 네비게이션 영역에서의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의 (a)에서는 후보 목록 중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712,714,716)들만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영역(720)에서도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들(722,724,726)만이 노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a)에 설정 메뉴에서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에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이 더욱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7의 (a)의 후보 목록에서 퀵 메모 버튼(718)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는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720)에 퀵 메모 버튼(728)이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에서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배열 순서는 후보 목록에 노출된 순서에 맞춰 정해질 수 있다. 도 7의 (b)의 후보 목록에서는 후보 목록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취소 버튼 항목(712), 홈 버튼 항목(714), 메뉴 버튼 항목(716) 및 퀵 메모 버튼 항목(718)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네비게이션 영역에서도 후보 목록에서의 배치 순서를 따라 취소 버튼(722), 홈 버튼(724), 메뉴 버튼(726) 및 퀵 메모 버튼(728)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후보 목록에서 네비게이션 키의 배열 순서가 변경된 경우, 제어부는 후보 목록에서의 변경된 배열 순서를 쫓아 네비게이션 영역에서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배치 순서도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퀵 메모 버튼 항목(718)이 홈 버튼 항목(714)과 메뉴 버튼 항목(716) 사이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는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취소 버튼(722), 홈 버튼(724), 퀵 메모 버튼(728) 및 메뉴 버튼(728)의 순서대로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는 프리뷰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배열을 조절할 수도있다. 예컨대, 도 7의 (a)에 도시된 프리뷰 영역내에서 취소 버튼과 메뉴 버튼의 위치가 뒤바뀐 경우, 프리뷰 영역에서의 변경 결과가 네비게이션 영역에 그대로 적용되어, 네비게이션 영역내 취소 버튼 및 메뉴 버튼의 위치도 뒤바뀔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의 색상 또는 투명도, 네비게이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스타일 등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은 네비게이션 영역의 테마(theme)가 변경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의 예시에서, 테마 영역(810)은 네비게이션 영역의 색상 및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버튼 스타일 영역(820)은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버튼들의 스타일을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테마 영역(810)을 통해 열거된 후보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색상이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테마 영역에서 '빨강'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이 빨간색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은 빨간색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네비게이션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색상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버튼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색상의 보색(complementary color)으로 네비게이션 버튼의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스타일 영역(820)을 통해 열거된 후보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스타일을 조절할 수 있다. A 항목은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사각형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고, B 항목은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사각형 형태로 표시하되, 양끝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한쪽 끝을 라운딩 처리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C 항목 및 D 항목은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C 항목은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D 항목은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배치를 변경하거나,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네비게이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배치 및 종류가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영역의 한쪽 끝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예컨대, 네비게이션 영역의 한쪽 끝을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키들의 배열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네비게이션 영역의 왼쪽 끝을 롱 프레스(Long Press)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도 9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왼쪽으로 한칸씩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최 좌측에 위치하던 네비게이션 버튼(902)은 최 우측으로 이동).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네비게이션 영역의 오른쪽 끝을 롱 프레스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라면, 네비게이션 버튼들은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양쪽 끝에 대한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예컨대, 네비게이션 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 제어부는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네비게이션 버튼을 갈음하여 새로운 네비게이션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퀵 메모 버튼(908)을 롱프레스 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도 9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퀵 메모 버튼(908)을 갈음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후보 버튼들의 목록(9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보 버튼들의 목록(91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퀵 메모 버튼(908)을 갈음하여, 선택된 버튼(도 9b에서는 검색 버튼(912)으로 예시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과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을 구분하여,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의 교체는 불허하고,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의 교체만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의 교체도 허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 및 이에 노출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과 관련된 각종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네비게이션 영역 및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화살표 버튼의 표시>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에 네비게이션 버튼들 이외에 화살표 버튼이 더욱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화살표 버튼은 문자가 입력될 영역을 가리키는 커서(cursor)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에 화살표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수동 조절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커서가 표시되는 경우에만 화살표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네비게이션 영역에 화살표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양 끝에 한쌍의 화살표 버튼(1002,1004)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쌍의 화살표 버튼(1002,1004)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제어부는 터치된 버튼이 가리키는 방향에 맞춰 커서(10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화살표 버튼에 대한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제어부는 터치가 유지되는 화살표 버튼이 가리키는 방향에 맞춰 커서를 계속 이동하면서, 커서가 움직인 경로에 놓인 텍스트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왼쪽 화살표에 대한 터치가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면, 제어부는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왼쪽 화살표에 대한 터치가 유지되는 소정 시간 동안 커서가 움직인 경로에 놓인 텍스트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면부호 1020 참조). 선택된 텍스트는 복사 혹은 잘라내기 등을 통해 메모리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한쌍의 화살표 버튼(1002,1004)이 네비게이션 영역의 양끝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살표 버튼의 위치는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와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 네비게이션 버튼의 전용(轉用)>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버튼을 터치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네비게이션 영역의 왼쪽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버튼을 터치하는 것에 불편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이와 동일한 맥락으로, 사용자가 왼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왼손으로 네비게이션 영역의 오른쪽에 위치한 취소 버튼을 터치하는 것에는 불편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한쪽 끝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버튼의 용도를 일시적으로 다른 한쪽 끝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버튼의 용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네비게이션 버튼의 용도가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비게이션 영역(1110)에는 좌에서 우로, 취소 버튼(1102), 홈 버튼(1104) 및 메뉴 버튼(110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오른쪽 끝에 위치한 메뉴 버튼(1106)을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도 11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메뉴 버튼(1106)이 일시적으로 네비게이션 영역의 왼쪽 끝에 위치한 취소 버튼(1102)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왼쪽 끝에 위치한 취소 버튼(1102)을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라면, 제어부는 취소 버튼(1102)이 일시적으로 네비게이션 버튼의 오른쪽 끝에 위치한 메뉴 버튼(1106)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변경된 네비게이션 버튼은 소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원래의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리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위치를 고려한 네비게이션 버튼의 설정 변경>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버튼을 터치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영역에서의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표시 위치나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위치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손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표시 위치가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으로 네비게이션 영역 내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터치하는 것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 내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손의 위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왼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 제어부는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버튼들(1202,1204,1206)이 왼쪽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 제어부는 도 1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버튼(1202,1204,1206)들이 오른쪽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고 있는 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과 반대쪽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버튼을 보다 편하게 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손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으로 네비게이션 영역 내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조작하는 것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손과 멀어질수록 네비게이션 영역 내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왼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라면, 제어부는 도 13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네비게이션 버튼들(1302,1304,1306)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라면, 제어부는 도 1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네비게이션 버튼들(1302,1304,1306)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 내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어느 한쪽으로 편향하여 위치시키거나,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크기를 불균등 하게 설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으로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위치는 센싱부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판단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판단될 수도 있다. 일예로, 네비게이션 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가로지르는 궤적을 쫓아 왼쪽 방향으로의 플리킹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왼손(또는 오른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네비게이션 영역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가로지르는 궤적을 쫓아 오른쪽 방향으로의 플리킹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오른손(또는 왼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중복 제공>
상술한 도면들에서는 디스플레이부 하단의 소정 영역이 네비게이션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상단부를 파지하고 있다면, 네비게이션 영역을 조작하는 것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중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4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중복 제공되는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영역(1410) 내측으로부터 네비게이션 영역(1410)의 외측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는 도 1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드롭 지점에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호출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오브젝트(14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오브젝트의 위치(14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도 14의 (b) 및 (c)에서는 네비게이션 오브젝트(1420)에 대해 드로그 앤 드롭 입력이 입력되면, 네비게이션 오브젝트(1420)의 표시 위치가 드롭 지점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예시됨). 네비게이션 오브젝트(1420)가 터치되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오브젝트(1420)의 크기를 확장하고, 도 14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확장된 네비게이션 오브젝트를 통해 네비게이션 영역(1410)에서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네비게이션 버튼들(1402,1404,1406)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들(1402,1404,1406)은 네비게이션 오브젝트(1420) 및 네비게이션 영역(1410)을 통해 중복 제공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오브젝트를 이용한다면, 사용자는 소망하는 지점에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을 증대시켜,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네비게이션 영역의 숨김>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네비게이션 영역으로 할당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정보량도 네비게이션 영역만큼 축소될 것이다. 네비게이션 영역으로 표시 가능한 정보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는 네비게이션 영역을 숨기고,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노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5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표시가 중단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적절한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는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1510)의 표시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15의 (a) 및 (b)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것으로 예시됨). 네비게이션 영역(1510)의 표시가 중단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보다 큰 영역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적절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일시적으로 네비게이션 영역(1510)의 표시를 재개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최하단부에서 윗방향으로의 플리킹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도 15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1510)의 표시가 재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가 재개된 네비게이션 영역(1510)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적절히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네비게이션 영역(151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있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즉, 사용자가 소정 시간 동안 네비게이션 영역(1510)을 조작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1510)의 표시가 다시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독( dock ) 영역과의 토글 >
홈 스크린 화면 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독(dock)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독 영역은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아이콘을 모아 놓은 영역으로 홈 스크린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의 페이지가 변경되더라도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6은 독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홈 스크린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은 도 16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독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홈 스크린 화면의 페이지가 변경되더라도, 독 영역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6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홈 스크린 화면이 1 페이지에서 2페이지로 변경된다 하더라도, 독 영역에서의 아이콘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독 영역을 통해 고정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을 독 아이콘들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독 영역과 네비게이션 영역이 모두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다면, 잔여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보량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독 영역 및 네비게이션 영역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7은 독 영역 및 네비게이션 영역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1710) 및 독 영역(1720)에 는 토글(toggle) 버튼(1712,1714)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17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네비게이션 영역(1710) 내 토글 버튼(1712)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1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1710)의 표시를 중단하고, 독 영역(172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독 영역(172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독 영역(1720) 내 토글 버튼(1722)가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1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독 영역(1720)의 표시가 중단되고, 네비게이션 영역(17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1710) 및 독 영역(17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 네비게이션 영역을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독 영역의 표시를 생략하는 대신,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독 영역에서 출력될 독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8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8은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독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1810)을 통해 네비게이션 버튼들(1812,1814,1816)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네비게이션 영역(1810)을 가로지르는 궤적(1802)을 따라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는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1810)에서 네비게이션 버튼들(1812,1814,1816) 대신 독 아이콘들(1822,1824,1826,1828)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네비게이션 영역(1810)에서 독 아이콘들(1822,1824,1826,1828)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네비게이션 영역(1810)을 가로지를 궤적을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다면, 독 아이콘들(1822,1824,1826,1828)을 대신하여 네비게이션 버튼들(1812,1814,181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버튼들(1812,1814,1816)로 구성된 페이지 및 독 아이콘들(1822,1824,1826,1828)로 구성된 페이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로 네비게이션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에 대한 페이지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버튼들 및 독 아이콘들을 토글(toggle) 할 수 있다.
<독 영역의 숨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영역에 독 영역의 표시를 On/Off 할 수 하기 위한 버튼(이하, 독 버튼이라 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독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독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독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9는 독 영역의 표시가 온오프 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1910)에는 독 영역(1920)의 표시를 온오프 조절하기 위한 독 버튼(191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독 영역(1920)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영역(1910)내 독 버튼(1912)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1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독 영역(192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독 영역(192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영역(1910)내 독 버튼(1912)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1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독 영역(1920)의 표시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1910)에 제공되는 독 버튼(1912)를 통해 독 영역(1920)의 표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독 영역(1920)은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노출될 것이므로, 보다 넓은 영역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 main ) 버튼과 보조( sub ) 버튼의 설정>
독 영역과 네비게이션 영역이 차지하는 공간상의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제어부는 하나의 통합된 영역에서 독 아이콘들과 네비게이션 아이콘들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독 아이콘 및 네비게이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는 주(main) 버튼으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sub) 버튼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통합된 영역 내에서의 제 1 터치 입력은 주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취급하고, 통합된 영역 내에서의 제 2 터치 입력은 보조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취급하여, 사용자가 독 아이콘 및 네비게이션 아이콘을 적절히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0은 통합된 영역에서 독 아이콘 및 네비게이션 아이콘이 동시에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a)는 독 영역(2010)을 통해 독 아이콘들(2012,2014,2016,2018)과 네비게이션 버튼들(2013,2015,2017,2019)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0의 (b)는 네비게이션 영역(2020)을 통해 독 아이콘들(2023,2025,2027,2029)과 네비게이션 버튼들(2022,2024,2026,2028)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버튼들과 독 아이콘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버튼들 및 독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주 버튼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보조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0의 (a)는 독 아이콘들(2012,2014,2016,2018)이 주 버튼으로 설정되고, 네비게이션 버튼들(2013,2015,2017,2019)이 보조 버튼으로 설정되었을 때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주 버튼으로 설정된 독 아이콘에는 보조 버튼으로 설정된 네비게이션 버튼이 연계될 수 있다(일예로, 전화 아이콘(2012)-취소 버튼(2013), 전화번호부 아이콘(2014)-홈 버튼(2015), 메시지 아이콘(2016)-메뉴 버튼(2017), 인터넷 아이콘(2018)-퀵 메뉴 버튼(2019)이 서로 연계된 것으로 예시됨). 독 영역(2010)에 표시되는 독 아이콘들(2012,2014,2016,2018) 중 어느 하나에 제 1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주 버튼인 독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독 영역(2010)에 표시되는 독 아이콘들(2012,2014,2016,2018) 중 어느 하나에 제 2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보조 버튼인 네비게이션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예로, 전화 아이콘(2012)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전화 아이콘(2012)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화 아이콘(2012)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전화 아이콘(2012)과 연계된 취소 버튼(2014)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0의 (b)는 네비게이션 버튼들(2022,2024,2026,2028)이 주 버튼으로 설정되고, 독 아이콘들이 보조 버튼(2023,2025,2027,2029)으로 설정된 경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주 버튼으로 설정된 네비게이션 버튼에는 보조 버튼으로 설정된 독 아이콘이 연계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2020)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2022,2024,2026,2028) 중 어느 하나에 제 1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주 버튼인 네비게이션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네비게이션 영역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버튼들(2022,2024,2026,2028) 중 어느 하나에 제 2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보조 버튼인 독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예로, 취소 버튼(2022)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취소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취소 버튼(2022)에 대한 제 2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취소 버튼(2022)과 연계된 전화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 1 터치 입력 및 제 2 터치 입력은 주 버튼을 터치한 뒤 소정 시간 이내 터치 해제하는 것, 주 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것, 주 버튼을 재빨리 두번 터치하는 것, 주 버튼을 복수의 포인터로 터치하는 것 및 주 버튼을 터치한 뒤 포인터를 일방향으로 플리킹 하는 것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면 분할>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영역이 드래그 이동하면, 네비게이션 영역이 이동한 위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1은 네비게이션 영역을 기점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영역(2110)을 디스플레이부의 중단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수신되면(도 21의 (a) 참조), 제어부는 도 21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2110)이 포인터의 드롭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2110)을 기점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21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네비게이션 영역(2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영역(I) 및 네비게이션 영역(211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영역(II)으로 분할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분할된 제 1 영역(I) 및 제 2 영역(II)을 통해, 제어부는 복수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영역(I)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 2 영역(II)에서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영역(I)을 터치한 이후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터치되었다면, 네비게이션 버튼들에 대한 터치 입력은 제 1 영역(I)에만 효력을 미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영역(II)을 터치한 이후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터치되었다면, 네비게이션 버튼들에 대한 터치 입력은 제 2 영역(II)에만 효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터치한 이후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들이 효력을 미치는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버튼을 터치한 포인터가 제 1 영역(I)으로 이동한다면, 제어부는 제 1 영역(I)을 통해 네비게이션 버튼이 선택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반대로, 네비게이션 버튼을 터치한 포인터가 제 2 영역(II)으로 이동한다면, 제어부는 제 2 영역(II)을 통해 네비게이션 버튼이 선택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이 미치는 영역 설정>
상술한 예에서는 네비게이션 버튼이 터치되기 직전에 터치된 영역 또는 네비게이션 버튼을 터치한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이 미치는 영역이 결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상술한 예에서와 달리,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이 미치는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2는 네비게이션 영역의 위치에 따라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 범위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는 2개의 영역(I, II)으로 분할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221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영역에만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이 미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2210)이 제 2 영역(II)의 바로 밑에 위치한다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221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제 2 영역(II)에만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이 미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2210)의 위치가 제 1 영역(I)의 바로 밑으로 변경된다면, 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영역(221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제 1 영역(I)에만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이 미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영역(22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네비게이션 버튼의 효력이 미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분할된 영역 내 네비게이션 영역 표시>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제어부는 각각의 분할된 영역 내 네비게이션 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3은 분할된 영역 내 네비게이션 영역이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는 4개의 서브 영역(I~IV)을 포함하는 상태라 가정한다. 디스플레이부에는 4개의 서브 영역(I~IV) 중 적어도 하나에 효력을 미칠 수 있는 메인 네비게이션 영역(2210)이 설정될 수 있다. 메인 네비게이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은 4개의 서브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효력을 미칠 수 있다. 일예로, 앞서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서브 영역을 터치한 직후 네비게이션 영역을 터치하였다면, 네비게이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은 제 1 서브 영역에 대해서만 효력을 미칠 수 있다.
메인 네비게이션 영역(2310)이 복수의 서브 영역(I~IV)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드래그되면(도 13의 (a)에서는 네비게이션 영역이 제 2 영역(II)으로 드래그되는 것으로 예시됨), 제어부는 도 1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영역(II)의 내측에 메인 네비게이션 영역(2310)을 본딴 서브 네비게이션 영역(2310-2)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브 영역 내 서브 네비게이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은 해당 영역에서만 효력을 미치고 잔여 영역에 대해서는 효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모든 서브 영역에 서브 네비게이션 영역(2310-1, 2310-2, 2310-3, 2310-4)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는 도 23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메인 네비게이션 영역(2310)의 표시는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 랜드스케이프 ( Landscape ) 모드에서의 출력 예>
상술한 도면들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모두 세로 보기 모드(즉,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로 설정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보기 모드(즉,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4 및 도 25는 디스플레이부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의 출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네비게이션 영역이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디스플레이부의 오른쪽 또는 왼쪽 끝에 네비게이션 영역이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면, 제어부는 도 2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을 2개로 분할(2412,2414)하여 표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을 2개로 분할하면서, 제어부는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2412)는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편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하나(2414)는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편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왼쪽 손으로는 좌측 편의 네비게이션 영역을 조작하고, 오른쪽 손으로는 우측 편의 네비게이션 영역을 조작함으로써, 손쉽게 네비게이션 버튼들을 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는 도 2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2422)과 독 영역(2424)을 일직선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영역(2422) 및 독 영역(2424)을 일직선으로 배치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영역 및 독 영역이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면, 제어부는 도 25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오른쪽 끝 또는 왼쪽 끝에 네비게이션 영역(25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오른쪽 끝 및 왼쪽 끝 중 어느 쪽에 네비게이션 영역(2510)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쪽에 네비게이션 영역(2510)이 설정된 경우 다른 쪽에는 독 영역(2520)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한쪽 손으로는 네비게이션 영역(2510)을 조작하고, 다른 한쪽 손으로는 독 영역(2520)을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 변경을 지시한 경우 등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네비게이션 키의 종류 및 배열을 변경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일부 영역이 네비게이션 영역으로 할당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배열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버튼들의 종류 및 네비게이션들의 배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 하는 복수의 조합예를 포함하는 설정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조합예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종류 및 배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은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어가 링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지정한 것이거나, 상기 제어부가 가장 최근에 실행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쌍의 화살표 버튼 각각이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의 양 끝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쌍의 화살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 입력 위치를 지시하는 커서(cursor)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의 일단에 위치하는 네비게이션 버튼이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이상 터치된 네비게이션 버튼을 일시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의 타단에 위치하는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의 표시 위치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의 표시는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의 표시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을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의 변경된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분할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효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은 필수적인 네비게이션 버튼과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여부가 조절될 수 있는 추가적인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보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이 2개로 분할하여, 분할된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되고, 분할된 다른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독(dock)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할당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토글 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토글 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으로 스위칭 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으로 스위칭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 중 어느 하나는 주(main) 버튼으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sub) 버튼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주 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보조 버튼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보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서 일렬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보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비게이션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독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81264A 2013-07-10 2013-07-10 이동 단말기 KR10204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264A KR102044701B1 (ko) 2013-07-10 2013-07-10 이동 단말기
US14/174,695 US9261994B2 (en) 2013-07-10 2014-02-06 Mobile terminal
DE202014010551.0U DE202014010551U1 (de) 2013-07-10 2014-05-13 Mobiles Endgerät
EP14168201.3A EP2824556A1 (en) 2013-07-10 2014-05-13 Customisable navigation menu in a mobile terminal
CN201910456311.1A CN110262745B (zh) 2013-07-10 2014-06-20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移动终端的方法
CN201410279619.0A CN104281405B (zh) 2013-07-10 2014-06-20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移动终端的方法
US15/042,871 US9817571B2 (en) 2013-07-10 2016-02-12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264A KR102044701B1 (ko) 2013-07-10 2013-07-10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46A true KR20150009046A (ko) 2015-01-26
KR102044701B1 KR102044701B1 (ko) 2019-11-14

Family

ID=5098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264A KR102044701B1 (ko) 2013-07-10 2013-07-10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261994B2 (ko)
EP (1) EP2824556A1 (ko)
KR (1) KR102044701B1 (ko)
CN (2) CN104281405B (ko)
DE (1) DE202014010551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40A1 (ko) * 2016-06-28 201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20110252349A1 (en) * 2010-04-07 2011-10-13 Imran Chaudhri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D757103S1 (en) * 2013-06-18 2016-05-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9207764B2 (en) * 2013-09-18 2015-12-08 Immersion Corporation Orientation adjustable multi-channel haptic device
JP6393325B2 (ja) 2013-10-30 2018-09-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関連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表示
CN105321515A (zh) * 2014-06-17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车载应用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D774062S1 (en) 2014-06-20 2016-12-13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2582S1 (en) * 2014-06-20 2020-04-28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US10444977B2 (en) * 2014-12-05 2019-10-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ellphone manager
USD763915S1 (en) 2015-01-22 2016-08-16 Express Scripts, Inc. Display with a computer icon
CN104635946B (zh) * 2015-03-02 2017-09-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4679408B (zh) * 2015-03-20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US10088993B2 (en) * 2015-04-01 2018-10-02 Ebay In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data navigation
TW201642112A (zh) * 2015-05-22 2016-12-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應用程式圖示更換系統及方法
CN106293444B (zh) * 2015-06-25 2020-07-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4932776A (zh) * 2015-06-29 2015-09-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DE102015214305A1 (de) * 2015-07-29 2017-02-0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geben eines Steuersignals sowie entsprechendes System
EP4327731A3 (en) 2015-08-20 2024-05-15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CN105975173A (zh) * 2016-03-30 2016-09-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功能按键图标的显示方法
CN105892887A (zh) * 2016-03-30 2016-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按键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06095226B (zh) * 2016-06-01 2019-09-27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电子终端中运行应用程序的方法及设备
US20170357427A1 (en) * 2016-06-10 2017-12-1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USD829738S1 (en) 2016-08-22 2018-10-02 Illumina,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WO2019047189A1 (zh) * 2017-09-08 2019-03-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EP3680760A4 (en) 2017-09-08 2020-10-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KEY DISPLAY PROCEDURE, DEVICE AND TERMINAL
CN107547750B (zh) * 2017-09-11 2019-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1969805B1 (ko) * 2017-09-15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09634478A (zh) * 2017-10-09 2019-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人机交互的方法和电子设备
CN107844236A (zh) * 2017-10-17 2018-03-27 深圳市汉普电子技术开发有限公司 Ios导航控制器页面平滑过渡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0524010B2 (en) * 2017-11-07 2019-12-31 Facebook, Inc. Social interaction user interface for videos
US11416126B2 (en) * 2017-12-20 2022-08-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D861025S1 (en) * 2018-01-23 2019-09-24 Whatsapp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0742S1 (en) 2018-01-26 2019-12-2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user interface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CN109391733B (zh) * 2018-08-21 2021-11-23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按键显示的方法、移动终端和存储介质
USD947233S1 (en) * 2018-12-21 2022-03-29 Streamlayer,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97952S1 (en) 2018-12-21 2023-09-05 Streamlayer, In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770579B2 (en) 2018-12-21 2023-09-26 Streamlayer,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delivery and audience engagement
CN109828712A (zh) * 2019-01-25 2019-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虚拟导航键的设置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JP6921338B2 (ja) 2019-05-06 2021-08-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の制限された動作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CN110221741B (zh) * 2019-05-31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EP3842908A1 (en) * 2019-12-25 2021-06-30 Shanghai Transsion Co., Ltd. Interacting method for sidebar menu,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526256B2 (en) 2020-05-11 2022-1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DK202070625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2486A (en) * 1998-01-13 2000-06-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customizing a deskbar
KR20090096149A (ko) * 2008-03-07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20100115408A1 (en) * 2008-10-31 2010-05-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edia management on a touch screen device
US20120274863A1 (en) * 2011-04-29 2012-11-01 Logitech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592B2 (en)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KR100795590B1 (ko) * 2004-03-30 2008-01-21 노키아 코포레이션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전자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산물
KR100831721B1 (ko)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80303796A1 (en) * 2007-06-08 2008-12-11 Steven Fyke Shape-changing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304658B2 (en) * 2007-12-30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On-screen menu buttons including multiple modes
US20100008031A1 (en) * 2008-07-08 2010-01-14 Emblaze Mobile Ltd Ergonomic handheld device
US20100138765A1 (en) * 2008-11-30 2010-06-03 Nokia Corporation Indicator Pop-Up
US8315672B2 (en) 2008-12-01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2508610A (zh) * 2011-11-17 2012-06-20 合一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媒体设备及媒体设备与用户的交互方法
CN106201316B (zh) * 2012-05-09 2020-09-29 苹果公司 用于选择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8769431B1 (en) * 2013-02-28 2014-07-01 Roy Varada Prasad Method of single-handed software operation of large form factor mobile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2486A (en) * 1998-01-13 2000-06-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customizing a deskbar
KR20090096149A (ko) * 2008-03-07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20100115408A1 (en) * 2008-10-31 2010-05-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edia management on a touch screen device
US20120274863A1 (en) * 2011-04-29 2012-11-01 Logitech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40A1 (ko) * 2016-06-28 201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01985A (ko) * 2016-06-28 2018-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054930B2 (en) 2016-06-28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61994B2 (en) 2016-02-16
CN110262745A (zh) 2019-09-20
DE202014010551U1 (de) 2015-12-15
US20150015500A1 (en) 2015-01-15
US20160162184A1 (en) 2016-06-09
CN104281405A (zh) 2015-01-14
US9817571B2 (en) 2017-11-14
CN104281405B (zh) 2019-06-21
CN110262745B (zh) 2022-08-02
KR102044701B1 (ko) 2019-11-14
EP2824556A1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701B1 (ko) 이동 단말기
KR10204061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8497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75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501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1016742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1477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90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979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556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102017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1400177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07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43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762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42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0785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08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재생 방법
KR101398171B1 (ko) 이동 단말기
KR1014304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 방법
KR101649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47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856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069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퀵 액세스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