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954A -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954A
KR20150007954A KR20140082545A KR20140082545A KR20150007954A KR 20150007954 A KR20150007954 A KR 20150007954A KR 20140082545 A KR20140082545 A KR 20140082545A KR 20140082545 A KR20140082545 A KR 20140082545A KR 20150007954 A KR20150007954 A KR 20150007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play device
signal
mod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석
유미라
최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822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20184B1/en
Priority to PCT/KR2014/006267 priority patent/WO2015005730A1/en
Priority to RU2016104518A priority patent/RU2658647C2/ru
Priority to CN201480038942.7A priority patent/CN105379252B/zh
Priority to US14/329,288 priority patent/US9706153B2/en
Publication of KR2015000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954A/ko
Priority to US15/621,592 priority patent/US10362259B2/en
Priority to US16/417,099 priority patent/US11019299B2/en
Priority to KR1020210001115A priority patent/KR10228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2Power saving techniques of remote control or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3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where the sensing device enters an active or inactive mode

Abstract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은 포터블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며,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가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Po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TV 등)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TV는 단순히 방송만 보던 아날로그 TV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보고 즐기는 디지털 TV로 바뀌고 있다. 디지털 TV로 전환됨에 따라, TV가 켜지고 디지털 방송이 나오거나 스마트 기능(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이 수행되기까지의 부팅 시간은 이전 아날로그 TV에 비하여 다소 길어졌다.
특히, 디지털 TV의 경우, 초기 TV를 켰을 때 걸리는 부팅 시간은 TV를 켤 때마다 발생하는 시간으로 빨리 TV를 보고 싶은 사용자에게는 짧지 않은 시간이다. 최근 프로세서의 고성능화와 S/W 기술의 발달로 이 시간이 점점 짧아지고는 있지만, 하드웨어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더욱 빠르게 TV가 부팅 되는 것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를 움직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가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 제어부를 미리 활성화시킬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은, 포터블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구성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부 및 통신부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및 와이파이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리 파워 온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중 하나가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리 파워 온(Pre-Power On)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일부 구성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구성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부 및 통신부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및 와이파이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리 파워 온 기능을 비활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리 파워 온(Pre-Power On) 신호 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나머지 구성을 활성화하는 정상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포터블 디바이스에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사용자는 파워 온 버튼을 선택한 이후 바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체감 상 느껴지는 부팅시간이 더욱 빨리 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안내하는 다양한 인디케이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일반적으로 TV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지털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셋탑박스, 프로젝션 TV,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 내에 구비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대기 모드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감지 센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나머지 구성(예를 들어, 제어부, 통신부 등)에 출력하고,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나머지 구성은 활성화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리 파워 온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파워 온 되기 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제어부 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IR 통신이 아닌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프리 파워 온 신호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대기 모드인지 정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비활성화된 모드이며, 정상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모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정상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프리 파워 온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일부 구성(예를 들어, 제어부)이 활성화된 모드이다.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진입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파워 온 버튼이 선택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파워 온 버튼이 선택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나머지 구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움직인 순간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부 구성이 활성화되어 부팅이 시작됨으로써, 기존에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파워 온 버튼을 선택하여 부팅하는 것보다 사용자는 체감상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빠르게 부팅되는 것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감지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TV를 제어하기 위한 일반적인 TV 전용 포터블 디바이스(100)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기능 등과 같이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출력부 등과 같은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움직임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복수의 움직임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감지부(110)가 복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하더라도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감지부는 (110)는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감지부(110)는 일정시간마다 활성화되고 짧은 시간 동안 감지 동작을 수행한 후 다시 비활성화되는 상태를 반복할 수 있으며, 정상 모드일 때보다 낮은 주파수로 움직임을 감지하여 소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기설정된 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감지부(110)는 포터블 디바이스(11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비활성화 상태인 제어부(140) 및 통신부(120)로 출력하여 제어부(140) 및 통신부(120)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감지부(110)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 및 통신부(120) 각각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감지부(110)는 제어부(140)에만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며, 나머지 구성(예를 들어, 통신부(120) 등)에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정상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감지부(1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데이터 값을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IR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 파이(Wi-Fi)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프리 파워 온 신호 및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20)는 IR 방식이 아닌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IR 방식 또는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부(210)는 제어 신호와, 프리 파워 온 신호 및 파워 온 신호를 동일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와, 프리 파워 온 신호 및 파워 온 신호를 상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프리 파워 온 신호 및 파워 온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IR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부(140)가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프리 파워 온 신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대기 모드에서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감지부(110)를 통해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통신부(120)가 활성화된 경우, 통신부(120)가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30)는 복수의 버튼,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30)는 복수의 버튼 중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하기 위한 파워 온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2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제어부(140)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감지부(110)를 통해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리 파워 온(Pre-Power On) 신호 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생성된 프리 파워 온 신호를 통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지그비 통신 방식과 같이 통신 연결이 필요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어부(140)는 통신부(12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연결한 후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입력부(130)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파워 온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든 구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감지부(110)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4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고,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모드가 대기 모드일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가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모드가 정상 모드일 동안(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없으나 정상 모드인 경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가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의해 사용자가 리모트 컨르롤러(100)를 잡는 순간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부팅 동작을 시작하도록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파워 온 버튼을 누르는 시점이 아닌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잡는 시점부터 부팅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바로 방송 채널이나 스마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부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 또는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포터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IR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 파이(Wi-Fi)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활성화되어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 또는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 및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 상태이나,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비활성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통신부(210)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30)는 활성화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프리 파워 온 신호는 IR 통신이 아닌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시간 내에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나머지 구성을 활성화하는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 등과 같은 데이터 출력 구성을 활성화하여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리 파워 온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인디케이터부(240), 디스플레이부(220), 오디오 출력부(250), 저장부(260), 전원 공급부(27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IR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 방식, 와이 파이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 방식 및 와이 파이 통신 방식은 각각 블루투스 칩 및 와이 파이 칩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그 밖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IE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통신부(2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통신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전에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한 적이 없는 경우, 통신부(21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페어링 동작이라 함은,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의 통신 정보(예를 들어, ID 정보, 비밀번호 정보, 맥(MAC) 어드레스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이다. 따라서, 페어링 동작을 통해 통신 정보가 등록된 경우, 통신부(100)는 별도의 등록 과정없이 기등록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통신부(210)를 통해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인디케이터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베젤 영역에 포함된 LED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인디케이터부(2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비프 음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인디케이터부(24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포터블 디바이스(100) 역시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 파워 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 또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비활성화되나,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전원 공급부(27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50) 역시 디스플레이부(220)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 또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비활성화되나,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전원 공급부(27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저장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6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6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공급부(27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에 공급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전원 공급부(270)는 통신부(210)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인 경우, 전원 공급부(270)는 통신부(210), 인디케이터부(240), 제어부(230), 저장부(2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정상 모드인 경우, 전원 공급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든 구성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전원 공급부(27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30)는 전원 공급부(27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 통신부(210)를 통해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어 제어부(230)가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230)는 시간을 카운트한다. 즉, 제어부(230)는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된 경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설정된 시간 내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나머지 구성을 활성화하는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 오디오 출력부(250) 등과 같은 구성을 활성화하도록 전원 공급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전원 공급부(270)를 제어하여 제어부(230), 인디케이터부(240), 저장부(260)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의도가 아닌 다른 의도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를 움직였다고 판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리 파워 온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이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하기 위해서는 파워 온 버튼을 선택해야 한다.
다만,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30)는 비활성화된 프리 파워 온 기능을 다시 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가 정상 모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무시하고, 정상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워 온 버튼을 누르기 전 리모컨을 잡는 행동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부 구성이 활성화되어 부팅 동작을 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더욱 빠르게 부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S610).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 유지한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대기 모드는 움직임 감지 센서만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구성이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620).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S620-Y),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S630).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감지 센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 및 통신부와 같은 포터블 디바이스(100) 나머지 구성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나머지 구성에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나머지 구성 역시 활성화되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정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한다(S640). 이때, 프리 파워 온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제어부 등)이 활성화된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650).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정상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정상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버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60). 이때, 파워 온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일 수 있다.
파워 온 버튼이 선택된 경우(S660-Y),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670). 이때,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나머지 구성을 활성화하여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S71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대기 모드는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은 되어 있으나, 통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비활성화된 모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지그비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S72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포터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S730).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S72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S74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한다(S750). 프리 파워 온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제어부, 인디케이터부, 저장부 등)이 활성화되는 모드이다.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가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안내하는 인디케이터(예를 들어, 베젤에 구비된 LED를 깜빡거림)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60).
기설정된 시간 내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S76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S770). 이때, 정상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되는 모드이다.
그러나, 기설정된 시간 내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760-N),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S780). 즉, 기설정된 시간 내에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한편,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이전에 페어링 동작을 이미 수행하였다.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S905, S910).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대기 모드는 움직임 감지 센서만이 활성화된 모드이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대기 모드는 통신부만이 활성화된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915).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S920).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정상 모드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모드이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S925),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연결 응답 신호를 포터블 디바이스에 전송한다(S930). 이에 의해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고(S935), 생성된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94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한다(S945). 이때, 프리 파워 온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 중 일부 구성(예를 들어, 제어부 등)이 활성화된 모드이다.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가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된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버튼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S950).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고(S955), 생성된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960).
파워 온 신호가 전송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S965).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정상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전송할 경우, IR 통신을 이용하는 것보다 전송 정확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IR 통신은 지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IR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향하지 않는다면, 원활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전송할 경우, IR 통신을 이용하는 것보다 프리 파워 온 신호가 미전송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한편,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이전에 페어링 동작을 이미 수행하였다.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S1005, S1010).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대기 모드는 움직임 감지 센서만이 활성화된 모드이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대기 모드는 통신부만이 활성화된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1015).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S1020).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정상 모드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모드이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S1025),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연결 응답 신호를 포터블 디바이스에 전송한다(S1030). 이에 의해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한다(S1035). 즉, 별도의 프리 파워 온 신호의 수신 없이 통신 연결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가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된 후,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버튼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다(S1040).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고(S1045), 생성된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1050).
파워 온 신호가 전송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한다(S1055).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정상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전송할 경우, IR 통신을 이용하는 것보다 전송 정확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바로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별도의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더욱 빠른 부팅 동작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S1110).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 유지한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대기 모드는 움직임 감지 센서 중 일부(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만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구성이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1120).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활성화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S1120-Y), 활성화된 움직임 감지 센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한다(S1130). 이때, 인터럽트 신호는 포터블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로서, 활성화된 움직임 감지 센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 비활성화 상태의 다른 움직임 감지 센서 및 통신부(130)는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각각 활성화된다(S1140,S1150,S1160). 이때, 활성화된 움직임 감지 센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 비활성화 상태의 다른 움직임 삼지 센서 및 통신부(130) 각각에 전송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활성화된 움직임 감지 센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에 전송하며, 제어부(140)가 비활성화된 상태의 다른 움직임 감지 센서 및 통신부(1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활성화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연결한다(S1170).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프리 파워 온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1180). 구체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감지부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제어부

Claims (22)

  1.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포터블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구성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부 및 통신부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및 와이파이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리 파워 온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 중 하나가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리 파워 온(Pre-Power On)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일부 구성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구성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 감지 센서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부 및 통신부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및 와이파이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가 정상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프리 파워 온 신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리 파워 온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일부 구성만을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상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리 파워 온(Pre-Power On) 신호 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프리 파워 온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2.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프리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활성화하는 프리 파워 온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프리 파워 온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포터블 디바이스로부터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나머지 구성을 활성화하는 정상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82545A 2013-07-12 2014-07-02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KR20150007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22603.8A EP3020184B1 (en) 2013-07-12 2014-07-11 Por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PCT/KR2014/006267 WO2015005730A1 (en) 2013-07-12 2014-07-11 Por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RU2016104518A RU2658647C2 (ru) 2013-07-12 2014-07-11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итанием устройства отображения
CN201480038942.7A CN105379252B (zh) 2013-07-12 2014-07-11 便携设备、显示装置、显示系统及其控制显示装置的功率的方法
US14/329,288 US9706153B2 (en) 2013-07-12 2014-07-11 Por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5/621,592 US10362259B2 (en) 2013-07-12 2017-06-13 Por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6/417,099 US11019299B2 (en) 2013-07-12 2019-05-20 Portable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20210001115A KR102280597B1 (ko) 2013-07-12 2021-01-05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52 2013-07-12
KR20130082352 2013-07-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15A Division KR102280597B1 (ko) 2013-07-12 2021-01-05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54A true KR20150007954A (ko) 2015-01-21

Family

ID=525707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2545A KR20150007954A (ko) 2013-07-12 2014-07-02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KR1020210001115A KR102280597B1 (ko) 2013-07-12 2021-01-05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15A KR102280597B1 (ko) 2013-07-12 2021-01-05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706153B2 (ko)
EP (1) EP3020184B1 (ko)
KR (2) KR20150007954A (ko)
CN (1) CN105379252B (ko)
RU (1) RU2658647C2 (ko)
WO (1) WO20150057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34A1 (en) * 2015-10-19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0306313B2 (en) 2015-07-24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954A (ko) 2013-07-12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US9729929B2 (en) * 2014-08-08 2017-08-08 Arris Enterprises Llc Channel tuning with synthesized key codes
TWI557551B (zh) * 2014-11-12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喚醒方法
KR20160137362A (ko) * 2015-05-22 201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3096514A1 (en) * 2015-05-22 201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TWI604433B (zh) * 2017-04-20 2017-1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用於電視系統之同步控制裝置及其方法
JP6965659B2 (ja) * 2017-09-26 2021-11-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測定モード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514662A1 (en) * 2018-01-17 2019-07-24 Harman Profess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ripheral device power control
JP7003695B2 (ja) * 2018-01-30 2022-01-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電源状態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652811B1 (ko) * 2018-09-04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FR3094596B1 (fr) * 2019-03-27 2022-04-22 Orange Procédé de contrôle de la consommation énergétique d’un équipement pilotable au moyen d’une télécommande
CN111600977A (zh) * 2020-05-15 2020-08-28 魏天骋 一种以移动终端为数据处理器的共享装置
TWI734518B (zh) * 2020-06-10 2021-07-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藍芽配對系統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6891B1 (en) * 1998-08-31 2002-02-12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with handling sensor in remote control device
KR20040082409A (ko) * 2002-02-05 2004-09-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원격 제어 가능한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KR101135282B1 (ko) * 2005-04-12 2012-04-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영상/음성 처리 장치 및 그것에 접속하는 기기
KR100704667B1 (ko) * 2005-06-25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JP2007158621A (ja) * 2005-12-02 2007-06-21 Sony Corp 機器制御システム、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KR101327581B1 (ko) * 2006-05-24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20080047811A (ko) * 2006-11-27 200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과,영상처리장치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디스플레이방법
JP2008219392A (ja) * 2007-03-02 2008-09-18 Sharp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デジタル放送信号処理装置
KR101182286B1 (ko) 2007-09-19 201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리모트 컨트롤러에의해 포인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제어방법
KR101402083B1 (ko) * 2007-11-02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536750B1 (ko) * 2007-11-08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JP2009124896A (ja) * 2007-11-16 2009-06-04 Oki Semiconductor Co Ltd 電子機器、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EP2283650A1 (en) 2008-05-26 2011-0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for switching a multimedia source and multimedia sink from an operating mode to a standby mode, and from a standby mode to an operating mode
KR20100035428A (ko) * 2008-09-26 2010-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493753B1 (ko) * 2008-10-20 2015-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의 충전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
KR101577400B1 (ko) * 2009-03-03 201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00124390A (ko) 2009-05-19 2010-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4846841B2 (ja) * 2009-12-25 2011-12-28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
CN101795393A (zh) 2009-12-30 2010-08-0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手机控制互联网电视的方法
KR101649157B1 (ko) 2010-05-18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938501B2 (en) * 2010-07-28 2018-04-10 Jointechlabs, Inc. Encapsulated adipose-derived stem cells, methods for preparation and theraputic use
KR20120014801A (ko) * 2010-08-10 2012-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130900A (zh) 2010-12-26 2011-07-20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三屏互动的实现方法及装置
CN202178832U (zh) 2011-01-26 2012-03-28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电视机、数字电视接收终端及遥控装置
KR20120122183A (ko) 2011-04-28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의 부팅 방법
US8840285B2 (en) * 2011-05-11 2014-09-23 Janine E. Gawryl Underwater light apparatus
US9155765B2 (en) * 2011-07-05 2015-10-13 Baylor Research Institute Establishment of patient- or person-specific cardiac myocyte cell lines from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KR101850825B1 (ko) * 2011-07-20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1862A (ko) * 2011-08-24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 컨텍스트를 반영한 전자기기의 부팅 방법 및 장치
US20130054945A1 (en) * 2011-08-24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sensing for early booting of devices
JP5318172B2 (ja) * 2011-09-30 2013-10-1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51153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821015B (zh) 2012-08-07 2015-09-09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家庭中多媒体终端相互控制的方法和系统
CN102970611A (zh) 2012-11-29 2013-03-13 深圳市路通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电视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KR102179811B1 (ko) * 2012-12-03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음성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07954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6313B2 (en) 2015-07-24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WO2017069434A1 (en) * 2015-10-19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9997064B2 (en) 2015-10-1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80089A1 (en) 2017-09-28
CN105379252B (zh) 2019-08-20
US20150015380A1 (en) 2015-01-15
US11019299B2 (en) 2021-05-25
CN105379252A (zh) 2016-03-02
RU2016104518A (ru) 2017-08-16
WO2015005730A1 (en) 2015-01-15
EP3020184B1 (en) 2019-09-18
KR20210008544A (ko) 2021-01-22
RU2658647C2 (ru) 2018-06-22
US9706153B2 (en) 2017-07-11
US20190273885A1 (en) 2019-09-05
EP3020184A4 (en) 2017-02-08
KR102280597B1 (ko) 2021-07-23
EP3020184A1 (en) 2016-05-18
US10362259B2 (en)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597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EP3104574B1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device, operating method of content reproducing device, portable device, and content reproducing device
CN107637069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屏幕的方法
CN114710699A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显示器的方法
KR20160060972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575086B (zh) 显示装置、控制方法以及显示系统
EP3023860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6532639B1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省電力方法
US96787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084135A1 (en) System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event and method thereof
US101425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6004715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8139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53269A (ko)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KR20200035788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KR2019006671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63197A (ko) 전자 장치, 보조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7667342B (zh) 电子装置和用于控制电子装置的声音的方法
KR2024004059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15238B1 (ko) 센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WO2019035210A1 (ja) 通信装置及び省電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