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801A -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801A
KR20120014801A KR1020100076994A KR20100076994A KR20120014801A KR 20120014801 A KR20120014801 A KR 20120014801A KR 1020100076994 A KR1020100076994 A KR 1020100076994A KR 20100076994 A KR20100076994 A KR 20100076994A KR 20120014801 A KR20120014801 A KR 20120014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rnal device
signal
stat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호
구자군
조강석
박차훈
이만희
황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801A/ko
Priority to US13/179,687 priority patent/US8751835B2/en
Publication of KR2012001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부와; 외부장치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시스템부가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통신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시스템부의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시스템부를 웨이크업 시키거나 상기 외부장치로 소정의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부가 대기상태에 진입한 경우 외부장치의 접속에 대응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 후 OS 구동 중 또는 도스 상태에서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되어도 배터리 충전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웨이크 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시스템부가 대기모드로 진입되고, 외부장치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시스템부를 웨이크 업시키거나 상기 외부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부와; 외부장치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시스템부가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통신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 또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기상태인 시스템부를 웨이크 업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는, 포인팅 장치부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하고,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싱기 컴퓨터 시스템은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소정의 충전전원을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접속부를,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부가 대기상태이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통신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신호용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신호용 회로는 그라운드, 풀다운 회로 및 저항 분압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부가 대기상태가 되는 단계와; 외부장치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이에 연결된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 또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대기상태인 시스템부를 웨이크 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는, 포인팅 장치부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하고,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소정의 충전전원을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접속부를,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스템부가 대기상태가 되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스위칭부 제어단계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통신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스위칭부 제어단계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신호용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신호용 회로는 그라운드, 풀다운 회로 및 저항 분압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의 시스템부가 대기상태로 진입하고,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대기상태인 시스템부를 웨이크 업시키거나 상기 외부장치로 소정의 충전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과 외부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의 제어부(40)의 외부장치의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의 모니터링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스위칭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과 외부장치(100)사이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1)은 데스크탑 또는 랩탑 등의 PC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통상적인 형태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북, MID (Mobile Internet Device), 넷북, 타블렛 PC 등 PC에 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어떠한 형태의 장치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은 일반적으로 컴퓨터시스템에 포함되는 CPU, 메인메모리, MCH(Memory controller hub), ICH(I/O controller hub), 그래픽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 및 주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컴퓨터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메인메모리에 로드되어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는 이러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서, MCH 및 ICH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한, CPU의 동작 수행에 관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메인메모리는 휘발성메모리로서, 예컨대 DDR SDRAM(Double-data-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한다. 주변 디바이스는 다양한 하드웨어로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시메모리, CD-ROM, DVD-ROM, USB 드라이브, 블루투스 어댑터, 모뎀, 네트워크 어댑터, 사운드카드, 스피커, 마이크, 타블렛,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CH는 CPU 등 다른 구성과, 메인메모리 간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인터페이스한다. ICH는 CPU와, 주변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본 실시예의 CPU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은, BIOS,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BIOS는 도시되지 않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BIOS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1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10)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주변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110) 및 상기 주변장치(120)는 상기 접속부(20)에 모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110)는 핸드폰, 스마트폰, MP3, PDA, PMP 등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어떠한 타입의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충전 가능한 전지를 내장하고 있어 충전 전지의 전력으로 구동된다. 또한 충전 전지의 전력 충전을 위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110)의 전용 AC 어댑터 등을 이용하여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주변장치(120)는 마우스(121) 또는 터치패드(123)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부와 키보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123)는 상기 키보드(125)에 마련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마련되어 접속부(20)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주변장치(12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부(20)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110)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주변장치(12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접속부(20)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은 시스템부(10), 접속부(20), 통신부(30), 제어부(40), 스위칭부(50) 및 전원공급부(60)를 포함한다.
시스템부(10)는 컴퓨터 시스템(1)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소정 기능에 관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시스템부(1)는 상기 소정 기능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도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CPU, 메인메모리, MCH(Memory controller hub), ICH(I/O controller hub), 그래픽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 및 주변 디바이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부(10)는 전원공급부(60) 또는 배터리부(미도시)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은 전원 낭비를 막기 위하여 소정의 단계별로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전원을 단계적으로 차단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전원 낭비를 막기 위한 소정의 단계는 S0, S3, S4, S5 단계를 포함한다.
S0단계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모든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로서 OS(operation system)이 구동되어 윈도우 또는 도스 상태를 포함한다.
S3 단계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시스템부(10)에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단, 시스템부의 Real Time Clock 제외)로서, RAM의 동작이 중지되고 현 시스템부에서 작동중인 프로그램의 상태가 메모리로 저장되는 상태이다.
S4 단계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시스템부(10)에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단, 시스템부의 Real Time Clock 제외)로서, 디스크의 동작이 중지되고 칩셋의 웨이크업을 제외하고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이다.
S5 단계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시스템부(10)에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단, 시스템부의 Real Time Clock 제외)로서, 구동중인 소프트웨어의 동작이 중단되고 칩셋의 웨이크업을 제외하고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부(1)의 대기모드 상태로의 진입은 상기 S0단계에서 S3단계, S4단계 및 S5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접속부(20)는 외부장치(100)가 접속된다.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100)는 상기 시스템부(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외부장치(100)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소정의 충전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부(2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20)가 USB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부는 그라운드 단자(GND), 전원공급단자(PWR)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통하여 외부장치는 소정의 충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100)와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0)는 상기 시스템부(10)가 대기상태로 진입하게 되더라도, 전원공급부(60)로부터 소정의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신부(30)는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0)가 USB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30)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서를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상기 시스템부(10)가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접속부(20) 및 상기 통신부(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0)는 도 1에 기재한 CPU(중앙 처리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임베디드 컨트롤러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가 임베디드 컨트롤러로 구현되는 경우, 컴퓨터 시스템(1)에 포함된 CPU는 상기 시스템부(1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임베디드 컨트롤러는 상기 접속부(20), 통신부(30) 등을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의 제어 및 각 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부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상기 CPU로의 전원도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임베디드 컨트롤러는 상기 시스템부(10)가 어떤 단계의 대기모드(S3, S4 및 S5 단계)로 진입하더라도 상기 임베디드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임베디드 컨트롤러는 시스템부(10)의 대기모드 상태에서도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통신부(30)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접속한 외부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대기모드에 진입한 시스템부(10)를 웨이크 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여 전원공급부(60) (또는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부(50)는 상기 접속부(20)를 상기 통신부(30) 또는 상기 제어부(4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부(50)는 아날로그 스위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부(50)는 상기 소정의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신호용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신호용 회로는 그라운드, 풀다운 회로 및 저항 분압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 및 스위칭부(50)의 동작에 관하여는 하기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공급부(6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각 장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컴퓨터 시스템(1)의 각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하여 전원공급부(60)는 상기 접속부(2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하여 소정의 경우 상기 접속부(20)에 접속한 외부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미도시)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소정의 배터리 용량을 가지며, 전원공급부(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한다. 배터리부(미도시)는 전원공급부(60)를 보조하는 보조전원으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부(미도시)는 상기 접속부(2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하여 소정의 경우 상기 접속부(20)에 접속한 외부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60) 및 배터리부(미도시)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의 각 구성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부(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터리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의 제어부(40)의 외부장치의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의 모니터링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의 (A)는 컴퓨터 시스템(1)의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접속부(20)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접속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D+/D-) 중 D- 단자는 로직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D+ 단자는 로직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의 (B)는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한 후, 외부장치(100)로부터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접속부(20)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100)로부터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접속부의 D- 단자는 소정 주기(예를 들어, 수백 milisecond 주기)로 로직 하이 상태에서 로직 로우 상태로 변하게 되고, 상기 D- 단자가 로직 로우 상태로 변할 때, D+ 단자는 로직 하이 상태에서 로직 로우 상태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100)로부터 상기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인식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접속부(2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의 상태가 도 3의 (B)같이 되는 것으로 모니텅링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상기 접속부(20)에 접속된 외부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외부장치(120)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상기 통신부(3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장치(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대기모드인 시스템부(10)를 웨이크 업시켜, 상기 외부장치(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한 후, 외부장치(100)로부터 일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접속부(20)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100)로부터 일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로직 하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접속부의 D- 단자는 로직 로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로직 로우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접속부의 D+ 단자는 로직 하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접속부(2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의 상태가 도 3의 (C)같이 되는 것으로 모니텅링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상기 접속부(20)에 접속된 외부장치(1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10)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전원공급부(60)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부(20)를 통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110)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는 접속부(20)와 통신부(30)의 사이에 연결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2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D+/-)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통신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제어부에 포함된 INT 핀과 ADC(Analog Digital Converter) 핀은 D+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고(A), 제어부에 포함된 DAC(Digital Analog Converter) 핀은 D-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다(B).
시스템부(10)가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30)와 상기 접속부(20)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통신부(30)로의 전원공급은 차단되지만, 상기 접속부(20) 및 제어부(40)로의 전원공급은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외부장치가 접속하여 소정의 인식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제어부(40)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30)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소정의 인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식신호는 접속부의(20)의 D+단자를 통해 D+라인으로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신호는 D+라인과 연결된 제어부의 INT 핀 및 ADC 핀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40)는 외부장치(100)의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40)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한 외부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즉, 도 3의 (B)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외부장치(100)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외부장치(120)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3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60)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30)와 상기 외부장치(100)가 상기 접속부의 데이터 통신 단자(D+/-)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60)를 제어함과 동시에, 대기모드 상태인 시스템부(10)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
제어부(40)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한 외부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즉, 도 3의 (C)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10)로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일정 크기의 전압값으로부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충전 방식(예, 충전 전압값)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DAC 핀과 D- 라인의 연결(B)을 통하여,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D- 단자를 통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1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포터블 디바이스(110)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충전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는, 제어부(40)는 DAC 핀과 D- 라인의 연결(B)을 통하여, 상기 확인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충전 방식에 대응하는 충전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와 비교할 때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에 포함된 INT 핀과 ADC(Analog Digital Converter) 핀은 D+ 데이터 라인과의 사이에 제1 아날로그 스위치(51)를 포함하고, 제어부에 포함된 DAC(Digital Analog Converter) 핀은 D- 데이터 라인과의 사이에 제2 아날로그 스위치(53)를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부(10)가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51, 53)은 모두 OFF 되어 있어, 상기 통신부(30)와 상기 접속부(20)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우,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라도, 상기 접속부(20) 및 제어부(40)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부(30)로의 전원공급 역시 차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1아닐로그 스위치(51)가 온 되어, 상기 접속부의 D+ 단자와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40)는 상기 접속부(20)에 접속한 외부장치(100)의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한 외부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즉, 도 3의 (B)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외부장치(100)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외부장치(120)로 판단하고, 상기 제1아날로그 스위치를 OFF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30)와 상기 접속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 상태인 시스템부(10)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한 외부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즉, 도 3의 (C)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10)로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일정 크기의 전압값으로부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충전 방식(예, 충전 전압값)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제2 아날로그 스위치(53)를 온 시켜,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D- 단자를 통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1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포터블 디바이스(110)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충전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는, 제어부(40)는 제2 아날로그 스위치(53)를 온 시켜 D- 단자를 통하여 상기 확인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충전 방식에 대응하는 충전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스위칭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50)는 접속부(20)가 통신부(30) 또는 제어부(4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부(50)는 접속부(20)의 D+ 단자와 연결되는 a 단자; 접속부(20)의 D- 단자와 연결되는 b 단자; 통신부(30)의 D+ 단자와 연결되는 1 단자; 통신부(30)의 D- 단자와 연결되는 2 단자; 제어부의 INT 핀 및 ADC 핀과 연결되는 3 단자; 소정의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용 회로와 연결되는 4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부(10)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50)의 a 단자와 1단자가 연결되고, b단자과 2단자가 연결되어 접속부(20)와 통신부(30)는 정상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부(10)가 대기모드가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부(50)의 a 단자와 1단자가 연결되고, b단자와 3단자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접속부의 D+ 단자로 들어오면 외부장치(100)의 소정의 인식신호가 스위칭부(50)의 3단자를 통해 제어부(40)로 전달된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40)는, 상기 접속부(20)에 접속한 외부장치(100)의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한 외부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즉, 도 3의 (B)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스위칭부(50)를 제어하여 상기 b단자와 2단자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부(30)와 상기 접속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 상태인 시스템부(10)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한 외부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즉, 도 3의 (C)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110)로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일정 크기의 전압값으로부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충전 방식(예, 충전 전압값)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상기 스위칭부(50)를 제어하여 4단자에 연결된 출력신호용 회로(55, 57)로부터 상기 확인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충전 방식에 대응하는 충전 전압값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신호용 회로의 출력부가 접속부(20)의 D- 단자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충전 전압값은 D- 단자를 통해 출력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출력신호용 회로(55, 57)는 상기 접속부(20)를 통해 접속된 포터블 디바이스(11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는 회로로서, Battery Charging Specification Revision 1.1(2009.4.15)을 만족하는 충전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회로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출력신호용 회로(55, 57)는 그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이러한 출력신호용 회로는 그라운드, 풀다운 회로 및 분압 저항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Battery Charging Specification Revision 1.1(2009.4.15)을 만족시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부(10)가 정상모드에서 대기모드의 상태로 진입한다(S11). 시스템부의 대기모드 상태 하에서도 제어부(40) 및 접속부(20)로의 전원은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40)는 접속부(20)에 접속되는 외부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12).
상기 모니터링 수행에 의하여, 제어부(40)는 상기 인식신호가 소정 주기의 펄스값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3).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값 신호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상기 외부장치(100)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로 판단한다(S14). 이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30)를 제어한다(S15). 또한, 대기모드 상태의 시스템부(10)를 웨이크 업시킨다(S16).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값 신호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50)는 상기 인식신호가 일정 크기의 전압값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7).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 크기의 전압값 신호로 확인되면, 제어부(40)는 상기 외부장치를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한다(S18). 이에 따라,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배터리 충저 개시를 위한 소정의 응답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S19)하거나 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소정의 충전전원을 외부장치로 공급하도록 (S20) 할 수 있다. 상기 S19단계와 S20 단계는 택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컴퓨터 시스템 10: 시스템부
20: 접속부 30: 통신부
40: 제어부 50: 스위칭부
60: 전원공급부 100: 외부장치

Claims (26)

  1.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부와;
    외부장치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시스템부가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접속부 및 상기 통신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 또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기상태인 시스템부를 웨이크 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는, 포인팅 장치부 또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하고,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소정의 충전전원을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부가 대기상태이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통신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신호용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용 회로는 그라운드, 풀다운 회로 및 저항 분압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4.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부가 대기상태가 되는 단계와;
    외부장치가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이에 연결된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인식신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의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 또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대기상태인 시스템부를 웨이크 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는, 포인팅 장치부 또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하고,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장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소정의 충전전원을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스템부가 대기상태가 되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소정 주기를 갖는 펄스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스위칭부 제어단계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통신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의 상태가 일정한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신호로 확인되면,
    상기 스위칭부 제어단계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식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크기의 전압값을 갖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신호용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용 회로는 그라운드, 풀다운 회로 및 저항 분압 회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100076994A 2010-08-10 2010-08-10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4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94A KR20120014801A (ko) 2010-08-10 2010-08-10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3/179,687 US8751835B2 (en) 2010-08-10 2011-07-11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94A KR20120014801A (ko) 2010-08-10 2010-08-10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801A true KR20120014801A (ko) 2012-02-20

Family

ID=4556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94A KR20120014801A (ko) 2010-08-10 2010-08-10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51835B2 (ko)
KR (1) KR201200148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05B1 (ko) * 2012-04-27 2014-03-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제어 컴퓨터에 탑재된 모니터 소프트웨어의 작동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065688A1 (ko) * 2020-09-25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3962A1 (en) * 2011-10-25 2013-04-25 Handong Lnc Co., Ltd. Sleep state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docked terminals and docking system using the same
JP5971925B2 (ja) * 2011-11-21 2016-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US8769317B2 (en) * 2012-01-20 2014-07-01 Via Technologies, Inc. USB hub for supplying power upon determination whether a USB device is chargeable according to data transfer rate of the USB device
JP6108710B2 (ja) * 2012-08-06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39657A (ko) * 2012-09-24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이들을 이용한 충전 방법 및 통신 방법
US10231017B2 (en) * 2012-10-16 2019-03-1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harg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battery power-level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device, source device, and sink device
US9660540B2 (en) 2012-11-05 2017-05-23 Flextronics Ap, Llc Digital error signal comparator
KR20150007954A (ko) 2013-07-12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US9846466B1 (en) * 2013-08-27 2017-12-19 Flextronics Ap, Llc Single output channel adapter for charging during laptop sleep mode
US9621053B1 (en) 2014-08-05 2017-04-11 Flextronics Ap, Llc Peak power control technique for primary side controller operation in continuous conduction mode
KR20160041282A (ko) * 2014-10-07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310592B2 (en) * 2015-11-02 2019-06-04 Ricoh Company, Ltd. Device, operation-mod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206727688U (zh) * 2017-05-19 2017-12-08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装置及电源输出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6936B2 (en) * 2001-03-01 2005-08-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functional charger system and method
CN100410910C (zh) * 2004-09-27 2008-08-13 新科电子集团有限公司 采用通用串行总线的数据传输及控制系统以及相应的方法
US8473758B2 (en) * 2007-04-30 2013-06-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O port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055919B2 (en) * 2009-02-06 2011-11-08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Port power controller for USB hubs with legacy battery charge sup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05B1 (ko) * 2012-04-27 2014-03-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제어 컴퓨터에 탑재된 모니터 소프트웨어의 작동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065688A1 (ko) * 2020-09-25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51835B2 (en) 2014-06-10
US20120042185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4801A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213399B2 (en) BIOS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port power
JP3974510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04396B2 (en) Electronic apparatus, charging control devic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US20130154551A1 (en) Charging port
US113923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tilizing storage space thereof
US20150046727A1 (en) Feed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9880610B2 (en) Power supplying method, power supply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101805879B1 (ko) Mpsc의 제어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장치 및 방법
US200903003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30763A (ko) 계층적 전력 제어 회로,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SoC 장치
KR101729511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300863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oot control method
EP38897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28435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037074A1 (en) Power control for serial bus peripheral device
EP2418560A2 (en) Compute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JP60646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20150123875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JP6838123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US111633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6797991B1 (ja) 電子機器、及び稼働情報の出力方法
JP2017117093A (ja) 電子システム、端末装置、機能拡張装置、電源管理装置及び電源管理プログラム
US114810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6243997A (zh) 芯片系统及其启动方法、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