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736A -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736A
KR20150007736A KR1020130082135A KR20130082135A KR20150007736A KR 20150007736 A KR20150007736 A KR 20150007736A KR 1020130082135 A KR1020130082135 A KR 1020130082135A KR 20130082135 A KR20130082135 A KR 20130082135A KR 20150007736 A KR20150007736 A KR 2015000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roud
axial direction
suc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376B1 (ko
Inventor
최우주
정춘면
임동균
양태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376B1/ko
Priority to US14/329,469 priority patent/US9951781B2/en
Priority to EP14176707.9A priority patent/EP2824401B1/en
Priority to CN201410333986.4A priority patent/CN104279193A/zh
Publication of KR2015000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1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uc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 송풍기는, 팬 모터와; 상기 팬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일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은,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에 형성된 주판(主板)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구된 흡입개구를 가지고, 상기 주판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으로 상기 주판에 대향 배치되어 메인(main) 기체 유동의 경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shroud)와; 상기 주판과 상기 슈라우드의 사이에 상기 흡입개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벨마우스는, 상기 슈라우드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에 상기 슈라우드와 대향 배치되고,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흡입개구와 기설정된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개구를 통하여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며, 상기 후방부의 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는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기 원심 송풍기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심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킨 원심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된 본체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기를 통과시켜서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송풍기에 사용되는 원심 팬은 고효율이며, 저소음이어서 공기 조화기에 다용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업무용의 분야에서 천정 매입형 공기 조화기가 많이 이용되고, 가정용의 분야에서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어느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나, 소형화를 위해서 원심 팬의 취출(吹出)측에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구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팬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팬모터 인접한 허브에 방열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열공은 공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와 마찰을 발생시키셔, 원심 팬의 소음과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압력이 낮고, 풍량이 많은 경우, 원심 팬과 벨마우스 사이에 공간에서 발생하는 난기류에 의해 고주파 영역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심 팬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원심 송풍기 및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 송풍기는, 팬 모터와; 상기 팬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일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은,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에 형성된 주판(主板)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구된 흡입개구를 가지고, 상기 주판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으로 상기 주판에 대향 배치되어 메인(main) 기체 유동의 경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shroud)와; 상기 주판과 상기 슈라우드의 사이에 상기 흡입개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벨마우스는, 상기 슈라우드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에 상기 슈라우드와 대향 배치되고,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흡입개구와 기설정된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개구를 통하여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며, 상기 후방부의 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는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기 원심 송풍기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외 열교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실시예의 돌출부와 오목부는 압력이 낮고, 풍량이 많은 경우 원심 팬의 슈라우드와 벨마우스의 후방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는 일반적은 벨마우스를 사용한 원심 송풍기와 비교하더라도 성능 및 효율의 저하가 없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는 방열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모터 방열 유동(B)의 방향을 메인 기체 유동(A)의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전환시켜서,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의 충돌이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의 충돌이 감소하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은 서로 방해받지 않으므로,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증가된 메인 기체 유동(A)은 열교환기(14)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고, 공기 조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증가된 모터 방열 유동(B)은 팬 모터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실시예는 X 링크가 도어 패널을 승강시킴과 아울러 도어 패널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어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X 링크 회절기구가 흡입 패널의 상면에 설치되어 흡입 패널이 X 링크 회절기구를 가리므로, 도어 패널 하강시 외관이 간결해보이고, X 링크 회절기구가 실내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X 링크의 상부가 직선 이동되므로, 흡입 패널 상측의 공간 활용도가 높고 X 링크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 X 링크에 의한 도어 패널의 승강 폭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와 원심 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의 단면도,
도 9는 도 5의 벨마우스의 A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오목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를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과 도어 패널을 함께 회전시켰을 때의 단면도,
도 1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 및 도어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1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하강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
도 1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상승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단면도,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비교예의 소음측정치를 비교 실험한 자료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 비교예의 효율 및 성능을 비교 실험한 자료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과 그 하부에 배치된 천장 마감재(2)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설치된 송풍기(12)와, 본체(10) 내부의 송풍기(12) 주위에 설치된 열교환기(14)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205)를 가지는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체이고 저면이 개방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기(12) 와,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4)가 배치된다.
열교환기(14)는 외부의 실외기에서 냉각된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장소이다. 열교환기(14)는 배관에 의해 실외기에 연결되어 있고, 열교환기(14)의 내부에는 배관 내부의 냉매가 실내 공기와 효율적으로 열교환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1개의 공기 흡입구와 1개의 공기 토출구를 갖는 1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1개의 공기 흡입구와 4개의 공기 토출구를 갖는 4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1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송풍기(12)와 열교환기(14)는 본체 내부에 좌우 혹은 전후 배치되고, 4way 공기 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열교환기(14)가 송풍기(12)의 둘레 주변에 송풍기(12)를 둘러싸듯이 배치된다. 이하, 4way 공기 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송풍기(12)는 하측의 공기를 흡인하여 둘레로 송풍하는 원심 송풍기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상판부에 회전축(151)이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팬 모터(15)와, 팬 모터(15)의 회전축(151)에 연결된 원심 팬(16)을 포함한다. 원심 팬(16)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열교환기(14)는 송풍기(12)의 둘레를 둘러싸는 전,후,좌,우측부로 이루어진다.
본체(2)의 하부에는 천장 마감재(2)에 형성된 본체 설치홀을 덮고 공기 조화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는 송풍기(12)의 하측에 실내 공기가 본체(2)로 흡입되게 개구된 공기 흡입구(205)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205)의 주변인 공기 흡입구(205)의 전,후,좌,우측에 공기 토출구(112)가 각각 이격 형성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는 공기 흡입구(205)와 공기 토출구(112)가 함께 형성된 하나의 흡/토출 패널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 토출구(112)가 형성된 토출 패널(110)과 공기 흡입구(205)가 형성된 흡입 패널(20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흡입구(205)의 위치는 송풍기(12)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심 팬(16)의 회전축(151)과 공기 흡입구(205)의 중심이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205)는 원심 팬(16) 보다 축방향의 전방(F)(도 3기준으로 아래)에 위치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는 공기 흡입구(205)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210)이 배치된다. 정화유닛(210)은 공기 흡입구(205)의 상측에 위치되게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 올려져 설치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는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이 별도로 구성됨과 아울러 흡입 패널(200)이 토출 패널(110)에 착탈될 경우,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 전체를 본체(10)에서 분리하지 않고 흡입 패널(200)만을 토출 패널(110)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정화유닛(210)과 후술하는 승강기구(230)를 편리하게 서비스할 수 있고, 이하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이 별도로 구성됨과 아울러 흡입 패널(200)이 토출 패널(110)에 착탈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는 공기 토출구(112)를 개폐하고 공기 토출구(112)의 개방시 공기 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토출 베인(115)과, 토출베인(115)을 회전 동작시키는 토출베인 구동기구(미도시)가 배치된다.
토출 베인(115)은 공기 토출구(112) 각각에 회전되게 위치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하나의 토출베인 혹은 복수개의 토출베인(115)을 회전동작시킨다.
그리고,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는 공기 흡입구(205)를 가리는 도어 패널(300)이 배치된다.
도어 패널(300)은 하강시 흡입 패널(200)과 이격되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이고, 상승시 흡입 패널(200)을 덮어 흡입 패널(200)과 도어 패널(300)의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게 막는 커버로서, 그 높이에 상관없이 실내에서 공기 흡입구(205)가 잘 보이지 않게 가리는 일종의 가리개로 기능한다.
도어 패널(300)은 공기 흡입구(205)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공기 흡입구(205) 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어 패널(300)은 상승시 흡입 패널(200) 전체를 가리면서 흡입 패널(200)을 덮도록 흡입 패널(200)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토출 패널(100)은 공기 조화기의 저면 일부 외관을 형성하고, 도어 패널(300)은 공기 조화기의 저면 나머지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 패널(300)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게 하강되고, 공기 조화기의 정지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와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 저면에 접하는 높이에 위치되게 상승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와 도어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어 패널(300)이 하강되어 공기 흡입 유로(P)를 형성하거나 도어 패널(300)이 상승되어 흡입 패널(200)을 차폐하게 도어 패널(30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230)가 배치되고, 승강기구(23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벨마우스(17)는 송풍기(12)로 흡입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의 공기 흡입구(205)에 위치된다. 벨마우스(17)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와 원심 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단면도이다.
송풍기(12)는 원심 팬(16)과 벨마우스(17)와, 팬 모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원심 팬(16)은 허브(161)와, 연장판(163)과, 주판(162)과, 슈라우드(164)와, 복수의 날개(165)를 포함한다. 즉, 원심 팬(16)은 팬 모터(15)의 회전축(151)에 고정되는 허브(161)와, 허브(161)의 외주에서 축방향의 후방(R)으로 연장되어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판(163)과, 연장판(163)의 외주에 형성된 주판(162)(主板)과,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개구된 흡입개구(164a)를 가지고, 주판(162)에 대하여 축방향의 전방(F)측으로 주판(162)에 대향 배치되어 메인(main) 기체 유로(A)를 형성하는 슈라우드(164)(shroud)와, 주판(162)과 슈라우드(164)의 사이에 흡입개구(164a)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날개(165)를 포함한다.
허브(161)는, 팬 모터(15)의 회전축(151)에 고정된다. 허브(161)는 평면(축방향의 전방(F))에서 보았을 때,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허브(161)는 팬 모터(15)의 축방향 전방(F)에 고정된다. 또한, 허브(161)는 팬 모터(15)의 회전축(151)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연장판(163)은 허브(161)의 외주에서 축방향의 후방(R)으로 연장되어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연장판(163)은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의 크기가 축방향의 후방(R)으로 진행할 수록 커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연장판(163)에 의해 형성되는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의 외경이 축방향의 후방(R)으로 진행할수록 커지게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연장판(163)에 의해 형성되는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은 단면형상(도 6기준)은 축방향의 후방(R)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종 형상이고, 평면형상은 허브(161)를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형상이다.
연장판(163)은 허브(161)의 외주와 주판(162)의 내주를 연결하고,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메인 기체 유동(A)는 원심 팬(16)의 회전의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슈라우드(164)의 흡입개구(164a) 통해 원심 팬(16)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원심 팬(16)의 내부에서 흡입개구(164a)의 둘레방향(슈라우드(164)와 주판(162)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메인 기체 유동(A)는 축방향 전방(F)에서 축방향의 후방(R)으로 흡입되어, 회전축(151)에서 축방향 측방향으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 때, 연장판(163)은 메인 기체 유동(A)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연장판(163)은 경사가 형성되어서 메인 기체 유동(A)의 방향을 축방향에서 흡입개구(164a)의 둘레방향으로 부드럽게 전환하게 된다.
주판(162)은 연장판(163)의 외주에 형성된다. 물론, 허브(161), 연장판(163) 및 주판(16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판(162)은 날개(165)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슈라우드(164)는 주판(162)에 대하여 축방향의 전방(F)측으로 주판(162)에 대향 배치되어 메인 기체 유동(A)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슈라우드(164)는 메인 기체 유동(A)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슈라우드(164)는,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개구하는 흡입개구(164a)를 가진다. 슈라우드(164)의 외경은 축방향의 전방(F)측으로부터 후방(R)측을 향함에 따라 커진다.
여기서, 메인 기체 유동(A)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팬(16)의 회전의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슈라우드(164)의 흡입개구(164a) 통해 원심 팬(16)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원심 팬(16)의 내부에서 흡입개구(164a)의 둘레방향(슈라우드(164)와 주판(162)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메인 기체 유동(A)은 축방향 전방(F)에서 축방향의 후방(R)으로 흡입되어, 회전축(151)에서 축방향 측방향으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흡입개구(164a)의 축방향 전방(F)에는 벨마우스(17)와 공기 흡입구(205)가 배치된다. 공기 흡입구(205)와 벨마우스(17)는 실내공기를 흡입개구(164a)로 유도한다.
복수의 날개(165)는 주판(162)과 슈라우드(164)의 사이에 흡입개구(164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각 날개(165)의 전방(F)측의 단부는 슈라우드(164)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각 날개(165)의 후방(R)측의 단부는 주판(162)에 접합되어 있다. 각 날개(165)는, 허브(161)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후향)으로 경사진 후향 날개(165)이다. 즉, 복수의 날개(165)는 주판(162)과 슈라우드(164) 사이에서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날개(165)는 주판(162)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되어서, 원심 팬(16)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를 발생시킨다. 이 압력차는 상술한 메인 기체 유동(A)을 형성한다.
연장판(163)에는 방열공(166)과 방향전환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방열공(166)은 팬 모터(15)를 방열시키기 위해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주판(162)과 슈라우드(164) 사이로 모터 방열 유동(B)을 형성한다. 방열공(166)은 연장판(163)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열공(166)은 연장판(163)의 허브(161)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원심 팬(16)의 회전의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원심 팬(16)의 내부(슈라우드(164)와 주판(162) 사이의 공간)와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허브(161)와 연장판(163)의 후방(R)) 사이에는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공기의 압력차는 모터 방열 유동(B)을 유발한다.
모터 방열 유동(B)은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허브(161)와 연장판(163)의 후방(R))에서 방열공(166)을 통하여 원심 팬(16)의 내부(슈라우드(164)와 주판(162) 사이의 공간)로 형성된다.
이때, 축방향 전방(F)에서 축방향의 후방(R)으로 진행하는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은 서로 충돌하게 되고, 이 충돌은 원심 팬(16)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줄어들게 하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 충돌은 원심 팬(16)의 효율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방향전환부는 방열공(166)을 통해서 배출되는 모터 방열 유동(B)의 방향을 축방향의 후방(R)과 축방향의 측방 사이로 전환시킨다. 즉, 방향전환부는 방열공(166)에서 배출되는 모터 방열 유동(B)의 방향을 축방향의 후방(R)과 축방향의 측방(축방향의 후방(R)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사이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열공(166)을 통해서 배출되는 모터 방열 유동(B)의 방향을 메인 기체 유동(A)의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면,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의 충돌이 감소하게 된다.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의 충돌이 감소하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은 서로 방해 받지 않으므로, 메인 기체 유동(A)과 모터 방열 유동(B)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증가된 메인 기체 유동(A)은 열교환기(14)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고, 공기 조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증가된 모터 방열 유동(B)은 팬 모터(15)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방향전환부는 방열공(166)을 통해 배출되는 모터 방열 유동(B)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전환부는 일단이 연장판(163)에 연결되고, 타측은 연장판(163)에서 이격되며, 적어도 방열공(166)을 가리는 전환편(167)일 수 있다.
전환편(167)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판(163)의 축방향의 후방(R) 면에 연결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장판(163)의 축방향 전방(F)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환편(167)이 연장판(163)의 축방향의 후방(R) 면에 연결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환편(167)은 방열공(166)을 통해 배출되는 모터 방열 유동(B)의 방향이 축방향의 후방(R)과 축방향의 측방 사이로 향하도록 일단(167a)이 연장판(163)에 연결되고, 타단(167b)은 연장판(163)에서 이격되며, 적어도 방열공(166)을 가리게 형성된다.
전환편(167)은 방열공(166)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타단이 연장판(163)에서 이격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모터 방열 유동(B)은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방열공(166)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우회경로를 가지게 된다.
전환편(167)의 일단(167a)은 연장판(163)의 외주에 결합되고, 전환편(167)의 타단(167b)은 허브(161)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편(167)의 일단(167a)과 타단(167b)의 위치는 서로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전환편(167)의 일단(167a)은 방열공(166)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 방열 유동(B)은 팬 모터(15)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방열공(166)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전환편(167)을 우회하여 방열공(166)으로 배출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방열공(166)을 통해 배출되는 모터 방열 유동(B)의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전환편(167)에 의해 모터 방열 유동(B)에 공기 저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기저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전환편(167)의 타단(167b)의 경사는 연장판(163)의 경사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에서 완전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공학적 의미에서 오차를 포함하는 동일성 범주의 동일을 의미한다.
전환편(167)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전환편(167)은 팬 모터(15)의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환편(167)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167a)이 방열공(166)에 인접되는 연장판(163)에 결합하고, 타단(167b)은 연장판(163)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환편(167)은 방열공(166)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즉, 전환편(167)은 방열공(166)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편 형상이고, 방열공(166)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전환편(167)의 일단(167a)은 방열공(166)에 인접되는 연장판(163)에 결합하고, 전환편(167)의 타단(167b)은 연장판(163)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실시예의 원심 팬(16)은 도 6일 실시예와 비교하면, 전환편(167)의 위치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의 실시예에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기타 언급이 없는 구성은 도 6의 실시예에 동일하다.
전환편(167)은 연장판(163)의 축방향의 전방(F) 면에 연결된다. 전환편(167)의 일단(167a)은 허브(161)의 외주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전환편(167)의 타단(167b)은 연장판(163)의 외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환편(167)의 일단(167a)과 타단의 위치는 서로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전환편(167)의 일단(167a)은 방열공(166)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방열공(166)을 통과한 모터 방열 유동(B)은 전환편(167)에 의해 우회되어 축방향의 후방(R)과 축방향의 측방 사이로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전환편(167)에 의해 메인 기체 유동(A)에 공기 저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기저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전환편(167)의 타단(167b)의 경사는 연장판(163)의 경사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에서 완전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공학적 의미에서 오차를 포함하는 동일성 범주의 동일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의 단면도, 도 9는 도 5의 벨마우스의 A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벨마우스(17)는 원심 팬(16)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의 공기 흡입구(205)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벨마우스(17)는 공기 흡입구(205)를 통해서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심 팬(16)의 흡입개구(164a)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송풍기(12)의 회전축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17) 슈라우드(164)에 대하여 축방향의 전방(F)측에 슈라우드(164)와 대향 배치되고, 후방부(173)의 일부가 흡입개구(164a)와 기설정된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흡입개구(164a)를 통하여 슈라우드(164)에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 일부가 흡입개구(164a)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마우스(17)는 팬 모터(15)의 회전축(15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개구(175)가 내부에 형성되고, 개구(175)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원심 팬(16)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즉, 개구(175)는 팬 모터(15)의 회전축(15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심 팬(16)의 흡입개구(164a)와 대응되는 원 형상을 가지며, 원심 팬(16)의 흡입개구(164a)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벨마우스(17)는 내부에 개구(175)가 형성되는 링 형상이고, 축방향의 전방(F)에 위치하는 전방부(171)와 축방향의 후방(R)에 위치하는 후방부(173)로 구획될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벨마우스(17) 개구(175)의 외경은 전방부(171)에서 후방부(173)로 향함에 따라 작이지는 만곡형상을 가진다. 전방부(171)는 플랜지 형상으로 다른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부(173)는 원심 팬(16)의 흡입개구(164a) 보다 작은 외경을 가져서 흡입개구(164a)로 삽입될 수 있다.
개구(175)의 테두리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공기 안내면(176)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안내면(176)은 개구(175)의 외경이 축방향의 전방(F)으로부터 축방향의 후방(R)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벨마우스(17)의 외주부의 형상은 도 8과 같이 개구(175)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응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개구(175)의 테두리는 후방부(173)의 선단으로 형성된다. 즉, 후방부(173)의 단은 개구(175)의 테두리의 축방향의 후방(R)의 끝을 의미할 것이다.
또한, 외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해서, 벨마우스(17)와 원심 팬(16)은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고, 중심 축은 팬 모터(15)의 회전 축인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벨마우스(17)와 원심 팬(16)은 팬 모터(15)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으로 형성되고, 수직적(축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부(173)의 단에 복수의 돌출부(177)와, 돌출부(177) 사이에 복수의 오목부(178)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77)와 오목부(178)는 압력이 낮고, 풍량이 많은 경우 원심 팬(16)의 슈라우드(164)와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 사이에서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돌출부(177)는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에서 축방향의 후방(R) 으로 오목부(178)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오목부(178)는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에서 축방향의 전방(F)으로 돌출부(177)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돌출부(177)와 오목부(178)는 축방향의 후방(R)에서 보았을 때,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의 형상을 따라 링 형상을 이루며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77)와 오목부(178)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77)는 삼각형, 사각형 및 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오목부(178)는 삼각형, 사각형 및 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돌출부(177)와 오목부(178)의 형상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대칭을 이룰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77)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면(179)을 포함하고, 경사면(179)들 사이의 폭은 축방향의 전방(F)에서 축방향의 후방(R)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즉, 돌출부(177)는 사다리꼴 또는 극단적으로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77)와 오목부(178)는 슈라우드(164)에 삽입된다. 즉,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가 너무 깊이 슈라우드(164)에 삽입되면 원심 팬(16)에 의해 유입 유동이 감소하게 되고,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가 슈라우드(164)에 삽입되지 않으면, 원심 팬(16) 내부로 흐르는 공기가 유출되어 압력과 풍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 중 적어도 돌출부(177)와 오목부(178)가 슈라우드(164)에 삽입되면 압력과 풍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77)의 평균 높이의 2배 내지 4배로 깊이로 벨마우스(17)가 슈라우드(16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돌출부(177)와 오목부(178)는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돌출부(177)는 서로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면, 벨마우스(17)의 높이(D)와 돌출부(177)의 높이(H)는 하기 관계식 (1) 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01
돌출부(177)의 높이(H)가 벨마우스(17)의 높이(D) 대비 너무 크면, 돌출부(177) 사이의 공간(오목부(178))으로 흡입 공기가 유출되어서 압력과 풍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돌출부(177)의 높이(H)가 벨마우스(17)의 높이(D) 대비 너무 작으면, 고주파 영역에서의 소음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벨마우스(17)의 높이(D)와 돌출부(177)의 아랫변(S)(돌출부(177)의 폭)은 하기 관계식 (2) 를 만족한다.
Figure pat00002
이는, 돌출부(177)의 아랫변(S)(돌출부(177)의 폭)의 길이가 벨마우스(17)의 높이(D)에 비하여 너무 큰 경우,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 단에 형성되는 돌출부(177)와 오목부(178)의 개수가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지 못하고, 돌출부(177)의 아랫변(S)(돌출부(177)의 폭)의 길이가 벨마우스(17)의 높이(D)에 비하여 너무 작은 경우,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 단에 형성되는 돌출부(177)와 오목부(178)의 개수가 현저히 많아지게 되어서, 벨마우스(17)의 후방부(173) 단이 직선이 가까워지게 되므로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돌출부(177)의 아랫변(S)과 돌출부(177)의 윗변(L)은 하기 관계식 (3) 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03
즉, 돌출부(177)는 극단적으로 사각형에서 사다리꼴을 거쳐 삼각형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인접한 돌출부(177) 사이의 이격거리(P)는 돌출부(177)의 아랫변(S)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77)와 오목부(178)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벨마우스(17)에 형성된 돌출부(177)와 오목부(178)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77) 삼각, 사각,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오목부(178)는 돌출부(177)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를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토출 패널(110)은 그 중간 부분에 흡입 패널(200)이 배치되는 오프닝(105)이 형성되고, 오프닝(105)의 주변 전,후,좌,우측에 공기 토출구(112)가 각각 이격 형성되되 오프닝(105)과 이격 형성된다.
흡입 패널(200)은 오프닝(105)의 내측에 위치되게 토출 패널(110)에 착탈된다.
흡입 패널(200)은 공기 흡입구(205)가 중앙 부분에 상하로 개구된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정화 유닛(210)이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설치되는 정화 필터 설치부(215)가 형성된다. 즉, 흡입 패널(200)은 정화 유닛(210)이 설치되는 설치 장소를 제공하는 일종의 정화 유닛 케이스로 기능한다.
흡입 패널(200)은 공기 흡입구(205)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정사각형 또는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 패널(200)은 공기 흡입구(205)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가운데로 집중되어 하여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공기 흡입구(205)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보다 큰 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공기의 신속한 흡입이 가능해진다.
다시, 설명하면,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는 공기 흡입구(205)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흡입구(205)는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가 흡입 패널(200)과 토출 패널(110)로 이루어지는 경우, 흡입 패널(200)과 토출 패널(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경우,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공기 흡입구(205)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과 도어 패널을 함께 회전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흡입 패널(200)은 토출 패널(110)에 대하여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오프닝(105)를 개폐할 수 있다.
흡입 패널(200)은 일단이 오프닝(105)의 일측에 힌지(220)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오프닝(105)의 타측에 착탈부(224)에 의해 착탈된다.
힌지(220)는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힌지축(221)과,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 중 다른 하나에 힌지축이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 지지부(222)로 이루어진다.
착탈부(224)는 토출 패널(100)과 흡입 패널(200)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되게 배치된 슬라이더(225)와, 토출 패널(100)과 흡입 패널(200) 중 다른 하나에 슬라이더(225)가 삽입되어 걸리게 형성된 슬라이더 걸이부(226)로 이루어진다.
흡입 패널(200)은 슬라이더(225)를 이동시켜 슬라이더(225)를 슬라이더 걸이부(226)에서 걸림 해제시킨 후 힌지축(221)이 힌지축 지지부(222)에 건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되면 도어 패널(300) 및 정화유닛(210)과 함께 하측으로 회전되고, 이때 흡입 패널(200) 및 도어 패널(300)와 정화유닛(210)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오프닝(105)는 개방된다.
반대로, 흡입 패널(200)을 힌지축(221)이 힌지축 지지부(222)에 건 상태에서 수평하게 회전시키고, 슬라이더(225)를 슬라이더 걸이부(226)로 삽입되면 흡입 패널(200)은 도어 패널(300)와 함께 오프닝(105)를 차폐한다.
즉, 흡입 패널(200)은 본체(10)의 내부를 서비스하여야 할 경우, 도어 패널(300)과 함께 힌지(2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오프닝(105)를 개방하고, 작업자는 토출 패널(110)을 분리/분해하지 않고서도 본체(10) 내부를 간편하게 서비스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흡입 패널(200)에 설치된 정화유닛(210)이나 승강기구(230) 등 서비스할 경우, 흡입 패널(200)을 도어 패널(300)과 함께 토출 패널(110)에서 분리하고, 작업자는 토출 패널(110)을 분리/분해하지 않고서도 정화유닛(210)이나 승강기구(230) 등을 간편하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 및 도어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1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하강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 도 1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상승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어 패널(300)은 하강되어 공기 흡입구(205)를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상승되어 공기 흡입구(205) 를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 패널(300)의 승강은 승강기구(2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승강기구(230)는 도어 패널(300)에 하부가 연결된 X 링크(232)와; 흡입 패널(200)에 설치되어 X 링크(232)를 회절시키는 X 링크 회절기구(240)를 포함한다.
승강기구(230)는 도어 패널(300)을 안정감있게 승강시키도록 X 링크(232)와 X 링크 회절기구(240)의 복수 셋트가 전후 혹은 좌우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설치된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흡입 패널(200)에 설치되어 X 링크(232)가
도어 패널(300)을 하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도어 패널(300)을 하강시키고 도어 패널(300)을 상측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것에 의해 도어 패널(300)을 상승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어 패널(300)측에 위치되어 X 링크(232)가 흡입 패널(200)을 밀어내는 반작용으로 도어 패널(300)을 하강시키고 X 링크(232)가 흡입 패널(200)을 끌어 당기는 반작용으로 도어 패널(300)을 상승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X 링크 회절기구(240)가 흡입 패널(200)에 설치된 예를 설명한다.
승강기구(230)는 하나의 X 링크 회절기구(240)가 하나의 X 링크(232)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X 링크 회절기구(240)가 복수개의 X 링크(232)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흡입 패널(200)에 올려져 설치될 경우, X 링크 회절기구(240)가 흡입 패널(200)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반면에 X 링크(232)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가 흡입 패널(200)에 형성되고, 흡입 패널(200)에 매달려지게 설치될 경우 X 링크(232)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가 흡입 패널(200)에 형성될 필요가 없으나 X 링크 회절기구(240)가 공기 흡입 통로(P)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원활한 흡입을 방해할 수 있게 되고, 이하 X 링크 회절기구(240)는 흡입 패널(200)의 상면에 올려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흡입 패널(200)에는 X 링크(232)가 도어 패널(300)과 연결되기 위해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262)가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X 링크(232)는 제 1 링크(233)와, 제 1 링크(23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234)를 포함한다.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는 상단이 흡입 패널(200) 상측에 위치되고, 하단이 도어 패널(300)의 상면에 위치되며, 링크 관통부(262)를 관통한다.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는 대략 중앙부가 힌지축(235)으로 회전되게 연결된다.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는 둘 모두의 상부에 X 링크 회절기구(240)가 연결되고 X 링크 회절기구(240)의 구동력이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모두로 전달되어 X 링크(232)가 회절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만 X 링크 회절기구(240)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상부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X 링크 회절기구(240)가 연결된 링크가 구동 링크로 기능하고 X 링크 회절기구(240)가 연결되지 않은 링크가 종동 링크로 기능하면서 X 링크(232)가 회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X 링크 회절기구(240)는 X 링크(232)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233)(234)에 연결된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X 링크(232)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233)(234)의 상부를 수평하게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기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X 링크(232)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233)(234)의 상부를 곡선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기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직선 이동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X 링크(232)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233)(234)의 상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나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고, 이하 액츄에이터로 설명한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제 1 링크(233)의 상부를 수평하게 직선 이동시키는 제 1 액츄에이터와, 제 2 링크(234)의 상부를 수평하게 직선 이동시키는 제 2 액츄에이터로 이루어 질 경우 제 1 액츄에이터와 제 2 액츄에이터가 제 1 링크(233)의 상부와 제 2 링크(234)의 상부를 서로 가까워지게 수평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X 링크(232)를 펼치고 제 1 액츄에이터와 제 2 액츄에이터가 제 1 링크(233)의 상부와 제 2 링크(234)의 상부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X 링크(232)를 접는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의 상부에 연결된 하나의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질 경우,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의 상부를 다른 링크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X 링크(232)를 펼치고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의 상부를 다른 링크의 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X 링크(232)를 접는다.
이하, X 링크 회절기구(240)는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구동부(242)와, 구동부에 연결되어 진퇴 동작되는 로드(244)를 포함하고, 로드(244)는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에 회전되게 연결된다.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어느 하나와 로드(244) 중 하나에는 힌지축(236)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힌지축(236)이 회전되게 연결된 회전축(151) 연결부(237)가 형성된다.
승강 기구(230)는 X 링크(232)의 각 링크(233)(234)를 연결하는 스프링(270)를 더 포함한다.
즉,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가 스프링(270)으로 연결된다.
스프링(270)은 X 링크(232)가 접혀 졌을때 펼쳐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X 링크(232)가 펼쳐 졌을때 접혀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270)은 도어 패널(300)의 하강 속도가 도어 패널(300)의 상승 속도 보다 빠르게 하고자 할 경우 X 링크(232)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게 설치되고, 반대로 도어 패널(300)의 상승 속도가 도어 패널(300)의 하강 속도 보다 빠르게 하고자 할 경우 접혀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게 설치된다.
한편, 도어 패널(300)은 하강시킬 때 보다 상승시킬 때 큰 힘이 필요하므로, 스프링(270)은 접혀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270)은 일단이 제 1 링크(23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링크(234)에 연결된 코일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에 일단 연결부(272)가 형성되며, 타단에 타단 연결부(274)가 형성된다.
X 링크(232)는 제 1 링크(233)에 스프링(270)의 일단 연결부(272)가 걸어져서 고정되는 일단 고정부(232A)가 고리 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제 2 링크(233)에 스프링(270)의 타단 연결부(274)가 걸어져서 고정되는 타단 고정부(232B)가 고리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어 패널(3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1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10)는 하부가 도어 패널(300)에 후크 등의 걸이부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흡입 패널(200)에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며 도어 패널(300)의 승강시 흡입 패널(200)에 안내된다.
흡입 패널(200)은 가이드부재(310)가 관통되면서 안내되는 가이드부재 관통홀(280)이 형성된다.
도어 패널(300)은 가벼울수록 승강기구(230) 특히 모터(240)의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최대한 가볍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관을 형성하고 견고한 재질의 하측 부재(330)와 실내 공기를 안내하고 하측 부재(330)보다 경량의 상측 부재(34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측 부재(330)는 실내에서 볼 때 보이는 일종의 외관부재로서, 고급화가 가능한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보다 경량인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측 부재(340)는 실내에서 공기 흡입구(205)로 흡입되는 공기가 안내되는 에어 가이드로서, 통상적인 플라스틱 보다 경량 재질인 발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내 공기의 흡입 안내가 잘 이루어지도록 상면이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 패널(300)는 하측 부재(330)가 평판체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측 부재(330)가 하측 부재(330)의 상측에 올려질 경우, 공기 조화기의 하측 옆에서 상측부재(340)가 일부 보일 수 있고, 미관의 고급화를 위해 하측 부재(330)가 도어 패널(300)의 둘레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패널(300)은 하측 부재(330)가 하판부(332)와, 하판부(332)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사각 띠 형상의 리브(334)를 포함하고, 상측부재(340)가 리브(334)의 내측에 위치된다.
한편, 도어 패널(300)은 가이드부재(310)가 체결되므로, 가이드부재(310)가 체결되는 가이드 부재 체결부(336)가 하측 부재(330)의 하판부(332) 상면에 돌출된다.
그리고, 도어 패널(300)은 상측부재(340)에 가이드부재(310)가 관통되는 가이드 부재 관통부(342)가 형성된다.
도어 패널(300)은 X 링크(232)가 슬라이딩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350)가 형성된다.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 하부에 돌출부(238)(239)가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딩 가이드(350)에는 돌출부(238)(239)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352)(354)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52)(354)은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52)(354)은 X 링크의 과펼침을 막는 스토퍼(353)(355)가 형성된다.
한편, 도어 패널(300)은 슬라이딩 가이드(350)가 하측 부재(330)과 상측 부재(340) 중 하측 부재(3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측 부재(330)에는 X 링크(232)의 각 링크(233)(234)가 슬라이딩 가이드(3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이드(350)와 링크(233)(234)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24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 승강기구(230)의 액츄에이터(240)가 도어 열림 모드로 구동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토출 베인(115)이 공기 토출구(112)를 개방시키게 구동되며, 송풍기(12)의 팬 모터(15)는 구동된다.
승강기구(230)의 액츄에이터(240)가 도어 열림모드로 구동되면, 액츄에이터(2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44)가 연결된 링크의 상부를 X 링크(232)의 타 링크 상부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직선 이동시키고,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의 하부가 도어 패널(300)의 슬라이딩 가이드(350)에 안내되면서 서로 가까워지며, 이때,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는 상부의 간격과 하부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펼쳐진다.
상기와 같은 X 링크(232)의 펼침시 X 링크(232)는 도어 패널(300)을 하측으로 밀어내고, 도어 패널(300)은 X 링크(232)가 하측으로 밀어내는 힘과 도어 패널(300) 자체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며, 이때 가이드부재(310)가 흡입 패널(200)에 안내되면서 안정감있게 하강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패널(300)의 하강시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P)가 형성된다.
송풍기(12)의 모터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공기 흡입 통로(P)를 통해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로 흡입되고, 이후 흡입 패널(200)의 공기 흡입구(205)를 통과해 그 상측으로 유동된다.
공기 흡입구(205)를 통과한 공기는 정화유닛(21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송풍기(12)로 흡입되고, 이후 열교환기(14)에서 열교환된 후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112)를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의 정지시, 승강기구(230)의 액츄에이터(240)가 도어 닫힘 모드로 구동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토출 베인(115)이 공기 토출구(112)를 차폐시키게 구동되며, 송풍기(12)의 팬 모터(15)는 정지된다.
승강기구(230)의 액츄에이터(240)가 도어 닫힘 모드로 구동되면, 액츄에이터(2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44)가 연결된 링크의 상부를 X 링크(232)의 타 링크 상부가 위치하는 반대 방향을 향해 직선 이동시키고,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의 하부가 도어 패널(300)의 슬라이딩 가이드(350)에 안내되면서 서로 멀어지며, 이때,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는 상부의 간격과 하부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접혀진다.
X 링크(232)의 접힘시 X 링크(232)는 도어 패널(300)을 상측으로 끌어당기고, 도어 패널(300)은 가이드부재(310)가 흡입 패널(200)에 안내되면서 상승되어 공기 흡입 통로(P)가 점차 좁혀지며, 도어 패널(300)은 최대한 올려지는 위치 즉, 외부에서 흡입 패널(200)과 도어 패널(300) 사이의 틈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이른다.
상기와 같은 도어 패널(300)의 상승시, 스프링(270)은 X 링크(232)의 각 링크(233)(234) 상부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면서, X 링크(232)의 접힘 즉, 도어 패널(300)의 상승을 돕고, 도어 패널(300)은 액츄에이터의 소비전력이 최소화되거나 소용량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 조화기는 도어 패널(300)의 상승시 도어 패널(300)이 공기 조화기의 저면 중앙 외관을 형성하고, 토출 패널(110)이 그 주변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단면도,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링크 회절기구(240')가 흡입 패널(200)에 설치되고 회전축(151)을 갖는 모터(242′)와, 모터(242)의 회전축(151)에 설치된 구동 기어(244′)와, X 링크(232)의 각 링크(233)(23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구동 기어(244′)가 치합된 종동 기어(246′)를 포함하고, X 링크 회절기구(24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X 링크 회절기구(240')는 X 링크(232)의 각 링크(233)(234) 중 하나의 상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로서,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제 1 링크(233)의 상부를 회전시키는 제 1 회전기구와 제 2 링크(234)의 상부를 회전시키는 제 2 회전기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에 연결된 하나의 회전기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에 연결된 하나의 회전기구로 설명한다.
종동 기어(246′)는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의 측면에 회전되게 연결된다.
제 1 링크(233)와 제 2 링크(234) 중 하나와 종동 기어(246′) 중 하나에는 힌지축(248′)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힌지축(248)이 회전되게 연결된 회전축(151) 연결부(250′)가 형성된다.
종동 기어(246′)는 구동기어(244′)의 회전시 구동기어(246′)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되고 종동 기어(246′)가 설치된 링크의 상부를 회전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X 링크(232)의 각 링크(233)(234) 중 X 링크 회절기구(240')가 연결되지 않는 링크의 상부를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290)와, 도어 패널(30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320)를 더 포함한다.
회전 가이드(290)는 X 링크 회절기구(240')가 연결되지 않는 링크와 흡입 패널(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292)와, X 링크 회절기구(240')가 연결되지 않는 링크와 흡입 패널(300) 중 다른 하나에 돌출부(292)가 원형의 궤적으로 안내되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294)을 포함한다.
스토퍼(320)는 도어 패널(300)의 최대 하강시 흡입 패널(200)에 하향으로 걸리게 가이드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 X 링크 회절기구(240')의 모터(242′)가 도어 열림 모드로 구동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토출 베인(115)이 공기 토출구(112)를 개방시키게 구동되며, 송풍기(12)의 팬 모터(15)는 구동된다.
X 링크 회절기구(240')의 모터(242′)가 도어 열림모드로 구동되면, 모터(24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1)에 연결된 구동기어(244′)를 회전시키고, X 링크(232)에 회전되게 설치된 종동기어(246′)는 구동기어(244′)를 따라 회전되면서 구동기어(244′) 외측의 원형 궤적을 따라 올라가고, 이때,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는 상부의 간격과 하부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펼쳐진다.
상기와 같은 X 링크(232)의 펼침시 X 링크(232)는 도어 패널(300)을 하측으로 밀어내고, 도어 패널(300)은 X 링크(232)가 하측으로 밀어내는 힘과 도어 패널(300) 자체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며, 이때 가이드부재(320)가 흡입 패널(200)에 안내되면서 안정감있게 하강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패널(300)의 하강시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P)가 형성된다.
송풍기(12)의 모터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공기 흡입 통로(P)를 통해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로 흡입되고, 이후 흡입 패널(200)의 공기 흡입구(205)를 통과해 그 상측으로 유동된다.
공기 흡입구(205)를 통과한 공기는 정화유닛(21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송풍기(12)로 흡입되고, 이후 열교환기(14)에서 열교환된 후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112)를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의 정지시, X 링크 회절기구(240')의 모터(242′)가 도어 닫힘 모드로 구동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토출 베인(115)이 공기 토출구(112)를 개방시키게 구동되며, 송풍기(12)의 팬 모터(15)는 정지된다.
X 링크 회절기구(240')의 모터(242′)가 도어 닫힘모드로 구동되면, 모터(24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1)에 연결된 구동기어(244′)를 도어 패널(300) 열림시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고, X 링크(232)에 회전되게 설치된 종동기어(246′)는 구동기어(244′)를 따라 회전되면서 구동기어(244′) 외측의 원형 궤적을 따라 내려가고, 이때, X 링크(232)는 각 링크(233)(234)는 상부의 간격과 하부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접혀진다.
상기와 같은 X 링크(232)의 접힘시 X 링크(232)는 도어 패널(300)을 상측으로 끌어당기고, 도어 패널(300)은 가이드부재(320)가 흡입 패널(200)에 안내되면서 상승되어 공기 흡입 통로(P)가 점차 좁혀지며, 도어 패널(300)은 최대한 올려지는 위치 즉, 외부에서 흡입 패널(200)과 도어 패널(300) 사이의 틈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이른다.
도 19는 본 발명과 비교예의 소음측정치를 비교 실험한 자료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실시예와 돌출부와 오목부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에의 소음 스펙트럼이다.
도 1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특히, 고주파 영역(3000Hz - 5500Hz)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과 비교예의 효율 및 성능을 비교 실험한 자료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실시예와 돌출부와 오목부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에의 성능 및 효율 비교 그래프이다. 실시예와 비교예는 동일 원심 팬을 적용하여 동일 RPM에서 성능 및 효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에와 실시예의 성능(정압)과 효율을 거의 유사하게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실시예는 성능과 효율을 유지하면서, 원심 팬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의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벨마우스(17A)는 도 8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소음저감윙(172A)을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소음저감윙(172A)은 벨마우스(17A)의 외주면에 적어도 후방부(173)와 흡입개구(164a) 사이의 간극을 차폐한다.
소음저감윙(172A)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후방부(173)와 흡입개구(164a) 사이의 간극을 차폐한다. 소음저감윙(172A)는 마우스(17A)의 외부에 후방부(173)와 흡입개구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제한하여서,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음저감윙(172A)은 후방부(173)와 흡입개구(164a) 사이의 간극 보다 축방향의 전방(F)에 위치하고, 후방부(173)와 흡입개구(164a) 사이의 간극 보다 큰 높이를 가지도록 벨마우스(17A)의 외주면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소음저감윙(172A)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봤을 때, 후방부(173)와 흡입개구 사이의 간극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고, 후방부(173)와 흡입개구 사이의 간극의 면적 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소음저감윙(172A)의 높이는 벨마우스(17A)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소음저감윙(172A)은 슈라우드에서 축방향의 전방(F)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벨마우스(17A)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저감윙(172A)은 슈라우드(164)와 이격되어서 원심팬의 회전 시에 슈라우드(164)와 소음저감윙(172A)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소음저감윙(172A)의 재질은 벨마우스(17A)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도 있고, 흡음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면, 우레탄,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팬 모터와;
    상기 팬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일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은,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에 형성된 주판(主板)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구된 흡입개구를 가지고, 상기 주판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으로 상기 주판에 대향 배치되어 메인(main) 기체 유동의 경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shroud)와;
    상기 주판과 상기 슈라우드의 사이에 상기 흡입개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벨마우스는,
    상기 슈라우드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에 상기 슈라우드와 대향 배치되고,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흡입개구와 기설정된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개구를 통하여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며,
    상기 후방부의 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는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공기 안내면을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면은,
    상기 개구의 외경이 상기 축방향의 전방(F)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의 후방(R)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만곡 형상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와 상기 원심팬은 중심축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의 단은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원심 송풍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들 사이의 폭은 상기 축방향의 전방(F)에서 상기 축방향의 후방(R)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높이(D)와 상기 돌출부의 높이(H)는 하기 관계식 (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Figure pat00004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높이(D)와 상기 돌출부의 아랫변(S)(돌출부의 폭)은 하기 관계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Figure pat00005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아랫변(S)과 상기 돌출부의 윗변(L)은 하기 관계식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Figure pat00006
  13. 제2에 있어서,
    상기 원심팬은
    상기 허브와 상기 주판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팬 모터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판은,
    상기 팬 모터를 방열시키기 위해 상기 팬 모터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상기 주판과 슈라우드 사이로 모터 방열 유동을 형성하는 방열공과;
    상기 방열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기 모터 방열 유동의 방향을 상기 축방향의 후방(R)과 상기 축방향의 측방 사이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외주면에 적어도 상기 후방부와 상기 흡입개구 사이의 간극을 차폐하는 소음저감윙을 더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윙은,
    상기 후방부와 상기 흡입개구 사이의 간극 보다 상기 축방향의 전방(F)에 위치하고, 상기 슈라우드와 이격되는 원심 송풍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윙은,
    상기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을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
  17.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원심 송풍기와;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원심 송풍기 주위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 내부를 흡입영역과 토출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원심 송풍기의 아래에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를 가지는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송풍기는,
    팬 모터와;
    상기 팬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일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팬은,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에 형성된 주판(主板)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구된 흡입개구를 가지고, 상기 주판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으로 상기 주판에 대향 배치되어 메인(main) 기체 유동의 경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shroud)와;
    상기 주판과 상기 슈라우드의 사이에 상기 흡입개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벨마우스는,
    상기 슈라우드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전방(F)측에 상기 슈라우드와 대향 배치되고,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흡입개구와 기설정된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개구를 통하여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며,
    상기 후방부의 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는 상기 슈라우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가리는 도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패널은 하강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상승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높이(D)와 상기 돌출부의 높이(H)는 하기 관계식 (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Figure pat00007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의 높이(D)와 상기 돌출부의 아랫변(S)(돌출부의 폭)은 하기 관계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Figure pat00008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아랫변(S)과 상기 돌출부의 윗변(L)은 하기 관계식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Figure pat00009
KR1020130082135A 2013-07-12 2013-07-12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19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135A KR102199376B1 (ko) 2013-07-12 2013-07-12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14/329,469 US9951781B2 (en) 2013-07-12 2014-07-11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EP14176707.9A EP2824401B1 (en) 2013-07-12 2014-07-11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CN201410333986.4A CN104279193A (zh) 2013-07-12 2014-07-14 离心式鼓风机以及使用该离心式鼓风机的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135A KR102199376B1 (ko) 2013-07-12 2013-07-12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36A true KR20150007736A (ko) 2015-01-21
KR102199376B1 KR102199376B1 (ko) 2021-01-06

Family

ID=5121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135A KR102199376B1 (ko) 2013-07-12 2013-07-12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51781B2 (ko)
EP (1) EP2824401B1 (ko)
KR (1) KR102199376B1 (ko)
CN (1) CN10427919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607B1 (ko) * 2015-08-20 2016-06-27 이동철 냉난방기류 확산팬
KR101861104B1 (ko) * 2017-09-28 2018-06-29 (주)센도리 승하강식 공기순환기
KR102218578B1 (ko) * 2020-12-28 2021-02-22 주식회사 라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KR102515148B1 (ko) * 2021-09-28 2023-03-29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용 하우징
KR20230045426A (ko) * 2021-09-28 2023-04-04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7079B (zh) * 2014-08-29 2018-04-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壁挂式空调器
CN104763684B (zh) * 2015-03-17 2017-06-06 合肥工业大学 一种为提高效率并降低噪声的风机导流罩
CN104896582B (zh) * 2015-05-08 2017-10-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6468459B (zh) 2015-08-11 2019-07-05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
KR101881907B1 (ko) 2015-10-2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6731732B2 (ja) * 2016-01-18 2020-07-2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送風機
US10100840B2 (en) * 2016-03-08 2018-10-16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Fan wheel structure
US10400780B2 (en) * 2016-03-08 2019-09-03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Structure of fan blades
US10480525B2 (en) * 2016-03-08 2019-11-19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Fan blade with improved structure
JP6671469B2 (ja) * 2016-05-20 2020-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遠心送風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6321510B (zh) * 2016-08-31 2020-03-06 泛仕达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后向离心叶轮
JP6745908B2 (ja) * 2016-12-19 2020-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EP3803129B1 (en) 2018-06-11 2024-03-27 Carrier Corporation Impeller-air intake interface for a centrifugal fan, and centrifugal fan therewith
CN109595196B (zh) * 2018-10-11 2020-07-28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离心式通风机叶轮的仿生型集流器的设计方法
DE102019210007A1 (de) * 2019-07-08 2021-01-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tikal start- und landefähiges Flugobjekt und Mantelkörper
KR20210112653A (ko) * 2020-03-05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D992106S1 (en) * 2020-11-30 2023-07-11 Ascent Holdings, Llc Flush ceiling fan shield
USD999900S1 (en) * 2021-03-10 2023-09-26 Ascent Holdings, Llc Recessed shield
SE2250816A1 (en) * 2022-06-30 2023-12-31 Swegon Operations Ab A centrifugal fan arrang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231A (ja) * 1999-02-05 2000-08-15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40104772A (ko) 2003-06-03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KR100550597B1 (ko) * 1998-11-14 2006-05-11 한라공조주식회사 다익송풍기
KR20100081845A (ko) *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20123440A (ko) 2010-02-10 2012-11-0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 송풍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694A (ja) 1996-11-07 1998-05-2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
JP3641088B2 (ja) 1996-11-22 2005-04-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ターボファン
JPH11101194A (ja) * 1997-09-30 1999-04-13 Daikin Ind Ltd 遠心送風機及び該遠心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AU2003284610B2 (en) 2002-12-16 2006-11-16 Daikin Industries, Ltd.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therewith
JPWO2004079270A1 (ja) 2003-03-04 2006-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7040617A (ja) 2005-08-03 2007-02-15 Hitachi Ltd 空調用室内機
CN101290147B (zh) 2007-04-18 2010-09-01 海尔集团公司 空调面板支撑装置
KR101195884B1 (ko) 2007-07-18 2012-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598626B1 (ko) * 2009-01-09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
JP2012211577A (ja) 2011-03-31 2012-11-01 Daikin Industries Ltd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202789746U (zh) * 2012-07-16 2013-03-1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导流圈及具有该导流圈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597B1 (ko) * 1998-11-14 2006-05-11 한라공조주식회사 다익송풍기
JP2000227231A (ja) * 1999-02-05 2000-08-15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40104772A (ko) 2003-06-03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KR20100081845A (ko) *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20123440A (ko) 2010-02-10 2012-11-0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 송풍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607B1 (ko) * 2015-08-20 2016-06-27 이동철 냉난방기류 확산팬
WO2017030389A1 (ko) * 2015-08-20 2017-02-23 이동철 냉난방기류 확산팬
KR101861104B1 (ko) * 2017-09-28 2018-06-29 (주)센도리 승하강식 공기순환기
KR102218578B1 (ko) * 2020-12-28 2021-02-22 주식회사 라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KR102515148B1 (ko) * 2021-09-28 2023-03-29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용 하우징
KR20230045426A (ko) * 2021-09-28 2023-04-04 김학겸 창문 설치형 공기 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51781B2 (en) 2018-04-24
US20150013945A1 (en) 2015-01-15
EP2824401A1 (en) 2015-01-14
EP2824401B1 (en) 2019-03-27
KR102199376B1 (ko) 2021-01-06
CN104279193A (zh)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7736A (ko)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433397B1 (ko) 공기조화기
KR102667821B1 (ko) 공기 조화기
US8146707B2 (en) Air conditioner
EP2918936B1 (en) Air conditioner
EP2781844B1 (en)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2014002819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9335059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8001937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4002819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125625A (ko) 원심 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0008184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121971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KR20130049120A (ko) 토출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4012318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588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812467B2 (ja) 遠心送風機の羽根車及びそれを用いた遠心送風機
JPH04344037A (ja) 空気調和機
KR102521853B1 (ko) 공기조화기
KR101499986B1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