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585A -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 - Google Patents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7585A KR20150007585A KR1020130081749A KR20130081749A KR20150007585A KR 20150007585 A KR20150007585 A KR 20150007585A KR 1020130081749 A KR1020130081749 A KR 1020130081749A KR 20130081749 A KR20130081749 A KR 20130081749A KR 20150007585 A KR20150007585 A KR 201500075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touch sensor
- touch
- smart watch
- band tou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를 결속대상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워치 밴드 외면에 제공되며, 피대상물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본체로 제1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밴드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는 제1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능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화된 스마트 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며,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점이다.
다만, 다양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점차 높은 사양이 요구되고 있고, 스마트 폰의 크기나 무게가 상당해 지고 있다.
반면에, 크기나 무게가 증가하는 만큼 이동성이나 편의성은 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것도 어렵고, 메시지나 전화가 왔을 경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크기가 커진 만큼 회의나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해야 하는 경우 이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유로 최근에는 소형화되어 손목이나 와이셔츠의 소매 끝과 같이 접근성이 좋은 곳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 형태의 스마트 워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워치는 시간 확인부터 간단한 전화나 메시지 수신 확인이나, 음성 재생과 같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기능은 스마트 워치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거나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소 떨어진 스마트 폰의 이동성이나 편의성을 보완할 수 있는 기기로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시간이나 전화 및 메시지 수신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별도의 터치센서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나 스크롤 동작 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의 특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워치의 터치센서 자체는 비교적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섬세한 터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고, 터치,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터치센서는 면적이 좁다. 이에 본 발명은 좁은 면적에 의해서 떨어지는 터치 감도, 터치 및 스크롤 동작 등의 입력 오류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운 스마트 워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워치 상의 터치센서에서 터치나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스마트 워치의 화면이 가려지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를 결속대상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워치 밴드 외면에 제공되며, 피대상물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본체로 제1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밴드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는 제1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라 함은, 시청각 수단인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그리고 디스플레이 상에 놓여져 피대상물(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끝이나 터치 펜) 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기본적인 시계 및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전화 및 메시지 등과 같은 수신 기능을 포함하거나, 음성 및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계 형태의 기기를 두루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는 자체 배터리의 충전이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아웃풋 단자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크기나 무게가 증가하여 점차 떨어지는 스마트 폰의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워치의 화면 상에도 터치센서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터치센서를 터치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를 스마트 워치로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 워치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어, 전화를 받거나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음악을 재생)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워치의 터치센서 자체는 비교적 면적이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섬세한 터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고, 좁은 면적 상에서는 터치,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워치 밴드 외면에 제1 밴드 터치센서를 제공하고, 좁은 스마트 워치 상의 터치센서를 대신하여 밴드 외면에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서 스마트 워치의 기능 구현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여, 터치 및 스크롤 동작 등의 입력 오류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 워치 상의 터치센서에서 터치나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스마트 워치의 화면이 가려져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집어내는 것이 까다로우나,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서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스마트 워치의 화면을 가리지 않아 사용자는 원하는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정확하게 집어낼 수 있다.
제1 밴드 접촉신호는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터치 유지 동작은 일정한 시간 이상으로 피대상물이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 접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원 터치 동작은 특정 시간 이상으로 피대상물이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 접촉되었다 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반복 터치 동작은 원 터치 동작이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롤 동작은 화면상에서 피대상물이 특정 구간 이상을 스치고 지나가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워치 밴드 외면에 피대상물의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스마트 워치로 제2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밴드 터치센서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면 무난하나, 바람직하게는 본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 밴드 터치센서가 추가되는 경우, 스마트 워치는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 및 제2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및 제2 밴드 터치센서의 스크롤 동작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일반적인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또한,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일반적이지 않은 조합으로 112 또는 119와 같은 비상 전화로 바로 연결되도록 스마트 워치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음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음향 모듈은 전화나 메시지 수신 혹은 알람 동작 시 스마트 워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음향을 생성한다.
음향 모듈은, 일 예로, 메인 압전 구동체,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점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은 일체로 결합되어 압전 구동체의 진동이 진동판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고정점에서 지지부가 압전 구동체 또는 진동판을 지지한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 압전 세라믹의 외주를 고정하여서 그 용도가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을 지지부가 외주가 아닌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서 지지하고, 오히려 외주가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스피커보다 본 발명의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은 저역대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기회로방식의 스피커와 유사한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는 일반적인 핸드폰이나 스마트 폰과 같이 진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 모듈을 더 가질 수 있다. 진동 모듈은 본체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 진동 모듈은 스마트 워치의 제어모듈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이라 함은, 진동모듈뿐만 아니라 스마트 워치의 본체에 마련된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음향 모듈, 및 디스플레이 상면에 얹어질 수 있는 터치센서, 송수신 장치 등)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제어모듈은 스마트 와치와 연동되는 스마트 폰과도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는 면적이 작아 사용자가 섬세한 터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스마트 워치의 터치센서 대신에 워치 밴드 외면에 제1 밴드 터치센서를 제공하여 터치 및 스크롤 동작 등의 입력 오류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 상의 터치센서에서 터치나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스마트 워치의 화면이 가려지나,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에서는 피대상물이 스마트 워치의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서 터치 및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정확하게 집어낼 수 있다.
또한, 제2 밴드 터치센서를 더 추가하여 스마트 워치는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 밴드 터치센서에서 터치 유지 동작을 유지하고, 제2 밴드 터치센서에서는 스크롤 동작을 하여, 일반적인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또한,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합은 일반적이지 않은 조합으로 112 또는 119와 같은 비상 전화로 바로 연결되도록 스마트 워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워치 밴드 내면에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워치 밴드 내면에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워치 밴드 내면에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고하면, 스마트 워치(100)는 음향 모듈(110), 본체(120), 워치 밴드(130), 진동 모듈(150),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를 포함한다.
크기나 무게가 증가하여 점차 떨어지는 스마트 폰의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워치(100)의 화면 상에도 터치센서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자는 터치센서를 터치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를 스마트 워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 워치(100)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어, 전화를 받거나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음악을 재생)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워치(100)의 터치센서 자체는 비교적 면적이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섬세한 터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고, 좁은 면적 상에서는 터치,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워치 밴드(130) 외면에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를 제공하고,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기능 구현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좁은 스마트 워치(100) 상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터치 및 스크롤 동작 등의 입력 오류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 워치(100) 상의 터치센서에서 터치나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스마트 워치(100)의 화면이 가려져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집어내는 것이 까다로우나,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 상에서 스크롤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스마트 워치(100)의 화면을 가리지 않아 사용자는 원하는 스마트 워치(100)의 기능을 정확하게 집어낼 수 있다.
제1 밴드 접촉신호는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터치 유지 동작은 일정한 시간 이상으로 피대상물이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 접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원 터치 동작은 특정 시간 이상으로 피대상물이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 접촉되었다 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반복 터치 동작은 원 터치 동작이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롤 동작은 화면상에서 피대상물이 특정 구간 이상을 스치고 지나가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밴드 접촉신호 역시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면 무난하나, 바람직하게는 본체(120)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밴드(132) 및 제2 밴드(136)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00)는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160)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160)의 터치 유지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의 스크롤 동작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일반적인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의 터치 유지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일반적이지 않은 조합으로 112 또는 119와 같은 비상 전화로 바로 연결되도록 스마트 워치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사용자의 손이 스마트 워치(100)의 터치센서도 함께 덮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비상 전화로 연결되도록 스마트 워치를 제어하는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의 터치 유지 및 스마트 워치(100)의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동작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참고로, 앞서 언급되는 제1 밴드 터치센서(1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170)는 워치 밴드(130) 내측으로 제공되는 연결선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본체 내의 제어모듈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어모듈이라 함은, 스마트 워치의 본체에 마련된 전기적 구성요소(예를 들면, 진동 모듈, 음향 모듈,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상면에 얹어질 수 있는 터치센서, 송수신 장치 등)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음향 모듈(110)은 본체(120)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음향 모듈(110) 역시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을 생성하며, 음향 모듈(110)의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주파수 재생용 또는 고음재생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압전 스피커를 개량한 음향 모듈을 제시하며, 음향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체(120)에는 워치 밴드(130)가 장착되어 있어 본체(120)을 손목과 같은 결속대상에 결속시킬 수 있다.
워치 밴드(130)는 본체(120)과 일체로 사출과 같은 공정을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품으로 제공되어 본체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워치 밴드는 플렉시블한 가죽이나 고무, 우레탄 소재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형상이 대체로 유지되나 손목에 넣을 수 있는 개구를 가진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워치 밴드(130)는 일반적인 가죽 재질의 제1 및 제2 밴드(132, 136)를 포함하며, 양 단에는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홀과 상기 홀에 끼워지는 스틱을 포함하는 결속 수단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는 워치 밴드(130, 130´)의 내면에 제공되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140, 140´)가 도시된다.
스마트 워치(100)에 전화나 메시가 수신되면 진동 모듈(150)은 진동하여 수신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진동 전달 구조체(140, 140´)는 스마트 워치(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보다 강하게 사용자의 손목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돌기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의 내면과 본체(120)의 내면에 복수개의 반구 형상의 돌기로 제공된다. 도 4의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와 본체(120) 내면 양 측에 모두 제공되나, 경우에 따라서, 어느 일 측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 및 본체(120´) 내면에 라인 형상의 돌기로 제공된다. 라인 형상의 돌기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역시 라인 형상의 돌기는 워치 밴드나 본체 어느 일 측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밴드의 양단은 일반적인 시계와 유사하게 홀과 상기 홀에 끼워지는 스틱을 포함하는 결속 수단을 가지나, 경우에 따라서, 제1 및 제2 밴드의 양단에 각각 USB 단자 및 USB 단자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결합부는 USB 단자가 끼워져 결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격한 운동을 할 경우, USB 단자가 수용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훅 구조물 더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체(120)에 장착되는 음향 모듈(110)은 전화나 메시지 수신 혹은 알람 동작 시 스마트 워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음향을 생성한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 자체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부족한 음량을 보충할 수 있다.
음향 모듈(110)은 메인 압전 구동체(111), 진동판(112), 및 지지부(114)를 포함하며, 고정점(113)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111) 및 진동판(112)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하우징(115)은 음향 모듈(110)의 하우징(115)이며, 하우징(115)은 본체(120)에 설치될 수 있다. 자명한 사항이지만, 메인 압전 구동체나 진동판은 음향 모듈의 자체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의 제어모듈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111) 및 진동판(112)은 일체로 결합되어 압전 구동체(111)의 진동이 진동판(112)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압전 구동체(111)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고정점(113)에서 지지부(114)가 압전 구동체(111) 또는 진동판(112)을 지지한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 압전 세라믹의 외주를 고정하여서 그 용도가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전 구동체(111) 및 진동판(112)을 지지부(114)가 외주가 아닌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서 지지하고, 오히려 외주가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스피커보다 본 발명의 압전 구동체(111) 및 진동판(112)은 저역대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기회로방식의 스피커와 유사한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111)로는 PbO, ZrO2, TiO2를 배합한 PZT계열 또는 PMN-PT(압전단결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압전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111)는 평판 형상 또는 기타 플렉시블한 입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111)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112)은 메인 압전 구동체(111)의 진동을 전달 받아 공기 중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진동판(112)은 단순한 판 형상 외에도 원추형 또는 나팔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압전 구동체(111)와 면접하는 것 외에도 점이나 선으로 접촉하는 것도 물리적 결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진동판(112)은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인 경우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지지부(114)는 고정점(113)을 통해서 메인 압전 구동체(111) 및 진동판(112)과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압전 구동체(111) 및 진동판(112)은 지지부(114)에 의해서 고정되며, 음향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고정점(113)을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점(113)은 메인 압전 구동체(111)의 중앙부, 즉 외주가 아닌 그 내측의 일 지점에 정의될 수 있다. 음향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지지부(114)에 대해서 고정점(113)은 정지하며, 메인 압전 구동체(111) 및 진동판(112)의 외주 부분은 자유단으로서 위아래로 진동할 수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111)의 진동은 진동판(112)으로 전달되어 소리 에너지를 공기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스마트 워치 110:음향 모듈
111:메인 압전 구동체 112:진동판
113:고정점 114:지지부
120:본체 130:워치 밴드
132:제1 밴드 136:제2 밴드
140:진동 전달 구조체 150:진동 모듈
160:제1 밴드 터치센서 170:제2 밴드 터치센서
111:메인 압전 구동체 112:진동판
113:고정점 114:지지부
120:본체 130:워치 밴드
132:제1 밴드 136:제2 밴드
140:진동 전달 구조체 150:진동 모듈
160:제1 밴드 터치센서 170:제2 밴드 터치센서
Claims (12)
- 스마트 워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결속대상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상기 워치 밴드 외면에 제공되며, 피대상물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로 상기 제1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밴드 터치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접촉신호는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밴드 외면에 제공되며, 피대상물의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로 상기 제2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밴드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는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의 스크롤 동작의 조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의 조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본체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모듈은,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상기 결속대상에 증폭시켜 전달하는 진동 전달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749A KR101536229B1 (ko) | 2013-07-11 | 2013-07-11 |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749A KR101536229B1 (ko) | 2013-07-11 | 2013-07-11 |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7585A true KR20150007585A (ko) | 2015-01-21 |
KR101536229B1 KR101536229B1 (ko) | 2015-07-14 |
Family
ID=5257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1749A KR101536229B1 (ko) | 2013-07-11 | 2013-07-11 |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622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53086A1 (ko) * | 2015-03-20 | 2016-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
US9904254B1 (en) * | 2014-09-24 | 2018-02-27 | Andrew Jeon Hariri | Customizable smart watch and housing |
KR20190119014A (ko) * | 2019-10-11 | 2019-10-21 | 박찬봉 |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스마트 워치 |
US10520902B2 (en) | 2016-06-10 | 2019-12-31 | Chan Bong Park |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martwatc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3858B1 (ko) * | 2017-04-27 | 2021-05-21 | (주)건융아이비씨 | 전도성 섬유 손목 키보드 |
WO2018199410A1 (ko) * | 2017-04-27 | 2018-11-01 | (주)건융아이비씨 | 전도성 섬유 손목 키보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347642A1 (en) * | 1998-10-28 | 2000-05-04 | Via, Inc. | 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
JP2002538438A (ja) * | 1999-02-22 | 2002-11-12 | ジェリー・モスコヴィッチ | 可撓性のlcd時計バンドを有する多機能型時計 |
TW516947B (en) * | 2000-06-07 | 2003-01-11 | Asulab Sa | Portable object with a wristband including a keyboard |
KR20110066741A (ko) * | 2009-12-11 | 2011-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와치형 휴대 단말기 |
-
2013
- 2013-07-11 KR KR1020130081749A patent/KR1015362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04254B1 (en) * | 2014-09-24 | 2018-02-27 | Andrew Jeon Hariri | Customizable smart watch and housing |
WO2016153086A1 (ko) * | 2015-03-20 | 2016-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
US10114411B2 (en) | 2015-03-20 | 2018-10-30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US10520902B2 (en) | 2016-06-10 | 2019-12-31 | Chan Bong Park |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martwatch |
KR20190119014A (ko) * | 2019-10-11 | 2019-10-21 | 박찬봉 |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스마트 워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6229B1 (ko) | 2015-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94473B2 (en) |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 |
US11533082B2 (en) | Wirelessly charged electronic device with shared inductor circuitry | |
KR101544168B1 (ko) |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 | |
KR101536229B1 (ko) |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 | |
US9591389B2 (en) | Electronic device | |
EP2793484B1 (en) | Electronic device | |
EP2800395B1 (en) | Electronic device | |
US10209791B2 (en) | Electronic device and panel device | |
KR20150007586A (ko) |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 |
KR101521539B1 (ko) | 이어폰 일체형 스마트 와치 | |
JP2008225690A (ja) | 振動体、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 |
KR101542864B1 (ko) | 음향모듈을 내장한 스마트 워치 | |
JP5598827B1 (ja) | 無線通信装置 | |
KR20150007588A (ko) | 사운드 필름을 내장한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 |
KR20150007591A (ko) | 압전세라믹 소자를 내장한 스마트 워치 | |
KR20150007584A (ko) |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 |
CN112449291B (zh) | 音响单元和移动终端 | |
JP2013242807A (ja) | 電子機器 | |
KR20150007590A (ko) | 압전세라믹 소자를 내장한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 |
KR101540401B1 (ko) | 사운드 필름을 내장한 스마트 워치 | |
KR20150007582A (ko) | 음향모듈을 내장한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 |
US10277987B1 (en) | Personal status monitoring using piezoelectric transducer | |
JP2013242814A (ja) | 電子機器 | |
JP2013242806A (ja) | 電子機器 | |
JP2013243617A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