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354A - 조전지 - Google Patents

조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354A
KR20150007354A KR1020147035315A KR20147035315A KR20150007354A KR 20150007354 A KR20150007354 A KR 20150007354A KR 1020147035315 A KR1020147035315 A KR 1020147035315A KR 20147035315 A KR20147035315 A KR 20147035315A KR 20150007354 A KR20150007354 A KR 2015000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unit
termin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 하타
료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전지에 있어서, 온도 검출 소자에 의한 온도의 검출 성능이 우수한 조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압 검출용 단자(80)에 접속하는 부스바(81)의 단부에는, 전압 검출용 단자(80)와 전극 탭(44, 45) 사이에 부스바 연장부(82)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탭(44, 45)과의 접합 개소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사각 형상의 부스바(81)에 있어서, 부스바 연장부(82)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부스바 연장부(82)에는, 각 단전지(40)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90)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전지 {BATTERY ASSEMBLY}
본 발명은 조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로서, 복수의 전지 모듈을 조합하여 구성한 조전지가 알려져 있다. 개개의 전지 모듈은, 최소 단위의 전지 요소인 단전지를 1개 또는 복수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단전지로서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조전지에는, 단전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혹은 전지 모듈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스바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전지에서는, 충방전 시의 발열에 수반하는 온도 상승 등을 감시하기 위해, 부스바의 온도를 온도 검출 소자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당해 조전지의 온도를 등가적으로 검출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차량 전장품과 배터리 터미널 사이에 배치한 부스바에, 배터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를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72422호 공보
그러나, 부스바에는, 전류의 흐름에 기인하는 줄 열도 부여되게 되므로, 그 부여되는 열의 정도에 따라서는 이것이 외란으로 되어 조전지의 온도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조전지에 있어서, 온도 검출 소자에 의한 온도의 검출 성능이 우수한 조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는, 전지 유닛이 구비하는 전극 부재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전지 유닛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스바와, 부스바로부터 연장된 부스바 연장부를 갖는다. 이 부스바 연장부는, 이웃하는 전극 부재의 사이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배치되어 있고, 전지 유닛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가 설치된다.
도 1은 조전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셀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단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셀 유닛에 있어서의 출력 단자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부스바 연장부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부스바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1)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조전지(1)는, 전기 자동차 등의 전동차의 배터리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복수의 전지 모듈(10)을 배열한 전지 모듈군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전지 모듈군으로서, 4개의 전지 모듈(10)이 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전지(1)를 이루는 각 전지 모듈(10)은, 3개의 외부 부스바(65, 75, 85)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전지 모듈(10)이 구비하는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는 외부 부스바(65)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각 전지 모듈(10)이 구비하는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는 외부 부스바(75)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각 전지 모듈(10)이 구비하는 전압 검출용 단자(80)는, 외부 부스바(85)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개개의 전지 모듈(10)은, 케이스(20)와, 이 케이스(20) 내에 수용되는 셀 유닛(30)(도 2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 형상의 로워 케이스(21)와, 로워 케이스(21)의 개구를 폐쇄하는 어퍼 케이스(22)를 갖고 있으며, 셀 유닛(3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어퍼 케이스(22)가 로워 케이스(21)에 조립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20)의 소정 개소로부터는, 3개의 출력 단자인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 및 전압 검출용 단자(80)가 각각 외부에 바라도록 노출시켜져 있다.
도 2는 셀 유닛(30)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셀 유닛(30)은, 복수의 단전지(40)와, 스페이서(50)와, 3개의 출력 단자[외부 출력 정극 단자(60),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 및 전압 검출용 단자(8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셀 유닛(30)은, 단전지(40)를 4개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개개의 단전지(40)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3은 단전지(4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각각의 단전지(40)는, 전극 적층체와, 이 전극 적층체를 수용하는 외장 부재(41)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단전지(40)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적용 가능하다.
전극 적층체는,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정극판과 부극판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정극판은, 시트 형상의 정극 집전체의 양면(혹은 편면)에 정극 활물질을 도포한 것이며,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극판은, 시트 형상의 부극 집전체의 양면(혹은 편면)에 부극 활물질을 도포한 것이며,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세퍼레이터는, 이온 투과성의 절연층으로서 기능하는 플레이트이며,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장 부재(41)는, 한 쌍의 금속 복합 필름(금속박의 양면에 합성 수지층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금속 복합 필름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극 적층체보다도 약간 큰 사이즈를 갖는 시트 형상의 부재이며, 중앙에 오목부(42)가 형성된 컵 형상을 갖고 있다. 한 쌍의 금속 복합 필름은, 4변에 대응하는 주연부(43)를 서로 맞대도록 겹쳐짐과 함께, 오목부(4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전해질과 함께 전극 적층체를 수용하여, 주연부(43)가 용착됨으로써 금속 복합 필름의 외주가 전역에 걸쳐 시일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정극판은 한쪽의 전극 탭인 정극 탭(44)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각 부극판은 다른 쪽의 전극 탭인 부극 탭(4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정극 탭(44) 및 부극 탭(45)은, 외장 부재(41)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변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스페이서(50)는, 단전지(40)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개개의 스페이서(50)는, 외장 부재(41), 구체적으로는, 전극 탭(44, 45)이 없는 잔여의 3변에 대응하는 주연부(43)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50)는, 단전지(40)끼리를 소정의 간격으로 적층함과 함께, 개개의 단전지(40)의 면 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4는 셀 유닛(30)에 있어서의 출력 단자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셀 유닛(30)에 있어서의 단자는,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와,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 및 전압 검출용 단자(80)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 및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는, 셀 유닛(30)으로부터 외부에 전력을 취출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당해 셀 유닛(30)에 충전하기 위한 출력 단자이다. 한편, 전압 검출용 단자(80)는, 전지 모듈(10)을 구성하는 단전지(40)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출력 단자이다. 이들 출력 단자(60, 70, 80)에는, 부스바(61, 71, 81)를 통해, 각 단전지(40)의 전극 탭(44, 45)이 접속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단전지(40) 및 상측으로부터 2번째에 배치된 단전지(40)의 정극 탭(44)은, 각각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정극 탭(44)과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은, 당해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스바(61)에, 각 정극 탭(44)을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각각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단전지(40) 및 상측으로부터 2번째에 배치된 단전지(40)의 부극 탭(45), 및, 상측으로부터 3번째에 배치된 단전지(40) 및 가장 하측에 배치된 단전지(40)의 정극 탭(44)은, 각각 전압 검출용 단자(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전극 탭(44, 45)과 전압 검출용 단자(80)의 접속은, 당해 전압 검출용 단자(8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스바(81)에, 각 탭(44, 45)을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각각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단전지(40) 및 상측으로부터 3번째에 배치된 단전지(40)의 부극 탭(45)은, 각각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부극 탭(45)과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은, 당해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스바(71)에, 각 부극 탭(45)을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각각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각 단전지(40)의 전극 탭(44, 45)은, 부스바(61, 71, 81)를 통해,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 및 전압 검출용 단자(80)에 각각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셀 유닛(30)은, 병렬 접속된 2개의 단전지(40)의 세트를 직렬적으로 2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의 하나로서, 전압 검출용 단자(80)에 접속하는 부스바(81)의 단부에는, 전압 검출용 단자(80)와 전극 탭(44, 45) 사이에 부스바 연장부(82)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탭(44, 45)과의 접합 개소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사각 형상의 부스바(81)에 있어서, 부스바 연장부(82)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부스바 연장부(82)에는, 각 단전지(40)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90)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검출 소자(90)는, 예를 들어 서미스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부스바 연장부 E1, E2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단변측의 단부를 Ba, Bb, 장변측의 단부를 Bc, Bd라고 정의한다. 부스바 B에는 전극 탭 Tb[정극 탭(44) 및 부극 탭(45) 중 어느 하나]가 접합된 개소가 복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부스바 B의 형태에 있어서, 부스바 연장부 E1, E2는, 이웃하는 전극 탭 Tb의 사이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E1」, 「E2」는, 전극 탭 Tb와의 접합 개소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사각 형상의 부스바 B에 있어서, 부스바 연장부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스바 연장부 E1은, 단변측의 단부 Bb에 설치된다. 또한, 부스바 연장부 E2는, 장변측의 단부 Bc 중 전극 탭 Tb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부스바 연장부(82)는, 도 5에 있어서 단변측의 단부 Bb에 설치한 부스바 연장부 E1을 구체적인 형태로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조전지(1)에 있어서, 이웃하는 전극 탭(44, 45)의 사이의 범위는, 한쪽의 전극 탭(44, 45)으로부터 다른 쪽의 전극 탭(44, 45)으로 전류가 흐르는 주된 경로로 되지만, 부스바 연장부(82)는, 그 주된 경로로부터 벗어나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를 구비하는 부스바 연장부(82)에 온도 검출 소자(90)를 설치함으로써, 온도 검출 소자(90)도 그 주된 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온도 검출 소자(90)에 대해, 전류에 의한 줄 열이 크게 작용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온도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부스바 B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에 있어서 화살표는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그 굵기가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웃하는 2개의 전극 탭 Tb의 관계에서 생각한 경우, 부스바 B에 있어서, 전극 탭 Tb의 접합 개소에도 전류가 흐르지만, 이웃한 전극 탭 Tb의 사이의 범위에 있어서 전류가 가장 커지는 경향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이웃하는 전극 탭 Tb의 사이의 범위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 방향(이웃하는 전극 탭 Tb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 당해 전극 탭 Tb로부터 이격될수록 전류가 작아지는 경향을 갖고 있다. 즉, 전류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당해 전극 탭 Tb로부터 이격될수록, 줄 열의 발생도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전극 탭 Tb와의 접합 개소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직사각 형상의 부스바 B에 있어서, 줄 열의 발생이 작아지는 것은, 단변측의 단부 Ba, Bb로 된다. 이러한 단변측의 단부 Bb에 부스바 연장부 E1을 설치함으로써, 전류에 의한 줄 열이 크게 작용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온도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스바 연장부(82)가, 부스바(81)에 있어서 줄 열의 발생이 작은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온도 검출 소자(90)에 대해, 전류에 의한 줄 열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온도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도 검출 소자(90)를 설치하기 위한 부스바 연장부(82)를, 전압 검출용 단자(80)에 접속하는 부스바(81)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출력 정극 단자(60)에 접속하는 부스바(61)나, 외부 출력 부극 단자(70)에 접속하는 부스바(71)와 같이, 전지 모듈(10)과 접속하는 부스바에 대해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 검출용 단자(80)는 셀 유닛(30)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온도 검출 소자(90)를 배치하기 위한 부스바 연장부(82)를, 전압 검출용 단자(80)와 대응하는 부스바(81)로 함으로써, 온도 검출 소자(90)를 전압 검출용 단자(80)와 동일한 부스바(81)에 병설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온도 검출 소자(90)를 배치하기 위한 부스바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개수의 삭감이 가능해져, 부스바 형상을 소형화할 수 있고, 저렴한 구조로 상기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탭을 통해 단전지끼리를 접속하는 부스바에 대해 부스바 연장부를 적용하고 있지만, 출력 단자를 통해 전지 모듈끼리를 접속하는 부스바(외부 부스바)에 대해 부스바 연장부를 적용해도 된다. 이러한 형태라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스바에 의해 접속되는 것은, 임의의 전지 유닛으로서 실현되면 된다. 전지 유닛의 형태는 최소 단위의 전지 요소인 단전지여도 되고, 최소 단위의 전지 요소인 단전지를 1개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지 모듈이어도 된다. 또한, 전극 부재는, 전지 유닛이 단전지인 경우에는, 단전지가 구비하는 전극 탭이어도 되고, 전지 유닛이 전지 모듈인 경우에는,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출력 단자여도 된다.
본 출원은, 2012년 7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2-155126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 개시 내용은, 참조되어, 전체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1 : 조전지
10 : 전지 모듈
20 : 케이스
21 : 로워 케이스
22 : 어퍼 케이스
30 : 셀 유닛
40 : 단전지
44 : 정극 탭
45 : 부극 탭
60 : 외부 출력 정극 단자
61 : 부스바
65 : 외부 부스바
70 : 외부 출력 부극 단자
71 : 부스바
75 : 외부 부스바
80 : 전압 검출용 단자
81 : 부스바
82 : 부스바 연장부
85 : 외부 부스바
90 : 온도 검출 소자

Claims (5)

  1. 각각이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극 부재를 구비하는 복수의 전지 유닛과,
    상기 전극 부재가 각각 접합됨으로써, 상기 전지 유닛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로부터 연장된 부스바 연장부를 갖고,
    상기 부스바 연장부는, 이웃하는 상기 전극 부재의 사이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지 유닛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전극 부재와의 접합 개소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상기 부스바 연장부는, 상기 부스바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연장부는, 상기 전지 유닛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유닛은, 최소 단위의 전지 요소인 단전지이며,
    상기 전극 부재는, 상기 단전지가 구비하는 전극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유닛은, 최소 단위의 전지 요소인 단전지를 1개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지 모듈이며,
    상기 전극 부재는, 상기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출력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KR1020147035315A 2012-07-11 2013-06-26 조전지 KR20150007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5126 2012-07-11
JP2012155126 2012-07-11
PCT/JP2013/067500 WO2014010419A1 (ja) 2012-07-11 2013-06-26 組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354A true KR20150007354A (ko) 2015-01-20

Family

ID=4991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315A KR20150007354A (ko) 2012-07-11 2013-06-26 조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90568B2 (ko)
EP (1) EP2874204B1 (ko)
JP (1) JP6052289B2 (ko)
KR (1) KR20150007354A (ko)
CN (1) CN104396049B (ko)
WO (1) WO20140104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1271A (zh) * 2015-02-18 2017-10-13 奥迪股份公司 具有传感器单元的电气母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2905A1 (ja) * 2013-02-06 2014-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6315278B2 (ja) * 2014-12-25 2018-04-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726022B2 (ja) * 2016-04-27 2020-07-22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2017224580A (ja) * 2016-06-17 2017-12-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JP6762156B2 (ja) * 2016-07-15 2020-09-30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WO2023227939A1 (ja) * 2022-05-25 2023-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2422A (ja) 2000-03-27 2001-10-05 Jeco Co Ltd 車輌用電流検出装置
JP2002246074A (ja) * 2001-02-13 2002-08-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JP3832397B2 (ja) * 2002-07-24 2006-10-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薄型電池モジュール
JP3899423B2 (ja) * 2002-07-24 2007-03-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薄型電池モジュール
JP2008039571A (ja) 2006-08-04 2008-02-21 Denso Corp 電流センサ
US8168319B2 (en) * 2008-10-13 2012-05-01 Apple Inc. Portable computer battery structures
CN102356504B (zh) * 2009-04-01 2014-07-30 株式会社Lg化学 具有改进的安全性的电池模块
JP5455725B2 (ja) * 2010-03-15 2014-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組電池
JP5615045B2 (ja) * 2010-05-28 2014-10-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13531868A (ja) 2010-06-03 2013-08-08 エー123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ッテリパック内のバッテリバスバー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02010031380B4 (de) * 2010-07-15 2019-05-02 Elringklinger Ag Zellverbinder und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KR101271567B1 (ko) * 2010-08-16 2013-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부재가 플레이트들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5606872B2 (ja) * 2010-08-20 2014-10-15 愛三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3137905A (ja) * 2011-12-28 2013-07-11 Aisan Ind Co Ltd 組電池の監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1271A (zh) * 2015-02-18 2017-10-13 奥迪股份公司 具有传感器单元的电气母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4204A1 (en) 2015-05-20
WO2014010419A1 (ja) 2014-01-16
US20150171488A1 (en) 2015-06-18
CN104396049B (zh) 2017-09-22
CN104396049A (zh) 2015-03-04
EP2874204B1 (en) 2018-06-06
JP6052289B2 (ja) 2016-12-27
US10090568B2 (en) 2018-10-02
JPWO2014010419A1 (ja) 2016-06-23
EP2874204A4 (en)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8010B2 (ja) 多方向性リード−タブ構造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EP2535962B1 (en) Battery module having enhanced welding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RU2490755C1 (ru) Блок батаре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лока батарей
JP6052289B2 (ja) 組電池
JP5398273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7186366B2 (ja) 電池積層体
EP3101714B1 (en) Battery module having voltage sensing member having receptacle structure
JP6980098B2 (ja) バッテリ端子のためのリードタブ
US20170279096A1 (en) Assembled battery
KR20180085781A (ko) 교차-위빙된 전극 어셈블리
JP4784687B2 (ja) 扁平型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JP2018531491A (ja) エネルギ蓄積装置用の端子装置
JP2018531491A6 (ja) エネルギ蓄積装置用の端子装置
JP2013187046A (ja) 組電池
US20160072116A1 (en) Battery unit and battery module having stacked battery units
CN110731023A (zh) 汇流条以及电池层叠体
JP6153798B2 (ja) 板状組電池およびこれらを複数個組み合わせて構成される板状組電池群
JP7213478B2 (ja) バスバー及び電池積層体
JP6733175B2 (ja) 蓄電素子
KR20170068370A (ko) 전지팩 및 그의 제조방법
JP6952195B2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8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1

Effective date: 201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