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120A -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120A
KR20150007120A KR1020130081119A KR20130081119A KR20150007120A KR 20150007120 A KR20150007120 A KR 20150007120A KR 1020130081119 A KR1020130081119 A KR 1020130081119A KR 20130081119 A KR20130081119 A KR 20130081119A KR 20150007120 A KR20150007120 A KR 20150007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st
lubricant composition
preventive
solv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321B1 (ko
Inventor
신진호
홍종인
김형준
이성구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to KR102013008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3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02Hydrocarbon polymers; Hydrocarbon polymers modified by oxidation
    • C10M107/04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24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16Ethers
    • C10M129/18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2Inhibition of corrosion, e.g. anti-rust agents or anti-corro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극적인 용제 냄새가 저감된 형태의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자극적인 석유계 용제의 냄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녹이 발생한 금속표면 및 마찰부위에 침투하여 녹을 제거하는 동시에 방청 및 윤활피막을 형성하여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고 금속의 마찰부위에 원활한 구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Description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lubrication and rust prevention with reduced pungent odou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극적인 용제 냄새가 저감된 형태의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청유는 금속에 녹이 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바르는 기름으로 금속 표면에 기름 보호막을 만들어 공기 중의 산소나 수분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청유는 다음과 같이 5종류로 나눌 수 있다: (i) 지문제거형 방청유로서 기계류에 묻은 지문이나 땀을 닦아 내는 데 쓰인다. (ii) 용제희석형 방청유로서 녹슬지 못하게 피막을 만드는 성분을 석유계 용제에 녹여서 분산시켜 놓은 것으로 금속면에 바르면 용제가 증발하고 나중에 방청도포막이 생긴다. (iii) 방청페트롤레이텀(petrolatum:바린)으로서 이것을 가온(加溫)하여 유동상태가 되었을 때 방청하려는 금속제품을 푹 담그는 방법으로 방청 처리를 한다. (iv) 일반방청유로서 석유계 윤활유를 기본재료로 한 제품이어서 방청 성능이 크다. (v) 기화성(氣化性) 방청유로서 기름이면서 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밀폐공간에 놓여 있는 금속제품에 증착(蒸着)하면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방청유 중에서 용제 희석형 방청유는 각종 기계부품, 철강류, 공구류, 농기구 및 가정용품 등의 부식방지(녹 방지, 녹 제거)와 윤활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용제 희석형 방청유는 강하며 자극적인 석유계 용제의 냄새로 인하여 사용 시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 인체 안전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자극적인 석유계 용제의 냄새가 저감된 형태의 용제 희석형 방청유에 대한 요구가 있으며, 나아가 방청성과 함께 윤활성 역시 우수한 방청유에 대한 요구 역시 높아지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선행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72212호 (선행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888호
본 발명자들은 방청 성능과 윤활 성능 모두 우수하며 자극적인 석유계 용제의 냄새가 현저히 저감된 형태의 방청윤활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방향족 탄화수소를 매우 소량으로 함유하는 석유계 용제와 방청제, 플러렌, 유용성 금속 화합물 및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를 함유하는 방청윤활유를 제조하고, 제조한 방청윤활유의 현저히 저감된 용제 냄새 특성과 우수한 방청 및 윤활 성능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 기유;
(b) 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용제 전제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3 중량% 이하인 석유계 용제;
(c) 방청제; 및
(d) 윤활제로서 플러렌 및 유용성(oil-soluble) 금속화합물, 상기 금속은 몰리브덴, 아연 및 텅스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자들은 방청 성능과 윤활 성능 모두 우수하며 자극적인 석유계 용제의 냄새가 현저히 저감된 형태의 방청윤활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방향족 탄화수소를 매우 소량으로 함유하는 석유계 용제와 방청제, 플러렌, 유용성 금속 화합물 및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를 함유하는 방청윤활유를 제조하고, 제조한 방청윤활유의 현저히 저감된 용제 냄새 특성과 우수한 방청 및 윤활 성능 특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유는 합성오일, 천연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일 수 있으며, 이들을 적용 목적에 따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오일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 트리 또는 테트라 카복실산과 C7 내지 C22의 한 종류 이상의 알콜로 구성된 에스테르 화합물; 폴리페닐에테르 또는 알킬 디페닐 에테르; 트리메틸올 프로판, 펜타 에리쓰리톨 또는 디펜타 에리쓰리톨과 C7 내지 C22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 구성된 에스테르 화합물; C7 내지 C22의 알콜과 C18의 이량체 산으로 구성된 에스테를 화합물; 복합 에스테르(complex est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폴리알파올레핀, 알킬 나프탈렌, 알킬 벤젠, 폴리글리콜, 실리콘 오일 및 과불소화 폴리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유는 폴리알파올레핀(PAO)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유는 20-3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는 포화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석유계 용제를 사용하며, 상기 포화탄화수소는 노말파라핀, 이소파라핀 및 사이클로파라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포화탄화수소는 탄소수 10-20의 탄화수소이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포화탄화수소의 탄소수는 11-18이고, 다른 특정예에서는 11-17이며, 또 다른 특정예에서는 11-16이다.
특히, 본 발명의 석유계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소량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계 용제는 용제 전제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이하로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석유계 용제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은 0.0001-2 중량%이고, 다른 특정예에서는 0.0002-2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석유계 용제로는 EXXSOLTM 용제와 IsoparTM 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계 용제는 65-76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함유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청제는 유기 술폰산염이다. 상기 술폰산염의 술폰산 성분으로서는 석유 술폰산, 디노닐나프탈렌술폰산 등이 있으며, 염으로서는 금속염(칼슘염, 바륨염, 마그네슘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아연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술폰산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술폰산염은 바륨 술폰산염 또는 칼슘 술폰산염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청제는 3-9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함유된다.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로서 플러렌 및 유용성 금속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용성(oil soluble)"은 오일이 사용되는 환경에서 의도하는 효과를 발휘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오일에 가용성이거나 안정하게 분산성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크기를 갖는 플러렌이라면 형태 및 모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예컨대, 구형의 입자, 튜브, 막대기와 같은 형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렌은 구형의 나노입자(nanoparticles)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렌은 C20, C60, C70, C84 및 C100 등의 구형의 플러렌(buckyball)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플러렌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렌은 0.001-0.1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플러렌은 0.001-0.01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상기 유용성 금속화합물은 몰리브덴, 아연 및 텅스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갖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용성 금속화합물은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의 예로는, 글리콜 몰리브데이트 착물(예컨대, US 3,285,942); 몰리브덴을 함유하는 과량(overbased)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술포네이트, 페네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조성물(예컨대, US 4,832,857, US 4,889,647); 유기 아미드의 황 및 인이 없는 유기몰리브덴 착물(예컨대, 지방산 및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로부터 제조된 몰리브덴 함유 화합물); 아민, 디아민, 알콕시화 아민, 글리콜 및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과량 몰리브덴 착물(예컨대, US 5,143,633); 2,4-헤테로원자 치환 몰리브데나-3,3-디옥사시클로알칸(예컨대, US 5,412,130);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몰리브덴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몰리브덴 화합물의 아민염; 몰리브덴 잔테이트; 몰리브덴 설파이드(몰리브덴 디설파이드 포함); 몰리브덴 카르복실레이트; 및 몰리브덴 알콕사이드를 들 수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 따르면, 상기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8-13의 알킬이며, X는 황 또는 산소이고, R1=R2, R3=R4이다.
다른 특정예에 따르면, 상기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은 몰리브덴, 비스(2-에칠헥실)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비스(2-에칠헥실)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옥소 티오 착물(Molybdenum, bis(2-ethylhexyl) carbamodithioato bis(2-ethylhexyl) carbamodithioato oxo thio complexes); 또는 몰리브덴, 비스(트리데실)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비스(트리데실)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옥소 티오 착물(Molybdenum, bis(tridecyl) carbamodithioato bis(tridecyl) carbamodithioato oxo thio complexes)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아연 화합물은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및 아연 디하이드로-카빌-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아연 포스페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텅스텐 화합물은 유기 아민 텅스텐산염(organo amime tungstates), 예를 들면, 아민, 비스(C11-14-가지쇄 및 직쇄 알킬), 텅스텐산염(Amines, bis(C11-14-branched and linear alkyl), tungstates)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용성 금속화합물은 0.01-1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유용성 금속화합물은 0.05-0.5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플러렌과 유용성 금속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방청윤활유는 유용성 금속화합물만을 함유하는 방청윤활유에 비하여 더 우수한 내마모 성능을 나타낸다(표 2 참조).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는 0.01-1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는 0.1-1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를 포함하는 방청윤활유는 이를 포함하지 않는 방청윤활유에 비하여 더 우수한 방청 성능을 나타낸다(표 3 참조).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KS M 2026에 의해 측정한 4-ball WSD(mm)가 0.43-0.52이며, 하나의 특정예에서는 4-ball WSD(mm)가 0.45-0.50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염수분무(35℃, KS M 2109에 의해 측정)로 평가한 방청 성능이 염수분무 48시간 및 96시간에서 A급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에어로졸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기유에 플러렌을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b) 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용제 전제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3중량% 이하인 석유계 용제에 방청제, 플러렌 및 유용성 금속화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 상기 금속은 몰리브덴, 아연 및 텅스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및
(c) 단계 (a)와 (b)의 결과물을 혼합하여 방청윤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사이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단계 (a)에서는 교반을 통하여 육안으로 볼 때 투명하고 침전이 없는, 플러렌이 분산된 기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은 초음파 분산기 및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초음파 분산기와 호모믹서를 이용하면,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물리적으로 안정한 조성물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 공정 및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하나의 특정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분산 조건은 20-60 kHz이고, 호모 믹서를 이용한 교반은 500-2,000 rpm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단계 (b)에서는 방청제, 플러렌 및 유용성 금속화합물이 혼합 교반된 석유계 용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b)에서는 상기 성분들과 함께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가 추가적으로 혼합 및 교반된 석유계 용제를 제조한다.
단계 (c)에서는 단계 (a)에서 얻은 플러렌이 분산된 기유와 단계 (b)에서 얻은 방청제, 플러렌 및 유용성 금속화합물(및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이 혼합 교반된 석유계 용제를 혼합하여 자극적인 석유계 용제의 냄새가 저감된 형태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을 최종적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기유,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3 중량% 이하인 석유계 용제, 방청제, 플러렌 및 유용성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자극성 용제 냄새가 저감된 형태의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i)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자극적인 석유계 용제의 냄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iii)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녹이 발생한 금속표면 및 마찰부위에 침투하여 녹을 제거하는 동시에 방청 및 윤활피막을 형성하여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고 금속의 마찰부위에 원활한 구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 조성물 제조
500 ㎖의 교반조에 폴리알파올레핀(PAO; EXXON chemical)을 주입하고, 40 kHz의 초음파 분산 bath 안에서 호모믹서(homo mixer)를 사용하여 플러렌(Fullerene C60 & C70, SES research)을 1000 rpm으로 120분간 투명하게 분산시켰다. 별도의 용량 1L의 교반조에서는 용제(Hydrocarbons, C11-C14, n-alkanes, isoalkanes, cyclic, <2% aromatics solvent; EXXSOLTM D80, EXXON chemical)에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Modtc, ADEKA corporation), 바륨 설포네이트계(Barium sulfonate, CHEMTURA) 방청제 및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HFE-7100, 3M)를 차례로 투입하여 주었다.
상기의 플러렌이 분산된 폴리알파올레핀과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 바륨 설포네이트계 방청제 및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가 포함된 용제를 일정량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이상 고르게 혼합하여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방청윤활제 조성물에 함유된 각 성분의 양(중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 조성물의 향취 강도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 조성물의 향취 강도를 블라인드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비교하기 위하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탄화수소 용제(Anysol-5, 삼성토탈)와 칼슘 설포네이트계(Calcium sulfonate, Rhein Chemie) 방청제를 포함하는 용제 희석형 방청유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고, 이미 개발되어 적용중인 WD-40(WD-40 company, USA)를 제조하였다.
향취 강도의 확인은 각 조성물 350 ㎖ 에어로졸 용기에 LPG 가스를 충진하여 1000 ㎖ 비커에 10초간 분사하고 관능적으로 향취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3의 방청윤활제는 향취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으나, 비교예 4-6의 방청윤활제는 강한 솔벤트 취가 발생하였고 WD-40는 특유향이 강하게 발생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소량인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자극적인 냄새가 나지 않는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를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 조성물의 윤활 성능 확인
제조예 1-3 및 비교예 4-6 윤활제와 WD-40의 윤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내마모 성능(쉘식4구법): KS M 2026에 의해 측정
Figure pat00004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마모 성능을 나타내는 4구법의 마모흔 직경(WSD, mm)은 제조예 1-3 방청윤활제는 0.45-0.50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4-6의 방청윤활제는 0.60-0.65, WD-40는 0.53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윤활력 효과가 보다 더 우수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는 플러렌이 첨가될 경우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더 우수한 내마모 성능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는 본 발명의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비교예 4-6 및 WD-40보다 더 우수한 윤활력을 타나냄으로써 금속표면의 부식으로 인한 윤활력 감소를 개선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4. 용제 희석형 방청윤활제 조성물의 방청 성능 확인
제조예 1-3, 비교예 4-6 및 WD-40의 방청 성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염수분무(35℃): KS M 2109에 의해 측정
Figure pat0000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수분무에 의한 방청 성능을 측정하여 등급을 구분한 결과, 염수분무 시험 48시간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교예 보다 더 우수한 방청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염수분무 시험 96시간에서는 제조예 2-3의 조성물이 비교예에 비하여 더 우수한 방청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 성분을 포함하는 방청윤활제의 경우 더 우수한 방청 성능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는 본 발명의 플러렌, 유용성 몰리브덴 화합물 및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비교예의 방청윤활제 보다 더 우수한 방청 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다음을 포함하는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a) 기유;
    (b) 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용제 전제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3 중량% 이하인 석유계 용제;
    (c) 방청제; 및
    (d) 윤활제로서 플러렌 및 유용성(oil-soluble) 금속화합물, 상기 금속은 몰리브덴, 아연 및 텅스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유는 폴리알파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윤활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탄화수소는 C10-20의 노말파라핀, C10-20의 이소파라핀 및 C10-20의 사이클로파라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윤활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유기 술폰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윤활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술폰산염은 바륨 술폰산염 또는 칼슘 술폰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윤활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20-30 중량%의 기유, 65-76 중량%의 석유계 용제, 3-9 중량%의 방청제, 0.001-0.1 중량%의 플러렌 및 0.01-1 중량%의 유용성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윤활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윤활제 조성물은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윤활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는 0.01-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윤활제 조성물.
  9.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기유에 플러렌을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b) 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용제 전제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3 중량% 이하인 석유계 용제에 방청제, 플러렌 및 유용성 금속화합물을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 상기 금속은 몰리브덴, 아연 및 텅스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및
    (c) 단계 (a)와 (b)의 결과물을 혼합하여 방청윤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는 석유계 용제에 하이드로플루오르에테르를 추가적으로 혼합하고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30081119A 2013-07-10 2013-07-10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19A KR101543321B1 (ko) 2013-07-10 2013-07-10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19A KR101543321B1 (ko) 2013-07-10 2013-07-10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20A true KR20150007120A (ko) 2015-01-20
KR101543321B1 KR101543321B1 (ko) 2015-08-11

Family

ID=5257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119A KR101543321B1 (ko) 2013-07-10 2013-07-10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4107A (zh) * 2021-12-10 2022-03-22 安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挥发性防锈冲压油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3758A (en) 1993-11-11 1995-05-17 Nsk Ltd Rust preventive lubricating oil
JP2009215483A (ja) 2008-03-12 2009-09-24 Sumico Lubricant Co Ltd エアゾール組成物
US20120277135A1 (en) 2009-11-18 2012-11-01 Liquifix Lubricating o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4107A (zh) * 2021-12-10 2022-03-22 安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挥发性防锈冲压油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321B1 (ko)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of friction modifiers for liquid lubricants (2007–present)
JP5558496B2 (ja) グリース組成物
CN107849479B (zh) 有机金属盐组合物、其制备方法和润滑剂添加剂组合物
JP2014505127A (ja) グリース組成物
BR102013008874A2 (pt) Composição de óleo lubrificante, método para melhorar o desempenho econômico de combustível de um veículo, e, uso de uma composição de óleo lubrificante
JP2009292918A (ja) 潤滑剤組成物
BR102015012735B1 (pt) Composição de óleo lubrificante, método para lubrificar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e, uso de um modificador de fricção polimérico solúvel em óleo ou dispersível em óleo e de uma composição de óleo lubrificante
WO2014126315A1 (ko) 윤활유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Ong et al. Ashless and non-corrosive disulfide compounds as excellent extreme pressure additives in naphthenic oil
US10752859B2 (en) Grease composition
JP6545084B2 (ja) 潤滑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3321B1 (ko) 자극성 냄새가 저감된 방청윤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BR112017016377B1 (pt) Composição de graxa lubrificante
BRPI1003154A2 (pt) composição de óleo lubrificante para aplicações de cárter
CN105705621B (zh) 润滑脂组合物的改善的侧倾稳定性
Holweger Fundamentals of lubricants and lubrication
CN110168059A (zh) 润滑脂组合物、该润滑脂组合物的制造方法、和该润滑脂组合物的使用方法
CN110869477B (zh) 尤其用于抑制摩擦的润滑剂组合物
RU2391386C1 (ru) Пластичная смазка
Liang et al. Tribological behaviour of two ash-less and phosphorous-free anti-wear additives and their synergetic effect with zinc dialkyldithiophosphates in mineral oil
CN106256887A (zh) 润滑剂组合物
EP4013841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lubricating automotive gears, axles and bearings
JP2021172667A (ja) 電気接点用グリース組成物
WO2017115703A1 (ja) 潤滑油組成物
CN106699806A (zh) 低杂质含量的二烷基二硫代磷酸锌、其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