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912A -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912A
KR20150005912A KR1020147026765A KR20147026765A KR20150005912A KR 20150005912 A KR20150005912 A KR 20150005912A KR 1020147026765 A KR1020147026765 A KR 1020147026765A KR 20147026765 A KR20147026765 A KR 20147026765A KR 20150005912 A KR20150005912 A KR 20150005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lly
protrusions
clutch assembly
slots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936B1 (ko
Inventor
크리스 루이폴드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0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6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 F16D1/07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8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 F16D13/683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for 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61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클러치 조립체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으로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이 통과하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 및 링 기어 캐리어로서 허브를 상기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허브와 압축식 결합 상태이며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링 기어 캐리어를 포함한다.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배열되는 슬롯의 각 슬롯은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Description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 및 그 방법{CLUTCH ASSEMBLY WITH A TAB RIVET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3월 27일자로 출원되었으며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1/616,137의 미국 특허법(35 U.S.C. §119(e) 하의 이득을 청구한다.
본 출원은 링 기어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로부터의 돌출부에 의해 결합되는 허브를 구비한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캐리어는 허브 내의 슬롯, 특히 캐리어에 대한 주연부의 부분을 만곡시켜 형성된 돌출부 내에 배치된다.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5,916,056에 의해 교시된 바와 같이 용접을 이용하여 변속기 클러치 조립체를 위한 허브 및 캐리어를 결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용접은 고가이며 부품의 열변형(heat distortion) 및 용접튐(splatter)으로부터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5,026,337에 의해 교시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인 및 스냅 링 배열체를 이용하여 변속기 클러치를 위한 허브 및 캐리어를 결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체는 조립체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조립체의 축방향 확장을 바람직하게 증가시킨다.
본원에 도시된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갖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는 허브로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은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허브와,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링 기어 캐리어로서, 복수의 돌출부는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배치되어 허브를 캐리어에 대해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허브와 압축식으로 결합하는, 링 기어 캐리어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배열되는 슬롯의 각 슬롯은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본원에 도시된 양태에 따르면, 허브의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 내에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의 각 슬롯은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와, 링 기어 캐리어의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 형성 단계와,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복수의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돌출부의 개별 세그먼트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넘어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 삽입 단계와, 복수의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돌출부는 허브를 링 기어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압축식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원에 도시된 양태에 따르면,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갖는 허브 및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 내에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는 링 기어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링 기어 캐리어는 링 기어 캐리어를 위한 반경방향 최내측 주연부를 형성하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배치되고 허브를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압축식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다.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 개방부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배열되는 슬롯의 각 슬롯은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로서, 대응하는 참조 부호들이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도 1a는 본 출원에서 사용된 공간적 용어를 나타내는 원통 좌표계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출원에서 사용된 공간적 용어를 나타내는 도 1a의 원통 좌표계 내의 물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허브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링 기어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영역(5)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허브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링 기어 캐리어의 후면도이다.
도 8은 주연방향 홈을 도시한 도 2 내의 돌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베어링을 도시한 도 2의 영역(9)의 영역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제조 시 사용되는 펀치 및 앤빌을 도시한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우선, 상이한 도면 상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본원 발명의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조 요소를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된 본원 발명은 개시된 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설명된 특정 방법, 재료 및 변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연히 그로 인해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규정되지 않는다면,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적 용어는 본원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임의의 방법, 장치 또는 재료는 본원 발명의 내용을 실현하거나 시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출원에서 사용된 공간적 용어를 나타내는 원통 좌표계(80)의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은 원통 좌표계와 관련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시스템(80)은 후속하는 방향 및 공간적 용어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종방향 축(81)을 갖는다. 형용사 "축방향", "반경방향", 및 "주연방향"은 축(81), [축(81)에 직교하는] 반경(82) 및 주연부(83) 각각에 평행한 배향에 관한 것이다. 형용사 "축방향", "반경방향" 및 "주연방향"은 또한 각각의 평면에 대해 평행한 배향을 고려한다. 다양한 평면의 배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물체(84, 85, 86)가 사용된다. 물체(84)의 표면(87)은 축방향 평면을 형성한다. 즉, 축(81)은 상기 표면을 따르는 선을 형성한다. 물체(85)의 표면(88)은 반경방향 평면을 형성한다. 즉, 반경(82)은 상기 표면을 따르는 선을 형성한다. 물체(86)의 표면(89)은 주연방향 평면을 형성한다. 즉, 주연부(83)는 상기 표면을 따르는 선을 형성한다. 다른 예로서, 축방향 움직임 또는 배치는 축(81)에 평행하고, 반경방향 움직임 또는 배치는 반경(82)에 평행하며, 주연방향 움직임 또는 배치는 주연부(83)에 평행하다. 회전은 축(81)에 관한 것이다.
부사 "축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및 "주연방향으로"는 축(81), 반경(82) 및 주연부(83) 각각에 평행한 배향에 관한 것이다. 부사 "축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및 "주연방향으로"는 또한 각각의 평면에 대해 평행한 배향을 고려한다.
도 1b는 본 출원에서 사용된 공간적 용어를 나타내는 도 1a의 원통 좌표계(80) 내의 물체(90)의 사시도이다. 원통형 물체(90)가 원통 좌표계 내의 원통형 물체를 대표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원 발명을 제한하기 위해 의도되지 않았다. 물체(90)는 축방향 표면(91), 반경방향 표면(92) 및 주연방향 표면(93)을 포함한다. 표면(91)은 축방향 평면의 일부이며, 표면(92)은 반경방향 표면의 일부이며, 표면(93)은 주연방향 표면이다.
도 2는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1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허브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링 기어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영역(5)의 상세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해야 한다. 클러치 조립체(100)는 허브(102) 및 링 기어 캐리어(104)를 포함한다. 허브는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108)을 구비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106)을 포함하는데, 슬롯은 상기 부분(106)을 통과한다. 링 기어 캐리어는 돌출부 또는 탭 리벳(110)을 포함하는데, 돌출부 또는 탭 리벳(110)은 슬롯(108) 내에 배치되며 허브를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허브, 특히 슬롯의 에지(112)와 압축식으로 결합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허브(102)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링 기어 캐리어(104)의 후면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해야 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슬롯은 반경방향(R)보다 주연방향(C)으로 더 연장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R)보다 주연방향(C)으로 더 연장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롯에 의해 형성된 개방부가 부분(106)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데, 예컨대 슬롯은 부분(106)의 외측 주연부(OC)에 대해 개방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돌출부는 개별 원위 단부(DE)를 포함하고, 각 DE는 예컨대 에지(E)인, 링 기어 캐리어를 위한 에지의 개별 부분을 형성하는데, 에지(E)의 일부는 캐리어(104)를 위한 내측 주연부(IC)를 형성한다. 예컨대, 후술되는 바와 같이, IC는 세그먼트(113)들을 형성하도록 펀칭하고, 하나씩 거른 세그먼트(113)(every other segment)는 돌출부(110)를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만곡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슬롯은 각각의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112R)를 포함하고, 부분(106, 112R)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 코너(114)는 둥글게 형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링 기어 캐리어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116)을 포함하고, 돌출부는 상기 부분(11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돌출부 및 상기 부분(116)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코너(118)는 둥글게 형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너(114, 118)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꼭 맞게 결합된다. "꼭 맞게 결합된(matingly engaged)"이란, 코너(114, 118)의 각각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부분들이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너(11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하는 부분(116)의 개별 세그먼트(120)는 제1 압축 응력 양 하에 있으며, 코너(118)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부분(116)의 개별 세그먼트(122)는 제1 압축 응력 양보다 큰 제2 압축 응력 양 하에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체(100), 특히 세그먼트(122) 상에서의 토크 부하와 관련된 인장력은 링 기어 캐리어로부터 허브를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유리하게는, 세그먼트(122) 내의 추가의 압축 응력의 생성은 이러한 인장력에 대항하여, 조립체(100)의 토크 용량(torque capacity)을 증가시킨다.
도 8은 주연방향 홈을 도시한 도 2 내의 돌출부의 상세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해야 한다. 부분(106)은 양쪽 축방향, 예컨대, 각각의 축방향(A1, A2)을 향하는 표면들(SF1, SF2)을 포함한다. 부분(116), 특히 표면(SF3)은 SF1과 접촉한다. 각각의 돌출부는 SF2와 접촉하는 개별 세그먼트(124)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개별 세그먼트(124)는, SF2와 동일한 축방향, 예컨대, A2를 향하며 주연방향으로 배치된 홈(126)을 포함하는 표면(SF4)을 포함한다. 돌출부의 축방향 압축으로 인해 생성되는 홈(126)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방향(A2)에서 부분(106)을 넘어 연장하는 돌출부의 부분을 형성하는 재료의 (슬롯의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을 향한) 유리한 변위를 초래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홈(126)은 세그먼트(124)의 전체 주연방향, 예컨대 주연방향 단부(CE1)로부터 주연방향 단부(CE2)로 연장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부분(106)은 양쪽 축방향, 예컨대, 축방향(A1, A2)을 향하는 측면(SD1, SD2)을 포함한다. SD2는 만입된 세그먼트(128)를 포함한다. 슬롯(108)은 복수의 만입된 세그먼트 내에 위치된다.
도 9는 베어링을 도시한 도 2 내의 영역(9)의 영역의 상세도이다. 후술되는 내용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야 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조립체(100)는 변속기에 사용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베어링(B1)은 조립체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데 사용되며, 스러스트 베어링(B2, B3)은 조립체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추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립체(100)의 제조는 유리하게는 베어링(B1)이 착좌하는 허브의 표면(SF5)의 경화를 촉진한다.
도 10은 제조 시 사용되는 펀치 및 앤빌을 도시한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해야 한다. 후술되는 내용은 클러치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조립체(100)는 후속하는 예시적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그 방법은 조립체(100)를 위해 도시 및 설명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단계는 허브(102)의 부분(106) 내에 슬롯(108)을 형성하는데, 각각의 슬롯은 반경방향(R)보다 주연방향(C)으로 더 연장한다. 다른 단계는 링 기어 캐리어(104)의 부분(116)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110)를 형성하는데, 각각의 돌출부는 방향(R)보다는 방향(C)으로 더 연장한다. 다른 단계는 슬롯 내에 돌출부를 삽입하는데, 돌출부의 개별 세그먼트는 부분(106)을 넘어, 예컨대 방향(A2)으로 연장한다. 추가의 단계는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데, 돌출부는 허브를 링 기어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부분(106)과 압축식으로 결합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는 부분(106)과 함께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개방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슬롯은 부분(106)의 외측 주연부(OC)에 대해 개방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대한 내측 주연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세그먼트, 예컨대 부분(116)에 대한 내측 주연부(IC)의 부분을 형성하는 세그먼트(113)를 축방향으로 만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는, 슬롯의 각각의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112R) 및 부분(106)에 의해 형성된 개별 코너(114)를 둥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돌출부 및 부분(116)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코너(118)를 둥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추가의 단계는 제1 및 제2 개별 코너들을 꼭 맞게 결합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는 코너(11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하는 부분(106)의 각각의 세그먼트(120)를 제1 압축 응력 양 하에 배치하는 단계, 및 코너(114)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부분(106)의 각각의 세그먼트(122)를 제1 압축 응력 양보다 큰 제2 압축 응력 양 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롯 내에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는 부분(106)을 넘어 축방향으로 돌출부의 각각의 세그먼트(124)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는 링 기어 캐리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부분(106)의 표면(SF2)과 접촉하도록 세그먼트(124)의 각각의 부분을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세그먼트(124)의 각각의 부분을 변위시키는 단계는 반경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하여 각각의 부분을 변위시키고 각각의 주연방향으로 배치된 홈(126)을 형성하기 위해 링 기어 캐리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된 부분(124)의 표면(SF4)을 만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앤빌(128)이 부분(116) 뒤에서 삽입되어, 부분(116) 및 돌출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펀치(130)는 돌출부, 특히 세그먼트(124)의 표면(SF4)에 축방향(A1)으로 힘을 가하여, 허브와 돌출부를 압축식으로 결합한다. 도 5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팽경(upsetting) 전, 돌출부(110)의 코너(118)의 반경은 슬롯(108)의 코너(114)의 반경보다 크다. 또한, 허브에 대한 캐리어의 조립을 수용하기 위해, 돌출부(110)는 슬롯(108)보다 작다. 앤빌은 캐리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돌출부는 슬롯 내로 반경방향 및 주연방향으로 팽창되며, 코너(118)는 펀치(13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동안 코너(114)와 접촉하여 가압되며, 이로 인해 세그먼트(122) 상에서 상술된 압축 응력이 증가된다. 앤빌의 위치로 인해, 단차(131)가 펀치(130)에 반응하는 돌출부의 팽창에 의해 돌출부(110) 내에 형성된다. 펀치(130)는 돌출부(132)를 포함하는데, 이 돌출부는 표면(SF4)과 결합하여, 슬롯과 접촉하여 슬롯을 따르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재료의 더욱 균일하고 넓은 변위를 유발한다. 표면(SF4)과 돌출부(132)의 접촉은 홈(126)을 초래한다.
후속하는 내용은 조립체(100) 및 조립체(100)의 제조에 관한 추가의 세부 사항 및 정보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만입된 세그먼트(128)는 부분(106)을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코이닝(coining)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슬롯(108)을 형성하도록 천공된다. 또한, 이러한 코이닝 프로세스로 인해,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돌출부의 소정 영역 내의 허브를 기계가공할 필요가 없다. 기계가공은 중단된 절결부(interrupted cut)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중단된 절결부는 상당한 비용의 마무리(deburring)를 요구할 수 있다. "코이닝"이란, 세그먼트의 소정 영역에서 재료를 압축함으로써 만입된 세그먼트를 생산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너(114, 118)는 또한 코이닝 프로세스, 특히 코너를 형성하도록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된다. 코이닝된 코너는 충전하는 것, 즉 슬롯 및 압축식으로 결합된 허브를 충전하고 허브와 링 기어 캐리어를 더욱 양호하게 착좌시키기 위해 돌출부의 팽창을 돕는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가 슬롯 내로 삽입되면, 스프링 장전식 펀치(130)는 상술된 축방향 힘을 제공하는데, 이는 허브와 링 기어 캐리어를 함께 착좌시킨다. 이러한 축방향 힘이 가해지는 동안, 잔류 압축 응력의 추가적인 양이 코너(114) 및 세그먼트(122)에 가해진다. 이러한 잔류 압축 응력은 내구성 향상을 초래하는데, 즉 압축 응력은 조립체(100)의 작동과 관련된 인장 응력과 반대로 작용한다. 돌출부(132)는 슬롯의 양쪽 축방향 측면에 대해 재료를 분배하는 것을 돕는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펀치(130)가 힘을 가하는 동안, 돌출부는 앤빌(128)과 함께 코너(118)를 통해 완전히 지지되어, 돌출부가 슬롯으로부터 다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조립체(100)의 구성은 링 기어 캐리어의 축방향 크기, 특히 앤빌을 수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S)의 축방향 크기를 최소화한다. 조립체(100)는 또한 허브를 링 기어 캐리어에 용접하는 것을 대체한다. 용접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조립체(100)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조립체를 형성하는 부품의 바람직하지 못한 가열 및 잠재적 왜곡을 초래할 수도 있다.
다양한 전술된 그리고 다른 구성 및 기능 또는 그의 대안들은 바람직하게는 수많은 그외의 상이한 시스템 및 용도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 발명에 대한 다양하며 현재로선 의외의 또는 예측되지 않은 대안, 변형, 변경 및 개선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후속하는 청구항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9)

  1. 클러치 조립체이며,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갖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는 허브로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은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허브와,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링 기어 캐리어로서, 복수의 돌출부는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배치되어 허브를 캐리어에 대해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허브와 압축식으로 결합하는, 링 기어 캐리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배열되는 슬롯의 각 슬롯은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클러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 개방부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클러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로부터의 각 돌출부는 링 기어 캐리어를 위한 에지의 개별 부분을 형성하는 개별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의 각 슬롯은 개별적인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를 포함하고,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 및 개별적인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개별 코너들은 둥글게 형성되고,
    링 기어 캐리어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 및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제2 개별 코너는 둥글게 형성되어 제1 개별 코너와 꼭 맞게 결합되는
    클러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제2 개별 코너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의 제1 개별 세그먼트는 제1 압축 응력 양 하에 있으며,
    제2 개별 코너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의 제2 개별 세그먼트는 제1 압축 응력 양보다 큰 제2 압축 응력 양 하에 있는
    클러치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은 양쪽 축방향을 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링 기어 캐리어는 제1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고,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의 돌출부는 제2 표면과 접촉하는 개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세그먼트는, 제2 표면과 동일한 축방향을 향하고 주연방향으로 배치된 홈을 포함하는 제3 표면을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은 양쪽 축방향을 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링 기어 캐리어는 제1 측면과 접촉하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측면은 복수의 만입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은 복수의 만입된 세그먼트 내에 위치되는
    클러치 조립체.
  9. 클러치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허브의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 내에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의 각 슬롯은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와,
    링 기어 캐리어의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복수의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돌출부의 개별 세그먼트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넘어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복수의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돌출부는 허브를 링 기어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압축식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함께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개방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위해 내측 주연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세그먼트를 축방향으로 만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의 개별적인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 및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개별 코너를 둥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돌출부 및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개별 코너를 둥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개별 코너를 꼭 맞게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는
    제1 압축 응력 양 하에서 제1 개별 코너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의 제1 개별 세그먼트를 배치하는 단계와,
    제1 압축 응력 양보다 큰 제2 압축 응력 양 하에서 제2 개별 코너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의 제2 개별 세그먼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제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복수의 돌출부를 삽입하는 단계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넘어 축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의 개별 세그먼트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돌출부 상에 힘을 가하는 단계는 링 기어 캐리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개별 세그먼트의 각 부분을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개별 세그먼트의 각 부분을 변위시키는 단계는 반경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하여 상기 각 부분을 변위시키고 개별적인 주연방향으로 배치된 홈을 형성하기 위해, 링 기어 캐리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각 부분의 표면을 만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제조 방법.
  16. 클러치 조립체이며,
    허브로서,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 내의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을 포함하는, 허브와,
    링 기어 캐리어로서,
    링 기어 캐리어를 위한 반경방향 최내측 주연부를 형성하는,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 내에 배치되고, 허브를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과 압축식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링 기어 캐리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 개방부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배열되는 슬롯의 각 슬롯은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복수의 돌출부의 각 돌출부는 반경방향보다 주연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클러치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허브는 복수의 주연방향으로 정렬된 슬롯의 개별적인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 및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적인 제1 둥근 코너들을 포함하고,
    링 기어 캐리어는 복수의 돌출부의 개별적인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표면 및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개별적인 제2 둥근 코너들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개별 코너들은 꼭 맞게 결합되고,
    제1 개별 코너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의 제1 개별 세그먼트는 제1 압축 응력 양 하에 있으며,
    제1 개별 코너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의 제2 개별 세그먼트는 제1 압축 응력 양보다 큰 제2 압축 응력 양 하에 있는
    클러치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은 양쪽 축방향을 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2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은 제1 표면과 접촉하고,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의 돌출부는 제2 표면과 접촉하는 개별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세그먼트는, 제2 표면과 동일한 축방향을 향하고 주연방향으로 배치된 홈을 포함하는 제3 표면을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19.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로부터의 각각의 돌출부는 링 기어 캐리어의 에지의 개별 부분을 형성하는 개별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클러치 조립체.
KR1020147026765A 2012-03-27 2013-03-18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 및 그 방법 KR102058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6137P 2012-03-27 2012-03-27
US61/616,137 2012-03-27
PCT/US2013/032776 WO2013148392A1 (en) 2012-03-27 2013-03-18 Clutch assembly with a tab rivet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912A true KR20150005912A (ko) 2015-01-15
KR102058936B1 KR102058936B1 (ko) 2019-12-24

Family

ID=4923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765A KR102058936B1 (ko) 2012-03-27 2013-03-18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2196B2 (ko)
JP (1) JP6272821B2 (ko)
KR (1) KR102058936B1 (ko)
CN (1) CN104428547B (ko)
DE (1) DE112013001763T5 (ko)
IN (1) IN2014DN07652A (ko)
WO (1) WO2013148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0930A5 (de) * 2014-02-24 2016-11-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 mit Flanschverbindung
DE112016002137T5 (de) * 2015-05-12 2018-01-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trägerbaugruppe
DE102015211121A1 (de) * 2015-06-17 2016-12-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US10352374B2 (en) * 2015-09-15 2019-07-16 Magna Powertrain, Inc. Method of forming and machining a clutch hub
US10054172B2 (en) 2015-12-11 2018-08-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iston to damper tab rivet connection
US9803700B2 (en) 2016-03-09 2017-10-31 Magna Powertrain, Inc. Clutch ring gear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DE102016125074A1 (de) * 2016-10-06 2018-04-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JP6877655B2 (ja) * 2018-01-16 2021-05-26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変速機用のクラッチキャリア
DE102020115292A1 (de) 2020-06-09 2021-12-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mellenträger,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Lamellenträg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556A (ja) * 1992-07-22 1994-02-15 Nippondenso Co Ltd 電磁クラッチ
JP2004036898A (ja) * 1992-04-18 2004-02-05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トルク伝達装置
JP2009191952A (ja) * 2008-02-14 2009-08-27 Ntn Corp 回転伝達装置
JP2010530047A (ja) * 2007-06-15 2010-09-02 ツェットエフ フリードリヒスハーフェ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トルク伝達のためのギアの二つの部材の回転しない接続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7984A (en) * 1972-11-02 1975-06-10 Polaroid Corp Riveting apparatus and method
DE2503518A1 (de) * 1975-01-29 1976-08-1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lanetenradtraeger aus blechteilen
DE3145312A1 (de) * 1981-11-14 1983-05-26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Kupplungsscheibe mit torsionsschwingungsdaempfer mit in einer ebene angeordneten daempfsystemen
JPS6085660U (ja) * 1983-11-14 1985-06-1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社 プラネタリギアセツト
JPS63145846A (ja) 1986-12-09 1988-06-17 Aisin Warner Ltd 自動変速機
JPH07238998A (ja) 1994-03-01 1995-09-12 Honda Motor Co Ltd 遊星歯車装置におけるリングギヤ支持部材の支持構造
FR2718806B1 (fr) * 1994-04-14 1996-07-12 Valeo Plateau de réaction pour embrayage à friction,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DE4421931A1 (de) * 1994-06-23 1996-01-11 Ford Werke Ag Planetenradträger
JPH10238601A (ja) * 1997-02-26 1998-09-08 Jatco Corp 自動変速機の遊星歯車装置
JP4282889B2 (ja) * 2000-10-13 2009-06-24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KR20040033876A (ko) * 2002-10-16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토오크 컨버터의 드리븐 플레이트 장착 구조
US20080047797A1 (en) * 2004-05-28 2008-02-28 Steve Hargreaves Clutch
WO2007095883A1 (de) * 2006-02-22 2007-08-3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gehäuse mit öffnungen zum aufnehmen einer kupplungsscheibe
WO2007112722A1 (de) * 2006-04-04 2007-10-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adiale strömungskammer für kupplungen in einer kupplungsbaugruppe
JP5044155B2 (ja) * 2006-07-04 2012-10-10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
DE102009027066A1 (de) * 2009-06-22 2010-12-23 Zf Friedrichshafen Ag Geschweißtes Bauteil, insbesondere Planetenradträger,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Bauteil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1003824A1 (de) * 2010-02-25 2011-08-25 BorgWarner Inc., Mich. Wellband für Kupplungsgehäuse und -nabe mit Keilverzahnung
US8839923B2 (en) * 2010-06-30 2014-09-2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Torque converter with deflectable se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898A (ja) * 1992-04-18 2004-02-05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トルク伝達装置
JPH0642556A (ja) * 1992-07-22 1994-02-15 Nippondenso Co Ltd 電磁クラッチ
JP2010530047A (ja) * 2007-06-15 2010-09-02 ツェットエフ フリードリヒスハーフェ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トルク伝達のためのギアの二つの部材の回転しない接続
JP2009191952A (ja) * 2008-02-14 2009-08-27 Ntn Corp 回転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8392A1 (en) 2013-10-03
DE112013001763T5 (de) 2015-02-19
IN2014DN07652A (ko) 2015-05-15
US20130256080A1 (en) 2013-10-03
JP2015512497A (ja) 2015-04-27
KR102058936B1 (ko) 2019-12-24
CN104428547B (zh) 2017-06-23
CN104428547A (zh) 2015-03-18
US9022196B2 (en) 2015-05-05
JP6272821B2 (ja)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936B1 (ko) 탭 리벳 연결부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 및 그 방법
EP1852623B1 (en) Coned disc spring
EP149393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ring assembly
EP2014937B1 (en) Assembling method of bearing unit
KR101463321B1 (ko) 코킹 체결 부품, 코킹 체결 부품의 체결 방법, 코킹 체결 부품의 제조 방법
KR20140013057A (ko) 압입 구조 및 압입 방법
JP5331996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ためのタービンシェル及びポンプシェル及び製造方法
JP2016512306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キャリアアセンブリ
JP2017511105A (ja) 積層薄板パッケージを備えた電気機械用構造ユニット、その構造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電気機械
US6776274B2 (en) Assembly for vehicle driveline components
US7243770B2 (en) Clutch assembly including strengthening members
CN107178562B (zh) 离合器环形齿轮组件及其构造方法
CN112805487B (zh) 碟形弹簧、碟形弹簧装置、以及碟形弹簧的制造方法
EP2246584B1 (en) Clutch
US6237221B1 (en) Method of fixing impeller blades of a torque converter
JP7351671B2 (ja) 車両用回転電機のロータ
JP4780301B2 (ja) 駆動部品の塑性結合方法
JP4257742B2 (ja) ドラム形部品の製造方法
JP5321114B2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7160360A (ja) 駆動部品の塑性結合方法
JP2004301208A (ja) 歯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53665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KR20190035722A (ko) 압력판 유닛 제조 방법, 압력판 유닛, 그리고 마찰 클러치
JP2004340293A (ja) 板状部材の加工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ルクコンバータのタービンシェルの加工方法
JP2006029415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