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760A -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760A
KR20150005760A KR20130078397A KR20130078397A KR20150005760A KR 20150005760 A KR20150005760 A KR 20150005760A KR 20130078397 A KR20130078397 A KR 20130078397A KR 20130078397 A KR20130078397 A KR 20130078397A KR 20150005760 A KR20150005760 A KR 2015000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ver
horizontal
extend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261B1 (ko
Inventor
홍선옥
Original Assignee
홍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선옥 filed Critical 홍선옥
Priority to KR102013007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2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시공성과 이동성이 향상됨은 물론 쾌적한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조립식 건축물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둥의 저면과 저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벽체설치부와, 상기 벽체설치부 일측으로 바닥체의 연결을 위한 바닥체연결부를 구비하는 이음자재가 저부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벽체와 바닥체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PREFABRICATED BULDING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성과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쾌적한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에서 기초나,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등은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기초와 골조 등이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구축되는 기존 건축물의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른 시간으로 인해 신속한 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시공성 향성을 위해 미리 제작된 상태의 기둥이나 벽체를 시공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5992호
그러나 벽체나 기둥을 현장에서 바로 설치하게 되는 종래 건축물의 경우, 기초부분은 여전히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구축되고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아직까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간단한 건축물들의 경우 시공성과 이동성을 우선시하여 실제 컨테이너나 컨테이너에 가까운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은 건축물의 경우 전체적으로 두꺼운 철판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 이송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은 낮고 열전도율은 높아 제대로 된 생활공간을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이 향상되고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쾌적한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둥의 저면과 저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벽체설치부와, 상기 벽체설치부 일측으로 바닥체의 연결을 위한 바닥체연결부를 구비하는 이음자재가 저부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벽체와 바닥체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체는 복수의 수평판재를 통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평판재의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상기 바닥체연결부는 상기 벽체설치부의 내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판재는 바닥체의 보강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상부로 융기되도록 돌출되어 마련된 돌출보강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바닥체연결부는 상기 수평연장부의 보강을 위해 상기 수평연장부 저부 쪽 상기 벽체설부의 내벽과 상기 수평연장부의 연장방향 끝단 사이를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경사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설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상기 기둥들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기 벽체는 상기 기둥들의 일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측면커버와, 상기 기둥들의 타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2측면커버와, 황토분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측면커버와 상기 기둥들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과, 상기 충진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들의 상단을 덮도록 마련된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물은 짚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짚은 상기 황토분말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벽체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조립식 건축물은 상기 벽체들 상부 쪽을 덮도록 마련된 중공의 지붕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붕체 내부에는 황토분말을 포함하는 충진물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기둥은 베이스면부와, 상기 베이스판주 양단에 상기 베이스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각 측면부 끝단에 맞은편 상기 측면부 쪽으로 절곡연장된 한 쌍의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씨형강이 상기 베이스면부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둥의 저면과 저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벽체설치부와, 상기 벽체설치부 일측으로 바닥체의 연결을 위한 바닥체연결부를 구비하는 이음자재를 저부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하는 이음자재 설치단계; 상기 벽체설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들의 하단을 삽입하고, 상기 기둥들의 일측면 사이와 타측면 사이를 각각 제1 및 제2측면커버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측면커버와 상기 기둥들 사이에 황토분말을 포함하는 충진물을 충진시키고, 상기 기둥들의 상단을 상부커버로 덮어 상기 벽체를 조립하는 벽체조립단계; 및 상기 바닥체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판재들을 상기 바닥체연결부에 체결하여 상기 벽체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바닥체를 조립하는 바닥체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건축물은 벽체설치부와 바닥체연결부를 구비하는 이음자재에 의해 벽체와 바닥체가 일체로 연결되므로, 기초를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벽체를 바닥체 둘레에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되고, 바닥체 쪽을 들어 올려 벽체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시공성과 이동성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지면에 인접하는 바닥 쪽을 제외하고 측방 둘레와 상부를 구성하는 벽체와 지붕체 내부에 황토분말이 충진되어 건축물 전체적으로 통기성이 향상되고 냉난방효율이 향상되어 보다 쾌적한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에 있어서 이음자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이음자재 설치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벽체조립단계와 바닥체조립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벽체조립단계와 바닥체조립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바닥체조립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벽체조립단계에서 제1 및 제2측면커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벽체조립단계에서 벽체 내부에 충진물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벽체조립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지붕체 조립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복층식으로 마련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과정 중 요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현장에서 조립하여 바로 시공이 가능한 이동형 건축물로써, 바닥체(10)와, 벽체(20)와, 지붕체(30)를 구비한다.
이중 벽체(20)와 바닥체(10)는 이음자재(4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건축물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건축물의 전반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자재(40)는 벽체(20)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21)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기둥(21)의 저면과 저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벽체설치부(41)와, 벽체설치부(41) 일측으로 바닥체(10)의 연결을 위해 마련된 바닥체연결부(42)를 구비하며, 벽체설치부(41) 내부 공간은 기둥(21) 하단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41a)을 형성하게 된다.
이음자재(40)는 형강이나 빔과 같이 길이가 길게 제작된 압출물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벽체설치부(41)와 바닥체연결부(42)는 이음자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바닥체(10)의 경우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판재(11)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평판재(11)들의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바닥체연결부(42)는 벽체설치부(41)의 내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42a)를 구비한다. 그리고 바닥체(10)를 지지하는 수평연장부(42a)의 보강을 위해 바닥체연결부(42)는 수평연장부(42a) 저부 쪽 벽체설부(41)의 내벽과 수평연장부(42a)의 연장방향 끝단 사이를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경사연장부(42b)를 더 구비하게 된다.
수평연장부(42a)와 경사연장부(42b) 사이의 공간은 수평판재(11)의 체결을 위해 수평연장부(42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00)의 저부를 수용하는 체결부재 수용공간(42c)을 형성하여 체결부재(100)의 외부 노출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미관저해를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설치부(41)와 바닥체연결부(42)를 구비하는 이음자재(40)에 의해 벽체(20)와 바닥체(10)가 일체로 연결되는 조립식 건축물은 기초를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벽체(20)를 바닥체(10) 둘레에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되고, 바닥체(10) 쪽을 들어 올려 벽체(20)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시공성과 이동성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음자재(40)를 이용하여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할 때는 이음자재(40)를 시공하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저부 외곽 둘레를 따라 지면에 배치하는 이음자재 설치단계와, 이음자재(40)의 벽체설치부(41)를 통해 벽체(20)를 조립하는 벽체조립단계와, 이음자재(40)의 바닥체연결부(42)를 통해 바닥체(10)를 조립하는 바닥체 조립단계와, 벽체(20)와 바닥체(1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벽체(20) 상부로 지붕체(30)를 조립하는 지붕체 조립단계를 거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자재 설치단계에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건축물의 저부 외곽 둘레를 따라 복수의 이음자재(40)를 틀 형태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각 이음자재(40)는 단부가 사선 형태로 전달된 상태에서 인접한 것끼리 상호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음자재 설치단계가 수행된 상태에서는 이음자재(40)를 이용하여 벽체조립단계와 바닥체 조립단계가 수행된다. 벽체조립단계와 바닥체 조립단계는 순서에 상관없이 진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진행도 가능하게 된다.
벽체조립단계에서는 먼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자재(40)의 벽체설치부(41)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의 기둥(21)들의 하단을 삽입하게 된다.
기둥(21)은 베이스면부(51)와, 베이스면부(51) 양단에 베이스면부(51)와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52)와, 각 측면부(52) 끝단에 맞은편 측면부(52) 쪽으로 절곡연장된 한 쌍의 절곡연장부(53)를 포함하는 한 쌍의 씨형강(50)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씨형강(50)은 각 베이스면부(51)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기둥(21)을 이루게 된다. 이때 베이스면부(51) 사이는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설치부(41)에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21)은 양측 씨형강(50)의 측면부(52)가 벽체설치부(41)의 삽입홈(41a) 내면에 용접결합되어 입설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도 기둥(21)은 벽체설치부(41)에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a는 스폿용접부를 가리킨다.
기둥(21)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21)들의 일측면 사이를 제1측면커버(61)를 통해 연결하고, 기둥(21)들의 타측면 사이는 제2측면커버(62)를 통해 연결하여 제1 및 제2측면커버(61,62)와 기둥(21)들 사이에 중공의 충진공간(22)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및 제2측면커버(61,62)는 각각 판판한 복수개의 철판으로 구성되어 기둥(21)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측면커버(61,62)가 설치된 상태에서 충진공간(22)으로는 황토분말(71)을 포함하는 충진물(70)이 충진되고, 벽체조립단계는 충진공간(22)에 충진물(70)이 충진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상부커버(80)를 이용하여 기둥(21)들의 상단을 덮음으로써 완료된다.
황토분말(71)의 경우 통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균효과가 뛰어나고, 낮은 열전도 특성을 갖게 되므로, 이와 같은 황토분말(71)이 충진물(70)로써 내부에 충진된 벽체(20)는 뛰어난 습도 조절 능력과 항균 능력을 발휘하게 되어 벽체(20) 안쪽의 실내공간이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높이는데도 기여하게 된다.
충진물(70)의 경우 대부분이 황토분말(71)로 구성되며, 황토분말(71) 사이의 공극률을 높여 충진물(70)의 통기능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충진물(70)에는 황토분말(71)과 함께 벼, 보리, 밀, 조 따위의 줄기나 잎으로 형성되는 소량의 짚(72)이 포함될 수 있다. 벽체조립단계에서 충진물(70)을 구성하는 황토분말(71)과 짚(72)은 별도의 가공 과정 없이 교반된 상태 그대로 충진공간(22)에 충진되어 벽체(20)의 조립 시간을 지연시키지 않게 된다.
충진공간(22)에 충진물(70)이 충진된 상태에서 기둥(21)들의 상단을 덮는 상부커버(80)는 단면이 ‘ㄷ'자 모양을 이루는 압출물을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마련된 것으로, 기둥(21)들의 상면과, 제1 및 제2측면커버(61,62) 상부 쪽 기둥(21)들의 상부 양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싼 상태에서 양측 하단이 최상부 쪽 제1 및 제2측면커버(61,62)에 접하도록 기둥(21)에 결합된다.
조립식 건축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벽체(20)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한 쪽부터 건축물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체 조립단계에서는 바닥체(10)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판재(11)들을 이음자재(40)의 바닥체연결부(42)에 체결하여 벽체(20)들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바닥체(10)를 조립하게 된다.
바닥체(10)의 보강을 위해 수평판재(11)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는 상부로 융기되도록 돌출된 돌출보강부(11a)가 마련된다. 따라서 바닥체(10)는 단순한 판재 형상의 수평판재(11)를 통해 구성되면서도 상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구축된다. 이음자재(40)에 체결되도록 돌출보강부(11a) 양측으로 수평판재(11)의 단부에는 체결홀(11c)이 형성된 지지부(11b)가 마련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조립단계와 바닥체조립단계를 통해 벽체(20)들과 바닥체(10)가 상호 일체로 연결되게 조립된 상태에서는 벽체(20)들 상부 쪽을 덮도록 지붕체(30)를 조립하는 지붕체 조립단계가 수행된다.
지붕체(30)는 상부로 개방된 충진공간(91a)을 형성하는 지붕몸체(91)와, 충진공간(91a)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지붕몸체(91)에 결합되는 지붕커버(92)를 포함하여 중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붕체(30)는 지붕몸체(91)의 저부 외곽 저면이 벽체(20)들 상면에 용접됨에 따라 벽체(2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붕커버(91)가 결합되기 전, 지붕몸체(91) 내부의 충진공간(91a)에는 벽체(20)에서와 마찬가지로 황토분말(71)과 짚(72)으로 구성되는 충진물(70)이 충진되어 통기성과 항균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벽체(20)는 물론 지붕체(30) 내부가 모두 황토분말(71)로 충진되어 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바닥체(10)를 제외하고 측방 둘레와 상부가 전체적으로 통기 능력이 향상되면서 냉난방에도 유리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0)는 벽체(21) 상부를 마감하는 저부의 상부커버부(111)와, 상부커버부(111) 상부에 이음자재(40) 형태로 마련된 이음자재부(112)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커버(110)에서 상부커버부(111)는 전술한 상부커버(8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음자재부(112)의 경우에도 이음자재(40)와 동일하게 벽체설치부(41)와 박닥체연결부(42)를 그대로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부커버(110)를 사용하게 되면, 상부커버부(111)를 통해서는 저부 쪽 벽체(20)의 상부를 마감할 수 있게 되고, 이음자재부(112)를 통해서는 상부 쪽 벽체(20)와 바닥체(10)를 연결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식 건축물을 복층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도 각 층별로 벽체(20)와 바닥체(10) 사이를 연결된 상태로 편리하게 조립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상부커버(110)는 상부커버부(111)와 이음자재부(112)를 일체로 구비하는 압출물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커버부(111)와 기둥(21) 간의 결합구조나 이음자재부(112)를 이용한 바닥체(10)의 연결구조는 전술한 상부커버(80) 및 이음자재(40)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바닥체 11: 수평판재
11a: 돌출보강부 20: 벽체
21: 기둥 30: 지붕체
40: 이음자재 41: 벽체설치부
41a: 삽입홈 42: 바닥체연결부
42a: 수평연장부 42b: 경사연장부
42c: 체결부재 수용공간 50: 씨형강
61: 제1측면커버 62: 제2측면커버
70: 충진물 71: 황토분말
72: 짚 80,110: 상부커버
91: 지붕몸체 92: 지붕커버
111: 상부커버 부 112: 이음자재부

Claims (8)

  1.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둥의 저면과 저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벽체설치부와, 상기 벽체설치부 일측으로 바닥체의 연결을 위한 바닥체연결부를 구비하는 이음자재가 저부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벽체와 바닥체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는 복수의 수평판재를 통해 구성되고,
    상기 수평판재의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상기 바닥체연결부는 상기 벽체설치부의 내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재는 바닥체의 보강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상부로 융기되도록 돌출되어 마련된 돌출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체연결부는 상기 수평연장부의 보강을 위해 상기 수평연장부 저부 쪽 상기 벽체설부의 내벽과 상기 수평연장부의 연장방향 끝단 사이를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경사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설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상기 기둥들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기 벽체는 상기 기둥들의 일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측면커버와, 상기 기둥들의 타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2측면커버와, 황토분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측면커버와 상기 기둥들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과, 상기 충진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들의 상단을 덮도록 마련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은 짚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짚은 상기 황토분말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벽체 내부에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들 상부 쪽을 덮도록 마련된 중공의 지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붕체 내부에는 황토분말을 포함하는 충진물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베이스면부와, 상기 베이스판주 양단에 상기 베이스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각 측면부 끝단에 맞은편 상기 측면부 쪽으로 절곡연장된 한 쌍의 절곡연장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씨형강이 상기 베이스면부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8.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둥의 저면과 저부 양측면을 지지하는 벽체설치부와, 상기 벽체설치부 일측으로 바닥체의 연결을 위한 바닥체연결부를 구비하는 이음자재를 저부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하는 이음자재 설치단계;
    상기 벽체설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기둥들의 하단을 삽입하고, 상기 기둥들의 일측면 사이와 타측면 사이를 각각 제1 및 제2측면커버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측면커버와 상기 기둥들 사이에 황토분말을 포함하는 충진물을 충진시키고, 상기 기둥들의 상단을 상부커버로 덮어 상기 벽체를 조립하는 벽체조립단계; 및
    상기 바닥체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판재들을 상기 바닥체연결부에 체결하여 상기 벽체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바닥체를 조립하는 바닥체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0130078397A 2013-07-04 2013-07-04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1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97A KR101514261B1 (ko) 2013-07-04 2013-07-04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97A KR101514261B1 (ko) 2013-07-04 2013-07-04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760A true KR20150005760A (ko) 2015-01-15
KR101514261B1 KR101514261B1 (ko) 2015-04-24

Family

ID=5247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397A KR101514261B1 (ko) 2013-07-04 2013-07-04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080A (ko) * 2018-07-03 2020-01-13 신금란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CN112900634A (zh) * 2021-03-11 2021-06-04 四川兆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080A (ko) * 2018-07-03 2020-01-13 신금란 공업화 주택 및 그 바닥부 시공방법
CN112900634A (zh) * 2021-03-11 2021-06-04 四川兆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900634B (zh) * 2021-03-11 2022-03-29 四川兆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261B1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1905B (zh) 一种集装箱房
KR101741218B1 (ko)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박스형 cft기둥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
US20090038263A1 (en) Composite pillar for junction connections on constructions and building frames
CN102449247B (zh) 半预制楼板及使用该半预制楼板的板材的构筑方法
KR101734107B1 (ko) 강재보 접합용 다이아프램이 내장된 박스형 cft 기둥 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
KR20180109766A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KR101514261B1 (ko)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34187B1 (ko)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JP4105191B2 (ja) 柱・梁架構
JP5725881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外壁断熱構造
JP5382872B2 (ja) 建物
JP5319401B2 (ja) 柱脚保護構造
KR101990496B1 (ko) Cft기둥용 조립식 튜브컬럼의 제작방법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KR20080099753A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20170050532A (ko) 합성보용 거푸집
KR101778040B1 (ko) 충전 복합 조립부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공법
JP2016151160A (ja) デッキ合成床構造
KR101736594B1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JP2008138493A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
JP2009299416A (ja) 踊り場用建物ユニットとユニット建物
JP2007051420A (ja) 建物構造
JP475759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JP4163329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KR101895898B1 (ko) 내다이아프램용 수평 철근콘크리트 블록이 내장된 cft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