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36U -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 Google Patents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36U
KR20170003836U KR2020160002341U KR20160002341U KR20170003836U KR 20170003836 U KR20170003836 U KR 20170003836U KR 2020160002341 U KR2020160002341 U KR 2020160002341U KR 20160002341 U KR20160002341 U KR 20160002341U KR 20170003836 U KR20170003836 U KR 201700038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wall structure
spac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인환
Original Assignee
(주)남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영산업 filed Critical (주)남영산업
Priority to KR202016000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836U/ko
Publication of KR20170003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2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ceramics,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6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metal

Abstract

본 고안은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에 있어서,
전면망(F), 후면망(B), 측면망(S), 상면망(U), 하면망(D)으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외부철망(100);과 상기 외부철망(100)의 내부공간 내에 전면망(F)과 후면망(B)에 각각 대칭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내부철망(200); 및 상기 외부철망(100)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전면망(F)과 후면망(B)에 대칭하여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내부철망(200) 사이의 내부공간 내에 결합되는 중간지지철망(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철망(100)과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1공간(R1)과 제 2공간(R2)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2공간(R1, R2)의 간격에 대응되는 일정 두께로 형성된 단열재 역할과 동시에 거푸집 역할을 하는 단열재보드(400); 및 제 3공간(R3)으로 벽을 생성하기 위해 충진되는 내부충진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중간지지철망(300)은 상기 외부철망(100)과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3공간(R3)에 격자가 형성되도록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 철망을 결합하여 외부철망(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의 내부에 형성된 제 3공간(R3)에 충진되는 내부충진재(500)는 볏짚, 흙, 숯, 식생매트, 코코넛껍질, 황토, 스티로폼, 콘크리트 및 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벽 구조체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벽 구조체를 완성함에 있어 구성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좋으며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생략되므로 공사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공사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Wall structure using a gabion}
본 고안은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철망 내에 일정 간격으로 내부철망을 결합하고 외부철망과 내부철망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1, 2공간에 단열재를 삽입하고 제 3공간에는 내구성 향상을 위한 중간지지철망과 벽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를 충진하여 벽 구조체를 완성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벽은 건축물의 바깥둘레나 내부의 칸막이가 이루는 수직부분을 말하며 외력이나 자중에 견디고 그 건물의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주체구조이다.
근대건축에서는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와 같은 가구식 구조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 구조의 주체는 기둥이나 보가 되고 벽은 구조학적으로 크게 중요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외벽에는 유리를 많이 사용하고 벽이 적은 설계가 현대건축의 경향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벽은 건축물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기보다는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소리·열·광선·바람·비의 차단을 위한 장막벽, 방화를 위한 방화벽, 지진이나 바람 등의 수평력에 대해서 건축물의 강성을 높여주기 위한 내진벽 등 각각의 목적에 따라 재료나 구조법을 선택하여 축조될 수 있도록 되었다.
일반적으로 벽 구조체는 벽돌, 콘크리트 블록, 목조를 사용하여 시공되는데 최근에는 흙의 장점을 이용한 흙 건축 방식으로도 건축된다.
흙 건축이란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는 주요부를 흙을 사용하여 축조하는 건축방식을 의미한다.
흙 건축은 자연 그대로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흙이 지니는 성질에 의하여 흙 건축물은 온도 및 습도 조절 능력이 뛰어나며 외부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단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제조과정이나 폐기 시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별도의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월등하다.
이에,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4980호의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중단열 구조(샌드위치 벽체 형태)의 벽체에 있어 열교현상에 의한 에너지 손실차단의 효율성 뿐만 아니라 벽체의 휨 강성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조립 제작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중단열벽체는 건축물 외측벽에 외측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과 이격되도록 측면에 설치되어 전면부 및 후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합성연결재가 형성된 단열재를 병렬로 조립 설치하되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일체화시켜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합성연결재가 형성된 단열재와 이격되도록 건축물 외측벽에 내측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 기술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4276호의 "흙 건조물의 축조 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망체로 이루어진 골격부재에 가설형틀을 설치하고 상기 가설형틀 내로 기계적 압출장치에 의해 흙반죽을 버텀업(Buttom-up) 방식으로 압밀충진한 다음 바로 상기 가설형틀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주택이나 옹벽 등과 같은 흙구조물을 신속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2을 포함한 종래기술은 벽 구조체를 형성함에 복잡한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부분 작업현장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벽 구조체를 완성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4980호 (2012.12.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4276호 (2014.10.17)
본 고안은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는 구성요소들 간의 간단한 결합으로 인해 벽 구조체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 최소단위인 시공이 용이한 벽 구조체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벽 구조체를 축조함에 있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공사비용을 절감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망, 후면망, 측면망, 상면망, 하면망으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외부철망;
상기 외부철망의 내부공간 내에 전면망과 후면망에 각각 대칭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내부철망;
상기 외부철망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전면망과 후면망에 대칭하여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내부철망 사이의 내부공간 내에 결합되는 중간지지철망;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철망과 내부철망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1공간과 제 2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2공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일정 두께로 형성된 단열재 역할과 동시에 거푸집 역할을 하는 단열재보드; 및 제 3공간으로 벽을 생성하기 위해 충진되는 내부충진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간지지철망은,
상기 외부철망과 내부철망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3공간에 격자가 형성되도록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 철망을 결합하여 외부철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 3공간에 충진되는 내부충진재는 볏짚, 흙, 숯, 식생매트, 코코넛껍질, 황토, 스티로폼, 콘크리트 및 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벽 구조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의 각 구성요소들의 정형화된 특징으로 인해 결합성이 용이하므로 작업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좋다.
또한, 벽 구조체를 축조함에 있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보드 및 내부에 충진되는 재료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목적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서, 벽을 축조함에 있어 재료의 다양성으로 인해 때에 따라 자연 그대로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이나 폐기 시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의 구성요소 중 중간지지철망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의 구성요소 중 중간지지철망의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의 구성요소 중 단열재보드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가 건축물에 적용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의 구성요소 중 외부철망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에 있어서,
전면망(F), 후면망(B), 측면망(S), 상면망(U), 하면망(D)으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외부철망(100);과
상기 외부철망(100)의 내부공간 내에 전면망(F)과 후면망(B)에 각각 대칭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내부철망(200); 및
상기 외부철망(100)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전면망(F)과 후면망(B)에 대칭하여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내부철망(200) 사이의 내부공간 내에 결합되는 중간지지철망(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철망(100)과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1공간(R1)과 제 2공간(R2)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2공간(R1, R2)의 간격에 대응되는 일정 두께로 형성된 단열재 역할과 동시에 거푸집 역할을 하는 단열재보드(400); 및 제 3공간(R3)으로 벽 구조체를 생성하기 위해 충진되는 내부충진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철망(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망(F), 후면망(B), 전면망(F)과 후면망(B)의 수평방향 양 측단에 결합되는 측면망(S), 전면망(F)과 후면망(B) 및 측면망(S)의 수직방향 양 끝단에 결합되는 상면망(U), 하면망(D)으로 이루어져 본 고안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의 골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철망(100)의 내부공간 내에는 전면망(F)과 후면망(B)에 각각 대칭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부철망(200)이 결합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외부철망(100) 내부공간을 제 1, 2, 3공간(R1, R2, R3)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 1, 2, 3공간(R1, R2, R3)으로 구분된 외부철망(100) 내에는 제 1, 2공간(R1, R2)에는 단열재보드(400)가 각각 삽입되고 제 3공간(R3)에는 본 고안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중간지지철망(300) 및 다양한 재료의 내부충진재(500)가 충진됨으로서 벽 구조체가 완성된다.
단열재보드(4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2공간(R1, R2)에 삽입될 수 있으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단열재보드(400)가 서로 감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보드(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재 역할과 동시에 벽 구조체를 완성하기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제 3공간(R3)으로 충진되는 내부충진재(500)가 외부철망(100)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내부공간 내에서 응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결합되어 하나의 건축물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철망(100)의 측면으로부터 내부충진재(500)가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건축물을 완성하는데에 있어 최종 위치하게 되는 외부철망(100)의 측면에만 제 3공간(R3)의 폭만큼 단열재보드(400)를 절단하여 삽입하거나 내부충진재(500)와 함께 응고될 수 있는 거적물을 결합하여 내부충진재(500)가 측면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단열재보드(400)는 볏짚, 스티로폼, 거적, 식생매트 등 다양한 친환경소재 및 다양한 재료의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중간지지철망(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철망(100)과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3공간(R3)에 격자가 형성되도록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 철망을 결합하여 본 고안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 3공간(R3)에 상기 중간지지철망(300)과 함께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내부충진재(500)는 볏짚, 흙, 숯, 식생매트, 코코넛껍질, 황토, 스티로폼, 콘크리트 및 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벽 구조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본 고안은 건축물의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한 작업방법으로 본 고안이 연장/결합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목적에 기반한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재료로 축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먼저, 상면망(U)을 제외한 외부철망(100) 내의 하면망(D)에 거적물을 결합하고 내부철망(200)을 전면망(F)과 후면망(B)에 대칭되도록 각각 일정 간격으로 삽입하여 결합한 후에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된 제 1, 2공간(R1, R2)으로 각각 단열재보드(40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 3공간(R3)의 양 측단에 제 3공간(R3)과 동일한 폭으로 절단된 단열재보드(400) 또는 거적물을 고정시키고 제 3공간(R3)으로 중간지지철망(300)을 삽입하여 결합시킨 후 내부충진재(500)를 충진하고 필요에 따라 외부철망(100) 상단부에 거적물을 고정하여 상면망(U)을 덮어 결합함으로 인해 벽 구조체가 완성된다.
이때, 벽 구조체의 외면에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미장으로 마무리 작업함으로서 외관상 미려한 벽 구조체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용이하며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생략되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참고하여, 상기 외부철망(100)을 이루는 전면망(F), 후면망(B), 측면망(S)의 각 선단부에는 본 출원인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0404호를 인용하여 고리형상의 연결고리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각 망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부(110)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동일한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각 망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외부철망(100)의 골조를 생성함에 있어 보다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환경에 따라 상면망(U)과 하면망(D)이 제외된 외부철망(100)으로 벽 구조체를 축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벽은 건축물의 바깥둘레나 내부의 칸막이가 이루는 수직부분을 말하며 외력이나 자중에 견디고 그 건축물의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주체구조이다.
일반적으로 벽 구조체는 벽돌, 콘크리트 블록, 목조를 사용하여 시공되며 건축물을 축조하는데에 있어 필요한 요소이나 시공성이 용이하지 못하며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는 시공성이 용이하고 작업 시 거푸집이 필요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벽 구조체를 제공하므로 벽 구조체와 철망을 제조하는 제조업과 건축업 및 철망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될 수 있다.
1 :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100 : 외부철망 110 : 연결고리부
120 : 결합부재 200 : 내부철망
300 : 중간지지철망 400 : 단열재보드
500 : 내부충진재 F : 전면망
B : 후면망 S : 측면망
U : 상면망 D : 하면망
R1 : 제 1공간 R2 : 제 2공간
R3 : 제 3공간

Claims (3)

  1.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에 있어서,
    전면망(F), 후면망(B), 측면망(S), 상면망(U), 하면망(D)으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외부철망(100);
    상기 외부철망(100)의 내부공간 내에 전면망(F)과 후면망(B)에 각각 대칭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내부철망(200);
    상기 외부철망(100)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전면망(F)과 후면망(B)에 대칭하여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내부철망(200) 사이의 내부공간 내에 결합되는 중간지지철망(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철망(100)과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1공간(R1)과 제 2공간(R2)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2공간(R1, R2)의 간격에 대응되는 일정 두께로 형성된 단열재 역할과 동시에 거푸집 역할을 하는 단열재보드(400); 및 제 3공간(R3)으로 벽 구조체를 생성하기 위해 충진되는 내부충진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중간지지철망(300)은,
    상기 외부철망(100)과 내부철망(200)의 결합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 3공간(R3)에 격자가 형성되도록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 철망을 결합하여 외부철망(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1)의 내부에 형성된 제 3공간(R3)에 충진되는 내부충진재(500)는 볏짚, 흙, 숯, 식생매트, 코코넛껍질, 황토, 스티로폼, 콘크리트 및 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충진되어 벽 구조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KR2020160002341U 2016-04-29 2016-04-29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KR201700038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41U KR20170003836U (ko) 2016-04-29 2016-04-29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41U KR20170003836U (ko) 2016-04-29 2016-04-29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36U true KR20170003836U (ko) 2017-11-09

Family

ID=6040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41U KR20170003836U (ko) 2016-04-29 2016-04-29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83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61B1 (ko) * 2018-11-23 2019-11-05 길인환 돔 형상의 다목적 조립 구조물
KR102208729B1 (ko) * 2020-05-06 2021-01-28 한국도시재생기술(주) 발포 펄라이트 판넬
KR102597130B1 (ko) * 2022-08-03 2023-11-03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건축용 구조물 및 이의 제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641A (ko) * 2011-04-11 2012-10-19 박은태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KR101214980B1 (ko) 2011-08-16 2013-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454276B1 (ko) 2012-01-17 2014-10-23 정문형 흙 건조물의 축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641A (ko) * 2011-04-11 2012-10-19 박은태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KR101214980B1 (ko) 2011-08-16 2013-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454276B1 (ko) 2012-01-17 2014-10-23 정문형 흙 건조물의 축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61B1 (ko) * 2018-11-23 2019-11-05 길인환 돔 형상의 다목적 조립 구조물
KR102208729B1 (ko) * 2020-05-06 2021-01-28 한국도시재생기술(주) 발포 펄라이트 판넬
KR102597130B1 (ko) * 2022-08-03 2023-11-03 주식회사 가온 황토벽체 건축용 구조물 및 이의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9461B2 (ja) コンクリート壁用型枠モジュール
JP5005040B2 (ja) ドーム型構造物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KR101539324B1 (ko)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KR20170003836U (ko)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JP2013104287A (ja) 隣地空無し外断熱石貼りrc−ロイヤル
KR101003371B1 (ko) 흙 벽체 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흙 벽체 틀과 흙 구들 틀 그리고 이를 이용한 흙 벽체 축조 방법
KR101443567B1 (ko) 유닛구조체용 보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CN207959529U (zh) 叠合墙竖向与水平构件屋顶连接节点
US11118343B2 (en) Architectural structure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KR200483455Y1 (ko)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
CN104364451A (zh) 建筑用组装式墙体框架及利用此的天花板框架
JP3626705B2 (ja) 建物における床スラブ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床スラブ構造
JP2008138493A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
KR100397768B1 (ko) 온실의 기초시공 구조
KR101514261B1 (ko)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JP5528128B2 (ja) 建築構造材の接合構造
KR101830357B1 (ko)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KR200383122Y1 (ko) 양돈장 구조
KR102551776B1 (ko) 각관들을 바탕으로 내진설계가 가능한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 방법
CN217517874U (zh) 暗柱墙体结构
KR101736917B1 (ko)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
JP6265677B2 (ja) 外部張出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