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281A -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 Google Patents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281A
KR20240077281A KR1020220159627A KR20220159627A KR20240077281A KR 20240077281 A KR20240077281 A KR 20240077281A KR 1020220159627 A KR1020220159627 A KR 1020220159627A KR 20220159627 A KR20220159627 A KR 20220159627A KR 20240077281 A KR20240077281 A KR 20240077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reinforcing bars
mesh structure
doub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주환
Original Assignee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 wire netting, latti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충전 및 양생 기간 동안에도 내장재 등의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수평철근과,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철근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을 포함하는 철망구조체; 상기 철망구조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단열판넬;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을 관통하여 상기 철망구조체와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을 상호 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과 수직철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철근은, 상기 수평철근 또는 상기 수직철근을 기준으로 마주하여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Double-insulated Wall Panel using Reinforced Wire Mesh Structure}
본 발명은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건물 등의 벽을 구성하도록 설치되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내외 벽은 벽을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이 설치된 다음, 거푸집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소정 기간 양생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데, 이렇게 벽체가 시공되고 나면, 벽체의 내측면에 별도의 내장재가 부착되어 마감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벽체에 내장재를 부착하여 마감하기 까지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충전 및 양생한 다음,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 때문에 거푸집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0978호의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가로선과 세로선이 일정 간격으로 교차하여 연결된 망 형태의 철망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 상기 철망골조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 및 상기 철망골조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철망골조의 외부를 감싸도록 흙반죽이 결합된 것으로,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흙반죽에 균열이 발생하기가 쉽고, 또한 별도로 단열재 또는 내장재가 시공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충전 및 양생 기간 동안에도 내장재 등의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벽 판넬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20-2017-0000978 U (2017. 03. 15.) KR 10-1736917 B1 (2017. 05. 11.) KR 10-1702913 B1 (2017. 01. 31.) KR 10-2019-0083628 A (2019. 07. 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열 벽 판넬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크리트의 충전 및 양생 기간 동안에도 내장재 등의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수평철근과,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철근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을 포함하는 철망구조체; 상기 철망구조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단열판넬;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을 관통하여 상기 철망구조체와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을 상호 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과 수직철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철근은, 상기 수평철근 또는 상기 수직철근을 기준으로 마주하여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 사이에 발포우레탄이 충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철망구조체가 위치되는 면과 반대되는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의 일측면에 소정 두께의 우드판넬이 부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판넬이 양면에 결합된 철망구조체가 현장에 설치되어 벽체를 구성하도록 시공된 상태에서 단열판넬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고, 콘크리트의 양생기간 동안 단열판넬 쪽에 내장재 또는 외장재를 시공하는 작업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열판넬 사이의 철망구조체가 복근 철망 구조로 구성되어 구조적인 강도가 향상되고, 그 결과 벽체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리된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망구조체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충전 및 양생 기간 동안에도 내장재 등의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구조체(10),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 및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철망구조체(10)는 후술되는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의 사이에 위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벽 판넬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철망구조체(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평철근(11)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수평철근(11)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수직철근(12)을 포함한다.
이때 수평철근(11)과 수직철근(12)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 철사 등으로 수평철근911)과 수직철근(12)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이 묶여 상호 강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평철근(11) 또는 수직철근(1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철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철근(120 또는 수평철근(11)을 기준으로 양측에 마주하여 한 쌍이 설치되는 복근 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는 수평철근(11) 또는 수직철근(1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철근이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수평철근(11)과 수직철근(12)이 모두 한 쌍씩 설치되는 복근 철망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은 철망구조체(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소정 두께의 단열 벽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홈부(H)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H)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한 쌍의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며, 이러한 홈부(H)와 관통공을 통해 후술되는 연결부재(30)가 설치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은 MDF 합성판넬의 일측면에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폴리프로필렌보드 등의 공지된 단열재가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된 복합판넬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을 관통하여 철망구조체(10)와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을 상호 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결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모양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고정쇠(31)와, 상기 고정쇠(31)의 양단에 나사 조립되는 한 쌍의 조립너트(3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구조체(10)의 수평철근(11)과 수직철근(12)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을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단열판넬(20A, 20B)의 홈부(H)에 설치되고, 이러한 연결부재(30)를 통해 철망구조체(10)와 단열판넬(20A, 20B)이 구조적으로 강건하게 밀착 고정되어 하나의 벽체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 판넬을 통해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벽 판넬을 시공 위치에 맞추어 배치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벽 판넬 사이를 연결하도록 철망구조체(10) 사이에 추가로 연결철망(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렇게 연결철망이 벽 판넬의 이음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단열판넬(20A, 20B)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 또는 발포우레탄이 충전되게 된다.
또한, 단열판넬(20A, 20B)의 일측면(철망구조체(10)가 위치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우드판넬 등의 내장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열판넬이 양면에 결합된 철망구조체가 현장에 설치되어 벽체를 구성하도록 시공된 상태에서 단열판넬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고, 콘크리트의 양생기간 동안 단열판넬 쪽에 내장재 또는 외장재를 시공하는 작업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판넬 사이의 철망구조체가 복근 철망으로 구성되어 구조적인 강도가 향상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철망구조체 11: 수평철근
12: 수직철근 20A, 20B: 단열판넬
30: 연결부재 31: 고정쇠
32: 조립너트 H: 홈부

Claims (4)

  1.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수평철근(11)과,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11)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철근(12)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11)을 포함하는 철망구조체(10);
    상기 철망구조체(1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을 관통하여 상기 철망구조체(10)와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을 상호 밀착시켜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3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평철근(11)과 수직철근(1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철근은,
    상기 수평철근(11) 또는 상기 수직철근(12)을 기준으로 마주하여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 사이에는,
    발포우레탄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망구조체(10)가 위치되는 면과 반대되는 상기 한 쌍의 단열판넬(20A, 20B)의 일측면에는,
    소정 두께의 우드판넬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KR1020220159627A 2022-11-24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KR20240077281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281A true KR20240077281A (ko) 2024-05-3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304B1 (en) Structural thermal framing and panel system for assembling finished or unfinished walls with multiple panel combinations for poured and nonpoured walls
US8225578B2 (en) Flexible interlocking mortarless wall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US6041562A (en) Composite wall construction and dwelling therefrom
US20160076246A1 (en) Construction components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for, and improved ease in construction of, walls comprising same
HU213764B (en) Single-layer or multilayer permanent shutterin for multiple-purpose application to building and process for shaping bearing structures with permanent shutterin
CA3021058A1 (en) Composite concrete and foam building component
EP3892786A1 (en) Linear module for buildings for the making of structural frames of prefabricated buildings with thermal insulation, kit for buildings and prefabricated building thereof
CA2302137A1 (en) Sandwich wall construction and dwelling
EP2167751B1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DE102005026797A1 (de) Dämmstoff-Verbundwand
US5540020A (en) Building panel
KR100304861B1 (ko) 건축용단열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CN212926687U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
US3874134A (en) Modular building units
KR101677467B1 (ko) 건축골격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240077281A (ko) 복근 철망구조체를 활용한 양단열 벽 판넬
US20070186497A1 (en) In-fill wall system
KR100485585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형강
KR20060122539A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CN111075104A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及其建造方法
US7146775B2 (en) Wall system
US20190203468A1 (en) Method f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and building thus produced
CN220954030U (zh) 一体化施工的柔性连接拼装蒸压加气混凝土外墙大板系统
CN212926686U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构件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