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641A -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 Google Patents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641A
KR20120115641A KR1020110033071A KR20110033071A KR20120115641A KR 20120115641 A KR20120115641 A KR 20120115641A KR 1020110033071 A KR1020110033071 A KR 1020110033071A KR 20110033071 A KR20110033071 A KR 20110033071A KR 20120115641 A KR20120115641 A KR 2012011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ire panel
wal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806B1 (ko
Inventor
박은태
이한구
최도승
Original Assignee
박은태
최도승
이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태, 최도승, 이한구 filed Critical 박은태
Priority to KR102011003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8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단열보드가 일체로 설치된 2장의 와이어패널을 서로 대칭되게 접합시킨 후 단열보드들 사이에 벽체충전재를 채운 다음 내외부면을 마감함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견고한 벽체시공이 현지사정에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는,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단열보드가 내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내측와이어패널과,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단열보드가 외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에 대칭되게 접합되는 외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제 1 단열보드와 상기 제 2 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되는 벽체충전재와,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의 제 1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내부마감재와,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제 2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외부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FORM-FREE BOTH INSULATION WALL}
본 발명은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단열보드가 일체로 설치된 2장의 와이어패널을 서로 대칭되게 접합시킨 후 단열보드들 사이에 벽체충전재를 채운 다음 내외부면을 마감함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견고한 벽체시공이 현지사정에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관한 것이다.
주택을 형성하는 벽체는 주로 흙벽돌을 조적하여 형성되거나 내외측에 거푸집을 이격설치한 후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워 양생시킴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흙벽돌의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큰 힘을 견딜 수 없는 바, 지진, 태풍, 수해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견디지 못하고 쉽게 무너짐에 따라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고,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의 경우에는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산업화 수준이 낮은 국가나 지역의 경우에는 현지 여건상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벽체의 경우에는 단열재가 벽체와 일체로 시공될 수 없어 벽체시공과 별도로 단열재 시공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단열보드가 일체로 설치된 2장의 와이어패널을 서로 대칭되게 접합시킨 후 단열보드들 사이에 벽체충전재를 채운 다음 내외부면을 마감함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견고한 벽체시공이 현지사정에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단열보드가 내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내측와이어패널과,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단열보드가 외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에 대칭되게 접합되는 외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제 1 단열보드와 상기 제 2 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되는 벽체충전재와,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의 제 1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내부마감재와,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제 2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외부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은 200 mm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열보드와 제 2 단열보드는 50 내지 75 mm 두께의 발포폴리스틸렌 보드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중심선으로부터 50 mm 편심되어 위치되며, 상기 내부마감재와 상기 외부마감재는 20 내지 50 mm 두께로 타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은,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4 내지 8 mm의 스틸와이어에 의해 가로 150 mm, 세로 100 mm의 격자크기를 가지는 격자구조체로 제조되어 서로 이격배열되는 다수의 평면격자망과,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6 내지 10 mm의 스틸와이어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배열된 상기 다수의 평면격자망을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연결와이어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300 mm 간격으로 용접되어 서로 대칭되게 접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벽체충전재는 황토콘크리트와 건조목초칩이 65 : 35 내지 75 : 25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형성되고 숏크리트에 의해 상기 제 1 단열보드와 상기 제 2 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황토콘크리트는 황토 45 내지 65 중량부, 시멘트 15 내지 20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모래 또는 마사토 25 내지 35 중량부, 마그네시아 10 내지 18 중량부, 염화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석회 5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마감재는, 황토 35 내지 45 중량부, 모래 30 내지 45 중량부, 알루미나시멘트 10 내지 20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활석 10 내지 15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0.5 내지 1 중량부, 휴머스 5 내지 8 중량부, 분말아크릴 0.3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숏크리트에 의해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의 제 1 단열보드에 타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마감재는 황토 35 내지 45 중량부, 모래 또는 마사토 32 내지 42 중량부, 규산염시멘트 10 내지 15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실리카퓸 0.3 내지 0.5 중량부, 분말아크릴 0.3 내지 0.5 중량부, 섬유소 0.2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숏크리트에 의해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제 2 단열보드에 타설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의하면, 내부에 단열보드가 일체로 설치된 2장의 와이어패널을 서로 대칭되게 접합시킨 후 단열보드들 사이에 벽체충전재를 채운 다음 내외부면을 마감함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견고한 벽체시공이 현지사정에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의하면,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내측와이어패널과 외측와이어패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조립할 수 있기만 하다면, 현지에서 흙과 목초를 이용하여 벽체충전재와 내,외부마감재를 즉시 조달하여 시공할 수 있어, 산업수준이 낮은 국가나 지역에서도 현지사정에 알맞은 주택을 신속용이하게 건축할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의하면, 통상의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철근의 양이 대폭 절감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주택을 건설할 수 있으며,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인력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벽체의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있어서, 내측와이어패널의 개략구조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있어서, 외측와이어패널의 개략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에 있어서, 평면격자망의 개략구조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1)는,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견고한 벽체시공이 현지사정에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3-Dimensional Lattice)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단열보드(15)가 내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내측와이어패널(10)과,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단열보드(25)가 외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내측와이어패널(10)에 대칭되게 접합되는 외측와이어패널(20)과, 내측와이어패널(10)의 제 1 단열보드(15)와 외측와이어패널(20)의 제 2 단열보드(25) 사이에 타설되는 벽체충전재(30)와, 내측와이어패널(10)의 제 1 단열보드(15)에 타설되는 내부마감재(40)와, 외측와이어패널(20)의 제 2 단열보드(25)에 타설되는 외부마감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내측와이어패널(10)은 차후에 설명될 외측와이어패널(20)과 함께 벽체 형성을 위한 일종의 기초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와이어에 의해 제조되는 200 mm 두께의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입체래티스 구조체는 벽체충전재(30)와 내부마감재(40)에 의한 부식이나 기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4 내지 8 mm의 스틸와이어에 의해 가로 150 mm, 세로 100 mm의 격자크기를 가지는 격자구조체로 제조되어 전체 200 mm 두께를 갖도록 서로 이격배열되는 다수의 평면격자망(11)과, 벽체충전재(30)와 내부마감재(40)에 의한 부식이나 기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6 내지 10 mm의 스틸와이어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배열된 다수의 평면격자망(11)을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연결와이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측와이어패널(10)의 내부에는 제 1 단열보드(15)가 내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 제 1 단열보드(15)는 외측와이어패널(20)의 제 2 단열보드(25)와 함께 벽체충전재(30)의 양생을 위한 일종의 거푸집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마감재(40)의 타설시 벽체의 내부 단열재로 작용하는 것으로, 50 내지 75 mm 두께의 발포폴리스틸렌(EPS) 보드로 형성되고 내측와이어패널(10)의 중심선으로부터 50 mm만큼 내측으로 편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격자망(11)은 내측와이어패널(10)의 내측면과 외측면, 그리고 제 1 단열보드(15)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1개씩, 전체적으로 4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됨으로써 내측와이어패널(10)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 보강을 위해 더 많은 수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와이어(13)는 최외측 평면격자망(11)과 최내측 평면격자망(11)을 X자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측와이어패널(10)에는 외측와이어패널(20)이 대칭되게 접합되는데, 이 외측와이어패널(20)은 전술한 내측와이어패널(10)과 함께 벽체 형성을 위한 일종의 기초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와이어에 의해 제조되는 200 mm 두께의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입체래티스 구조체는 벽체충전재(30)와 외부마감재(50)에 의한 부식이나 기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4 내지 8 mm의 스틸와이어에 의해 가로 150 mm, 세로 100 mm의 격자크기를 가지는 격자구조체로 제조되어 전체 200 mm 두께를 갖도록 서로 이격배열되는 다수의 평면격자망(21)과, 벽체충전재(30)와 외부마감재(50)에 의한 부식이나 기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6 내지 10 mm의 스틸와이어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배열된 다수의 평면격자망(21)을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연결와이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측와이어패널(20)의 내부에는 제 2 단열보드(25)가 외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데, 이 제 2 단열보드(25)는 내측와이어패널(10)의 제 1 단열보드(15)와 함께 벽체충전재(30)의 양생을 위한 일종의 거푸집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마감재(50)의 타설시 벽체의 내부 단열재로 작용하는 것으로, 50 내지 75 mm 두께의 발포폴리스틸렌(EPS) 보드로 형성되고 외측와이어패널(20)의 중심선으로부터 50 mm만큼 외측으로 편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격자망(21)은 외측와이어패널(20)의 내측면과 외측면, 그리고 제 2 단열보드(25)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1개씩, 전체적으로 4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됨으로써 외측와이어패널(20)의 뼈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 보강을 위해 더 많은 수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와이어(23)는 최외측 평면격자망(21)과 최내측 평면격자망(21)을 X자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와이어패널(20)은 용접에 의해 내측와이어패널(10)에 서로 대칭되게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내측와이어패널(10)의 최외측에 위치되는 평면격자망(11)과 외측와이어패널(20)의 최내측에 위치되는 평면격자망(21)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300 mm 간격으로 용접됨으로써 내측와이어패널(10)돠 외측와이어패널(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대어져 대칭되게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측와이어패널(10)의 제 1 단열보드(15)와 외측와이어패널(20)의 제 2 단열보드(25) 사이에는 벽체충전재(30)가 타설되는데, 이 벽체충전재(30)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1)의 내부심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시공지역에서 입수가능한 흙과 초목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어 제 1 단열보드(15)와 제 2 단열보드(25) 사이에 타설 또는 충전된다.
벽체충전재(30)는 시공지역에서 입수가능한 황토를 포함하는 황토콘크리트와 시공지역에서 입수가능한 초목을 건조시켜 잘게 세절한 건조목초칩이 65 : 35 내지 75 : 25의 부피비, 특히 70 : 30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형성되고 숏크리트에 의해 제 1 단열보드와 상기 제 2 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황토콘크리트는 황토 45 내지 65 중량부, 시멘트 15 내지 20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모래 또는 마사토 25 내지 35 중량부, 마그네시아 10 내지 18 중량부, 염화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석회 5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 시멘트, 물, 모래 또는 마사토는 황토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재료로서, 황토, 모래 또는 마사토는 시공지역에서 채취하여 충당하며, 시멘트는 통상적인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되고, 물은 황토콘크리트의 점도에 따라 12 내지 18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마그네시아는 산화마그네슘으로 시멘트의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며 이산화탄소의 흡수도가 높아 친환경 콘크리트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내열성과 응결속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염화나트륨은 건조초목분의 방부제로 사용되며, 석회는 산화칼슘에 해당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산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벽체충전재(30)는 황토 45 내지 65 중량부, 시멘트 15 내지 20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를 먼저 믹서로 혼합한 후, 모래 또는 마사토 25 내지 35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마그네시아 10 내지 18 중량부, 염화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석회 5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황토콘크리트에, 시공지역에서 생산된 목초를 건조시켜 5 mm 크기로 분쇄한 건조목초칩을 황토분을 묻혀 투입한 후 배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측와이어패널(10)의 제 1 단열보드(15)에는 내부마감재(40)가 타설되는데, 이 내부마감재(40)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1)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숏크리트에 의해 20 내지 50 mm 두께로 내측와이어패널(10)의 제 1 단열보드(15)에 타설된다.
내부마감재(40)는, 황토 35 내지 45 중량부, 모래 30 내지 45 중량부, 알루미나시멘트 10 내지 20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활석 10 내지 15 중량부, 펄라이트 0.5 내지 1 중량부, 휴머스 5 내지 8 중량부, 분말아크릴 0.3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 모래, 알루미나시멘트, 물은 황토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재료로서, 황토, 모래는 시공지역에서 채취하여 충당하며, 시멘트는 통상적인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알루미나가 다량 함유되어 경화시간이 매우 짧은 알루미나시멘트가 사용되고, 물은 황토콘크리트의 점도에 따라 12 내지 18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활석은 통상 탈크로 명칭되는 것으로 단열성 및 내화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펄라이트는 진주암(pearlite)을 분쇄하여 고온가열 및 발포처리하여 제조한 백색의 다공질체로서 내화성, 단열성, 흡음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휴머스는 땅속에 묻힌 동식물이 수 천년 혹은 수 억년에 걸쳐 토양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최종 부산물로서 휴믹산, 풀빅산 및 휴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내부마감재(40) 내의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분말아크릴은 내부마감재(40)의 증점제로 작용한다.
전술한 외측와이어패널(20)의 제 2 단열보드(25)에는 외부마감재(50)가 타설되는데, 이 외부마감재(40)는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1)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숏크리트에 의해 20 내지 50 mm 두께로 외측와이어패널(20)의 제 2 단열보드(25)에 타설된다.
외부마감재(50)는, 황토 35 내지 45 중량부, 모래 또는 마사토 32 내지 42 중량부, 규산염시멘트 10 내지 15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실리카퓸 0.3 내지 0.5 중량부, 분말아크릴 0.3 내지 0.5 중량부, 섬유소 0.2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 모래 또는 마사토, 규산염시멘트, 물은 황토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재료로서, 황토, 모래는 시공지역에서 채취하여 충당하며, 시멘트는 메타규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시멘트인 규산염시멘트가 사용되고, 물은 황토콘크리트의 점도에 따라 12 내지 18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탄산칼슘은 외부마감재(50)의 보온단열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실리카퓸은 일종의 포졸란분으로서 외부마감재(50)로 하여금 잠재수경성, 즉 일반 조건하에서는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수경성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수산화칼슘을 포함하는 알칼리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물과 반응하여 수경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성질을 갖도록 하고, 분말아크릴은 외부마감재(50)의 증점제 역할을 하며, 섬유소는 외부마감재(50)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재로 작용하는 것으로, 건조목초분과 같은 천염섬유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1)는, 내부에 제 1 단열보드(15)가 일체로 설치된 내측와이어패널(10)과 내부에 제 2 단열보드(25)가 일체로 설치된 내측와이어패널(20)을 서로 대칭되게 접합시킨 후 제 1 및 제 2 단열보드(15 및 25) 사이에 시공지역의 천연건축자재를 활용한 황토콘크리트와 건조목초분으로 형성되는 벽체충전재(30)를 채운 다음 제 1 및 제 2 단열보드(15 및 25)의 내외부면을 내부마감재(40)와 외부마감재(50)로 각각 마감함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견고한 벽체시공이 현지사정에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1)로 주택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내측와이어패널(10)과 외측와이어패널(20)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조립할 수 있기만 하면, 현지에서 시공지역의 천연건축자재를 이용하여 벽체충전재(30)와 내,외부마감재(40, 50)를 즉시 조달하여 시공할 수 있어, 산업수준이 낮은 국가나 지역에서도 현지사정에 알맞은 주택을 신속용이하게 건축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1)의 경우에는 내측와이어패널(10)과 외측와이어패널(20)을 제와하고는 현지에서 시공지역의 천연건축자재를 이용하여 벽체충전재(30)와 내,외부마감재(40, 50)를 조달하여 시공함에 따라 통상의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철근의 양이 대폭 절감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주택을 건설할 수 있으며,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인력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벽체의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1 : 본 발명에 따른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10 : 내측와이어패널
11 : 평면격자망
13 : 경사연결와이어
15 : 제 1 단열보드
20 : 외측와이어패널
21 : 평면격자망
23 : 경사연결와이어
25 : 제 2 단열보드
30 : 벽체충전재
40 : 내부마감재
50 : 외부마감재

Claims (7)

  1.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3-Dimensional Lattice)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단열보드가 내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내측와이어패널;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 단열보드가 외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에 대칭되게 접합되는 외측와이어패널;
    상기 제 1 단열보드와 상기 제 2 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되는 벽체충전재;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의 제 1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내부마감재; 및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제 2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외부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은 200 mm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열보드와 제 2 단열보드는 50 내지 75 mm 두께의 발포폴리스틸렌 보드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중심선으로부터 50 mm 편심되어 위치되며, 상기 내부마감재와 상기 외부마감재는 20 내지 50 mm 두께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은,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4 내지 8 mm의 스틸와이어에 의해 가로 150 mm, 세로 100 mm의 격자크기를 가지는 격자구조체로 제조되어 서로 이격배열되는 다수의 평면격자망과, 아연도금처리된 지름 6 내지 10 mm의 스틸와이어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배열된 상기 다수의 평면격자망을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연결와이어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300 mm 간격으로 용접되어 서로 대칭되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충전재는 황토콘크리트와 건조목초칩이 65 : 35 내지 75 : 25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형성되고 숏크리트에 의해 상기 제 1 단열보드와 상기 제 2 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황토콘크리트는 황토 45 내지 65 중량부, 시멘트 15 내지 20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모래 또는 마사토 25 내지 35 중량부, 마그네시아 10 내지 18 중량부, 염화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석회 5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감재는, 황토 35 내지 45 중량부, 모래 30 내지 45 중량부, 알루미나시멘트 10 내지 20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활석 10 내지 15 중량부, 펄라이트 0.5 내지 1 중량부, 휴머스 5 내지 8 중량부, 분말아크릴 0.3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숏크리트에 의해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의 제 1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감재는 황토 35 내지 45 중량부, 모래 또는 마사토 32 내지 42 중량부, 규산염시멘트 10 내지 15 중량부, 물 12 내지 18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5 중량부, 실리카퓸 0.3 내지 0.5 중량부, 분말아크릴 0.3 내지 0.5 중량부, 섬유소 0.2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숏크리트에 의해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제 2 단열보드에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양단열 벽체.
KR1020110033071A 2011-04-11 2011-04-11 무거푸집 양단열 항토패널벽체 KR10137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071A KR101374806B1 (ko) 2011-04-11 2011-04-11 무거푸집 양단열 항토패널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071A KR101374806B1 (ko) 2011-04-11 2011-04-11 무거푸집 양단열 항토패널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641A true KR20120115641A (ko) 2012-10-19
KR101374806B1 KR101374806B1 (ko) 2014-03-17

Family

ID=4728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071A KR101374806B1 (ko) 2011-04-11 2011-04-11 무거푸집 양단열 항토패널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8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366A (zh) * 2017-05-09 2017-07-21 中原工学院 一种浇筑构造柱免拆除模板的施工方法
KR20170003836U (ko) * 2016-04-29 2017-11-09 (주)남영산업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WO2024063405A1 (ko) * 2022-09-21 2024-03-28 (주)아이케이씨건설 모듈형 주택의 벽체 패널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패널 조립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917B1 (ko) 2015-09-07 2017-05-18 (주)남영산업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
KR200483455Y1 (ko) 2015-09-07 2017-05-18 (주)남영산업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
KR102350985B1 (ko) 2020-07-17 2022-01-14 김득수 양단열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91697B1 (ko) * 2021-02-01 2023-01-20 김학섭 건축용 패널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524B2 (ja) * 1990-08-15 1996-10-16 鹿島建設株式会社 立体金網パネルを用いた壁体の構築方法
KR930012072B1 (ko) * 1991-10-24 1993-12-23 조현수 크럭스 구조용 복합와이어패널
KR20100028291A (ko) * 2008-09-04 2010-03-12 한 기 김 건설자재용 불연각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36U (ko) * 2016-04-29 2017-11-09 (주)남영산업 철망을 이용한 벽 구조체
CN106968366A (zh) * 2017-05-09 2017-07-21 中原工学院 一种浇筑构造柱免拆除模板的施工方法
CN106968366B (zh) * 2017-05-09 2020-01-10 中原工学院 一种浇筑构造柱免拆除模板的施工方法
WO2024063405A1 (ko) * 2022-09-21 2024-03-28 (주)아이케이씨건설 모듈형 주택의 벽체 패널 단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패널 조립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806B1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806B1 (ko) 무거푸집 양단열 항토패널벽체
US7882669B2 (en) Composite concrete shear wall for heat insulation
CN102575465B (zh) 用于建造建筑物的结构模块
US20100218446A1 (en) Structure system of concrete building for self-heat insulation
CN103266685B (zh) 一种多功能联锁抗震防裂组合砌块及该砌块的组合结构
US9353520B2 (en) Energy and weight efficient building block,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process thereof
CN206418663U (zh) 一种新型装配式h型预制复合墙板
CN106480980A (zh) 一种整浇式外围护结构及施工方法
CN209603296U (zh) 一种装配式混凝土建筑预制外墙连接构造
ES2858339T3 (es) Un proceso para fabricar una estructura de construcción y una estructura de construcción obtenida por medio de dicho proceso usando un conglomerado ligero que comprende un material inerte granular, fibras vegetales y cal hidráulica
RU2693071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 ячеистого бетона и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арматурной сетки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CN107816167A (zh) 一种轻质复合多功能墙体及其生产工艺
CN107119815A (zh) 带铅管‑粗砂消能减震键的装配式一字形保温墙体及作法
CN205502301U (zh) 一种节能环保整体复合夹芯轻质建筑墙
TW201209252A (en) Stone wall of ceramsite concrete brick
CN207934290U (zh) 一种中心岛受力型空腔楼盖用装配式空腔楼板
CN205000493U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保温复合墙体结构
CN109386087A (zh) 预制中空圆管道现浇混凝土建筑楼板
CN104278761B (zh) 半外包双排组砌型墙体自保温体系
CN103556769A (zh) 一种连锁互卡抗震砌块
KR100603752B1 (ko) C형강, h빔, 원목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5908863A (zh) 一种预制装配式梁墙组合构件
CN214739121U (zh) 一种装配式石膏复合楼板
CN107165311A (zh) 带铅管‑粗砂消能减震键的装配式t形保温墙体及作法
CN107119817A (zh) 带铅管‑粗砂消能减震键的装配式z形保温墙体及作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