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566A - 점착 테이프 및 테이프 롤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및 테이프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566A
KR20150005566A KR20147030399A KR20147030399A KR20150005566A KR 20150005566 A KR20150005566 A KR 20150005566A KR 20147030399 A KR20147030399 A KR 20147030399A KR 20147030399 A KR20147030399 A KR 20147030399A KR 20150005566 A KR20150005566 A KR 20150005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마 오가와
신지 이노쿠치
에이지 야마나카
나오아키 히구치
데츠야 히로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점착 테이프(10)는 미립자 및/또는 기포를 적어도 함유하고,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는 점착제층(12)과, 점착제층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되고, 한쪽 면과 접하는 제1 박리층과, 제1 박리층과 반대측의 제2 박리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14)를 갖는다. 점착제층은 두께가 0.2 내지 2.0mm이다. 박리 라이너의 제2 박리층은 소정의 방법으로 측정했을 때의 유지 시간이 2500분 이상이 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및 테이프 롤{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TAPE ROLL}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해당 점착제층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가 롤 형상으로 감긴 테이프 롤(양면 점착 테이프 권회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부재끼리를 접합하는 수단으로서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점착제층으로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아크릴계 양면 점착 테이프는 내광성, 내후성, 내유성 등이 우수하고, 또한 점착력, 응집력 등의 점착 특성, 및 내열성, 내후성 등의 내노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용도로서, 가전 제품, 건축재 등의 재료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폴리스티렌, ABS,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저극성 피착체에의 적용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50919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071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평11-5040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92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491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002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39831호 공보
그런데,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보존했을 경우, 보존 조건이나 보존 상태에 따라서는 점착제의 일부가 롤의 측부에서 비어져 나올 때가 있다. 특히, 이 문제는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해당 점착제층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가 롤 형상으로 감긴 양면 점착 테이프 권회체에 대해서,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착제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점착제층 중에 미립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킨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현저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상으로 감긴 점착 테이프로부터 점착제가 밀려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점착 테이프이다. 당해 점착 테이프는 미립자 및/또는 기포를 적어도 함유하고,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는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의 한쪽 면(1) 상에 형성되고, 한쪽 면(1)과 접하는 박리층(가)와, 해당 박리층(가)와 반대측의 배면 박리층(나)를 갖는 박리 라이너를 갖는다. 점착제층은 두께가 0.2 내지 2.0mm이다.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는 하기 (i) 내지 (iv)의 방법으로 측정했을 때의 유지 시간이 2500분 이상이 되게 구성되어 있다.
(i)폭 25mm×길이 100mm의, 박리 라이너와 동일한 재질의 시험편을 준비하고, 배면 박리층(나)를 위로 하여 베이크라이트판에 고정한다.
(ii)폭 25mm×길이 100mm의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고, 점착제층의 다른 쪽 면(2)을 시험편의 배면 박리층(나)에 접촉 면적이 폭 25mm×길이 40mm가 되게 부착한다.
(iii)점착 테이프를 5kg의 롤러로 편도 압착한다.
(iv)시험편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점착 테이프의 단부에, 해당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1.96N(0.2kgf)의 하중을 가하고, 분위기 온도 40℃의 환경에서 점착 테이프가 시험편에서 탈락할 때까지의 유지 시간을 측정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억제되는 점착 테이프를 실현할 수 있다.
분위기 온도 23℃의 환경에서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180°박리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분에서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이 1.0[N/25mm] 이상이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층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기층 중 적어도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박리층(가)를 가져도 된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층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기층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박리층(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기층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면 박리층(나)를 가져도 된다.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A)와, 미립자(B) 및/또는 기포(C)를 포함하는 코어층과, 코어층의 한쪽 또는 양쪽 측에 형성되고, 아크릴계 중합체(D)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30000 미만인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포함하는 표층을 가져도 된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중합체(D)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5중량부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아크릴계 중합체(D)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테이프 롤이다. 당해 테이프 롤은 전술한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겨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여도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억제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점착제층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박리 라이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 4의 (a)는 준비한 베이크라이트판의 상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베이크라이트판의 측면도이다.
도 5에서, 도 5의 (a)는 박리 라이너를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베이크라이트판에 부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측면도이다.
도 6에서, 도 6의 (a)는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를 박리 라이너의 제2 박리층(배면 박리층(나))에 부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시험편의 크리프 시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이나 표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그의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테이프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 이외에도, 시트 형상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양면이 점착면(감압 접착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프 형상의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는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는 점착제층(12)과, 점착제층의 한쪽 면(12a) 상에 형성된 박리 라이너(14)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점착제층(12)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점착제층(12)은 코어층(16)과, 코어층(16)의 한쪽 면에 형성된 표층(18a)과, 코어층(16)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된 표층(18b)을 구비한다. 이하, 표층(18a, 18b)을 통합하여 표층(18)이라고 부른다. 코어층(16)은 점착성 조성물(20)과, 점착성 조성물(20)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22)와, 점착성 조성물(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포(24)를 갖는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20)은 미립자(22) 및 기포(24) 중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박리 라이너(14)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박리 라이너(14)는 기층(26)과, 기층(26)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점착제층(12)의 한쪽 면(12a)과 접촉하는 표층으로서 기능하는 제1 박리층(박리층(가))(28)과, 기층(26)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표층으로서 기능하는 제2 박리층(배면 박리층(나))(30)을 갖고 있다.
이하, 박리 라이너(14) 및 점착제층(12)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박리 라이너]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라이너는 기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측에 박리층으로서의 표층을 갖는 적어도 2층의 층 구성을 갖는다. 박리층은 기층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표층)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라이너는 점착제층(12)과 접하는 측의 표층인 제1 박리층(박리층(가))(28)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합계량은 표층 전체에 대하여 6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이러한 중합체 구성으로 함으로써 박리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란, JIS K 6922-2에 기초하는 밀도가 900kg/㎥ 이상 930kg/㎥ 미만인 폴리에틸렌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에는 에틸렌 단량체를 고압법에 의해 중합하여 얻어지는, 장쇄 분지를 갖는 소위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8의 α-올레핀 단량체를 저압법에 의해 중합하여 얻어지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단쇄 분지의 길이는 탄소수 1 내지 6이 바람직함)이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라이너의 표층에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α-올레핀의 공중합에 의해 박리성 등의 물성 제어가 용이한 관점에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LDPE에서, 에틸렌과 함께 사용되는 공단량체 성분으로서는 1-헥센, 1-옥텐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는 α-올레핀 또는 α-올레핀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엘라스토머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박리성, 상용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JIS K 6922-2에 기초하는 밀도가 900kg/㎥ 미만(예를 들어, 860kg/㎥ 이상900kg/㎥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α-올레핀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로필렌, 부텐 등의 탄소수가 3 내지 10 정도인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 부텐-1, 헥센-1,4-메틸펜텐-1 및 옥텐-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공단량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주)프라임 폴리머제 「모어테크0628D, 0218CN」(LLDPE)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미쯔이 가가꾸(주)제 「타프머P」(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성막성의 관점에서, 그 중에서도, 「타프머P P0180, P0280」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각각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라이너의 표층에 있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0 내지 4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부이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첨가함으로써 경 박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첨가량이 45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층과의 밀착력이 약해지고,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했을 때, 외력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쉬워지고, 점착제가 밀려나오기 쉬워지거나, 박리 라이너의 표층이 유연해지기 때문에, 가공성이 저하되거나, 블로킹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라이너의 표층에는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이외에도, 착색제(안료, 염료), 충전제, 활제, 노화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에서, 기층의 양쪽 표면에 표층을 갖는 3층 구조의 경우, 양측의 표층은 상기를 만족하는 한, 다른 중합체, 다른 배합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컬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양측의 표층은 동일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한 조성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층(26)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박리층(배면 박리층(나))(30)은 제1 박리층(박리층(가))(28)과 마찬가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기층)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14)에서의 기층(26)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기층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하여 비교적 유연하기 때문에, 해당 수지를 박리 라이너의 기층에 사용함으로써, 박리 라이너의 피착체 변형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보존시나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시에 박리 라이너의 들뜸, 박리가 억제된다. 기층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박리 라이너에서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자동차용 엠블럼에 접착한 상태로 보존되는 경우 등에, 엠블럼의 근소한 변형에 추종할 수 없고, 박리 라이너의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박리 라이너의 강도를 유지하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라이너에서의 기층은 폴리프로필렌(PP) 및/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기층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가공 시 등에 대향면측의 시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랜덤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란, JIS K 6922-2에 기초하는 밀도가 930kg/㎥ 이상(바람직하게는 942 내지 960kg/㎥)인 폴리에틸렌을 말한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스미토모 가가꾸(주)제 「노블렌 WF836DG3, FS3611」, 닛폰 폴리프로(주)제 「노바테크PP EG6D」(이상 PP), (주)프라임 폴리머제 「하이젝스3300F」, 도소(주)제 「니포론하드4050」(이상 HDPE)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의 기층에는 착색에 의한 제품 번호 등의 식별성 및 취급성 향상의 관점에서, 안료 등의 착색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안료로서는 원하는 색의 종류 등에 따라 공지 관용의 유기, 무기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산화철, 산화 티타늄, 티타늄 옐로우, 코발트 블루, 카드뮴 레드, 아조레이크계(적, 황), 프탈로시아닌계, 퀴나크리돈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의 기층에는 작업성 향상, 박리층의 파괴 방지의 관점에서, 대전 방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대전 방지제로서는 공지 관용의 비이온(non-ionic)계 대전 방지제, 음이온계 대전 방지제,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의 기층에는 상기 수지 성분, 착색제, 대전 방지제 이외에도, 충전제, 활제, 노화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에서, 표층의 층 두께는 각각 8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의 표층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유연한 층이 된다. 이로 인해, 표층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박리 라이너 전체의 강도, 강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절단시에 표층이 신장되어 「절단」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즉, 표층의 층 두께가 80 ㎛를 초과하면, 펀칭 가공성이 저하되어, 가공 시에 「거스러미」나 「절단 잔류물」 등의 가공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층 두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층이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압출에 의한 균일 적층의 관점에서, 5 ㎛ 이상이 바람직하다. 표층이 코팅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0.1 내지 5 ㎛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층의 양쪽 표면에 표층을 갖는 3층 구조의 경우, 양측의 표층 두께 비(두께가 큰 쪽의 표층 두께/두께가 얇은 쪽의 표층 두께)는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양측의 표층 두께 비가 5보다 큰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에 컬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에서, 기층의 층 두께는 30 내지 19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70 ㎛이다. 기층은 박리 라이너의 강도를 담당하는 역할을 갖는다. 기층의 층 두께가 30 ㎛ 미만인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의 강도나 강성이 낮아져, 펀칭 가공성이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200 ㎛를 초과하면, 강성이 강해지고, 곡면을 가진 엠블럼 등에 추종하기 어렵고,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의 두께(총 두께)는 50 내지 20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80 ㎛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의 영률은 펀칭 가공성의 관점에서, 150 내지 700MPa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MPa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는 용융 제막법(T다이법, 인플레이션법), 용액 제막법 등과 같은 공지 관용의 시트 형성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의 적층 방법으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압출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웨트 라미네이트법 등 공지 관용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관점에서, 공압출법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의 표층에는 매트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에 매트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점착면에 대한 단말 박리성이나 블로킹 방지성이 향상된다. 상기 매트 가공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버프나 샌드페이퍼로 표층 표면을 연마하는 방법, 글래스 비즈, 카보랜덤, 금속 입자 등의 분 입자를 압착 공기와 함께 표층 표면에 강력하게 불어대어, 표면에 미세한 흠집을 내는 샌드블라스트 처리, 엠보싱 롤에 의한 엠보스 가공, 약품처리에 의한 케미컬 매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에서의 점착제층의 한쪽 면(1)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한쪽 면(1)과 접하는 박리층(가)의 표면 산술 평균 조도(Ra)는 후술하는 점착제층의 두께와도 관계되지만, 0.01 내지 5.0 ㎛ 정도가 바람직하다. 특히 점착제층의 두께가 200 내지 2000 ㎛(0.2 내지 2.0mm)일 경우에는, Ra는 0.03 내지 2.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2 ㎛이다. 박리 라이너 표면이 너무 거칠 경우에는, 점착제층이 부드럽기 때문에, 점착제층과 박리 라이너가 접해 있는 사이(보존 기간 등)에, 점착제층이 박리 라이너 표면의 요철 사이에 침투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접촉 면적이 증대, 박리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박리성의 안정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침투성은 점착제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현저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라이너에서의 상기 박리층(가)와 반대측의 배면 박리층(나)의 표면 산술 평균 조도(Ra)는 후술하는 점착제층의 두께와도 관계되지만, 0.03 내지 5.0 ㎛ 정도가 바람직하다. 특히 점착제층의 두께가 200 내지 2000 ㎛ (0.2 내지 2.0mm)일 경우에, Ra는 0.05 내지 5.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2.0 ㎛이다. 또한, 상기 배면 박리층(나)의 표면 산술 평균 조도(Ra)는 상기 박리층(가)의 표면 산술 평균 조도(Ra)보다도 큰 편이 바람직하다.
배면 박리층(나)의 표면 조도가 상기 범위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되감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조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리력의 경시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제층]
이어서, 점착제층(12)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점착제층(12)에 포함되는 코어층(16)은 점착성 조성물(20)과 미립자(22)를 갖고, 코어층(16)에는 기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코어층(16)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점착성 조성물)
코어층(16)을 구성하는 점착성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중합체(A)가 사용된다. 아크릴계 중합체(A)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단위로서 약 50중량% 이상 함유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A)는 중합 개시제와 함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중합(예를 들어, 용액 중합, 에멀전 중합, UV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비율은 아크릴계 중합체(A)를 조정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약 50중량% 이상 99.9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이상 93중량% 이하이다.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C1 - 20알킬 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C2 - 14알킬 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C2 - 10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말하고, 「(메트)…」는 모두 마찬가지 의미이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이외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는 응집력, 내열성, 가교성 등의 개질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공중합성 단량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중합체(A)는 주성분으로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함께, 공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극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라우릴, (4-히드록시메틸 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N-치환)아미드계 단량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헥사메틸렌 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단량체;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라우릴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N-메틸 이타콘이미드, N-에틸 이타콘이미드, N-부틸 이타콘이미드, N-옥틸 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 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 이타콘이미드, N-라우릴 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메트)아크릴로일-2-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비닐모르폴린, N-비닐-2-피페리돈,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진-2-온, N-비닐-3,5-모르폴린디온, N-비닐 피라졸, N-비닐이소옥사졸, N-비닐티아졸, N-비닐이소티아졸, N-비닐피리다진 등의 질소 함유 복소환계 단량체;
N-비닐카르복실산 아미드류;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락탐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알킬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단량체;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환, 할로겐 원자, 규소 원자 등을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이소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메틸 비닐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계 단량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비닐 톨루엔,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비닐 알킬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류;
염화 비닐;
비닐 술폰산 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아미드기 함유 비닐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공중합성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를 조정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공중합성 단량체를 약 0.1 내지 약 4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중량%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를 약 0.1중량% 이상 함유함으로써, 코어층(20)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 저하를 방지하고, 높은 전단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의 함유량을 약 4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코어층(20)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온(25℃)에서의 끈적거리는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함유해도 된다.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부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는 그의 분자량이나 관능기 수 등에 따라 상이한데, 아크릴계 중합체(A)를 조정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약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약 2.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3 내지 약 1.0중량%가 되도록 첨가한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이 아크릴계 중합체(A)를 조정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약 3.0중량%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코어층(16)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너무 높아지고,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할 경우 등이 있다. 한편, 약 0.01중량% 미만이면, 예를 들어, 코어층(20)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될 경우 등이 있다.
(중합 개시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제조 시에,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이나 자외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여, 아크릴계 중합체(A)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중합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이점 등에서, 광중합 개시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리안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히드로 클로라이드 등],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말레에이트, 과산화 라우로일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열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라면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 옥시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이르가큐어651,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이르가큐어184,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상품명:이르가큐어2959,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상품명:다로큐어1173,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메톡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 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이 포함된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이 포함된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이 포함된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이 포함된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에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이 포함된다.
아실포스핀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t-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시클로헥실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옥틸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부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4-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펜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부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옥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에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n-부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이소부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치톡시벤조일-2,4,6-트리메틸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부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1,10-비스[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데칸, 트리(2-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A)를 조정하는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약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3중량부의 범위 내의 양으로 배합된다.
여기서,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1중량부보다 적으면, 중합 반응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면, 광중합 개시제가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이 점착제층 내부까지 도달하지 않고, 중합률의 저하를 발생하거나, 생성하는 중합체의 분자량이 작아짐으로써,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낮아져, 점착제층을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필름에 남아, 필름의 재이용을 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또한, 광중합성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에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제는 통상 사용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적합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예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를 들 수 있다. 또는, 1 분자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1개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 분자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1개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더 한층 발휘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 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아민글리시딜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및 1,3-비스(N,N'-디아민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A)는 상기 단량체 성분과 중합 개시제를 배합한 혼합물에 자외선(UV)을 조사시켜서, 단량체 성분을 일부 중합시킨 부분 중합물(아크릴계 중합체 시럽)로서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어, 30000 내지 5000000이다.
(미립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미립자(B)를 첨가할 수 있다. 미립자(B)의 작용 효과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전단 접착력이나 가공성의 향상을 들 수 있다.
미립자(B)로서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크롬,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입자, 금속 산화물 입자; 탄화 규소, 탄화 붕소, 탄화 질소 등의 탄화물 입자, 질화 알루미늄, 질화 규소, 질화 붕소 등의 질화물 입자; 유리, 알루미나, 지르코늄 등 산화물에 대표되는 세라믹 입자; 탄화 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유리,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 화산 시라스, 모래 등의 천연 원료 입자;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페놀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요소 수지, 실리콘 수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중합체 입자; 염화 비닐리덴, 아크릴 등의 유기 중공체, 나일론 비즈, 아크릴 비즈, 실리콘 비즈 등의 유기 구상체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B)로서, 바람직하게는 중공 미립자 형상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공 미립자 형상체 중에서도, 자외선 반응을 사용하는 중합의 효율이나 중량 등의 관점에서, 중공의 무기계 미립자 형상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 중공 유리 벌룬(중공 유리 미소구라고도 함) 등의 유리제 벌룬; 중공 알루미나 벌룬 등의 금속 화합물제 중공 벌룬; 중공 세라믹 벌룬 등의 자기제 중공 벌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공 유리 벌룬을 사용함으로써 전단력, 유지력 등의 다른 특성을 손상시킬 일 없이, 고온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 유리 벌룬(중공 유리 미소구)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글래스 마이크로벌룬」(후지 시리시아 가가꾸(주)제)이나 상품명 「셀스타Z-20」 「셀스타Z-27」 「셀스타CZ-31T」 「셀스타Z-36」 「셀스타Z-39」 「셀스타Z-39」 「셀스타T-36」 「셀스타PZ-6000」(모두 도카이 고교(주)제), 상품명 「사이락스·파인 벌룬」(파인 벌룬(유)제)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B)의 입경(평균 입자 직경)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미립자(B)의 비중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 내지 1.8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g/㎤,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g/㎤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미립자(B)의 비중이 0.1g/㎤보다도 작으면, 미립자를 아크릴계 점착제 중에 배합하여 혼합할 때에 들뜸이 커지고,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 강도가 낮아 쉽게 깨져버린다. 반대로, 1.8g/㎤보다도 크면, 자외선 투과율이 저하되어서 자외선 반응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가 무거워져, 작업성이 나빠진다.
미립자(B)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코어층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10 부피% 미만이 되는 사용량이면, 미립자를 첨가한 효과가 낮고, 한편, 50 부피%를 초과하는 사용량이면 접착력이 저하된다.
(기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코어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에는, 기포(C)를 첨가할 수 있다. 코어층이 기포(C)를 함유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계 점착 테이프)는 곡면이나 요철면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내반발성을 발휘할 수 있다.
코어층 중에 함유되는 기포(C)는 기본적으로는, 독립 기포 타입의 기포인 것이 바람직한데, 독립 기포 타입의 기포와 연속 기포 타입의 기포가 혼재해 있어도 된다.
또한, 기포(C)는 통상, 구상(특히 진구 형상)의 형상을 갖지만, 구상 위로 요철이 있는 등, 진구 형상일 필요는 없다. 상기 기포(C)의 평균 기포 경(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 ㎛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포(C) 중에 포함되는 기체 성분(기포(C)를 형성하는 가스 성분; 「기포 형성 가스」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외에, 공기 등의 각종 기체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로서는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가 포함된 상태로 중합 반응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로서는 중합 반응 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나, 비용의 관점 등에서, 질소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코어층 중에 함유되는 기포(C)의 양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포를 함유하는 코어층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5 내지 50 부피%, 바람직하게는 8 내지 40 부피%이다. 혼합량이 5 부피%보다 적어지면, 기포를 혼합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50 부피%보다 많아지면, 코어층을 관통하는 기포가 들어가, 접착 성능이나 외관이 저하된다.
기포(C)를 함유하는 코어층에 있어서, 기포가 형성되는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포를 함유하는 코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1)미리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 성분(기포 형성 가스)이 혼합된 코어층을 사용함으로써, 기포가 형성된 형태의 코어층이나, (2)코어층에 발포제를 혼합함으로써, 기포가 형성된 형태의 코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발포제를 함유하는 코어층을 사용함으로써, 기포가 형성된 형태의 코어층의 경우, 해당 발포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공지된 발포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어, 열팽창성 미소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성분)
상술한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증점제, 틱소트로픽제, 증량제 등이 코어층에게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증점제의 예로서는 아크릴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부틸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틱소트로픽제의 예로서는 콜로이드 실리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증량제로서는 탄산 칼슘, 산화 티타늄, 클레이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가소제, 노화방지제, 산화 방지제 등을 적절히 첨가해도 된다.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층)
표층(18)의 성분은 점착성 조성물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D)와, 점착 부여 수지로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30000 미만인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포함한다. 표층(18)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중합체(D)는 코어층(16)의 아크릴계 중합체(A)로서 예시한 화합물(각종 단량체 성분)에서 선택할 수 있다. 표층(18)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중합체(D)는 코어층(16)의 아크릴계 중합체(A)와 성분 및 조성비가 동등하여도 되고, 코어층(16)의 아크릴계 중합체(A)와 성분 및 조성비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D)는 코어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A)와 마찬가지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같은 중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아크릴계 중합체(D)보다도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은 중합체이며, 점착 부여 수지로서 기능하고, 또한 UV 중합 시에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배합함으로써,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저극성 피착체에 대한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단량체 단위로서 포함한다.
이러한(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보르닐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의 지환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페닐, (메트)아크릴산 벤질과 같은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성분 단위 외에,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공중합성 단량체)을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폭시에틸, (메트)아크릴산 부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프로필과 같은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 등의 염;
에틸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은 다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염화 비닐리덴, (메트)아크릴산-2-클로로에틸과 같은 할로겐화 비닐 화합물;
2-비닐-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과 같은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성 화합물;
(메트)아크릴로일 아지리딘, (메트)아크릴산-2-아지리디닐에틸과 같은 아지리딘기 함유 중합성 화합물;
알릴 글리시딜에테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에테르, (메트)아크릴산-2-에틸 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에폭시기 함유 비닐 단량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모노에스테르, 락톤류와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과의 부가물과 같은 히드록실기 함유 비닐 단량체;
불소 치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같은 불소 함유 비닐 단량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단량체;
2-클로로에틸비닐에테르, 모노클로로아세트산 비닐과 같은 반응성 할로겐 함유 비닐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아크릴로일모르폴린과 같은 아미드기 함유 비닐 단량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 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헥사메틸렌 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단량체;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라우릴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N-메틸 이타콘이미드, N-에틸 이타콘이미드, N-부틸 이타콘이미드, N-옥틸 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 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 이타콘이미드, N-라우릴 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메트)아크릴로일-2-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트) 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비닐모르폴린, N-비닐피라졸, N-비닐이소옥사졸, N-비닐티아졸, N-비닐이소티아졸, N-비닐피리다진 등의 질소 함유 복소환계 단량체;
N-비닐카르복실산 아미드류;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락탐계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알킬계 단량체;
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알릴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알릴아민, 2-메톡시에톡시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유기 규소 함유 비닐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라우릴, (4-히드록시메틸 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환, 할로겐 원자, 규소 원자 등을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이소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메틸 비닐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계 단량체;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비닐 알킬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류;
염화 비닐;
기타, 비닐기를 중합한 단량체 말단에 라디칼 중합성 비닐기를 갖는 매크로 단량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MA)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IBXMA)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아크릴로일 모르폴린(ACMO)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와 디에틸 아크릴아미드(DEAA)의 공중합체,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와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IBXMA)의 공중합체,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DCPMA),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IBXMA),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IBXA),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DCPA), 1-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ADMA), 1-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ADA)의 각 단독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로서는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기가 분지 구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메트)아크릴산 이소보르닐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의 지환식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페닐이나 (메트)아크릴산 벤질과 같은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등의 환상 구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비교적 부피 밀도가 높은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단량체 단위로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피 밀도가 높은 구조를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에 갖게 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부피 밀도가 높다는 점에서 환상 구조를 가진 것은 효과가 높고, 환을 복수 함유한 것은 또한 효과가 높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합성시나 점착제 조성물 제작시에 UV 중합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포화 결합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기가 분지 구조를 가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지환식 알코올과의 에스테르를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예를 들어,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단량체 단위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와 같은 부피 밀도가 높은 구조를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에 갖게 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극성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이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이어도 되고, 또는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또는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이다.
CH2=C(R4)COOR5 (1)
[식(1)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지환식 탄화수소기임]
지환식 탄화수소기는 가교 환 구조 등의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교 환 구조를 갖는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에 갖게 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극성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을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반발 특성과, 유지 특성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즉, 가교 환 구조를 갖는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에 갖게 함으로써, 점착력과, 내반발 특성과, 유지 특성을 높은 차원에서 겸비한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가교 환 구조를 갖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2b)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테닐기, 하기 식(2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하기 식(2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2e)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합성시나 점착제 조성물 제작 시에 UV 중합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가교 환 구조를 갖는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가진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에서도 특히,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나, 하기 식(2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하기 식(2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 등의 포화 구조를 가진(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메트)아크릴계 중합체(B)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또한, 이러한 가교 환 구조를 갖는 3환 이상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예로서는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1-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에폭시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가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관능기의 예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머캅토기를 들 수 있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제조할 때에 이러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30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2000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10000 미만이다. 분자량이 30000 이상이면, 점착 테이프에서의 점착력 향상 효과가 충분히는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1000 미만이면, 저분자량이 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이나 유지 특성의 저하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HPLC8020에 칼럼으로서 TSKgel GMH-H (20)×2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로 유속 약 0.5ml/분의 조건으로 측정된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D)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7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5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7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한 점착제층의 탄성률이 높아져 저온에서의 접착성이 나빠지거나, 실온에서도 점착력을 발현하지 않게 될 경우가 있다. 또한, 첨가량이 2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 효과를 얻지 못할 경우가 있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약 20℃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 3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Tg)가 약 20℃ 미만이면, 점착제층의 실온 이상에서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유지 특성이나 고온에서의 접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로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내는 유리 전이 온도는 문헌, 카탈로그 등에 기재된 공칭 값이거나, 또는 하기 식(3)(Fox식)에 기초하여 계산된 값이다.
1/Tg=W1/Tg1+W2/Tg2+… +Wn/Tgn (3)
[식(3) 중, Tg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K), Tgi(i=1, 2, ···n)는 단량체i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K), Wi(i=1, 2, ···n)는 단량체i의 전체 단량체 성분 중의 중량 분율을 나타냄]
상기 식(3)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가 단량체1, 단량체2, ···, 단량체n의 n 종류의 단량체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계산식이다.
Figure pct00002
표 1에서 약어는 이하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DCPMA: 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
DCPA: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
IBXMA: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IBXA: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CHMA: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ADMA: 1-아다만틸 메타크릴레이트
ADA: 1-아다만틸 아크릴레이트
DCPMA/IBXMA40: DCPMA 60중량부와 IBXMA 40중량부의 공중합체
DCPMA/MMA40: DCPMA 60중량부와 MMA 40중량부의 공중합체
DCPMA/MMA60: DCPMA 40중량부와 MMA 60중량부의 공중합체
IBXMA/MMA60: IBXMA 40중량부와 MMA 60중량부의 공중합체
ADMA/MMA40: ADMA 60중량부와 MMA 40중량부의 공중합체
ADA/MMA40: ADA 60중량부와 MMA 40중량부의 공중합체
CHMA/IBMA40: CHMA 60중량부와 IBMA 40중량부의 공중합체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제조 방법>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는 예를 들어, 상술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용액 중합법이나 벌크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분자량 조정 방법>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의 중합 중에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연쇄 이동제의 예로서는 옥틸머캅탄, t-노닐 머캅탄, 도데실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머캅토에탄올, α-티오글리세롤 등의 머캅토기를 갖는 화합물;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메틸, 티오글리콜산 에틸, 티오글리콜산 프로필, 티오글리콜산 부틸, 티오글리콜산 t-부틸, 티오글리콜산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 옥틸, 티오글리콜산 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 데실, 티오글리콜산 도데실, 에틸렌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의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금속 부식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연쇄 이동제로서는 α-티오글리세롤, 머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메틸, 티오글리콜산 에틸, 티오글리콜산 프로필, 티오글리콜산 부틸, 티오글리콜산 t-부틸, 티오글리콜산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 옥틸, 티오글리콜산 이소옥틸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쇄 이동제를 약 0.1 내지 약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10중량부 함유한다. 이렇게 연쇄 이동제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적합한 분자량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쇄 이동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A), (D)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HPLC8020에 칼럼으로서 TSKgel GMH-H (20)×2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에서 유속 0.5ml/분의 조건으로 측정된다.
(점착제층의 두께)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코어층과 표층이 있는 경우에는 전체 두께)는 0.2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0mm이다.
(층 두께 비)
코어층(16)의 두께와 표층(18a)(또는 표층(18b))의 두께를 합한 총 두께에 대한 표층(18a)(또는 표층(18b))의 두께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70%이다. 당해 비율이 약 3% 미만이면, 원하는 접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비율이 70%보다 높아지면, 점착 테이프로서의 응력 완화성이나 단차 흡수성이라는, 기포(C)를 함유하는 코어층(16)을 갖는 경우에 기대되는 효과를 얻지 못할 경우가 있다.
(다층화 방법)
코어층(16)과 표층(18)을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1)코어층(16) 및 표층(18)을 별도로 경화시킨 후, 코어층(16)의 한쪽 면에 표층(18a)을 라미네이팅하고, 코어층(16)의 다른 쪽 면에 표층(18b)을 라미네이팅 함으로써 다층화하는 방법: 당해 방법은 각 층의 두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2)미리 경화시킨 표층(18a)(또는 표층(18b))에 코어층(16)을 도포한 후, 코어층(16)을 경화시키고, 계속하여 코어층(16)에 표층(18b)(또는 표층(18a))을 도포한 후, 표층(18b)(또는 표층(18a))을 경화시키는 방법, 또는 미리 경화시킨 코어층(16)의 한쪽 면에 표층(18a)(또는 다른 쪽 면에 표층(18b))을 도포한 후, 표층(18a)(또는 표층(18b))을 경화시키고, 계속하여 코어층(16)의 다른 쪽 면에 표층(18b)(또는 한쪽 면에 표층(18a))을 도포한 후, 표층(18b)(또는 표층(18a))을 경화시키는 방법: 당해 방법에서는 경화시킨 층에 다른 층을 도포하기 때문에, 각 층의 두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경화시킨 층에 다른 층을 일괄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의 간소화나 제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3) 도포된 표층(18)(또는 코어층(16))에 코어층(16)(또는 표층(18))을 순서대로 또는 동시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당해 방법에서는 표층(18), 코어층(16) 모두 일괄 도포가 가능하다.
각 층의 형성 방법은 롤 코터, 콤마 코터 등 코팅 롤을 사용한 것일 수도 있고, 슬롯 다이 등을 사용해도 된다. 특히, 상기 (3)의 방법에서는 각 층을 도포하는 다층 슬롯 다이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에 의하면, 아크릴계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함유하는 표층과 코어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폴리스티렌, ABS,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저극성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에서는 코어층의 양측에 각각 표층이 형성되어 있지만, 표층은 코어층 중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 테이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미립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하고,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는 점착제층(도 1에서의 12)과,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 면(1)(도 1에서의 12a)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한쪽 면(1)과 접하는 박리층(가)(도 3에서의 제1 박리층:28)와, 해당 박리층(가)와 반대측의 배면 박리층(나)(도 3에서의 제2 박리층:30)를 갖는 박리 라이너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상기 구성을 갖는 점에서,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음(또는 시트 형상의 점착 테이프를 복수 매 적층함)으로써, 배면 박리층(나)(도 3에서의 제2 박리층:30)에 점착제층의 다른 쪽 면이 박리 가능하게 접하는 구성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점착제층과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와의 유지 시간이 250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분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300분 이상이다. 유지 시간을 2500분 이상으로 함으로써 롤 형상으로 감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측면으로부터 점착제의 비어져 나옴(풀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지 시간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특히 박리 라이너가 구성으로서,
(1)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층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기층 중 적어도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박리층(가)를 갖는 구성
(2)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층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기층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박리층(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기층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면 박리층(나)를 갖는 구성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으로서, 아크릴계 중합체(A)와 미립자(B) 및/또는 기포(C)를 포함하는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한쪽 또는 양쪽 측에 형성되고, 아크릴계 중합체(D)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30000 미만인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포함하는 표층을 갖는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으로 한 경우에, 롤 형상으로 감긴 점착 테이프에서, 측면으로부터 점착제의 비어져 나옴(풀 비어져 나옴)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분위기 온도 23℃의 환경에서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상기 박리 라이너를 180°박리 방향으로 인장 속도300mm/분으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이 1.0[N/2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N/25mm] 이상(상한으로서는 5[N/25mm] 이하)이다. 박리력을 1.0[N/25mm] 이상으로 함으로써 롤 형상으로 감긴 점착 테이프에서, 측면으로부터 점착제의 비어져 나옴(풀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리력은 점착제층과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와의 박리력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는 만곡된 상태로 보관될 경우에도, 박리 라이너의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사용 시에는 우수한 박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롤 형상으로 감긴 점착 테이프로부터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억제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롤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블로킹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상태로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표 2에서 점착 테이프와 접합되는 측의 표층을 「표층(점착제층측)」, 그와 반대측의 표층을 「표층(배면측)」이라고 칭한다.
[실시예 1]
(박리 라이너)
표층(점착제층측)의 원료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닛폰 폴리에틸렌(주)제, 상품명 「노바테크LD UF641」, 밀도 927kg/㎥)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층 및 표층(배면측)의 원료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주)프라임 폴리머제, 상품명 「하이젝스3300F」, 밀도 950kg/㎥)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닛폰 폴리에틸렌(주)제, 상품명 「노바테크LD LF440HB」, 밀도 925kg/㎥)의 혼합 원료(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 질량비: 60/40)를 사용하였다.
3층 공압출 T다이 성형법에 의해, 점착 시트측 터치 롤로서 고무제 크레이프 롤, 배면측 터치 롤로서 금속제 크레이프 롤을 사용하여, 표층(점착제층측)/기층/표층(배면측)(두께: 21 ㎛/64 ㎛/64 ㎛)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진 박리 라이너(두께:149 ㎛)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박리 라이너의 한쪽 표층(점착제층)의 표면 조도(산술 평균 조도: Ra)는 0.10 ㎛, 반대측 표층(배면측)의 표면 조도(Ra)는 0.20 ㎛이었다.
(점착제층)
·코어층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90중량부) 및 아크릴산(10중량부)으로 구성되는 단량체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651」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0.05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184」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0.05중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BH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15Pa·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고, 일부가 중합한 조성물(아크릴계 중합체 시럽 1)을 얻었다.
아크릴계 중합체 시럽 1(100중량부)에,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0.08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651」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0.04중량부)를 첨가한 후, 또한 해당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에 대하여 9.5중량부가 되게 중공 유리 미소구(상품명 「셀스타Z-27」도카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첨가하였다.
중공 유리 미소구 첨가 후의 아크릴계 중합체 시럽 1에, 불소계 계면 활성제(상품명 「서플론S-393」세이 케미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측쇄에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불소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Mw=8300,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성 조성물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전구체에서, 점착성 조성물 전구체의 전체 부피를 차지하는 중공 유리 미소구의 용적은 약 23 부피%이었다.
점착성 조성물 전구체를 중앙부에 관통 구멍을 가진 원반상에 미세한 톱니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터와,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터와 대향하고 있고, 원반 상에 스테이터와 마찬가지의 미세한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로터를 구비한 장치에서의 스테이터상의 톱니와, 로터 상의 톱니 사이에 도입하고, 로터를 고속 회전시키면서, 관통 구멍을 통하여 질소 가스를 점착성 조성물 전구체에 도입함으로써, 점착성 조성물 전구체에 기포를 혼합하여, 코어층용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1을 얻었다. 또한, 기포는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1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약 20 부피%로 되도록 혼합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1을 롤 코터에서 편면 박리 처리된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스테르제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두께 550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도포된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1의 다른 한쪽 면에, 동종의 폴리에스테르제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된 면이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1의 다른 한쪽 면과 대향하게 접합하였다. 계속해서, 조도 5mW/㎠의 블랙 라이트 램프로 3분간 양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두께 550 ㎛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코어층을 얻었다.
·표층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94중량부) 및 아크릴산(6중량부)으로 구성되는 단량체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651)」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0.07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184」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 0.07중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BH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15Pa·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일부가 중합한 조성물(아크릴계 중합체 시럽 2)을 얻었다.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 60중량부),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MA, 40중량부), 티오글리콜산(4.0중량부)을 배합한 후, 질소 가스를 불어 넣어서 용존 산소를 제거하였다. 계속해서, 90℃까지 승온한 때에, 퍼헥실O(니찌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05중량부), 퍼헥실D(니찌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1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또한, 90℃에서 1시간 교반 후, 1시간에 걸쳐 150℃까지 승온하고, 15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1시간에 걸쳐 170℃까지 승온하고, 170℃에서 6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170℃의 상태에서 감압하고, 1시간 교반하여 잔류 단량체를 제거하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700이었다.
상술한 아크릴계 중합체 시럽 2(100중량부)에 대하여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아크릴레이트(0.08중량부), 상기에서 얻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20중량부)를 배합하여, 표층용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2를 얻었다.
상술한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2를 롤 코터에서 편면 박리 처리된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스테르제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두께 50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도포된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2의 다른 한쪽 면에 동종의 폴리에스테르제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된 면이 아크릴계 점착성 조성물 2의 다른 한쪽 면에 대향하게 접합하였다. 계속해서, 조도 5mW/㎠의 블랙 라이트 램프로 3분간 양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두께 50 ㎛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표층을 얻었다.
(표층/코어층/표층의 접합)
상술한 절차로 얻어진 코어층과 표층에 대해서, 코어층의 양쪽 표면에 표층을 접합함으로써 점착제층(표층(50 ㎛)/코어층(550 ㎛)/표층(50 ㎛)의 3층 구성)을 제작하였다. 또한, 코어층은 기포 및 미립자 함유 점착제층이 되었다.
상기 박리 라이너의 표층(점착제층측)의 표면에, 전술한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롤 형상으로 감음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박리 라이너)
표층(점착제층측, 배면측)의 원료로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주)프라임 폴리머제, 상품명 「모어테크0628D」, 밀도 916kg/㎥) 100중량부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쯔이 가가꾸(주)제, 상품명 「타프머 P0280」, 밀도 870kg/㎥) 15중량부의 혼합 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층의 원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토모 가가꾸(주)제, 상품명 「노블렌 FS3611」, 밀도 890kg/㎥) 10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3층 공압출 T다이 성형법에 의해, 점착 시트측 터치 롤로서 고무제 크레이프 롤, 배면측 터치 롤로서 금속제 크레이프 롤을 사용하여, 표층(점착제층측)/기층/표층(배면측)(두께:8 ㎛/134 ㎛/8 ㎛)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두께:150 ㎛)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박리 라이너의 한쪽 표층(점착제층측)의 표면 조도(산술 평균 조도: Ra)는 0.10 ㎛, 반대측 표층(배면측)의 표면 조도(Ra)는 0.65 ㎛이었다.
(점착제층)
상기 박리 라이너의 한쪽 표층(점착제층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롤 형상으로 감음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박리 라이너)
표층(점착제층측, 배면측)의 원료로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주)프라임 폴리머제, 상품명 「모어테크0628D」, 밀도 916kg/㎥) 100중량부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미쯔이 가가꾸(주)제, 상품명 「타프머 P0280」, 밀도 870kg/㎥) 50중량부의 혼합 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층의 원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토모 가가꾸(주)제, 상품명 「노블렌 FS3611」, 밀도 890kg/㎥) 10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3층 공압출 T다이 성형법에 의해 점착 시트측 터치 롤로서 고무제 크레이프 롤, 배면측 터치 롤로서 금속제 크레이프 롤을 사용하여, 표층(점착 시트측)/기층/표층(배면측)(두께:8 ㎛/134 ㎛/8 ㎛)의 3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두께:150 ㎛)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박리 라이너의 한쪽 표층(점착제층측)의 표면 조도(산술 평균 조도: Ra)는 0.82 ㎛, 반대측 표층(배면측)의 표면 조도(Ra)는 1.35 ㎛이었다.
(점착제층)
상기 박리 라이너의 표층(점착제층)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롤 형상으로 감음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작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특성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3
그리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에 관한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 방법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의 측정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
(1) 풀 비어져 나옴성의 평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폭 25mm, 감긴 길이 20m의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긴 샘플)를 50℃ 분위기 하에 1주일 방치하고, 그 후, 23℃×50RH%에 1일 방치한 후에, 점착 테이프를 관찰하여, 점착 테이프 측면으로부터 풀 비어져 나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풀 비어져 나옴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를 ○, 풀 비어져 나옴이 보인 경우를 ×라 하였다.
실시예 1, 2에 관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풀 비어져 나옴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에 관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풀 비어져 나옴이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풀 비어져 나옴성의 평가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전술한 육안 등의 직접적인 방법 이외에, 풀 비어져 나옴과 상관이 있는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풀 비어져 나옴성을 평가할 수 있을 가능성을 생각하게 되었다.
하나는,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도 3에서의 제2 박리층:30)와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의 다른 쪽 면을 압착한 상태에서의 크리프 시험의 유지 시간이다. 또 하나는,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도 3에서의 제2 박리층:30)와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의 다른 쪽 면과의 박리력 크기이다. 이하, 2개의 평가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2)크리프 시험에서의 유지 시간
풀 비어져 나옴의 발생은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로부터 점착제층의 다른 쪽 면이 조금씩 어긋나가는 점이 원인의 하나로 생각된다. 그로 인해, 점착제층과 세퍼레이터의 배면 박리층과의 점착력이 높으면,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고, 풀 비어져 나옴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크리프 시험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에 포함되는 점착제층(12) 및 박리 라이너(14)의 각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각 요소의 치수나 크기 비율은 설명이나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편의적인 것이며, 반드시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도 4의 (a)는 준비한 베이크라이트판(32)의 상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베이크라이트판(32)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베이크라이트판(32)은 25mm×130mm의 크기이다. 그리고, 베이크라이트판(32)의 표면을 IPA(이소프로필알코올)로 세정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양면 접착 테이프(34)(닛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No.5000NS, 크기 25mm×100mm)를 세정면에 붙인다.
도 5의 (a)는 양면 접착 테이프(34)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의 박리 라이너(14)를 베이크라이트판(32)에 부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측면도이다.
양면 접착 테이프(34)에 부속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점착면을 노출시키고, 이어서 측정 대상의 박리 라이너(14)(실시예 ·비교예의 박리 라이너)의 제1 박리층(28)(박리층(가))측을 양면 접착 테이프에 접합하고, 박리 라이너(14)를 베이크라이트판(32)에 고정한다. 즉, 제2 박리층(30)(배면 박리층(나))을 위로 하여 베이크라이트판(32)에 고정한다.
도 6의 (a)는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를 박리 라이너(14)의 제2 박리층(30)(배면 박리층(나))에 부착한 상태의 상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측면도이다.
박리 라이너(14)의 제2 박리층(30)(배면 박리층(나))의 표면을 IPA로 세정한다. 또한, 측정 대상이 되는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박리 라이너 부착)를 25mm×100mm의 크기로 커트한다.
커트한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에서의 점착제층의 다른 쪽 면(박리 라이너와 접하고 있지 않은 측의 면)은 박리 라이너(14)의 제2 박리층(30)(배면 박리층(나))과 접촉 면적이 폭 25mm×길이 40mm로 되도록, 박리 라이너(14)의 제2 박리층(30)(배면 박리층(나))에 부착되고, 시험편(36)이 제작된다.
이 상태에서, 시험편(36)은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상면으로부터 5kg 롤러를 사용하여 편도 압착되고, 실온(23℃, 50%RH) 분위기에서 24시간 정치되었다. 그 후, 시험편(36)은 40℃ 분위기에서 30분 정치되었다.
도 7은 시험편의 크리프 시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크라이트판(32)이 위쪽에,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시험편(36)을 고정부(38)에 현수하고,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하단부에 추(40)를 현수하였다. 추(40)는 200g이다. 즉, 시험편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하단부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1.96N(0.2kgf)의 하중을 가하고, 분위기 온도 40℃의 환경에서,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가 시험편(36)에서 탈락할 때까지의 유지 시간을 측정한다. 또한, 실시예 1에 관한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시험편에서는, 63시간 경과 후에도 점착 테이프의 탈락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의 유지 시간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경우, 모두 유지 시간은 2500분 이상이다. 한편, 비교예 1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경우, 유지 시간은 2500분 미만이다. 이와 같이,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제2 박리층(30))는 상술한 크리프 시험에 의해 측정했을 때의 유지 시간이 2500분 이상으로 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시간이 3000분 이상이 되도록,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이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박리 라이너를 갖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억제된다. 또한, 이러한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은 테이프 롤은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여도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억제된다.
(3)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도 3에서의 제2 박리층:30)와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의 다른 쪽 면과의 박리력 크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할 때에 큰 힘이 필요한 점착 테이프일수록, 롤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점착제층(12)이 박리 라이너(14)로부터 밀려나오기 어려워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박리 시험에 의해,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도 3에서의 제2 박리층:30)와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의 다른 쪽 면과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처음에,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박리 라이너/점착제층/박리 라이너/점착제층이 적층한 상태(2매의 점착 테이프를 상하로 적층한 상태)의 평가 샘플을 잘라낸다(평가 샘플의 크기는 25mm 폭×150mm 길이). 노출되어 있는 점착제층(하측의 점착 테이프 점착제층)을 지지판(SUS304BA판, 50mm×150mm)에 접합하였다. 또한, 상기 샘플의 길이 방향은 점착 시트의 흐름(MD) 방향이다.
만능 인장 시험기(미네베아(주)제, 「TG-1kNB」)를 사용하여, 상측의 점착 테이프(박리 라이너/점착제층)를 하측의 점착 테이프에서의 박리 라이너 배면 박리층(나)로부터 180°에서 박리시켰을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박리 라이너측을 인장하여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의 전후 10%를 커트한 상태에서의 최댓값을 박리력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관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상기 박리력이 1.0[N/25mm] 이상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1, 2에 관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풀 비어져 나옴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에 관한 점착 테이프에서는 180°박리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분에서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이 1.0[N/25mm] 미만이고, 풀 비어져 나옴이 관찰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나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이 실시 형태나 실시예는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10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12 점착제층, 14 박리 라이너, 16 코어층, 18 표층, 20 점착성 조성물, 22 미립자, 24 기포, 26 기층, 28 제1 박리층, 30 제2 박리층, 32 베이크라이트판, 34 양면 접착 테이프, 36 시험편, 38 고정부.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해당 점착제층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가 롤 형상으로 감긴 테이프 롤(양면 점착 테이프 권회체)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미립자 및/또는 기포를 적어도 함유하고, 양면이 점착면으로 되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 면(1)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한쪽 면(1)과 접하는 박리층(가)와, 해당 박리층(가)와 반대측의 배면 박리층(나)를 갖는 박리 라이너
    를 갖는 점착 테이프이며,
    상기 점착제층은 두께가 0.2 내지 2.0mm이고,
    상기 박리 라이너의 배면 박리층(나)는 하기 (i) 내지 (iv)의 방법으로 측정했을 때의 유지 시간이 2500분 이상이 되게 구성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
    (i)폭 25mm×길이 100mm의, 상기 박리 라이너와 동일한 재질의 시험편을 준비하고, 배면 박리층(나)를 위로 하여 베이크라이트판에 고정한다.
    (ii)폭 25mm×길이 100mm의 상기 점착 테이프를 준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다른 쪽 면(2)을 상기 시험편의 배면 박리층(나)에 접촉 면적이 폭 25mm×길이 40mm가 되게 부착한다.
    (iii)상기 점착 테이프를 5kg의 롤러로 편도 압착한다.
    (iv)상기 시험편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기 점착 테이프의 단부에 해당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1.96N(0.2kgf)의 하중을 가하고, 분위기 온도 40℃의 환경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가 상기 시험편에서 탈락할 때까지의 유지 시간을 측정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분위기 온도 23℃의 환경에서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상기 박리 라이너를 180° 박리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이 1.0[N/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층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기층 중 적어도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박리층(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라이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층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기층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박리층(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기층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면 박리층(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A)와, 미립자(B) 및/또는 기포(C)를 포함하는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한쪽 또는 양쪽 측에 형성되고, 아크릴계 중합체(D)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30000 미만인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를 포함하는 표층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중합체(E)의 함유량이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D)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A) 및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D)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단량체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감은 테이프 롤.
KR20147030399A 2012-04-04 2012-04-04 점착 테이프 및 테이프 롤 KR20150005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2353 WO2013150563A1 (ja) 2012-04-04 2012-04-04 粘着テープおよびテープロ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566A true KR20150005566A (ko) 2015-01-14

Family

ID=4930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0399A KR20150005566A (ko) 2012-04-04 2012-04-04 점착 테이프 및 테이프 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30795A1 (ko)
EP (1) EP2835405A4 (ko)
KR (1) KR20150005566A (ko)
CN (1) CN104220544A (ko)
WO (1) WO20131505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55A1 (ko) * 2016-08-12 2018-02-15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7657B (zh) * 2021-10-06 2023-06-23 苏州世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油酸泡棉、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5783A (en) * 1985-02-08 1987-02-24 Sanyo Kokusaku Pulp Co. Adhesive copolymer microspheres-containing aqueous suspen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6200225A (ja) 1992-12-29 1994-07-19 Nitto Denko Corp 塗料用感圧性接着剤とその接着シ―ト類
JP3204768B2 (ja) 1993-01-08 2001-09-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両面テープ
EP0793695B1 (en) 1994-11-22 2000-01-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amping construc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layer of a viscoelastic material applied to a vibratory solid article
US5695837A (en) 1995-04-20 1997-1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ckified acrylic adhesives
US5817386A (en) * 1996-03-28 1998-10-06 Norto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ilicone-free release films
WO1998044066A1 (fr) * 1997-03-27 1998-10-08 Kao Corporation Adhesif autocollant
JP2001003010A (ja) * 1999-06-16 2001-01-09 Nitto Denko Corp 感圧性両面接着シート及び感圧性接着部材
JP4825992B2 (ja) 1999-08-11 2011-11-30 綜研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
JP4878423B2 (ja) 2001-08-03 2012-02-15 綜研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の製造法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US6921729B2 (en) * 2002-12-31 2005-07-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tape
JP2005239831A (ja) 2004-02-25 2005-09-08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5123638B2 (ja) * 2006-12-05 2013-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シート
JP5068089B2 (ja) * 2007-03-02 201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ライナー
JP5121043B2 (ja) * 2007-03-09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感圧接着シート
JP5416361B2 (ja) * 2008-04-21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熱硬化型粘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155738B2 (ja) * 2008-05-29 2013-03-06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10209261A (ja) * 2009-03-11 2010-09-24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CN102498183A (zh) * 2009-09-16 2012-06-13 日东电工株式会社 丙烯酸类粘合带
JP2011157479A (ja) * 2010-02-01 2011-08-18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および粘着テープの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55A1 (ko) * 2016-08-12 2018-02-15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폴리머계 비드를 충격 흡수재로 이용하는 충격 흡수용 양면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0544A (zh) 2014-12-17
US20150030795A1 (en) 2015-01-29
WO2013150563A1 (ja) 2013-10-10
EP2835405A4 (en) 2016-04-27
EP2835405A1 (en)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902B2 (en) Joined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joined body
US8828539B2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KR101705936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점착제층 및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JP5502543B2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5634803B2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EP2385090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6067826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層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WO2011118179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WO2011118182A1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2016041817A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5730382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JP2013079361A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EP349254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50005566A (ko) 점착 테이프 및 테이프 롤
JP5616259B2 (ja) 粘着テープおよびテープロール
EP346706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N116457203A (zh) 表面保护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