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314A -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314A
KR20150005314A KR20130079110A KR20130079110A KR20150005314A KR 20150005314 A KR20150005314 A KR 20150005314A KR 20130079110 A KR20130079110 A KR 20130079110A KR 20130079110 A KR20130079110 A KR 20130079110A KR 20150005314 A KR20150005314 A KR 2015000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ar
coupled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경
Original Assignee
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경 filed Critical 엄재경
Priority to KR2013007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314A/ko
Publication of KR2015000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대의 자전거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자전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자전거의 안장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뒷바퀴의 상측으로 자전거의 짐받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두 대의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여 운행이 미숙한 자전거 사용자의 운행을 안내하거나 자전거 운행교육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하고자 하는 자전거를 연결하여 운행할 수 있다.
둘째, 성인용 자전거와 어린이용 자전거 같이 크기가 다른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결합하는 간단한 결합구조를 통하여 자전거의 크기에 상관없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자전거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셋째, 혼자서 자전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전거 연결장치가 뒷바퀴의 상부에 짐받이의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 됨으로써 물품을 실어서 나를 수 있는 짐받이로 원활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짐받이 형태의 자전거 연결장치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짐받이 또는 연결장치의 전체적인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자전거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종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 방식보다 편리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고, 특히,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연결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손상된 부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짐받이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 된 상태를 이루며 자전거 짐받이로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자전거 연결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란,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와 연결된 체인을 회전시켜 바퀴의 회전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탈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안장이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상기 뒷바퀴를 사람의 두 다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페달 및 체인과, 상기 앞바퀴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대개, 자전거의 핸들을 조절하며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핸들을 조절하며 자전거의 운행을 이루기 어려운 어린이나 자전거의 운행 경험이 미숙한 사용자는 자전거의 뒷바퀴에 보조바퀴를 더 결합하여 안전한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전거의 운행이 미숙한 어린이나 사용자의 자전거 운행을 교육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여 운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전거 연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자전거의 핸들 부위를 상호 연결하여 두 대의 자전거가 평행으로 연결되고, 핸들 방향이 일치되게 하여 자전거 운행교육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상호 연결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자전거를 연결하여 운행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문헌(1)과 같이 제안된 방법은 자전거를 운행하는 사용자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인하여 자전거의 운행교육을 이루고자 하는 장소가 넓은 공터와 같은 곳이 아니면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자전거의 운행을 배우고자 하는 사용자가 핸들의 조절을 원활하게 이루기 어려운 문제로 인하여 자전거 운행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헌(2)와 같은 종래의 연결 가능한 자전거는 복잡한 체결구조로 인하여 자전거 운행교육을 이루기 위하여 손쉽게 결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특히,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 연결방법은 동일한 크기를 이루는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성인의 자전거와 이보다 크기가 작은 어린이용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자전거의 운행이 미숙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자전거 운행교육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더하여,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 연결방법은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장치가 복잡한 구성을 이뤄 손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는 물론이고, 사용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자전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분실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1996-0013930(1996.05.2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허번호 제10-0465493(2004.12.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전거 운행이 미숙한 사용자나 어린이에게 자전거 운행을 교육하고자 하거나, 운행이 미숙한 사용자의 자전거를 유도하며 자전거를 타고자 할 때 두 대의 자전거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성인용 자전거와 어린이용 자전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자전거의 크기에 대응하며 원활하게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구성 없이도 편리하게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혼자서 자전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전거 짐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자전거의 뒷바퀴 상단에 결합 된 상태를 이루고,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짐받이의 형태를 이루는 연결장치를 펼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뒷바퀴의 상측으로 자전거의 짐받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고정몸체의 개방된 부위에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큐알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와, 상기 제1고정몸체의 일측으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상기 큐알레버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제2고정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몸체의 내측에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고무, 스폰지,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탄성패드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끝단에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체결공이 구비된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의 체결공에 힌지를 통하여 체결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끝단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고정공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바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바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에 체결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연결바가 구비되는 관통공에 체결되는 힌지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바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결합할 시,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제3연결바가 체결부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공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1연결바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제1수평바와, 상기 제1수평바의 일측으로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바는 상기 제2수평바의 전,후 유동을 구속하며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두 대의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여 운행이 미숙한 자전거 사용자의 운행을 안내하거나 자전거 운행교육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하고자 하는 자전거를 연결하여 운행할 수 있다.
둘째, 성인용 자전거와 어린이용 자전거 같이 크기가 다른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결합하는 간단한 결합구조를 통하여 자전거의 크기에 상관없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자전거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셋째, 혼자서 자전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전거 연결장치가 뒷바퀴의 상부에 짐받이의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됨으로써 물품을 실어서 나를 수 있는 짐받이로 원활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짐받이 형태의 자전거 연결장치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짐받이 또는 연결장치의 전체적인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자전거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종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 방식보다 편리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고, 특히,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연결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손상된 부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의 고정부재와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가 자전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가 자전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를 통하여 두 대의 성인용 자전거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를 통하여 성인용 자전거와 유아용 자전거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졀장치의 제1연결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의 제1연결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3)을 지지하는 프레임(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100)와, 상기 고정부재(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전거(1)의 짐받이 형태로 사용하거나 연결하고자 하는 자전거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20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100)는 자전거(1)를 이루는 프레임(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되, 자전거(1)의 안장(3)을 구속하는 프레임(2)을 감싸도록 결합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자전거(1)의 뒷바퀴(4)를 지지하는 프레임(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성되어 상기 뒷바퀴(4)의 상측으로 자전거(1)의 짐받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었다가, 두 대의 자전거(1)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짐받이 형태의 연결부재(200)를 유동시켜 자전거 연결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몸체(110)와, 상기 고정몸체(11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큐알레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1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프레임(2)의 형상과 대응되게 일측이 개방(절개)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큐알레버(120)는 자전거의 프레임(2)에 상기 고정몸체(110)가 결합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몸체(110)의 개방(절개)된 부위가 압력에 의해 밀착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정몸체(110)가 프레임(2)과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몸체(1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몸체(110)는 상기 프레임(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111)와,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일측으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마주보는 대향 면에는 상기 큐알레버(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결합홈(112a)이 구비된 제2고정몸체(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1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제2고정몸체(112)는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일측에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연장 형상되고, 연장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큐알레버(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이루는 결합홈(112a)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큐알레버(120)는 상기 제2고정몸체(111)의 결합홈(11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종래의 큐알레버와 그 형상 및 기능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큐알레버(120)는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결합홈(112a)에 결합된 후에는 후술할 연결부재(200)의 제1연결바(210)가 원활하게 결합 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11)를 상기에서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몸체(111)를 자전거(1)의 프레임(2)을 감싸며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구성 및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홈(112a)에 결합되는 큐알레버(120)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연결구(미도시)를 더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고정몸체(112)를 상기에서는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일측으로 상기 큐알레버(120)가 원활하게 결합 될 수 있는 형태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구성 및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몸체(111)가 자전거(1)의 프레임(2)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자전거(1)의 프레임(2)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몸체(111)와 프레임(2)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도록 탄성패드(130)를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탄성패드(130)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2)과 밀착되는 경우에 소정의 탄성력을 형성하면서도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무, 스폰지, 합성수지 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끝단에는 걸림홈(211)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체결공(21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제1연결바(210)와, 상기 제1연결바(210)의 체결공(212)에 힌지(H)를 통하여 체결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끝단에는 상기 체결공(212)과 대응되는 연결공(22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타측 끝단에는 걸림공(22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제2연결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바(210)는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홈(211)을 통하여 상기 제2고정몸체(112)의 결합홈(112a)에 상기 큐알레버(120)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큐알레버(120)에 탈착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홈(211)을 통하여 제1연결바(210)의 일측이 상기 큐알레버(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바(21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공(212)과, 상기 제2연결바(220)의 연결공(221)을 관통 결합하는 힌지(H)를 통하여 상기 제1연결바(210)의 일측이 상기 제2고정몸체(112)에 결합 된 상태에서도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결합 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연결바(2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제2연결바(220)의 걸림공(222)을 자전거(1)의 뒷바퀴(4)가 결합되는 프레임(2)에 결합 구성하여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가 도 5에서와 같이, 자전거(1)의 뒷바퀴(4) 상부에 짐받이의 형상으로 결합 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210)의 길이방향으로는 다수개의 삽입공(213)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연결바(22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는 상기 삽입공(213)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는 제3연결바(230)를 힌지(H)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가 도 5에서와 같이, 자전거(1)의 뒷바퀴(4) 상단에 짐받이의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연결바(220)의 길이방향에 힌지(H)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연결바(230)를 상기 제1연결바(210)의 삽입공(213)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의 결합을 상기 제3연결바(230)를 통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결합 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 된 상기 제1연결바(220)를 분리하여 도 4에서와 같이, 회동시켜 상기 제1연결바(220)의 걸림홈(211)을 연결하고자 하는 자전거의 뒷바퀴(4) 축(미도시) 또는 프레임(2)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두 대의 자전거를 편리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제1연결바(210)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제3연결바(230)가 체결부재(P)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고정공(214)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공(214)은 도시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시,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가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며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연결바(210)의 삽입공(213)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결합 된 제3연결바(230)를 도 4에서와 같이 분리한 후,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가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후에 상기 제3연결바(230)에 형성된 결합공(231)을 상기 제1연결바(210)의 고정공(214)과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공(231)과 고정공(214)에 체결부재(P)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가 동일 수평선상을 이룬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와 제1연결바(210)의 결합을 분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자전거의 앞바퀴(5) 또는 핸들이 위치된 자전거의 프레임(2)에 제1연결바(210)를 결합하여 두 대의 자전거를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의 연결부위가 쳐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제1연결바(210)는 도시된 도 9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210-1a)이 구비된 제1수평바(210-1)와, 상기 제1수평바(210-1)의 일측으로 상기 관통공(210-1a)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체결공(210-2a)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2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자전거(1)의 안장(3)이 위치된 프레임(2)에 상기 고정부재(100)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상기 제1연결바(21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프레임(2)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원활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연결바(210)를 제1수평바(210-1)와, 제2수평바(210-2)로 구성하고, 상기 제1수평바(210-1)는 관통공(210-1a)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2수평바(210-2)는 상기 관통공(210-1a)과 대응되는 체결공(210-2a)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210-1a)과 체결공(210-2a)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부재(P)를 통하여 제1수평바(210-1)와 제2수평바(210-2)의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자전거의 프레임 형상이나 크기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자전거(1)의 안장(3)이 위치된 프레임(2)에 결합 된 고정부재(100)와 상기 제1연결바(210)를 더욱 효율적으로 설치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수평바(210-2)에는 상기 제1수평바(210-1)의 전,후 유동을 구속하며 안내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210-2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시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1수평바(210-1)와 제2수평바(210-2)의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수평바(210-2)의 슬라이딩돌기(210-2b) 내측으로 상기 제1수평바(210-1)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밀착되며 안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수평바(210-1)와 제2수평바(210-2)의 결합을 더욱 편리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결합 된 상태에서는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자전거의 짐받이로 원활하게 사용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두 대의 자전거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로 편리하게 혼용하며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자전거 2: 프레임
3: 프레임 4: 뒷바퀴
5: 앞바퀴
100: 고정부재 110: 고정몸체
111: 제1고정몸체 112: 제2고정몸체
112a: 결합홈 120: 큐알레버
130: 탄성패드 200: 제1연결바
210-1: 제1수평바 210-1a,231:관통공
210-2: 제2수평바 210-2a,212: 체결공
210-2b: 슬라이딩돌기 211: 걸림홈
213: 삽입공 214: 고정공
220: 제2연결바 221: 연결공
222: 걸림공 230: 제3연결바
P: 체결부재

Claims (9)

  1. 자전거(1)의 안장(3)을 지지하는 프레임(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100)와,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자전거(1)의 뒷바퀴(4)를 지지하는 프레임(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뒷바퀴(4)의 상측으로 자전거(1)의 짐받이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프레임(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몸체(110)와,
    상기 고정몸체(11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0)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고정몸체(110)의 개방된 부위에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큐알레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10)는
    상기 프레임(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111)와,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일측으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상기 큐알레버(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12a)이 구비된 제2고정몸체(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몸체(111)의 내측에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고무, 스폰지,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탄성패드(13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끝단에는 걸림홈(211)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체결공(212)이 구비된 제1연결바(210)와,
    상기 제1연결바(210)의 체결공(212)에 힌지(H)를 통하여 체결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끝단에는 상기 체결공(212)과 대응되는 연결공(221)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고정공(22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제2연결바(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21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삽입공(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바(2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213)에 체결부재(P)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연결바(230)가 구비되는 관통공(231)에 체결되는 힌지(H)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210)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결합할 시, 상기 제1연결바(210)와 제2연결바(220)를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제3연결바(230)가 체결부재(P)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공(214)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8. 제 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21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210-1a)이 구비된 제1수평바(210-1)와,
    상기 제1수평바(210-1)의 일측으로 상기 관통공(210-1a)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체결공(210-2a)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바(2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바(210-2)는
    상기 제1수평바(210-1)의 전,후 유동을 구속하며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210-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KR20130079110A 2013-07-05 2013-07-05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KR20150005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110A KR20150005314A (ko) 2013-07-05 2013-07-05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110A KR20150005314A (ko) 2013-07-05 2013-07-05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14A true KR20150005314A (ko) 2015-01-14

Family

ID=5247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110A KR20150005314A (ko) 2013-07-05 2013-07-05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5413A (zh) * 2017-05-31 2017-09-29 王常利 软尾货架、自行车架及自行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5413A (zh) * 2017-05-31 2017-09-29 王常利 软尾货架、自行车架及自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120B2 (en) Scooter
US20150225034A1 (en) Infant scooter
US9452641B2 (en) Recreational vehicle
JP3212384U (ja) キックバイク・自転車両用車
US20150035248A1 (en) Extendable bicycle
KR20150005314A (ko) 자전거 짐받이로 혼용이 가능한 자전거 연결장치
WO2006001688A3 (en) Trolley
US20140274582A1 (en) Training Equipment with Alternative Assembly Modules
CN113056776B (zh) 单触式驾驶训练用辅助制动器
CN205554283U (zh) 可转换婴幼儿车
CN104210598A (zh) 一种折叠自行车
JP2007204020A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065261B1 (ko) 전동 스쿠터
KR101453995B1 (ko) 접이식 자전거
US10144468B2 (en) Bicycle riding training aid
US20170267307A1 (en) Folding Fender
KR101917796B1 (ko)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28429Y1 (ko) 보조 조향장치를 갖는 세발자전거용 안장
JP3149735U (ja) 座椅子付きの幼児用自転車
CN205059859U (zh) 一种可转换型三轮滑板车
CN209984855U (zh) 一种稳固型折叠脚踏
KR20120007025U (ko) 접이식 프레임
TWM528925U (zh) 滑步腳踏進階兩用車
KR101271631B1 (ko) 자전거용 트레일러
KR20120003665U (ko) 유압식 높낮이 조절 자전거 안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